텔레비전 드라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텔레비전 드라마는 연극, 영화, 라디오의 특징을 결합하며, 배우의 연기가 핵심 요소이다. 각본, 연출, 연기, 제작 과정을 거쳐 다양한 장르로 제작된다. 시청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기획 단계가 중요하며, 시청자 수와 브라운관의 크기 등 여러 제약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한국, 미국, 일본 등 각국에서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며, 특히 일본은 방송 시간대와 제작 회사에 따라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텔레비전 드라마 - 연속극
연속극은 특정 등장인물 그룹의 삶이나 대가족의 생활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텔레비전 드라마 장르이며, 로맨스, 갈등, 사회 문제 등을 다루면서 국가별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 텔레비전 프로그램 장르 - 모큐멘터리
모큐멘터리는 허구의 이야기를 다큐멘터리 형식으로 제작하는 영화, 텔레비전 프로그램 등 장르를 의미하며, 《스파이널 탭》의 성공으로 용어가 대중화되었다. - 텔레비전 프로그램 장르 - 서부극
서부극은 미국 서부 개척 시대를 배경으로 카우보이, 총잡이 등이 등장하여 명예, 정의, 복수 등의 주제를 다루는 영화 장르로, 《대열차 강도》를 시작으로 발전하며 다양한 하위 장르로 변모해왔다. - 영어계 외래어 - 텔레비전
텔레비전은 움직이는 영상과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 다시 영상과 소리로 바꾸는 기술을 이용한 매체로, 닙코프 원판을 이용한 초기 기계식 방식에서 음극선관 발명을 통해 전자식으로 발전하여 디지털 기술과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 발전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사회, 문화, 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지만 건강 문제 및 부정적 콘텐츠 노출 등의 부작용도 존재한다. - 영어계 외래어 - 파이
파이는 다양한 재료로 만들 수 있는 구운 요리이며, 쇼트 페이스트 반죽을 사용하여 짭짤하거나 달콤하게 만들 수 있고, 문화적 의미와 유머의 소재로도 사용된다.
텔레비전 드라마 | |
---|---|
유형 | 텔레비전 프로그램 |
방송 매체 | 텔레비전 비디오 온라인 스트리밍 |
형식 및 스타일 | |
형태 | 연속극 미니시리즈 옴니버스 드라마 단막극 |
장르 | 범죄 코미디 역사극 로맨스 공상과학 스릴러 |
역사 | |
초기 개발 | 1930년대에서 1940년대 |
황금기 | 1950년대 |
발전 | 1960년대 이후 |
주요 영향 | 라디오 드라마 영화 연극 |
국가별 특징 | |
미국 | 네트워크 텔레비전 케이블 텔레비전 스트리밍 서비스 |
영국 | BBC ITV 채널 4 |
일본 | 게츠쿠 아침 드라마 대하드라마 |
한국 | 미니시리즈 주말 드라마 일일 드라마 |
제작 및 배급 | |
제작 과정 | 작가 감독 배우 촬영 편집 |
배급 방식 | 방송사 스트리밍 서비스 DVD 블루레이 |
용어 및 관련 개념 | |
텔레비전 영화 | 텔레비전용으로 제작된 영화 |
텔레비전 프로그램 | 텔레비전으로 방송되는 모든 종류의 콘텐츠 |
텔레비전 시리즈 | 여러 에피소드로 구성된 텔레비전 드라마 |
기타 정보 | |
영향력 | 사회, 문화, 정치에 영향 |
비평 및 연구 | 드라마 평론 드라마 연구 |
2. 본질과 특성
텔레비전 드라마는 연극, 영화, 라디오의 성격을 모두 지니고 있다.
- '''연극적, 영화적, 라디오적 성격''': 드라마는 연기 예술이라는 점에서 연극적이고, 카메라로 포착되는 점에서 영화적이며, 전파를 타고 가정에 전달되는 점에서 라디오적이다. 텔레비전 초기에는 생방송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본질적으로는 연극에 가깝다고 여겨졌다. 그러나 이후에는 주로 녹화 방송되면서 편집이 가능해져 텔레비전 드라마가 연극보다 영화에 더 가깝다는 의견이 힘을 얻었다. 영화가 편집되고 만들어진 흐름이 강하다면, 텔레비전 드라마는 생(生)으로의 흐름이 강하다. 따라서 텔레비전 드라마는 본질상 연극과 영화의 중간에 위치한다.
- '''영화와 무대극의 중간적 성격''': 영화는 대형 화면 등을 통해 스펙터클한 요소를 많이 도입하는 반면, 텔레비전 드라마는 화면이 작다. 그러나 무대극과는 달리 텔레비전 드라마는 다양한 효과를 줄 수 있다.
- '''접근상의 친근성, 동시성''': 텔레비전만 있으면 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친근하며, 텔레비전 드라마의 장면은 동시에 어디에선가 실제로 있을 것 같은 느낌을 주는 점에서 동시성을 준다.
- '''주제의 보편성''': 텔레비전 드라마는 인간 생활의 정신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해야 하는 점에서 주제의 보편성이 요구된다.
2. 1. 연극적, 영화적, 라디오적 성격
드라마는 연기 예술이라는 점에서 연극적이고, 카메라로 포착되는 점에서 영화적이며, 전파를 타고 가정에 전달되는 점에서 라디오적이다. 텔레비전 초기에는 생방송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본질적으로는 연극에 가깝다고 여겨졌다. 그러나 이후에는 주로 녹화 방송되면서 편집이 가능해져 텔레비전 드라마가 연극보다 영화에 더 가깝다는 의견이 힘을 얻었다. 영화가 편집되고 만들어진 흐름이 강하다면, 텔레비전 드라마는 생(生)으로의 흐름이 강하다. 따라서 텔레비전 드라마는 본질상 연극과 영화의 중간에 위치한다.2. 2. 영화와 무대극의 중간적 성격
영화는 대형 화면 등을 통해 스펙터클한 요소를 많이 도입하는 반면, 텔레비전 드라마는 화면이 작다. 그러나 무대극과는 달리 텔레비전 드라마는 다양한 효과를 줄 수 있다.2. 3. 접근상의 친근성, 동시성
텔레비전만 있으면 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친근하며, 텔레비전 드라마의 장면은 동시에 어디에선가 실제로 있을 것 같은 느낌을 주는 점에서 동시성을 준다.2. 4. 주제의 보편성
텔레비전 드라마는 인간 생활의 정신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해야 하는 점에서 주제의 보편성이 요구된다.3. 각본
텔레비전 시청자들은 연극이나 영화의 관객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양적으로 많고, 지적 수준도 천태만별이다. 이러한 시청자 대중이 만족할 각본을 쓴다는 것은 퍽 어려운 일이다. 각본 이전에 기획이 선행해야 한다. 따라서 자칫하면 작자는 기획에 규제되어 작자로서의 독자성을 잃게 된다. 또 시청률이 드라마의 우열(優劣)의 기준이 되고 있는 방송계에 있어 뛰어난 텔레비전 드라마가 전파를 타는 기회는 거의 폐쇄되어 있다.
텔레비전 각본은 스튜디오와 브라운관 크기의 제약(制約)도 고려해야 한다. 영화 스크린은 넓기 때문에 영화로는 인간을 자연 속의 점경(點景)으로서 다루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텔레비전 수상기에 비쳐 나오는 영상(풍경)은 작고 박력이 없다. 다르게 말하면, 텔레비전 드라마는 인간본위적이라는 것이다. 텔레비전 각본은 사건 그 자체를 쓰기보다, 사건을 인물의 움직임 속에 그려내는 것에 집중한다.
3. 1. 시청자 층의 다양성
텔레비전 시청자들은 연극이나 영화의 관객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양적으로 많고, 지적 수준도 천태만별이다. 이러한 시청자 대중이 만족할 각본을 쓴다는 것은 퍽 어려운 일이다.3. 2. 기획의 중요성
텔레비전 시청자 대중은 연극이나 영화 관객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많고, 지적 수준도 다양하다. 이러한 시청자를 만족시킬 각본을 쓰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며, 각본 이전에 기획이 선행되어야 한다. 기획 단계에서는 시청률, 제작비, 배우 섭외 등을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기획은 작가의 독자성을 제약할 수 있다. 특히 시청률이 드라마의 우열 기준이 되는 방송 환경에서는 뛰어난 텔레비전 드라마가 전파를 타기 어렵다.텔레비전 각본은 스튜디오와 브라운관 크기의 제약도 고려해야 한다. 영화 스크린과 달리 텔레비전 수상기의 영상은 작고 박력이 부족하여, 인간을 자연 속의 점경으로 다루기 어렵다. 따라서 텔레비전 드라마는 인간 본위적이며, 사건 자체보다는 사건을 인물의 움직임 속에 그려내는 데 집중한다.
3. 3. 브라운관 크기의 제약
텔레비전 각본은 스튜디오와 브라운관 크기의 제약(制約)도 고려해야 한다. 영화 스크린은 넓기 때문에 영화로는 인간을 자연 속의 점경(點景)으로서 다루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텔레비전 수상기에 비쳐 나오는 영상(풍경)은 작고 박력이 없다. 다르게 말하면, 텔레비전 드라마는 인간본위적이라는 것이다. 텔레비전 각본은 사건 그 자체를 쓰기보다, 사건을 인물의 움직임 속에 그려내는 것에 집중한다.4. 연출
텔레비전 드라마는 문학, 연극, 영화, 음악적 요소를 포함한다. 그러나 텔레비전 드라마의 근본이 되는 것은 역시 배우의 연기이다. 연기를 지도하고 정리하는 것이 연출자이다. 연출은 각본을 영상화하고 소리로 표현하는 과정도 포함한다. 연출자는 말로만 구성된 대본을 영상과 소리에 의해 구상화(具象化)한다.
4. 1. 연출의 대상
텔레비전 드라마는 문학, 연극, 영화, 음악적 요소를 포함한다. 그러나 텔레비전 드라마의 근본이 되는 것은 역시 배우의 연기이다. 연기를 지도하고 정리하는 것이 연출자이다. 연출은 각본을 영상화하고 소리로 표현하는 과정도 포함한다. 연출자는 말로만 구성된 대본을 영상과 소리에 의해 구상화(具象化)한다.4. 2. 연출의 역할
연출자는 배우의 연기를 지도하고 정리하며, 각본을 영상과 소리로 표현하는 과정을 총괄한다. 연출은 각본을 영상화하고 소리로 표현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연출자는 말로만 구성된 대본을 영상과 소리에 의해 구상화(具象化)한다.5. 연기
텔레비전 드라마의 연기는 텔레비전이 매체가 된다는 점에서 연극, 영화, 라디오 상의 연기와 구별되는 특징을 갖는다. 텔레비전 연기자는 3~5대의 카메라 중 동작하고 있는 카메라를 감각으로 포착해야 한다. 연기자는 조명과 마이크의 범위 내에서 연기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은 기술상의 문제일 뿐 본질적인 것은 아니다.
5. 1. 카메라, 조명, 마이크의 제약
텔레비전 드라마의 연기는 텔레비전이 매체가 된다는 점에서 연극, 영화, 라디오 상의 연기와 구별되는 특징을 갖는다. 텔레비전 연기자는 3~5대의 카메라 중 동작하고 있는 카메라를 감각으로 포착해야 한다. 연기자는 조명과 마이크의 범위 내에서 연기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은 기술상의 문제일 뿐 본질적인 것은 아니다.6. 제작 과정
기획 단계에서는 프로그램 내용을 정하고, 작가·연출가·출연자를 결정하고, 주 촬영 장소와 예산 등을 결정한다. 텔레비전 드라마의 기획 단계 때부터 관여하여, 결정한 드라마를 제작하는 것이 프로듀서의 역할이므로, 사전 제작 드라마의 경우, 해외 판권 독점 계약을 위한 사전 심의를 반드시 거쳐야 한다.
프로듀서는 드라마 제작에 책임을 지지만, 드라마의 실제 제작은 연출자(디렉터)가 맡는다. 연출자는 작가와 의논하여 최종 배역을 결정하고, 미술, 기술 제작 의뢰표를 발행한다. 이것으로 제작 장비가 마련된다. 제작 예산은 문예비(각본료, 음악비 등), 미술비(소도구, 가발 등), 출연료로 이루어진다.
기획 단계에서는 프로그램 내용을 정하고, 작가·연출가·출연자를 결정하고, 주 촬영 장소와 예산 등을 결정한다. 텔레비전 드라마의 기획 단계 때부터 관여하여, 결정한 드라마를 제작하는 것이 프로듀서의 역할이므로, 사전 제작 드라마의 경우, 해외 판권 독점 계약을 위한 사전 심의를 반드시 거쳐야 한다.
프로듀서는 드라마 제작에 책임을 지지만, 드라마의 실제 제작은 연출자(디렉터)가 맡는다. 연출자는 작가와 의논하여 최종 배역을 결정하고, 미술, 기술 제작 의뢰표를 발행한다. 이것으로 제작 장비가 마련된다. 제작 예산은 문예비(각본료, 음악비 등), 미술비(소도구, 가발 등), 출연료로 이루어진다.
6. 1. 기획 단계
기획 단계에서는 프로그램 내용을 정하고, 작가·연출가·출연자를 결정하고, 주 촬영 장소와 예산 등을 결정한다. 텔레비전 드라마의 기획 단계 때부터 관여하여, 결정한 드라마를 제작하는 것이 프로듀서의 역할이므로, 사전 제작 드라마의 경우, 해외 판권 독점 계약을 위한 사전 심의를 반드시 거쳐야 한다.프로듀서는 드라마 제작에 책임을 지지만, 드라마의 실제 제작은 연출자(디렉터)가 맡는다. 연출자는 작가와 의논하여 최종 배역을 결정하고, 미술, 기술 제작 의뢰표를 발행한다. 이것으로 제작 장비가 마련된다. 제작 예산은 문예비(각본료, 음악비 등), 미술비(소도구, 가발 등), 출연료로 이루어진다.
6. 2. 제작 단계
기획 단계에서는 프로그램 내용을 정하고, 작가·연출가·출연자를 결정하고, 주 촬영 장소와 예산 등을 결정한다. 텔레비전 드라마의 기획 단계 때부터 관여하여, 결정한 드라마를 제작하는 것이 프로듀서의 역할이므로, 사전 제작 드라마의 경우, 해외 판권 독점 계약을 위한 사전 심의를 반드시 거쳐야 한다.프로듀서는 드라마 제작에 책임을 지지만, 드라마의 실제 제작은 연출자(디렉터)가 맡는다. 연출자는 작가와 의논하여 최종 배역을 결정하고, 미술, 기술 제작 의뢰표를 발행한다. 이것으로 제작 장비가 마련된다. 제작 예산은 문예비(각본료, 음악비 등), 미술비(소도구, 가발 등), 출연료로 이루어진다.
7. 장르
텔레비전 시대극 - 텔레비전 방송 개시 이후 계속되고 있는 장르로, NHK 종합 텔레비전의 대하드라마가 대표적이다. 역사 드라마를 꾸준히 매주 방영하는 것은 NHK뿐이며, 민영 방송에서는 1970년대까지는 연속 역사 드라마가 방영되었지만, 현재는 설 특별 방송 등의 단발성 작품 정도로 제한되어 있다. 허구의 등장인물(혹은 미토 코몬, 오오카 에치젠 등 실존 인물의 일부 설정만을 차용한 픽션)에 의한 연속 시대극도 민영 방송에서는 거의 제작·방영되지 않고, 존폐 위기가 거론되고 있다.
아동 대상 드라마 - 어린이들의 성장, 교육, 모험 등을 소재로 하는 장르이다. 1980년대까지는 어린이 프로그램으로서 30분 정도의 드라마가 비교적 많이 제작되었다. 현재는 E텔레(NHK 교육텔레비전)에서 도덕 교육 드라마를 취학 연령의 아동,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 방송으로 방영하고 있다. 또한 텔레비 아사히에서는 일요일 아침 9시부터 10시까지 1시간을 "슈퍼히어로 타임"(특촬 시간대)이라고 부르며, "가면라이더 시리즈"와 "슈퍼전대 시리즈"를 각각 30분씩 방영하고 있다.
연애 드라마 - 현대 사회를 배경으로 남녀 간의 사랑, 갈등, 이별 등을 다루는 장르이다. 트렌디 드라마라고 불리던 시대의 흐름을 이은 현대극의 연애물이다. 소설을 원작으로 한 작품 외에 1990년대 후반 이후로는 만화 원작 작품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홈 드라마 - 가족 구성원 간의 관계, 갈등, 사랑 등을 다루는 장르이다.
형사 드라마 - 경찰, 형사 등 수사 기관의 인물들이 범죄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을 그리거나, 마피아, 마약 카르텔 등 범죄자들의 이야기를 다루는 장르이다.
의학 드라마 - 병원을 배경으로 의사, 간호사 등 의료진과 환자들의 이야기를 다루는 장르이다.[3] 인간적인 모습을 그리는 텔레비전 드라마이다.[3]
학원 드라마 - 학교를 배경으로 학생, 교사들의 성장, 우정, 사랑 등을 다루는 장르이다.
휴먼 드라마
홈 드라마(시트콤) - 코미디 드라마의 정석으로 "sitcom(시트콤)"이 있다. 시트콤은 가정이나 직장을 배경으로 가족 또는 동료들이 등장하여 일상생활에서 벌어지는 일들을 다룬다.
탐정물(디텍티브 픽션) - 사립탐정이나 아마추어 탐정이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을 그린다.
법정 드라마 - 변호사, 검사, 판사 등 법조계 인물들을 중심으로 법정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룬다.[2]
초자연 현상(supernatural, スーパーナチュラル) - 상식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초자연 현상·괴기 현상·불가사의한 일 등이 발생하여 시청자는 수수께끼와 공포를 즐긴다.
- 애니메이션·만화 드라마화 작품 목록
- 2시간 드라마
- 수화 드라마
- UHF 드라마
- 특촬
- 학교 방송
7. 1. 시트콤 (시추에이션 코미디)
코미디 드라마의 정석으로 "sitcom(시트콤)"이 있다. 시트콤은 가정이나 직장을 배경으로 가족 또는 동료들이 등장하여 일상생활에서 벌어지는 일들을 다룬다. 어설픈 실수, 시청자를 웃게 만드는 대화, 과장된 제스처를 활용한 기묘한 대사, 많은 관객의 웃음소리(라프 트랙) 등으로 구성된다. 극중 아이에게 어른스러운 대사를 시키고, 알면서도 모르는 체하는 어른의 우스꽝스러움을 표현하여 웃음을 유도하는 연출 기법이 자주 사용된다.시트콤은 화려한 연출, 특수 촬영, 특수 분장 등을 사용하지 않고, 방송 작가의 유머 감각과 배우들 간의 연기 호흡에 의존한다. 대부분 TV 방송국 내부의 스튜디오에 설치된 세트에서 촬영되며, 세트 주변에 계단식 관객석을 설치하여 관객의 반응도 동시에 녹음한다.
대표적인 시트콤으로는 다음과 같은 작품들이 있다.
- 『풀 하우스』(1987 - 1995)
- 『사인펠드』(1989 - 1998)
- 『프렌즈』(1994 - 2004)
- 『레이먼드는 천재』(1996 - 2005)
- 『커브 유어 엔주지애즘』(2000 - )
- 『투 앤드 어 하프 맨』(2003 - 2015)
7. 2. 초자연 현상 (슈퍼내추럴)
초자연 현상(supernatural, スーパーナチュラル), 괴기 현상을 다룬 작품, 미스터리, 호러 서스펜스 등은 이야기 속에 상식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초자연 현상·괴기 현상·불가사의한 일 등이 발생하여 시청자는 수수께끼와 공포를 즐긴다. 황혼의 지대(1959 - 1964), X파일(1993 - ), 로스트(2004 - 2010), 슈퍼내추럴(2005 - ), 기묘한 이야기(2016 - ) 등이 대표적인 초자연 현상을 다룬 텔레비전 드라마이다.7. 3. 탐정 (디텍티브 픽션)
탐정물(영어: Detective fiction, 디텍티브 픽션)은 오래전부터 인기가 많았으며, 주인공은 대부분 사립탐정이나 아마추어 탐정이다. 사립탐정물은 작은 사립탐정 사무소의 남자가 다양한 사건을 해결하는 것이고, 아마추어 탐정물은 추리작가가 실제 사건에 개입하여 해결하는 것이다.- 『록포드 파일즈』(1974 - 1980)
- 『나이트 라이더』(1982 - 1986)
- 『제시카의 추리극』(1984 - 1996)
- 『블룸문 탐정 사무소』(1985 - 1989)
- 『캐슬』(2009 - 2016)
7. 4. 형사, 범죄 (클라임)
경찰, 형사 등 수사 기관의 인물들이 범죄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을 그리거나, 마피아, 마약 카르텔 등 범죄자들의 이야기를 다루는 장르이다. 2000년 이후로는 기존의 "경찰 살인 수사대" 소속 경찰이나 형사뿐만 아니라 다양한 공적인 수사 기관의 요원이나 수사관의 인생도 함께 그리는 작품이 늘었다. 범죄자 측에 초점을 맞춘 작품도 많이 제작되고 있다.'''형사 드라마'''
'''범죄 드라마'''
7. 5. 법정 (리걸 픽션)
변호사, 검사, 판사 등 법조계 인물들을 중심으로 법정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루는 장르이다.[2] 대표적인 법정 드라마로는 1954년에 방영된 12인의 성난 사람들, 1986년부터 1994년까지 방영된 L.A. 로, 1990년부터 2010년까지 방영된 법과 질서, 1997년부터 2004년까지 방영된 더 프랙티스 등이 있다.7. 6. 의료 (메디컬)
병원을 배경으로 의사, 간호사 등 의료진과 환자들의 이야기를 다루는 장르이다.[3] 인간적인 모습을 그리는 텔레비전 드라마이다.[3]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ER 응급구조실』(1994 - 2009), 『하우스』(2004 - 2012) 등이 있다.7. 7. 시대극
역사적인 시대를 배경으로 하며, 주로 왕조, 전쟁, 영웅 등을 소재로 하는 장르이다. 텔레비전 방송 개시 이후 계속되고 있는 장르로, NHK 종합 텔레비전의 대하드라마가 대표적이다. 역사 드라마를 꾸준히 매주 방영하는 것은 NHK뿐이며, 민영 방송에서는 1970년대까지는 연속 역사 드라마가 방영되었지만, 현재는 설 특별 방송 등의 단발성 작품 정도로 제한되어 있다. 허구의 등장인물(혹은 미토 코몬, 오오카 에치젠 등 실존 인물의 일부 설정만을 차용한 픽션)에 의한 연속 시대극도 민영 방송에서는 거의 제작·방영되지 않고, 존폐 위기가 거론되고 있다.7. 8. 아동 대상 드라마
아동 대상 드라마는 어린이들의 성장, 교육, 모험 등을 소재로 하는 장르이다. 1980년대까지는 어린이 프로그램으로서 30분 정도의 드라마가 비교적 많이 제작되었다. 현재는 E텔레(NHK 교육텔레비전)에서 도덕 교육 드라마를 취학 연령의 아동,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 방송으로 방영하고 있다. 또한 텔레비 아사히에서는 일요일 아침 9시부터 10시까지 1시간을 "슈퍼히어로 타임"(특촬 시간대)이라고 부르며, "가면라이더 시리즈"와 "슈퍼전대 시리즈"를 각각 30분씩 방영하고 있다.7. 9. 연애 드라마
현대 사회를 배경으로 남녀 간의 사랑, 갈등, 이별 등을 다루는 장르이다. 트렌디 드라마라고 불리던 시대의 흐름을 이은 현대극의 연애물이다. 소설을 원작으로 한 작품 외에 1990년대 후반 이후로는 만화 원작 작품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7. 10. 홈 드라마
홈 드라마는 가족 구성원 간의 관계, 갈등, 사랑 등을 다루는 장르이다.7. 11. 학원 드라마
학원 드라마는 학교를 배경으로 학생, 교사들의 성장, 우정, 사랑 등을 다루는 장르이다.8. 각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텔레비전 드라마 목록(세계 각국)
- 미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목록 (연대순)
- 영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목록
- 캐나다의 텔레비전 드라마 목록
- 한국 드라마
- 텔레노벨라(라틴 아메리카)
- 일본의 텔레비전 드라마 목록
- 해외에서 방영된 일본 텔레비전 드라마
=== 한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
한국의 텔레비전 드라마는 미니시리즈(월~토 6회 위주)나 일일연속극 형식이 가장 통상적으로 편성되고 있다. 2019년 하반기에 방영된 SBS 금토 드라마 '스토브리그'는 프로야구 정규 시즌이 끝난 휴식기를 배경으로 하여, 시청자 정서에 잘 어울리는 스포츠 드라마로 인기를 끌면서, 시청률 1위를 기록했다.
2000년대 이후엔, 시청자들의 요청에 따라 시즌제 드라마를 기획 및 제작하는 경우가 많아졌으며, KBS의 교육 드라마인 '학교 시리즈'가 지상파 방송 3사 중 시즌제 드라마의 새로운 지평을 열게 되었다.
KBS의 시즌제 교육 드라마 '학교 2013'의 편성 기획을 담당한 KBS 드라마본부의 곽기원 기획 팀장은 인터뷰에서, "검증을 이미 통과한 콘텐츠를 한 층 더 업그레이드된 형태의 새로운 드라마로 재탄생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즌제 드라마는 분명히 발전된 형태이므로, 기획 단계에서 프로그램 제작 환경의 선진화와 이전보다 더 나은 속편을 만들기 위한 제작진들의 확고한 의지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라고 덧붙였다.
=== 미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
소재와 형식이 다양하다. 시즌제 형식의 연속극이 일반적이지만 미니시리즈와 낮에 방영하는 연속극도 있다.
=== 일본의 텔레비전 드라마 ===
일본의 텔레비전 드라마는 미니시리즈가 주를 이루지만, 시청자들의 요청에 따라 시즌제로 제작되는 경우도 있다. 만화나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경우가 많으며, 드라마가 극장판으로 제작되기도 한다. 후지테레비/フジテレビ일본어는 1969년 영화 임금님의 은밀한 사명을 통해 텔레비전 방송국으로서 처음으로 영화 제작을 맡았다. 이후 텔레비전 방송국은 영화 사업에 진출하였고, 현재는 텔레비전 드라마의 세계관을 계승한 새로운 에피소드를 영화로 제작하는 경우가 많다.
8. 1. 한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한국의 텔레비전 드라마는 미니시리즈(월~토 6회 위주)나 일일연속극 형식이 가장 통상적으로 편성되고 있다. 2019년 하반기에 방영된 SBS 금토 드라마 '스토브리그'는 프로야구 정규 시즌이 끝난 휴식기를 배경으로 하여, 시청자 정서에 잘 어울리는 스포츠 드라마로 인기를 끌면서, 시청률 1위를 기록했다.2000년대 이후엔, 시청자들의 요청에 따라 시즌제 드라마를 기획 및 제작하는 경우가 많아졌으며, KBS의 교육 드라마인 '학교 시리즈'가 지상파 방송 3사 중 시즌제 드라마의 새로운 지평을 열게 되었다.
KBS의 시즌제 교육 드라마 '학교 2013'의 편성 기획을 담당한 KBS 드라마본부의 곽기원 기획 팀장은 인터뷰에서, "검증을 이미 통과한 콘텐츠를 한 층 더 업그레이드된 형태의 새로운 드라마로 재탄생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즌제 드라마는 분명히 발전된 형태이므로, 기획 단계에서 프로그램 제작 환경의 선진화와 이전보다 더 나은 속편을 만들기 위한 제작진들의 확고한 의지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라고 덧붙였다.
8. 2. 미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소재와 형식이 다양하다. 시즌제 형식의 연속극이 일반적이지만 미니시리즈와 낮에 방영하는 연속극도 있다.8. 3. 일본의 텔레비전 드라마
일본의 텔레비전 드라마는 미니시리즈가 주를 이루지만, 시청자들의 요청에 따라 시즌제로 제작되는 경우도 있다. 만화나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경우가 많으며, 드라마가 극장판으로 제작되기도 한다. 후지테레비(フジテレビ)는 1969년 영화 임금님의 은밀한 사명을 통해 텔레비전 방송국으로서 처음으로 영화 제작을 맡았다. 이후 텔레비전 방송국은 영화 사업에 진출하였고, 현재는 텔레비전 드라마의 세계관을 계승한 새로운 에피소드를 영화로 제작하는 경우가 많다.8. 4. 방송 형태
방송 형태별로, 1시즌으로 완결되는 텔레비전 드라마는 「미니시리즈」(miniseries) 또는 「리미티드 시리즈」(limited series)라고 부른다. 일본의 2시간 드라마 등 단발의 텔레비전 드라마는 영어권에서는 「텔레비전 스페셜」(TV special) 또는 「텔레비전 영화」(TV film, TV movie) 등으로 부른다.8. 5. 일본의 방송 일정
일본에서는 1주일 내내 텔레비전 드라마가 방영된다. 프라임 타임에 방송되는 드라마는 시청률이 높고 예산도 많으며, 다른 시간대보다 인기 있는 배우와 탤런트가 많이 출연한다. 유행이나 패션 등 여러 방면에 영향을 미친다.[4]TBS 계열의 일요극장이나 후지텔레비 계열의 월9 드라마, 텔레비 아사히 계열의 목요일 드라마 등 소위 "간판 시간대"는 특히 고시청률 작품이 많다. 오전에 방영되는 텔레비전 드라마 중에서는 NHK 종합의 연속 TV 소설(아침 드라마)이 인기가 많으며, 히로인을 연기한 배우가 신인인 경우, 출연을 계기로 민영 방송 각국에서 프라임 타임 드라마 등에 출연이 늘어나 "젊은 배우의 등용문"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1980년대까지는 처음에 1쿨 또는 2쿨 제작을 예정하고, 인기가 있으면 연장되어 최종적으로 2, 3년 동안 계속되는 작품이 많이 보였지만, 1990년대 이후에는 출연 배우의 스케줄 확보[5] 및 시청률 저하에 따른 중도 캔슬의 위험 회피의 관점에서, 인기가 있어도 처음 방송 예정을 바꾸지 않고 일단 종료시킨 후, 대략 3개월에서 1년의 간격을 두고 다음 시리즈가 제작되는 것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6] 각 쿨의 전환 시기인 1, 2주는 개편기이기 때문에 특별 프로그램이 방송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며, 1쿨 작품이라도 전 13화로 구성하지 않고, 몇 주분을 줄여 전 9화에서 전 11화인 작품이 많다. 또한, 시청률 부진으로 인한 중도 캔슬의 불상사를 피하기 위해 방영 회수를 발표하지 않고 시작하는 경우도 많다.
201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동영상 전달 서비스에 대한 콘텐츠 공급이나 해외 수출 등을 배경으로 텔레비전 드라마 시간대의 증가가 잇따르고 있으며, 골든 타임·프라임 타임대(19시대~22시대)에서의 드라마 시간대 신설[7]에만 국한하더라도, 2015년 4월부터 일본TV가 『일요 드라마』[8], 2022년 4월부터 NHK가 『야드라』[9], 같은 달부터 후지텔레비가 『수요일 밤 10시 드라마』[10], 같은 해 10월부터 텔레비 아사히가 『화요일 밤 9시 드라마』[11], 2023년 4월부터 아사히 방송이 『일요일 밤 10시 드라마』[12], 같은 해 10월부터 후지텔레비가 『금요일 밤 9시 드라마』[13], 2024년 4월부터 일본TV가 『토드라9』[14]를 각각 신설하고 있다. 또한, 심야 드라마(23시대 이후)에 대해서도 2011년 당시에는 1주일에 2편밖에 방송되지 않았지만, 2021년 10월 시점에서는 1주일에 16편으로 8배 증가했다.[15]
인터넷 동영상 사이트가 일반적으로 보급된 영향으로 평균 15분 정도로 끝나는 동영상 시청에 익숙한 세대에게 CM 없이 45분 또는 1시간 분량의 시청을 시키는 것은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16] 2010년대 이후 각국 모두 중장년층에 시청률을 기대할 수 있는 형사·의료 드라마로의 이동이 두드러지고 있다.[17]
8. 6. 프로그램 홍보 (番宣)
방송국에서는 새로운 드라마의 첫 방송까지 다양한 홍보(PR) 활동을 한다. 주로 출연자 인터뷰나 촬영 현장 밀착 취재를 방송하는 사전 특집 프로그램이 방송된다. 2000년대 무렵부터는 주연급 배우들이 예능 프로그램에 잇달아 게스트 출연하여 홍보를 하거나, 방송 당일 아침 정보 프로그램부터 저녁 뉴스 프로그램까지 잇달아 게스트로 생방송 출연(「연속 출연」)하는 경우가 보인다.주말에 방송되는 드라마의 경우, 특히 일요일은 생방송 프로그램이 적기 때문에 금요일에 생방송 출연하는 경우가 있다.
방송되지 않는 지역에서는 프로그램이 기본적으로 홍보되지 않도록 배려되지만, 편성의 형편 등으로 방송되지 않는 지역에서 홍보되는 경우도 가끔 보인다.
8. 7. 제작 회사
일본에는 다양한 드라마 제작 회사가 존재하며, 각 회사마다 특색 있는 작품을 제작하고 있다.- 드리맥스・텔레비전: 쇼치쿠의 영화 감독 키노시타 케이스케와 TBS 등이 1964년에 "키노시타 케이스케 프로덕션"으로 설립했다. 설립 초기부터 TBS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키노시타 케이스케 아워』와 『키노시타 케이스케 인간의 노래 시리즈』와 같은 방송 시간대를 마련했다. "키노시타 프로덕션"으로 사명을 변경한 후에도 『금요일의 아내들께』 시리즈와 『샐러리맨 킨타로』 등의 히트작을 만들어냈다. 2002년 TBS의 연결 자회사가 된 것을 계기로 현재의 "드리맥스・텔레비전"이라는 사명으로 변경했다.
- 텔레비전맨 유니온: TBS 출신자들이 1970년에 설립했다.
- 국제방영: 전신은 영화사 신토호이며, 현재는 도호의 방계 회사이다. 같은 세타가야구에 도쿄 미디어 시티라는 스튜디오를 갖추고 있다. 대표작으로는 『켄짱 시리즈』, 『아쓰미 기요시의 울고 싶지 않아』, 『서유기 (1978년판)』 등이 있다. 2018년에 텔레비전 드라마 제작에서 철수했다.
- 도에이: 텔레비전 부문을 가지고 있다. 텔레비 아사히의 대주주이며 개국 당시부터 관계가 긴밀하지만, 다른 방송국과도 적극적으로 제휴하고 있다. 교토 촬영소에서는 시대극과 서스펜스, 도쿄 촬영소에서는 특촬물과 형사 드라마를 주로 제작한다.
- 공동텔레비전: 후지 미디어 홀딩스의 자회사로, 원래는 뉴스 전문 제작 회사였지만, 버라이어티와 드라마로 사업 영역을 확장했다. 주로 후지텔레비의 드라마, 버라이어티, 정보 프로그램 등의 제작 및 기술 협력을 수행한다.
- 도호: 영화사이지만, 『태양에 호에로!』와 『상처투성이의 천사』와 같은 연속 드라마 제작 회사로도 알려져 있다. 세타가야구에 일본 최대 규모의 촬영소인 도호 스튜디오를 보유하고 있지만, 1970년대까지는 영화 촬영에만 사용했고, 텔레비전 영화는 국제방영 등에 하청을 줬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로는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녹화에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 C.A.L: 시대극을 주로 제작하며, 대표작으로는 『미토 코몬』, 『오오카 에치젠』, 『코가라시 문지로』 등이 있다. 『달려라! 케이 100』과 같은 현대극 제작에도 참여했다. 도에이 교토 촬영소에 하청을 주는 경우가 많다.
- 다이에이 텔레비전: 원래는 영화사 다이에이의 텔레비전 부서로 설립되었으나, 1971년에 분리·재설립되었다. 1970년대 TBS 계열에서 방송한 "붉은 시리즈"와 1980년대에 TBS 계열, 후지텔레비 계열에서 방송한 "소녀 시리즈" (『스튜어디스 이야기』, 『불량소녀라고 불려』, 『소녀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 『야누스의 거울』 등)와 같은 대표작을 만들어냈다. 1990년대 이후로는 주로 후지텔레비와 텔레비 아사히의 2시간 드라마 제작에 참여하고 있다. 2000년대에 들어 VTR을 거쳐 하이비전으로 전환했다.
- 유니온 영화: 1970년에 일본 크라운과 일본텔레비의 공동 출자로 설립되었다. 『아빠라고 부르지 마세요』, 『잡거 시대』 등의 홈 코미디 드라마 (이시다테 드라마 시리즈), 『우리들의 여행』, 『유히가오카의 총리대신』 등의 청춘 그룹 드라마, 그리고 『자식 데리고 늑대』, 『덴시치 포물장』 등 일본텔레비의 시대극 제작을 담당했다. 1985년의 『충신장』을 시작으로 대晦일 방송되는 일본텔레비 장시간 시대극 (연말 시대극 스페셜)을 제작했다. 『화요 서스펜스 극장』 등에서 현대극도 제작했다.
- 텔레팩: TBS와 와타나베 프로덕션 등의 출자로 설립되었다. 1970년대에는 『간장 심장 엄마』와 『고마워』 등의 홈 드라마 제작을 주력으로 했지만, 『남녀 7인 여름 이야기』와 『남녀 7인 가을 이야기』 등의 연애물도 제작했다. 최근에는 2시간 드라마 제작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 아베쿠 컴퍼니: 키노시타 프로덕션(현: 드리맥스・텔레비전)에 소속되어 있던 프로듀서가 독립하여 설립했다.
- 미디어믹스 재팬 (MMJ): 1990년대부터 많은 작품을 제작하고 있다. 호리프로와 케이다시와의 관계가 강하다. 텔레비 아사히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동 방송국과 간사이 텔레비의 연속 드라마 제작을 중심으로 한다. 주요 대표작으로는 『당신의 손이 속삭이고 있다』, 『특명계장 타다노 진』, 『팀 바티스타 시리즈』 등이 있다.
- The icon: MMJ 소속 프로듀서가 독립하여 설립했다.
참조
[1]
웹사이트
「2010s」著者・宇野維正と考える、“消費”ではなく”参加”するポップ・カルチャー。コロナ以前/以降を横断する1万字インタビュー - 4ページ目 - 映画 Movie Walker
https://moviewalker.[...]
2020-06-07
[2]
웹사이트
Why Hollywood loves lawyers
https://www.abajourn[...]
2020-06-07
[3]
웹사이트
Andrew Garfield-starred true-life medical drama 'Breathe' jointly goes to Bleecker Street, Participant Media
http://www.asiastarz[...]
2016-09-15
[4]
문서
ソースは該当記事参照
[5]
문서
2クールでは撮影期間も含めておおよそ8か月程スケジュールを確保しなければいけないため、俳優によっては他作品のオファーがあってもそれを理由に断らざるを得ないなど、不利な状況となることがある。
[6]
웹사이트
日テレ「傷だらけの天使」は半年、TBS「ありがとう」は1年だった…連ドラの放送期間が「3カ月」になった事情
https://www.dailyshi[...]
2024-01-04
[7]
문서
枠移動によるものについてはここでは除外する。
[8]
웹사이트
見たいものがない?日テレ、日曜午後10時半にドラマ枠新設のワケ
https://www.sponichi[...]
2015-02-07
[9]
웹사이트
NHK「夜ドラ」スタート 若者層へアプローチ「朝ドラのように見て頂ければ」
https://www.daily.co[...]
2022-02-10
[10]
웹사이트
間宮祥太朗が脱ヤンキー フジ水10枠6年ぶり復活、新ヒーロー像生み出す第1弾
https://www.sanspo.c[...]
2022-01-19
[11]
웹사이트
沢口靖子10月期に「科捜研の女」新シリーズ放送で前髪上げイメチェン…木曜午後8時から火曜午後9時に引っ越し
https://hochi.news/a[...]
2022-07-12
[12]
웹사이트
ABCテレビ:4月から日曜夜10時に新ドラマ枠 配信や海外市場も見据え「クオリティーの高いドラマを届けたい」
https://mantan-web.j[...]
2023-01-20
[13]
웹사이트
ムロツヨシ、54年ぶり復活フジ“金9”主演に驚き 裏番組に対抗心「どんなロードショーが来ても」
https://encount.pres[...]
2023-08-25
[14]
웹사이트
有働由美子アナ、4月期から日本テレビ土曜夜8時台・新音楽番組MC 夜9、10時台はドラマ枠に改編
https://hochi.news/a[...]
2024-01-15
[15]
웹사이트
深夜ドラマは10年前の週2本から16本に激増中…各局が力を入れる今どきな理由とは
https://www.dailyshi[...]
2021-10-16
[16]
뉴스
NHK大河ドラマ『花燃ゆ』の視聴率低迷はスマホが原因だった!?
http://dailynewsonli[...]
2015-02-25
[17]
웹사이트
テレビドラマ「刑事・医療系が75%」の危険水域 いまだ変わらぬ視聴率至上主義の中高年シフト
https://toyokeizai.n[...]
[18]
방송
徹子の部屋
2013-06-10
[19]
간행물
石立鉄男を語ろう
2012-08-16
[20]
간행물
僕らが好きなあのドラマ
2011-07-16
[21]
서적
実録テレビ時代劇史 ちゃんばらクロニクル1953-1998
東京新聞出版局
[22]
서적
現代世相風俗史年表:1945-2008
河出書房新社
[23]
문서
日本制作のテレビドラマ1シーズンの放送回数は全10回前後なのに対して、アジアや欧米各国制作のテレビドラマは全20回以上となっている。
[24]
웹사이트
日本のドラマが海外に売れにくい理由〜【MIPCOM2018カンヌ現地インタビュー:国際ドラマフェスティバル in Tokyo 実行委員会副委員長重村一氏】(前編)
https://www.screens-[...]
[25]
웹사이트
知はうごく:著作権攻防(5-4)世界進出・ジュウレンジャー
https://web.archive.[...]
[26]
뉴스
「日本のドラマは論外」 希薄なテレビ業界の意識
http://www.itmedia.c[...]
2007-03-16
[27]
웹사이트
クールジャパン戦略関連基礎資料ver1.0
https://www.kantei.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