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 월남 공화국 대사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한 월남 공화국 대사관은 1956년 6월 28일 대한민국 서울에 설치되어 1975년 5월 17일 폐쇄된 베트남 공화국(남베트남)의 외교 공관이다. 1955년 대한민국이 베트남 공화국을 승인하고 1956년 공사급 외교 관계를 수립한 후, 1958년 대사급으로 격상되면서 대사관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베트남 전쟁이 종결되고 베트남 공화국이 소멸되면서 대사관은 폐쇄되었으며, 대사관 재산은 대한민국 정부에 인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없어진 대한민국 주재 외교 공관 - 주한 중화민국 대사관
1949년 대한민국과 외교 관계를 수립하여 서울에 개설되었던 주한 중화민국 대사관은 1992년 대한민국이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하면서 폐쇄되었고, 현재는 주한 타이베이 대표부를 통해 양국 관계가 비공식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 없어진 대한민국 주재 외교 공관 - 주한 니카라과 대사관
주한 니카라과 대사관은 니카라과가 대한민국 서울에 설치했던 외교 공관으로, 재정 문제 등으로 설립과 폐쇄를 반복하다 2024년 최종 폐쇄되었으며, 대한민국과의 외교, 경제, 문화 교류 증진 및 자국민 보호 업무를 수행했다. - 남베트남-대한민국 관계 - 주월남 공화국 대한민국 대사관
주월남 공화국 대한민국 대사관은 1956년 공사관으로 시작하여 1958년 대사관으로 승격되었으나,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폐쇄되었으며, 최덕신, 박동진 등이 역임했다. - 남베트남-대한민국 관계 - 대한민국 국군의 베트남 전쟁 참전
대한민국 국군의 베트남 전쟁 참전은 1964년부터 1973년까지 미국의 요청에 따라 이루어진 대규모 해외 파병으로, 경제적 이득, 군사 현대화, 미국과의 동맹 강화가 배경이었으나, 민간인 학살 논란과 고엽제 후유증 같은 문제점과 함께 현재까지도 한-베트남 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주한 월남 공화국 대사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주한 월남 공화국 대사관 |
현지어 이름 | Đại sứ quán Việt Nam Cộng hòa tại Hàn Quốc |
약칭 | 해당 사항 없음 |
설립일 | 1956년 6월 28일 |
설립 근거 | 해당 사항 없음 |
전신 | 해당 사항 없음 |
해산일 | 1975년 5월 17일 |
후신 | 해당 사항 없음 |
관할 | 대한민국 |
소재지 (1975년 당시)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33-1번지 |
직원 | 해당 사항 없음 |
예산 | 해당 사항 없음 |
모토 | 해당 사항 없음 |
기관장 | 해당 사항 없음 |
상급 기관 | [[파일:Coat of arms of the Republic of Vietnam (1967–1975).svg|30px]] 베트남 공화국 외무부 |
산하 기관 | 해당 사항 없음 |
웹사이트 | 해당 사항 없음 |
각주 | 주한 월남 공화국 대사관 초대 만찬회에서 답사 |
2. 역사
1955년 10월 25일 응오딘지엠이 바오다이를 몰아내고 베트남 공화국을 수립하자, 대한민국 정부는 이틀 뒤인 10월 27일에 베트남 공화국을 승인했다.[2]
1956년 5월 23일 베트남 공화국은 대한민국과 공사급 외교 관계를 수립했고, 같은 해 6월 28일 서울에 주한 월남 공화국 공사관을 설립했다.[3][4] 1958년 3월 1일 양국 간 외교 관계가 대사급으로 격상되면서 공사관 명칭도 주한 월남 공화국 대사관으로 바뀌었다.[5][6]
대사관은 설립 당시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1가 1번지에 있었으나,[7] 1967년 10월 서울특별시 중구 회현동 2-94번지(충무로2가 24) 흥아빌딩 3층으로 이전했고, 1974년 10월에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33-1번지로 다시 이전했다.[7]
1975년 4월 30일 사이공 함락으로 베트남 전쟁이 베트남 민주공화국(북베트남)의 승리로 끝나고 베트남 공화국이 소멸되면서, 같은 해 5월 17일 주한 월남 공화국 대사관이 폐쇄되었다.[7][9] 대사관 사무실, 대사 관저를 비롯한 베트남 공화국 정부 소유 재산은 대한민국 정부에 인계되었다.[10][11]
2. 1. 대한민국과의 외교 관계 수립
1955년 10월 25일 응오딘지엠이 바오다이를 권좌에서 몰아내고 베트남 공화국을 수립하자, 대한민국 정부는 1955년 10월 27일에 베트남 공화국을 주권 국가로 승인했다.[2]1956년 5월 23일 베트남 공화국은 대한민국과 공사급 외교 관계를 수립했고, 1956년 6월 28일 대한민국 서울에 '''주한 월남 공화국 공사관'''을 설립했다.[3][4]
2. 2. 대사관 승격 및 이전
1958년 3월 1일을 기해 대한민국과 베트남 공화국 간의 외교 관계가 대사급으로 격상되면서 주한 월남 공화국 공사관이 '''주한 월남 공화국 대사관'''으로 변경되었다.[5][6]주한 월남 공화국 대사관은 1956년 설립 당시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1가 1번지에 있었으나,[7] 1967년 10월에 서울특별시 중구 회현동 2-94번지(충무로2가 24)에 위치한 흥아빌딩 3층으로 이전했다.[6][8] 이후 1974년 10월에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33-1번지로 다시 이전했다.[7]
2. 3. 사이공 함락과 대사관 폐쇄
1975년 4월 30일 사이공 함락으로 베트남 전쟁이 베트남 민주공화국(북베트남)의 승리로 끝나고 베트남 공화국(월남)이 소멸되었다.[7] 이에 따라 1975년 5월 17일을 기해 주한 월남 공화국 대사관이 폐쇄되었다.[7][9] 주한 월남 공화국 대사관 사무실, 대사 관저를 비롯한 베트남 공화국 정부 소유 재산은 대한민국 정부에 인계되었다.[10][11]3. 역대 대사
주한 베트남 공화국 대사관에 부임했던 역대 공사 및 대사들의 명단과 임기는 다음과 같다.
대수 | 이름 | 직함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
1 | 즈엉반득 (Dương Văn Đức) | 공사 | 1956년 6월 16일 | 1957년 7월 10일 |
- | 응우옌꾸이아인 (Nguyễn Quí Anh) | 임시대리공사 | 1957년 8월 7일 | 1958년 3월 1일 |
- | 응우옌꾸이아인 (Nguyễn Quí Anh) | 임시대리대사 | 1958년 3월 1일 | 1964년 1월 |
- | 응오똔닷 (Ngô Tôn Đạt) | 임시대리대사 | 1964년 2월 | 1966년 2월 1일 |
1 | 응오똔닷 (Ngô Tôn Đạt) | 대사 | 1966년 2월 1일 | 1967년 6월 1일 |
2 | 도까오찌 (Đỗ Cao Trí) | 대사 | 1967년 7월 24일 | 1968년 7월 9일 |
- | 당응옥지에우 (Đặng Ngọc Diêu) | 임시대리대사 | 1968년 7월 | 1969년 5월 |
3 | 팜쑤언찌에우 (Phạm Xuân Chiểu) | 대사 | 1969년 5월 19일 | 1975년 5월 17일 |
3. 1. 역대 공사
대수 | 이름 | 직함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
1 | 즈엉반득 (Dương Văn Đức) | 공사 | 1956년 6월 16일 | 1957년 7월 10일 |
- | 응우옌꾸이아인 (Nguyễn Quí Anh) | 임시대리공사 | 1957년 8월 7일 | 1958년 3월 1일 |
- | 응우옌꾸이아인 (Nguyễn Quí Anh) | 임시대리대사 | 1958년 3월 1일 | 1964년 1월 |
- | 응오똔닷 (Ngô Tôn Đạt) | 임시대리대사 | 1964년 2월 | 1966년 2월 1일 |
1 | 응오똔닷 (Ngô Tôn Đạt) | 대사 | 1966년 2월 1일 | 1967년 6월 1일 |
2 | 도까오찌 (Đỗ Cao Trí) | 대사 | 1967년 7월 24일 | 1968년 7월 9일 |
- | 당응옥지에우 (Đặng Ngọc Diêu) | 임시대리대사 | 1968년 7월 | 1969년 5월 |
3 | 팜쑤언찌에우 (Phạm Xuân Chiểu) | 대사 | 1969년 5월 19일 | 1975년 5월 17일 |
3. 2. 역대 대사
직함 | 이름 | 임기 |
---|---|---|
임시대리대사 | 응우옌꾸이아인 (Nguyễn Quí Anh) | 1958년 3월 1일 ~ 1964년 1월 |
임시대리대사 | 응오똔닷 (Ngô Tôn Đạt) | 1964년 2월 ~ 1966년 2월 1일 |
제1대 대사 | 응오똔닷 (Ngô Tôn Đạt) | 1966년 2월 1일 ~ 1967년 6월 1일 |
제2대 대사 | 도까오찌 (Đỗ Cao Trí) | 1967년 7월 24일 ~ 1968년 7월 9일 |
임시대리대사 | 당응옥지에우 (Đặng Ngọc Diêu) | 1968년 7월 ~ 1969년 5월 |
제3대(마지막) 대사 | 팜쑤언찌에우 (Phạm Xuân Chiểu) | 1969년 5월 19일 ~ 1975년 5월 17일 |
참조
[1]
웹인용
주한 월남 공화국 대사관 초대 만찬회에서 답사
https://www.pa.go.kr[...]
2021-11-12
[2]
서적
韓國(한국)과 越南(월남)과의 關係(관계)
https://books.google[...]
2022-10-29
[3]
서적
合同年鑑 1959 - 歷代在韓外交使節團長一覽
https://books.google[...]
합동통신
2022-11-18
[4]
서적
光復二十年
https://books.google[...]
대한민국 공보부
2022-10-27
[5]
뉴스
韓越 兩國(한월 양국)의 大使 交換(대사 교환)
https://newslibrary.[...]
2023-01-30
[6]
뉴스
大使(대사)·大使舘(대사관) ⑧ 駐韓外交使節(주한외교사절)…어제와 오늘 越南大使舘(월남대사관)
https://newslibrary.[...]
2023-01-30
[7]
뉴스
월남대사관 폐쇄
https://www.joongang[...]
2021-11-03
[8]
뉴스
越南 大使舘 移轉(월남 대사관 이전)
https://newslibrary.[...]
2023-01-30
[9]
서적
대한민국 외교사료해제집 - 해설・요약 - 1975
http://diplomaticarc[...]
대한민국 외교부
2023-03-02
[10]
뉴스
駐韓(주한) 越(월)대사관 내일 公式(공식)폐쇄
https://newslibrary.[...]
2023-01-30
[11]
뉴스
駐韓 越南 大使館(주한 월남 대사관) 내일 폐쇄
https://newslibrary.[...]
2023-0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