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 국군의 베트남 전쟁 참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국군의 베트남 전쟁 참전은 1964년 미국의 요청에 따라 시작되어 1973년까지 이어진 군사적 개입이었다. 박정희 정부는 경제적 이익과 한미 동맹 강화를 위해 참전을 결정했으며, 1964년 9월 제1이동외과병원과 태권도 교관단을 시작으로, 연인원 30만 명, 최대 5만 명 규모의 병력을 파병했다. 한국군은 뛰어난 전투력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나, 민간인 학살, 성폭력 등 전쟁 범죄 혐의와 고엽제 피해, 라이따이한 문제 등 부정적인 측면도 존재한다. 베트남 참전은 경제 성장에 기여했지만, 전쟁 범죄와 관련된 논란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으며, 한-베트남 관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베트남-대한민국 관계 - 주월남 공화국 대한민국 대사관
    주월남 공화국 대한민국 대사관은 1956년 공사관으로 시작하여 1958년 대사관으로 승격되었으나,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폐쇄되었으며, 최덕신, 박동진 등이 역임했다.
  • 남베트남-대한민국 관계 - 주한 월남 공화국 대사관
    주한 월남 공화국 대사관은 1956년 서울에 설치되어 1975년 폐쇄된 베트남 공화국의 외교 공관이며, 베트남 전쟁 종결로 베트남 공화국이 소멸되면서 대사관 재산은 대한민국 정부에 인계되었다.
  • 베트남 전쟁 기간 대한민국의 군사사 - 빈호아 학살
    빈호아 학살은 베트남 전쟁 중 1966년 대한민국 해병대 청룡 부대가 베트남 빈호아 마을에서 430여 명의 비무장 민간인을 학살했다고 주장되는 사건으로, 희생자를 추모하는 위령비와 한국군을 증오하는 증오비가 세워졌으며, 2018년 시민평화법정이 열리기도 했다.
  • 베트남 전쟁 기간 대한민국의 군사사 - 퐁니·퐁넛 마을 학살 사건
    퐁니·퐁넛 마을 학살 사건은 1968년 베트남 전쟁 중 대한민국 해병대 청룡부대가 꽝남성 퐁니·퐁넛 마을에서 비무장 민간인을 학살하여 국제적 논란을 일으켰으며, 대한민국 법원은 한국군의 책임을 인정하고 정부에 배상을 명령했으나 정부는 항소했다.
  • 대한민국이 참전한 전쟁 - 6.25 전쟁
    6.25 전쟁은 1950년 북한의 남침으로 시작되어 1953년 휴전 협정으로 종결되었으며, 한반도의 분단과 막대한 인명 피해를 초래한 한국 전쟁을 의미한다.
  • 대한민국이 참전한 전쟁 - 베트남 전쟁
    베트남 전쟁은 1955년부터 1975년까지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에서 벌어진 냉전 시대의 대리전으로, 북베트남과 남베트남 간의 갈등에 소련, 중국, 미국 등이 개입하여 광범위한 피해를 야기하고 반전 운동을 촉발하며 북베트남의 승리로 끝났다.
대한민국 국군의 베트남 전쟁 참전
대한민국 국군의 베트남 전쟁 참전
제9보병사단 백마부대 제2대대, 본부 중대의 군인들
백마부대 제2대대, 본부 중대의 군인들
기본 정보
명칭대한민국 국군의 베트남 전쟁 참전
로마자 표기Daehanminguk Gukgunui Beteunam Jeonjaeng Chamjeon
전쟁 정보
전체베트남 전쟁
종류전쟁
장소베트남 공화국 전역
목표남베트남 지원, 공산주의 공격 방어
날짜1964년 9월 11일 ~ 1973년 3월 23일
시행 세력대한민국 국군 약 320,000명 (연평균 48,000명)
결과파리 평화협정에 따른 철수
피해 규모
사망자5,099명
부상자11,232명
행방불명자4명

2. 배경

주월 한국군 초대사령관 겸 통합사령관 채명신 육군 중장


대한민국베트남 전쟁 기간 중 1964년 비전투부대 파병을 시작으로 1973년 철수 완료 시까지 8년간 군대를 파병했다. 최초 파병은 1964년 9월 11일 1개 의무중대와 태권도 교관단 파견이었으며, 전세가 격화됨에 따라 1965년 육군 맹호부대해병 청룡부대, 1966년 백마부대 등 전투부대가 연이어 파병되었다. 이들을 지원하기 위한 군수지원단 및 백구부대 등도 파견되어, 참전 기간 동안 연인원 31만 2천853명(최대 주둔 병력 5만 명)이 베트남 땅을 밟았다. 이는 미국 다음으로 큰 파병 규모였다.[126]

경부고속도로 노선 지도
(베트남 파병의 대가로 지불받은 지원금과 차관이 투입되었다.)


파병의 공식적인 계기는 1964년 통킹만 사건 이후 미국의 군사 개입 강화와 동맹국에 대한 지원 요청이었으나,[11][126] 박정희 정부는 한미동맹 강화, 현대화, 경제 개발에 필요한 원조 확보 등 복합적인 목적을 가지고 파병을 결정했다.[4][125] 참전의 대가로 미국으로부터 상당한 경제 및 군사 지원을 약속받았으며, 이는 이후 브라운 각서(1966년) 등을 통해 구체화되었다.[124] 이러한 지원은 경부고속도로 건설을 비롯한 경제 개발과 군 현대화에 기여한 측면이 있다.

그러나 참전은 막대한 인명 피해를 낳았다. 공식 집계된 전사자만 5,099명, 부상자는 11,232명에 달하며,[121] 15만 9천여 명 이상이 고엽제 피해자로 인정받는 등[122] 수많은 참전 군인들이 전쟁 후유증으로 고통받고 있다. 전두환 전 대통령도 연대장으로 참전한 바 있다.

1970년대 들어 미국의 베트남화 정책에 따라 단계적으로 철수가 진행되어 1973년 완료되었고, 이후 베트남은 공산 통일되었다.[123] 2005년 관련 문서 공개를 통해 파병의 배경과 과정에 대한 보다 상세한 연구가 가능해졌다.[124]

2. 1. 미국의 파병 요청과 한국의 결정

1954년, 이승만 대통령은 미국의 병력 재배치 가능성을 우려하여 남베트남에 한국군 파병을 먼저 제안했다. 이는 북한의 지속적인 위협에 대한 방어력 약화를 염려했기 때문이며, 동시에 파병 대가로 더 많은 미군을 한국에 주둔시키려는 전략적 의도도 있었다.[3]

박정희 대통령은 5.16 군사 정변으로 집권한 후 이승만의 정책 기조를 이어받았다. 박정희는 베트남 파병을 통해 현대화, 경제 원조 확보, 국내 지지 기반 강화 등 다양한 전략적 이점을 얻을 수 있다고 보았으며, 이를 미국과의 동맹 강화 기회로 활용하고자 했다.[4] 당시 파병 동의 국가 중 경제적으로 가장 어려웠던[5] 대한민국에게 파병은 산업 발전에 필요한 외화(미국 달러)를 확보할 중요한 기회로 여겨졌다.[6] 또한, 한국 전쟁 이후 미국의 경제력이 일본의 경제 회복에 기여한 사례를 보며, 베트남 전쟁 참전을 통해 유사한 경제 발전의 기회를 얻고자 했다.[7]

그러나 초기 미국 행정부는 한국군 파병 제안에 소극적이었다.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한국군이 베트남에서 싸울 경우 주한 미군 주둔에 대한 미국 내 여론이 악화될 것을 우려했고,[9] 존 F. 케네디 대통령은 베트남 상황이 한국군 파병이 필요할 정도로 악화되지 않기를 바랐다.[10] 특히 케네디 대통령은 1961년 방미한 박정희가 군사 정변으로 집권한 점 등을 이유로 탐탁지 않게 여겼다.[125]

상황은 린든 B. 존슨 행정부 들어 변화했다. 1964년 8월 2일 통킹만 사건 이후 미국은 베트남에 대한 군사 개입을 본격화했다.[126] 존슨 대통령은 전쟁에 대한 국제적 지지가 부족한 상황에서 외국 군대의 참전을 절실히 원했고,[11] 마침내 1964년 5월 9일, 한국을 포함한 25개 우방국에 베트남 지원을 요청했으며, 한국에는 "1개 이동 외과병원" 파병을 공식 요청했다.[8][131]

미국의 요청에 한국 정부는 신속하게 응답했고, 박정희 대통령의 파병 제안을 미국이 받아들였다.[125] 미국 측에서는 한국군 파병을 통해 미국 내 반전 여론을 무마하고, 미군보다 인건비가 저렴한 한국군을 투입하여 전비를 절감하려는 계산도 있었다.[126] 1964년 6월 10일, 한국 정부는 주한미군 사령관에게 이동외과병원과 태권도 교관단 파병 의사를 통보했다.[131] 일부 야당의 반대에도 불구하고[126], 1964년 7월 31일 국회에서 파병 동의안이 만장일치로 가결되었다.[131]

이에 따라 1964년 9월 11일, 130명 규모의 제1이동외과병원과 10명의 태권도 교관단으로 구성된 최초 파병 부대가 부산항을 출발하여,[131][126] 9월 22일 사이공에 도착했다.[131] 이들은 9월 25일 붕따우에 자리를 잡고 9월 28일부터 공식 임무를 시작했다.[131] 이는 대한민국 최초의 해외 파병이었으며, 이후 미국의 추가 파병 요청에 따라 1965년부터 전투부대 파병이 이루어졌다.

2. 2. 한국의 입장과 전략

이승만 정부 시절부터 대한민국은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고 주한미군 주둔을 유지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남베트남에 한국군 파병을 구상했다.[3] 박정희 정부는 이를 계승하여, 군 현대화, 경제 원조 확보, 국내 지지 기반 강화 등 다각적인 전략적 이점을 고려하여 미국의 파병 요청에 응했다.[4] 당시 한국은 베트남 파병에 동의한 국가 중 가장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이었기에,[5] 파병은 미국의 달러를 확보하여 산업 발전을 촉진할 중요한 기회로 여겨졌다.[6] 이는 한국 전쟁 당시 미국의 지원이 일본 경제 회복에 기여했던 선례를 참고한 것이기도 했다.[7]

미국의 린든 B. 존슨 행정부는 베트남 전쟁에 대한 국제적 지원 부족과 미국 내 반전 여론에 직면하여 외국 군대의 참전을 절실히 원했고,[11] 특히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운용 가능한 한국군의 파병을 적극 추진했다.[126] 미국은 한국군 파병의 대가로 한국군의 전력 증강과 경제 발전에 필요한 차관 공여를 약속했으며, 이는 미국 내 반전 여론을 무마하고 전비를 절감하려는 계산도 포함된 것이었다.[126] 이에 따라 1964년 미국은 한국에 공식적으로 파병을 요청했으며,[8] 한국 정부는 일부 야당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이를 수용했다.[126]

한국의 파병 결정은 미국의 경제적, 군사적 지원 약속을 확보하는 주요 전략적 목표를 동반했다. 1966년 체결된 브라운 각서는 한국군 현대화를 핵심 내용으로 담았으며,[124] 미국은 파병된 한국군의 모든 경비를 부담하고 전투 수당을 지급했을 뿐만 아니라,[40] 상당한 규모의 군사 및 경제 원조(1.5억달러의 개발 차관 포함)를 제공했다.[40] 또한, 한국 정부와의 사전 협의 없는 주한미군 철수는 없을 것이라는 안보 공약을 받아냈다.[40]

이렇게 확보된 자금과 지원은 한국 경제 발전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파병 기간 동안 한국군 장병들이 벌어들인 외화는 당시 한국 전체 수출액의 상당 부분을 차지했으며 (연평균 2억달러),[42] 이는 정부 주도의 경공업 육성 및 수출 장려 정책의 중요한 재원이 되었다. 특히 경부고속도로 건설과 같은 대규모 국토 개발 사업에 투입되어 경제 성장의 발판을 마련했다. 미국의 경제 원조와 기술 이전, 우대 조치 등은 한국의 산업화 노력을 가속화했으며,[42][45] 일부 대규모 기업집단들은 미군 관련 사업 계약을 통해 성장 기반을 다지기도 했다.[42] 미국이 부담한 파병 비용은 미국 입장에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금액이었지만, 1967년 한국 GNP의 4%에 달하는 규모였다.[43][44]

외교적으로 한국은 베트남 전쟁 참전을 통해 국제 사회에서의 발언권을 강화하고자 했다. 1966년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 참전국 정상회담에서 박정희 대통령이 기조연설을 통해 베트남 평화 방안을 제시한 것은 이러한 노력의 일환이었다. 그는 협상 전에 공산주의자들이 침략 중지 등 구체적인 성의를 보일 것과 베트남의 의사를 존중할 것을 요구했다.

박정희 정권은 베트남 파병을 통해 확보한 경제적 성과와 강화된 한미동맹을 정권 안정화에 활용했다. 경제 성장은 국내 공산주의의 위협을 약화시키는 효과를 가져왔으며,[48] 미국은 한국의 안정을 중시하여 박정희 정권의 권위주의적 통치 강화(반대파 탄압, 계엄령 선포, 삼선개헌 등)를 용인하는 측면이 있었다.[49][50][51][52] 또한, 미국의 중재 하에 이루어진 한일 국교 정상화는 일본으로부터의 자금 및 기술 지원을 가능하게 하여 한국 경제에 장기적인 이익을 가져다주었으며, 포스코 제철소 설립 등이 그 예이다.[53]

3. 파병 규모 및 부대

1965년 2월, '도비 부대'로 알려진 여단급 부대가 최초로 베트남에 도착했다. 이 부대는 공병, 의료 부대, 헌병, 해군 LST, 연락 참모 및 기타 지원 인력으로 구성되었으며, 남베트남의 비엔호아 지역에 배치되어 학교, 도로, 다리 건설 등 민사 작전을 지원했다. 특히 의료팀은 3만 명 이상의 남베트남 민간인을 치료하는 성과를 거두었다.[13] 또한 전투 부대 외에도 약 10만 명의 대한민국 민간 기술자들이 베트남에 파견되어 기술 지원 및 재건 사업에 참여했다.[14]

1966년에는 본격적인 전투 부대들이 투이호아 계곡 등에 배치되어 보안 작전을 수행했으며, 초기 한국군의 작전 능력은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한 작전에서는 24:1이라는 높은 교환비를 기록하기도 했다.[13][15] 그러나 1968년 구정 공세 이후 한국군은 다낭과 꽝남 성 지역으로 이동했으며[16], 점차 해안 지역으로 물러나 공세적인 작전을 기피하는 등 소극적인 역할로 변모했다는 평가도 있다.[17][18] 이러한 변화는 구정 공세 이후 미국이 베트남 전쟁 철수를 발표하면서 한국군의 참전 동기가 약화된 데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13] 이는 비단 한국군뿐 아니라 제1 호주군이나 일부 미군 부대에서도 나타난 현상이기도 했다.[19]

파병 규모 면에서 한국군은 1969년 당시 남베트남 주둔 외국군의 약 9%(미군 475,200명, 한국군 49,755명)를 차지했으나, 미군이 단계적으로 철수함에 따라 1972년 말에는 그 비중이 60.5%(미군 24,200명, 한국군 37,438명)까지 증가했다.[21] 1971년 5월에는 제2해병여단을 지원하던 미 해병 항공 자산이 철수했지만, 한국군의 전투 역할은 계속되었다. 베트남화 정책이 진행됨에 따라 미국은 한국군 2개 사단을 지원하기 위한 부대를 남베트남에 유지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도 했다.[20] 한국군은 안케 고개 전투 등에서 제한적인 항공 지원 하에 작전을 수행했으며, 1973년 파리 평화 협정 체결에 따라 모든 외국군이 철수할 때까지 주둔했다.[22][23][24] 미국은 철수 이후에도 베트남 공화국군(ARVN)의 전력 강화가 더디다고 판단하여, 1974년까지 한국 정부에 1개 사단의 잔류를 설득하는 방안을 고려하기도 했다.[20]

3. 1. 파병 규모



1964년 5월 9일 미국의 요청과 같은 해 7월 15일 남베트남 정부의 공식 요청에 따라 대한민국 국군의 베트남 파병이 결정되었다.[124] 대한민국 국회1964년 7월 31일 첫 파병 동의안을 가결했으며, 9월 11일 이동외과병원(의무중대) 1개 부대와 태권도 교관단 파견을 시작으로 후방 지원 임무를 수행했다.

1965년부터는 본격적인 전투부대 파병이 이루어져 수도사단(맹호부대)과 제2해병여단(청룡부대)이 베트남에 파병되었다. 1966년에는 미국과의 브라운 각서 체결에 따라 제9보병사단(백마부대)이 추가로 파병되었고, 이들 전투부대를 지원하기 위한 군수지원단(軍需支援團) 및 백구부대 등 지원부대도 함께 파견되었다.

1964년 9월부터 1973년 3월까지 약 8년 간의 파병 기간 동안, 연인원 '''325,517명'''[135]의 대한민국 국군 병력이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다. 최대 주둔 병력 규모는 약 '''5만 명'''에 달했으며, 이는 베트남 전쟁에 파병된 외국군 중 미국 다음으로 가장 큰 규모였다.

연도별 참전 현황은 다음과 같다.[121]

년도총계육군해군공군해병대기타
1964년140140000-
1965년20,54115,973261214,286-
1966년45,60540,534722544,295-
1967년48,83941,877735836,144-
1968년49,86942,745785936,21531
1969년49,75542,772767856,09635
1970년48,51241,5037721076,09634
1971년45,66342,354622982,55831
1972년37,43836,871411952833



1969년 당시 한국군은 남베트남 주둔 전체 외국군 병력의 약 9%를 차지했으나, 미군의 단계적 철수가 진행되면서 1972년 말에는 그 비중이 60.5%까지 증가했다.[21] (미군 24,200명, 한국군 37,438명)

파병 기간 동안 발생한 인명 피해는 다음과 같다.[135]

군별참전 병력사망자(KIA)부상자(WIA)실종자
325,5175,09911,2324
육군288,6563,8598,2114
해군(해병)36,2461,1243,021-
공군615---



참전 병력 대비 사상자 비율은 육군이 23.9명당 1명, 해병대가 8명당 1명꼴이었다. 또한, 전쟁 중 노출된 고엽제로 인해 2007년 기준으로 159,132명이 후유증 피해자로 집계되었다.[136][122]

군 병력 외에도 약 10만 명의 대한민국 민간 기술 인력이 베트남에 파견되어 건설, 수송,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 지원 및 재건 사업에 참여했다.[14]

3. 2. 주요 참전 부대



대한민국 국군의 베트남 전쟁 참전은 1964년 9월 11일 제1이동외과병원태권도 교관단 파견을 시작으로, 1965년부터 본격적인 전투부대 파병이 이루어졌다. 1973년 철수 완료까지 연인원 31만 2천 853명(최대 주둔 병력 5만 명)이 파병되었으며, 이는 미국 다음으로 큰 규모였다. 주요 참전 부대는 다음과 같다.

이 외에도 약 10만 명의 민간 기술자들이 파견되어 기술 및 민간 업무 지원에 기여했다.[14]

4. 주요 작전 및 전투

1966년 한국 전투 부대는 투이호아 계곡에 배치되어 보안 작전을 수행했으며, 초기 작전 수행 능력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13] 특히 1966년 한 작전에서는 24:1이라는 높은 사상자 비율을 기록하기도 했다.[15]

구정 공세가 시작되자 한국군은 다낭과 꽝남 성 지역으로 이동하여 작전을 수행했다.[16] 그러나 구정 공세 이후 미국의 철수 계획이 발표되면서 한국군의 작전 양상에도 변화가 생겼다. 국무부 보고서 등에 따르면, 초기와 달리 해안 지역으로 이동하여 적극적인 공세 작전을 수행하는 빈도가 줄어들었다는 평가도 있다.[17][18] 이는 당시 미군이나 제1 호주군 등 다른 연합군에서도 나타난 현상으로[19], 미국의 정책 변화가 한국군을 포함한 참전 군대의 동기 부여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13]

한국군이 참전 기간 동안 수행했거나 관련된 주요 작전 및 전투는 다음과 같다.


  • 반 뷰렌 작전
  • 매셔 작전
  • 크레이지 호스 작전
  • 득꼬 전투
  • 제로니모 작전
  • 퍼싱 작전
  • 홍길동 작전
  • 후드 리버 작전
  • 임페리얼 레이크 작전
  • 드래곤 파이어 작전
  • 세이어 작전
  • 짜빈 전투
  • 다낭에서의 구정 공세 방어[16]
  • 파이프스톤 캐니언 작전

5. 긍정적 평가 및 성과

대한민국베트남 전쟁 참전은 군사적, 경제적, 외교적 측면에서 다양한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된다.

군사적으로는 파병 초기 비둘기 부대의 성공적인 민사 작전 수행[13]과 이후 투입된 전투 부대의 뛰어난 작전 능력이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13] 한국군은 높은 사기와 군 기강을 바탕으로[118]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베트콩) 및 베트남 인민군(북베트남 정규군)과의 교전에서 높은 교환비를 기록하는 등[118] 우수한 전투력을 보였다는 평가가 일반적이다.[25][26][27] 또한, 참전을 계기로 M16 소총 등 신형 무기를 도입하여 군 장비 현대화를 이루는 성과도 있었다.

경제적으로는 참전의 대가로 미국으로부터 상당한 지원을 확보했다. 브라운 각서(1966년)를 통해 한국군 현대화 지원, 추가 경제 및 군사 원조, 그리고 1.5억달러 규모의 개발 차관 제공을 약속받았다.[40] 파병 군인들이 본국으로 송금한 외화(1.9509999999999998억달러[141])는 당시 외환 보유고 확충에 크게 기여했으며, 경부고속도로 건설 등 경제 개발의 중요한 재원으로 활용되었다.[142] 또한, 군수물자 납품과 용역 사업 참여를 통해 한국 기업들이 성장하는 이른바 '베트남 특수'를 누렸고,[42] 이는 1960년대~1970년대 한국 경제의 고도 성장에 기여했다.[142]

외교적으로는 국제 사회에서 대한민국의 위상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대규모 파병을 통해 미국의 주요 동맹국으로서의 입지를 강화했으며, 한미 관계는 더욱 긴밀해졌다.[40] 박정희 정부는 베트남 문제에 대해 상당한 발언권을 확보하여, 1966년 마닐라 참전국 정상회담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기도 했다. 또한, 참전은 미국의 중재 하에 이루어진 한일 관계 정상화와 맞물려 일본으로부터의 자본 및 기술 도입을 촉진하는 간접적인 효과도 가져왔다.[53]

5. 1. 군사적 측면

박정희 정부는 미국의 요청에 따라 1964년 9월 11일부터 베트남 전쟁에 파병을 시작했다.[141] 초기에는 비전투 부대 위주로 파병이 이루어졌다. 1965년 2월, 공병, 의료, 헌병 등으로 구성된 여단급 부대(비둘기 부대)가 남베트남 비엔호아 지역에 도착하여 학교, 도로 건설 등 민사 작전을 수행하며 초기 활동을 시작했다. 초기 남부 지역에서의 이러한 민사 작전은 상당한 성공을 거둔 것으로 평가받는다.[13]

1966년부터는 본격적인 전투 부대가 파병되어 투이호아 계곡 등에서 보안 작전을 수행했다. 초기 한국군은 뛰어난 작전 능력을 보이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고,[13] 한 작전에서는 24:1이라는 높은 교전 사상자 비율을 기록하기도 했다.[15] 구정 공세 이후에는 다낭과 꽝남 성 지역으로 이동하여 작전을 이어갔다.[16]

그러나 전쟁 후반기로 가면서 한국군의 전술 운용에 대한 평가는 다소 엇갈렸다. 초기에는 효과적인 전투력을 보였으나, 점차 해안 지역으로 물러나 공세 작전을 꺼리는 등 방어적이고 소극적인 양상을 보였다는 국무부 보고서의 평가도 있다.[17][18] 이는 구정 공세 이후 미국의 철수 발표로 인해 파병 동기가 약화된 것과 관련이 있으며,[13] 이러한 경향은 한국군뿐만 아니라 미군이나 제1 호주군 등 다른 연합군 부대에서도 나타났다.[19] 특히 주한 미군 감축 논의는 한국 내 여론과 정부의 입장을 악화시켜 참전 의지를 약화시키는 요인이 되었다.[32]

베트남화 정책이 진행됨에 따라 미군 병력은 점차 감축되었고, 한국군의 역할 비중은 상대적으로 커졌다. 1969년 남베트남 주둔 외국군 중 9%를 차지했던 한국군은 1972년 말에는 60.5%까지 비중이 늘어났다.[21] 미 해병대의 항공 지원 자산이 1971년 5월 철수했음에도 한국군은 전투 임무를 지속했으며,[20] 안케 고개 전투 등에서 제한된 항공 지원 하에 작전을 수행했다.[22][23][24] 한국군은 1973년 파리 평화 협정 체결 이후 철수했다.

한국군의 군사적 능력에 대한 평가는 다양하게 나타난다. 전반적으로 한국군은 뛰어난 전투력과 조직력, 전문성을 바탕으로 다른 연합군보다 우수한 기량을 보였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많다.[25][26][27] 특히 높은 사기와 철저한 군 기강, 지휘부의 통솔력은 염전 기류가 퍼졌던 미군과 비교되며 높이 평가받았다.[118] 이를 바탕으로 한국군은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베트콩)과 베트남 인민군(북베트남 정규군)을 상대로 각각 1:10, 1:5의 압도적인 교전 피해 비율을 기록하기도 했다.[118] 미국 육군 특수 부대 출신 미시마 미즈호는 한국군의 군 기강과 통솔력이 미군보다 월등히 우수했다고 평가했다.[118] 대한민국 해병대는 창설 이후 첫 해외 파병이었음에도 숙련되고 유능한 전투력을 보여주었다는 평가를 받으며, 해병대 장교들은 파병 전 미국 해병대에서 훈련을 받았다.

반면, 일부 미군 지휘관들은 한국군이 헬리콥터와 포병 지원을 과도하게 요구했으며, 작전 종료 후 너무 오랫동안 기지로 복귀하는 경향이 있었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한 미군 지휘관은 한국군 2개 사단의 전투력을 '미군 우수 여단 하나 수준'에 비유하기도 했다.[13] 멜빈 레이어드 당시 미국 국방장관 역시 한국군의 효용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미군 철수 과정에서 한국 측과 갈등을 빚기도 했다.[17] 또한, 일부 지역에서는 베트남 공화국군(ARVN)이 오히려 한국군을 보호하고 실질적인 안보를 제공했다는 주장[17]이나, 한국군 주둔 지역에서 민간인들이 이탈하고 베트콩의 통제가 강화되었다는 보고도 있었다.[28][29][30] 그러나 이에 대해 한국군의 성공적인 작전으로 인해 베트콩이 한국군과의 교전을 회피하게 되었다는 반론도 존재한다.[31]

베트남 전쟁 참전은 한국군의 장비 현대화에도 기여했다. 기존의 M1 개런드 소총 등 구형 장비들이 M16 소총 등 신형 무기로 교체되었다.

참전 기간 동안 한국군은 총 4,968명의 전사자와 8,004명의 부상자를 기록했다.

5. 2. 경제적 측면



대한민국베트남 전쟁 참전은 최초의 해외 파병이라는 군사적 의미 외에도, 외화 획득이라는 경제적 이득을 얻는 중요한 계기였다.[121] 박정희 정부는 참전을 통해 미국으로부터 상당한 경제적 지원을 확보하고자 했고, 이는 한반도 안보 문제와 연계된 한국군 현대화와 경제 개발 자금 확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추구한 결과였다.

참전의 대가로 미국브라운 각서(1966년 3월) 등을 통해 한국군 현대화 지원과 함께 경제 원조를 약속했다. 구체적으로 미국은 파병된 한국군의 제반 경비를 부담했고, 추가적인 경제 및 군사 원조, 그리고 1.5억달러 규모의 개발 차관 제공을 약속했다.[40] 또한, 한국 정부와의 사전 협의 없이 주한미군을 철수하지 않겠다는 안보 공약도 포함되었다.[40]

파병 군인들의 해외 근무 수당은 중요한 외화 수입원이었다. 1965년부터 1973년까지 파병 군인들이 벌어들인 수당 총액은 약 2.355억달러에 달했으며, 이 중 약 82.8%인 1.9509999999999998억달러가 국내로 송금되었다.[141] 당시 파병 군인의 평균 월급은 37.5달러로, 한국 내 기본 급여 1.6달러보다 훨씬 높았으나, 이 수당의 상당 부분은 정부에 의해 징수되기도 했다.[41] 이 송금액은 당시 대한민국의 외환 보유고 확충에 크게 기여했으며, 박정희 정권은 이 자금을 경부고속도로 건설과 같은 국토 개발 사업 및 경공업 육성, 수출 장려 정책에 투입했다.[142]

다음은 외교통상부가 공개한 연도별 해외근무 수당 지급 총액과 국내 송금액이다. (단위: 100USD)[141]

년도수당지급액본국송금액(%)현지소비액(%)
총계2,355,6841,951,108 (82.8%)408,390 (17.3%)
1965년30,59117,973 (58.8%)12,618 (41.2%)
1966년197,576148,822 (75.3%)48,754 (24.7%)
1967년339,068276,892 (81.7%)62,176 (18.3%)
1968년365,995294,098 (80.4%)71,897 (19.6%)
1969년369,827316,258 (85.5%)53,569 (14.5%)
1970년361,286293,729 (81.3%)67,557 (18.7%)
1971년356,680302,946 (84.9%)53,734 (15.1%)
1972년295,192257,107 (87.0%)38,085 (13.0%)
1973년39,46943,283 (109.6%)-



파병은 한국 기업들에게도 성장의 기회를 제공했다. 군수물자 납품과 용역 사업 참여를 통해 이른바 '베트남 특수'를 누렸으며, 이는 일부 대규모 기업집단의 성장에 밑거름이 되었다.[42] 파병 기간 동안 군인 수당 송금액을 포함한 베트남 전쟁 관련 수입은 한국 전체 수출액의 상당 부분을 차지했으며(9년간 연평균 2억달러 규모[42]), 이는 내수 산업 활성화와 수출 증대에 기여했다.[142] 이러한 경제 성장에 힘입어 전투병 파병 직전인 1964년 103USD였던 1인당 국민총생산(GNP)은 한국군 철수가 완료된 1974년에는 5배 이상 증가한 541USD를 기록했다.[142]

미국으로부터 받은 경제 및 군사 원조, 차관, 기술 이전, 우대적 경제 조치 등은 한국의 산업화에 중요한 동력을 제공했다.[45][42] 미국이 한국의 참전 대가로 지불한 총비용은 10억달러 이상으로 추산되며, 이는 1967년 한국 GNP의 4%에 해당하는 규모였다.[43][44] 이러한 경제적 지원과 성장은 박정희 정권의 안정화에 기여했지만, 동시에 박정희가 반대파 탄압, 계엄령 선포, 헌법 개정 등을 통해 권위주의적 통치를 강화하는 배경이 되기도 했다.[49] 미국은 한국의 안정을 우선시하며 이러한 비민주적 조치들을 용인하는 측면이 있었다.[50][51][52]

또한, 베트남 전쟁 참전은 미국의 중재 하에 이루어진 한일 관계 정상화와 맞물려 일본으로부터의 자본 및 기술 도입을 촉진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이를 통해 포스코 제철소 건설과 같은 대규모 사업이 추진될 수 있었다.[53]

그러나 이러한 경제적 성장의 이면에는 참전 군인들에 대한 미흡한 보상 문제가 존재한다. 한국 정부는 헌법의 "이중 보상 금지" 조항을 근거로 참전 용사들에 대한 추가적인 보상을 제한했으며, 특히 고엽제 피해자들은 제대로 된 보상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54][55]

5. 3. 외교적 측면

대한민국 정부는 박정희 정부 시절, 1964년 5월 9일 미국의 정식 파병 요청에 따라 1964년 9월 11일부터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였다. 이는 대한민국 역사상 최초의 해외 파병이었다.

베트남 참전은 일제강점기6.25 전쟁 이후 국제 사회에서 '기근과 고아의 나라'로 인식되던 대한민국의 이미지를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 타국의 전쟁에 대규모 병력을 파견할 수 있을 만큼 성장했다는 인식을 심어주었으며, 미국 다음으로 베트남 전쟁에 깊이 개입하면서 국제 사회에서의 위상을 높였다.

파병의 대가로 한미 관계는 더욱 긴밀해졌다. 1966년 3월에는 한국군 현대화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브라운 각서가 체결되었다. 또한 미국은 베트남 파병 기간 동안 한국군 주둔 비용을 부담하고, 한국 정부와의 사전 협의 없이 주한미군을 철수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이와 함께 상당한 규모의 군사 및 경제 원조(1.5억달러의 개발 차관 포함)를 제공했다.[40] 이러한 지원은 이후 대한민국의 경제 발전과 군 현대화에 영향을 미쳤다.

베트남 파병 이후 대한민국 정부는 베트남 문제에 대해 상당한 발언권을 갖게 되었다. 1966년 10월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 참전국 정상회담에서는 박정희 대통령이 주도적인 지원국 정상으로서 기조연설을 하기도 했다. 이 자리에서 박 대통령은 베트남 평화 방안으로 협상 전에 공산주의 세력이 침략 중지 등 구체적인 성의를 보일 것과 베트남의 의사를 존중할 것을 제안했다.

한편, 미국냉전 시기 동아시아 전략의 일환으로 대한민국일본의 관계 정상화를 지원했는데, 이는 결과적으로 대한민국일본으로부터의 재정 지원과 일본 시장 접근 등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주었다.[53]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미국대한민국의 안정을 중요시하여, 박정희 정권이 반대파 탄압, 계엄령 선포, 삼선개헌 등 권위주의적 통치를 강화하는 것을 사실상 용인하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50][51][52]

6. 부정적 평가 및 논란

대한민국 국군베트남 전쟁 참전은 상당한 인명 손실을 동반했다. 1964년 9월부터 1973년 3월까지 총 325,517명이 참전했으며[135], 이 과정에서 사망자(KIA) 5,099명, 부상자(WIA) 11,232명, 실종자 4명이 발생했다.[135] 군별 사상자 발생 비율을 보면 육군은 23.9명당 1명, 해병대는 8명당 1명꼴로 높은 희생률을 보였다. 이러한 직접적인 인명 피해 외에도, 전쟁 이후 고엽제 후유증 등으로 장기간 고통받는 참전 군인들이 다수 발생하는 등[136] 막대한 희생은 베트남 전쟁 참전에 대한 부정적 평가와 여러 논란의 주요 원인이 되었다.

6. 1. 전쟁 범죄 혐의

김대중 대통령은 2001년 베트남을 방문하여 베트남 전쟁 참전에 대해 공식적으로 사과하였다.


대한민국 해병대 제2해병여단(청룡부대)에 의해 학살된 퐁니 마을 주민의 시신을 수습하는 미군


대한민국 국군은 베트남 전쟁 중 민간인 학살, 강간 등 다양한 전쟁 범죄 혐의를 받고 있다.[58] 학계에서는 베트남 참전이 베트남의 민족 해방 운동을 방해했다는 비판적 평가도 나온다. 시민 사회 단체들은 진상 규명과 사과를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으나, 대한민국 국방부는 이러한 혐의들을 부인하고 있다.[58]

주요 학살 혐의 사건으로는 빈타이 학살, 빈안/떠이빈 학살(고다이 학살), 빈호아 학살, 하미 학살, 퐁니·퐁넛 학살 등이 거론된다.[59][61] 푸옌 성의 안린, 빈쑤안 마을 등에서도 학살이 자행되었다는 주장이 있다.[59] 베트남 미디어 『VnExpress|Vn익스프레스vi』는 한국군 파병 기간 동안 약 9,000명의 베트남 민간인이 살해되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90] 생존자들은 한국군의 무차별 총격, 대량 학살, 여성에 대한 강간 및 살해, 가옥 방화 등을 증언하고 있다.[91] 하미 학살의 경우, 희생자 135명 대다수가 마을 남성들이 남베트남 정부군에 징집되거나 베트콩에 가담하여 마을에 남아 있던 여성, 노인, 어린이였다.

1972년 미국 친구 봉사단(AFSC)의 다이앤 존스와 마이클 존스는 꽝응아이 성과 꽝남 성 지역 조사 결과, 한국군이 민간인 20명 이상이 포함된 학살 13건을 포함, 총 45건의 학살을 저질렀다고 보고했다.[60][61] RAND 연구원 테리 람보는 1966년 푸옌 성 난민 연구를 통해 체계적인 대량 학살 정책이 있었음을 시사했다.[62][63] 에드워드 S. 허먼과 노엄 촘스키는 저서 ''반혁명적 폭력: 사실과 선전 속의 유혈 사태''에서 한국군이 노인, 여성, 어린이 등 민간인 수천 명을 살해했다고 기술하며, 미국 지도부가 이를 묵인했다고 주장했다.[64]

AP통신은 2000년 빈안/떠이빈 학살 혐의를 조사했으나 "피해자들의 주장을 독자적으로 확인할 수 없었다"고 밝혔으며, 현지 관리들은 추가 학살을 주장했지만 근거 문서를 제시하지 못했다고 덧붙였다.[65] 로이터 통신은 같은 해 빈딘성 학살(1966년 고다이 학살 380명 포함, 총 1,000~1,200명 주장)에 대한 현지 관리들의 증언을 보도했으나, 베트남 외교부는 확인을 거부하며 "과거를 덮고 미래로 나아가는 것이 베트남의 정책"이라는 입장을 밝혔다.[66]

당시 주월 미국 해병대 사령관이었던 래스본 M. 톰킨스 장군은 "한국 해병대는 마을에서 총격을 받으면 마을 전체를 파괴해 버리곤 했다"고 증언했으며, 로버트 E. 커시먼 주니어 장군 역시 "한국군이 저지른 잔학 행위 때문에 큰 문제를 겪었다"고 회고했다.[67] 베트남 현지에서는 학살된 마을마다 위령비를 세우고 "'다이한'(Daihan, 大韓)의 만행을 잊지 않겠다"는 문구를 새기기도 했다.[95] 빈호아 마을의 경우, 한국의 지원 부족 등으로 인해 "미군에게 당하는 편이 나았다"는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고 한겨레는 보도했다.[94]

한국 측에서는 이러한 잔혹 행위가 박정희 대통령의 인명 피해 최소화 지침에 따른 인질 억류 등의 관행에서 비롯되었거나, 일본 제국 육군에서 훈련받은 장교들이 한국 전쟁 당시의 교리를 적용했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68] 일부 처벌 사례도 있었는데, 서경석 장군이 포로 구타 문제로 훈장이 취소된 경우가 있다.[69]

1990년대 구수정 등의 한겨레21 보도를 통해 한국 사회에 전쟁 범죄 문제가 알려지기 시작했으며[70], 이는 보도 연맹 학살 등 한국 전쟁 시기 학살 문제와 맞물려 큰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다.[71][110] 이에 참전 군인 단체들은 강하게 반발하여 2000년 한겨레신문 사옥에 난입하는 사건도 발생했다.[110]

2001년 김대중 대통령은 방한한 쩐득르엉 베트남 국가주석에게 "본의 아니게 베트남 국민에게 고통을 준 데 대해 미안하게 생각하고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공식 사과했다.[145] 그러나 당시 야당 정치인이었던 박근혜는 이를 "참전 용사의 명예를 훼손하는 것"이라며 비판했다.[96] 박근혜는 대통령 취임 후 일본에게는 "과거사 직시"를 요구하면서도, 2013년 베트남 방문 시에는 전쟁 범죄에 대한 사과 표명을 하지 않아 한겨레 등으로부터 비판을 받았다.[97][98] 2015년 박근혜 대통령의 방미 중에는 베트남계 미국인 단체가 워싱턴 D.C.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성폭력 피해에 대한 한국 정부의 사죄와 배상을 요구하는 청원서를 제출했으며, 『월스트리트 저널』에 관련 의견 광고를 게재했다.[99][100]

문재인 대통령은 2017년 현충일 추념사에서 "베트남 참전 용사의 헌신으로 조국 경제가 일어섰다"고 발언하여 베트남 정부로부터 "베트남 국민의 감정을 상하게 할 수 있다"는 항의를 받았다.[104][105][106]

시민 사회에서는 진상 규명 요구가 이어져, 2018년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과 한베평화재단 주도로 베트남 전쟁 시기 한국군 민간인 학살 진상 규명을 위한 시민평화법정이 열리기도 했다.[73] 또한 제주 4·3 사건 희생자 추모 공간 인근에 베트남 전쟁 희생자를 기리는 '베트남 피에타' 동상이 시민단체의 주도로 세워졌다.[74]

전쟁 당시 한국군 군인 및 민간인과 베트남 여성 사이에서 태어난 라이따이한 문제 역시 공식적인 조사나 배상 없이 남아 있어, 양국 관계의 잠재적 문제로 지적된다.[145] 영국에서는 2017년 "라이따이한을 위한 정의" 단체가 설립되어 유엔 인권 이사회 조사와 한국 정부의 사과를 요구하고 있다.[101]

베트남 정부는 양국 관계를 고려하여 전쟁 범죄 문제를 외교적 쟁점으로 삼는 것을 꺼리는 입장이지만[108], 2009년 한국 정부가 참전자를 '세계 평화 유지에 기여'했다고 표현하자 강하게 반발하며 이명박 대통령의 국빈 방문에 부정적인 입장을 표명하기도 했다.[111] 당시 베트남 관리는 "(야스쿠니 문제로) 일본을 비판하는 한국이라면 우리의 심정을 이해할 것"이라고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111] 베트남 정부는 시민 단체의 양국 공동 추모 행사 등도 허가하지 않는 등 문제 확산을 경계하고 있다.[108]

하미 학살 위령비의 경우, 참전 군인들의 지원금으로 건립되었으나 비문에 새겨진 학살의 참상을 묘사한 시 내용에 대해 한국 정부가 수정을 요구했고, 베트남 정부의 압력으로 결국 비문이 석판으로 덮이는 일이 있었다.[108] 반면, 타이빈 학살(빈딘성 학살) 등 베트남 자체 예산으로 건립된 위령비는 외교 문제로 비화되지 않고 있다.[108]

6. 2. 라이따이한 문제

전쟁 당시 베트남에 진출한 대한민국 기업인들과 군인들이 현지 베트남 여성들과의 사이에서 낳은 2세들인 라이따이한 문제와, 대한민국군 일부가 베트남전에서 저지른 민간인 학살과 부녀강간[145]에 대한 정부 차원의 공식적인 조사와 배상이 이루어지지 않아 양국 관계에 잠재적 문제가 되고 있다.

2015년 10월, 박근혜 대통령의 미국 방문에 맞춰 베트남계 미국인 단체는 워싱턴 D.C.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베트남 전쟁 당시 수천 명의 베트남 여성들이 한국군 병사에게 성폭행을 당했다며 박근혜 대통령에게 한국 정부의 사죄와 배상을 요구하는 청원서를 제출했다. 월스트리트 저널에는 "박 대통령, 우리는 강간당했습니다. 사과해야 할 때입니다"라는 내용의 의견 광고가 실리기도 했다[99][100].

또한, 한국군 병사에게 성폭행당한 베트남 여성과 그 자녀인 라이따이한을 지원하기 위해 영국의 활동가인 피터 캐롤과 잭 스트로 전 영국 외무장관 등이 2017년 9월 12일 '라이따이한을 위한 정의'라는 지원 단체를 설립했다. 이들은 유엔 인권 이사회의 조사와 한국 정부의 사죄를 요구하는 운동을 벌이고 있다[101].

2017년 6월 28일에는 서울에서 한 베트남 유학생이 항의 활동을 벌이며, 한국이 위안부 문제를 대하는 태도를 언급하며 "한국도 역사 문제에 대한 인식을 바로 잡아야 한다"고 주장했다[102].

6. 3. 고엽제 피해

베트남 전쟁에 파병된 한국군은 총 32만여 명에 달하며, 이 중 5,099명이 사망하고 11,232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4명이 실종되는 인명 피해를 겪었다.[121][135] 이러한 직접적인 사상자 외에도, 전쟁 중 살포된 고엽제로 인한 피해가 심각했다. 2007년을 기준으로 159,132명의 참전 군인이 고엽제 피해자로 집계되었으며,[122][136] 이는 생존 귀환자 중 상당수가 후유증으로 고통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고엽제를 포함한 화공약품의 후유증으로 인해 전쟁이 끝난 후 귀국하여 병을 얻거나 사망한 경우도 다수 발생하였다.[122]

6. 4. 정치적 논란

파병에 반대한 야당 지도자 윤보선


대한민국 내에서는 베트남 전쟁 파병을 둘러싸고 정치적 논란이 있었다. 당시 야당 인사였던 윤보선, 장준하, 김대중, 김준연 등은 한국군 파병에 반대하거나 부정적인 입장을 표명했다. 이들은 박정희 정부가 젊은이들의 피의 희생을 통해 정권 연장을 꾀하려 한다고 비판했다.[143] 특히 신한당신민당의 지도자였던 윤보선은 한국군의 베트남 파병 정책은 박정희 대통령이 그 자신의 집권을 연장하기 위해 애꿎은 젊은이들의 피를 팔아먹으려는 수단이므로 단호히 반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19]

야당 의원이었던 김대중 역시 한국군의 베트남 전쟁 파병을 부정적으로 생각하였다. 그러나 미국이 한국군 파병이 없으면 주한미군을 철수하여 베트남에 보낸다는 반협박적인 상황에서는 신중하게 대처해야 한다는 주장이었다. 김대중은 당내 의견 수렴과 국회 대정부 정책 질의를 통해 예비역 및 퇴역 군인 중에서 지원자를 모집하여 의용군을 파견하자고 제안했다.[144][120]

전두환은 이 전쟁에 연대장으로 참전하여 세운 무훈으로 군대에서의 자신의 입지를 절대화시켰으며, 이를 바탕으로 군사정변을 일으켜 박정희의 뒤를 이어 대한민국의 대통령이 되었다. 이처럼 베트남 전쟁 참전은 전두환 정권 탄생의 한 요인이 되었다.

학계에서는 베트남 참전을 베트남의 민족 해방 운동을 방해하였다며 비판적으로 평가하기도 한다. 동국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강정구 등에 의해 베트남에서 발생한 양민 학살사건의 책임자라는 비판이 있기도 하였고, 2001년 8월 23일 김대중 대통령은 방한한 쩐득르엉 베트남 국가원수에게 "불행한 전쟁에 참여해 본의 아니게 베트남 국민에게 고통을 준 데 대해 미안하게 생각하고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라고 공식 사과했다. 이에 대하여 베트남 참전 전우회 등 참전유공단체 및 참전 유공자 등의 반발이 거세게 일어났다. 그리고, 일부 시민 단체에서는 그 이상의 사죄와 보상을 요구하는 소리도 있다.

한편 전쟁 당시 베트남에 진출한 대한민국 기업인들과 군인들이 현지에서 베트남 여성들과의 사이에 낳은 2세들인 라이따이한(Lai大韓, Lai Daihan)과 대한민국군 일부가 베트남전에서 저지른 민간인 학살과 부녀강간[145]에 대한 정부 차원의 공식적인 조사와 배상이 이뤄지지 않고 있어 양국 관계에 잠재적 문제가 될 소지를 안고 있다.

1999년 이래 한국의 언론 한겨레 신문에서 발간하는 주간지 《한겨레21》에서 대한민국군의 베트남 양민 학살에 대해 현지 취재를 하고, 관련자의 증언을 기사화하였으나, 참전자 단체들이 이에 반발하여, 2002년에는 사무실에 난입하기도 하였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판결을 환영했다. 마찬가지로 개인 청구권을 인정한 징용공, 위안부와 베트남 전쟁 피해자에 대해 태도가 다른 것은 문명 국가가 아니며, 한국은 일본처럼 잘못된 길을 걸어서는 안 된다며 민간인 학살에 대한 대처를 통해 징용공 등의 정당성이 인정될 것이라고 윤석열 정부를 비판했다.[116]

7. 한-베트남 관계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주월 대한민국 대사관이 철수한 이후 한동안 단절되었던 양국 관계는 1992년 12월 노태우 정부 시기에 공식 외교 관계를 수립하고 상주 대사관을 설치하면서 복원되었다.

관계 정상화 이후 과거사 문제가 제기되기 시작했다. 1998년 김대중베트남을 방문하여 양국의 불행했던 과거에 대해 유감을 표명했으며, 2001년 쩐득르엉 당시 베트남 국가주석의 방한 계기에 "불행한 전쟁에 참여해 본의 아니게 베트남 국민에게 고통을 준 데 대해 미안하게 생각하고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라고 공식 사과했다.[145] 같은 해 양국은 '포괄적 동반자 관계'를 선언하며 관계 격상에 합의했다. 2004년에는 노무현이 베트남을 방문하여 호찌민 묘소에 헌화하고 묵념했다. 그러나 김대중의 사과에 대해 베트남 참전 전우회 등 일부 참전 유공자 단체는 강하게 반발하기도 했다.

2009년 이명박의 베트남 국빈 방문을 앞두고, 한국 정부가 국가유공자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을 추진하며 참전 유공자를 "세계평화 유지에 공헌한 베트남 전쟁 유공자"로 명시하려 하자 베트남 정부가 강력히 항의하는 일이 발생했다. 베트남 측은 베트남 전쟁을 '민족해방운동'으로 규정하고 있었기에 해당 표현에 반발하며 국빈 방문 수용 불가 입장을 비공식적으로 전달했다.[111] 결국 유명환 당시 외교통상부 장관이 하노이를 방문하여 해당 문구를 삭제하기로 합의하면서 외교적 갈등은 일단락되었다. 베트남 측은 이 과정에서 "침략자는 '미래 지향'이라는 말을 쓰고 싶어 하고, 과거를 잊으려 한다", "(야스쿠니 신사 문제로) 일본을 비판하는 한국이라면, 우리의 생각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라며 한국 정부의 태도를 비판한 것으로 알려졌다.[111] 이후 이명박은 라디오 연설에서 베트남과의 관계 발전을 자평했으나, 야당으로부터 외교적 과오를 덮고 자화자찬한다는 비판을 받았다.[140]

베트남 전쟁 당시 한국군에 의한 민간인 학살, 성폭력 등 전쟁 범죄 문제는 양국 관계의 민감한 부분으로 남아 있다. 베트남 정부는 1992년 국교 정상화 당시 한국에 배상을 요구하지 않았고, 이 문제는 정부 간 공식 의제보다는 주로 시민사회와 언론을 중심으로 제기되어 왔다.[109] 베트남 현지에서는 한국군에게 피해를 입은 마을마다 "『다이한』의 잔혹 행위를 잊지 않겠다"는 비석이 세워졌으며,[95] 생존자들은 한국군의 무차별 총격, 학살, 강간, 방화 등을 증언하고 있다.[91] 또한 한국 군인과 현지 여성 사이에서 태어난 라이따이한 문제 역시 정부 차원의 공식적인 조사나 배상 없이 남아 있어 잠재적인 갈등 요인이 되고 있다.[145]

한국에서는 1999년 한겨레21의 보도를 통해 한국군의 베트남 양민 학살 문제가 본격적으로 공론화되었고, 이는 사회적 논란을 일으켰다. 참전 군인 단체들은 보도 내용에 강하게 반발하며 2002년에는 한겨레신문 사옥과 MBC 방송국에 난입하는 사건도 발생했다.

박근혜는 야당 정치인 시절 김대중의 사과에 대해 "참전 용사의 명예를 훼손하는 것"이라고 비판했으며,[96][97] 대통령 취임 후인 2013년 베트남을 방문했을 때는 과거사 문제에 대해 언급하거나 사과하지 않았다. 이는 일본에 대해 "과거를 직시하라"고 요구하던 당시 박근혜 정부의 태도와 모순된다는 비판을 받았다.[97][98] 2015년 박근혜의 미국 방문 시기에는 베트남계 미국인 단체가 워싱턴 D.C.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국 정부의 공식 사과와 배상을 요구했으며, 월스트리트 저널에 관련 의견 광고를 게재하기도 했다.[99][100]

2017년 문재인은 현충일 추념사에서 "베트남전 참전용사의 헌신과 희생을 바탕으로 조국 경제가 살아났다"고 언급했는데,[104][105] 이에 대해 베트남 외교부는 "베트남 국민의 감정을 상하게 하고 양국 우호 협력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언행을 삼가 달라"며 한국 정부에 공식 항의했다.[104][106]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진상 규명과 사과 요구는 계속되고 있다. 2017년 영국에서는 잭 스트로 전 외무장관 등이 참여한 '라이따이한을 위한 정의'라는 단체가 설립되어 유엔 인권이사회를 통한 조사와 한국 정부의 사과를 요구하는 운동을 시작했다.[101] 2018년에는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과 한-베트남 평화재단 등이 주축이 되어 베트남 전쟁 시기 한국군 민간인 학살 진상 규명을 위한 시민평화법정을 열기도 했다.

2020년에는 퐁니·퐁넛 학살 생존자인 응우옌 티탄 씨가 대한민국 정부를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했고, 2023년 2월 서울중앙지방법원은 대한민국 정부의 배상 책임을 인정하는 1심 판결을 내렸다. 이는 한국 법원이 베트남 전쟁 시기 한국군에 의한 민간인 학살 사건에 대해 정부의 책임을 인정한 첫 판결이다. 이에 대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페이스북을 통해 "피해자들에게 깊은 위로를 전하며, 대한민국 정부의 배상 책임을 인정한 법원의 판결을 환영한다"고 밝히며, "윤석열 정부는 판결을 수용하고 피해자들에게 공식 사과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8. 관련 문화 작품

베트남 전쟁은 전쟁 자체의 참혹함과 더불어 베트남한반도의 역사적 유사성 때문에, 다양한 문학, 영화, 드라마, 음악, 만화 등 문화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8. 1. 소설

베트남 전쟁은 전쟁 자체의 참혹함과 더불어 한반도와의 역사적 유사성 때문에, 참전 경험이 있는 작가들에 의해 여러 문학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대표적인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 황석영, 《무기의 그늘》
  • 안정효, 《하얀 전쟁》
  • 박영한, 《머나먼 쏭바강》
  • 박영한, 《인간의 새벽》
  • 이상문, 《황색인》

8. 2. 영화 및 드라마

베트남 전쟁은 전쟁 자체의 참혹함과 더불어, 베트남과 한반도의 역사적 유사성 때문에 참전 경험이 있는 작가들을 중심으로 문학, 영화, 만화 등 다양한 문화 콘텐츠의 소재가 되었다.

연도작품명감독비고
1971《베트남에서 돌아온 김상사》이성구
1991《푸른 옷소매》김유민
1992하얀 전쟁정지영안정효 원작
1994머나먼 쏭바강SBS TV 특집드라마
2004알포인트공수창
2008《님은 먼곳에》이준익
2014국제시장윤제균


8. 3. 노래 및 뮤직비디오

전쟁의 일반적인 참혹함 뿐만 아니라 베트남한반도의 역사적 유사성 때문에 참전했던 작가들에 의해 이 전쟁은 각종 문학, 영화, 만화의 소재가 되었다.

  • 김추자, 《베트남에서 돌아온 김상사》 (1969년)
  • 조성모, 《아시나요》 (2000년)
  • 신애, 《님은 먼곳에》 (2008년)

8. 4. 만화

베트남 전쟁은 전쟁 자체의 참혹함과 더불어 베트남한반도가 겪은 역사적 유사성 때문에, 참전 경험이 있는 작가들을 포함하여 여러 만화가들에게 창작의 소재가 되었다.

  • 《저 강은 알고 있다》, 이현세
  • 《황색탄환》, 김형배

8. 5. 뮤지컬

참조

[1] 문서 Article title http://apps.dtic.mil[...]
[2] 논문 The Nixon Doctrine and the Yusin Reforms: American Foreign Policy, the Vietnam War, and the Rise of Authoritarianism in Korea, 1968—1973. https://www.jstor.or[...] 2021-06-26
[3] 서적 The Park Chung Hee Era: The Transformation of South Korea Harvard University Press 2013-01-01
[4] 서적 The Park Chung Hee Era: The Transformation of South Korea Harvard University Press 2013-01-01
[5] 서적 Korea's Amazing Century: From Kings to Satellites https://books.google[...] James F. Larson 2020-05-13
[6] 서적 Korea's Amazing Century: From Kings to Satellites https://books.google[...] James F. Larson 2020-05-13
[7] 뉴스 Opinion – Vietnam's South Korean Ghosts https://www.nytimes.[...] 2017-07-10
[8] 서적 Reassessing the Park Chung Hee Era, 1961-1979: Development, Political Thought, Democracy & Cultural Influenc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1-01-01
[9] 서적 The Park Chung Hee Era: The Transformation of South Korea Harvard University Press 2013-01-01
[10] 서적 Mercenaries and Lyndon Johnson's "more flags": the hiring of Korean, Filipino, and Thai soldiers in the Vietnam War McFarland Publishing 1994-01-01
[11] 논문 The Nixon Doctrine and the Yusin Reforms: American Foreign Policy, the Vietnam War, and the Rise of Authoritarianism in Korea, 1968—1973 https://www.jstor.or[...] 2024-01-22
[12] 논문 The Nixon Doctrine and the Yusin Reforms: American Foreign Policy, the Vietnam War, and the Rise of Authoritarianism in Korea, 1968—1973 https://www.jstor.or[...] 2024-01-22
[13] 서적 Vietnam Studies – Allied Participation in Vietnam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14] 서적 Service Economies: Militarism, Sex Work, and Migrant Labor in South Korea https://books.google[...] U of Minnesota Press 2010-01-01
[15] 웹사이트 The United States Army | United States Army Pacific https://www.usarpac.[...]
[16] 서적 U.S. Marines in Vietnam: The Defining Year, 1968 https://archive.org/[...] History and Museums Division, Headquarters United States Marine Corps
[17] 서적 Melvin Laird and the Foundation of the Post-Vietnam Military, 1969–1973 https://books.google[...]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15-01-01
[18] 서적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69–1976, Volume XIX, Pt. 1, Korea, 1969–1972 https://books.google[...]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 웹사이트 The American War: Vietnam 1960–1975 https://catalogue.nl[...] Bookmarks 2018-07-02
[20] 논문 Viewing Seoul from Saigon: Withdrawal from the Vietnam War and the Yushin Regime http://publication.g[...] 2016-01-01
[21] 서적 A New Modern History of East Asia https://books.google[...] V&R unipress GmbH 2017-12-04
[22] 웹사이트 미군과 함께 철수했다면 전사자 줄었을 텐데 http://www.hani.co.k[...] 2014-10-17
[23] 웹사이트 국가기록원 > 기록정보 콘텐츠 > 국정분야별 주제콘텐츠 > 국정분야별 목록 > 외교 > 대아시아 외교> 동남아시아 외교협력> 주월한국군 철수 http://www.archives.[...]
[2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contents.nahf[...]
[25] 문서 Multinational Force Integration: The ROK Army's Integration with the US Army in the Vietnam War http://apps.dtic.mil[...]
[26] 웹사이트 A Perspective on Korea's Participation in the Vietnam War http://en.asaninst.o[...] The Asian Institute for Policy Studies 2013-04-09
[27] 웹사이트 A Perspective on Korea's Participation in the Vietnam War http://en.asaninst.o[...]
[28] 뉴스 Vietnam Killings Laid to Koreans https://www.nytimes.[...] 1970-01-10
[29] 서적 RAND in Southeast Asia: A History of the Vietnam War Era https://books.google[...] Rand Corporation 2010-02-08
[30] 웹사이트 Some Findings of the Viet Cong Motivation and Morale Study: June–December 1965 https://www.rand.org[...] RAND Corporation
[31] 서적 MCMAP and the Marine Warrior Ethos Military Review
[32] 웹사이트 진짜 배후는 주한미군·한국군 동시감축 계획이었나 http://www.hani.co.k[...] 2014-01-10
[33] 논문 War on Two Fronts: The Fight against Parasites in Korea and Vietnam 2017-07-01
[34] 웹사이트 군사편찬연구소 http://medcmd.mil.kr[...]
[35] 뉴스 The Independent-Record from Helena, Montana on June 13, 1966 · Page 4 http://www.newspaper[...] 1966-06-13
[36] 서적 Sorry! Vietnam
[37] 웹사이트 군사편찬연구소 http://medcmd.mil.kr[...] 2018-07-02
[38] 웹사이트 군사편찬연구소 http://medcmd.mil.kr[...] 2018-07-02
[39] 웹사이트 군사편찬연구소 http://medcmd.mil.kr[...] 2018-07-02
[40] 서적 The Park Chung Hee Era: The Transformation of South Korea Harvard University Press 2013
[41] 서적 Korea's Amazing Century: From Kings to Satellites https://books.google[...] James F. Larson 2020-05-13
[42] 서적 Service Economies: Militarism, Sex Work, and Migrant Labor in South Korea https://books.google[...] U of Minnesota Press 2020-05-13
[43] 서적 Behind East Asian Growth: The Political and Social Foundations of Prosperity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20-05-13
[44] 서적 Blue Dreams: Korean Americans and the Los Angeles Riots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20-05-13
[45] 학술지 The Nixon Doctrine and the Yusin Reforms: American Foreign Policy, the Vietnam War, and the Rise of Authoritarianism in Korea, 1968—1973. https://www.jstor.or[...] 2003-06-01
[46] 뉴스 Opinion – Vietnam's South Korean Ghosts https://www.nytimes.[...] 2017-07-10
[47] 서적 The Park Chung Hee Era: The Transformation of South Korea Harvard University Press 2013
[48] 서적 Reassessing the Park Chung Hee Era, 1961-1979: Development, Political Thought, Democracy & Cultural Influenc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1
[49] 서적 The Park Chung Hee Era: The Transformation of South Korea Harvard University Press 2013
[50] 웹사이트 Telegram From the Embassy in Korea to the Department of State https://history.stat[...]
[51] 웹사이트 Telegram From the Embassy in Korea to the Department of State https://history.stat[...]
[52] 서적 The Park Chung Hee Era: The Transformation of South Korea Harvard University Press 2013
[53] 서적 Reassessing the Park Chung Hee Era, 1961-1979: Development, Political Thought, Democracy & Cultural Influenc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1
[54] 뉴스 대법, 베트남전 참전용사 고엽제 후유증 39명만 인정 http://www.ohmynews.[...] 2013-07-12
[55] 학술지 A Proposal to Change Welfare Policy Principles for Agent Orange Exposed Korean Veterans
[56] 뉴스 포로 없다더니…베트남 파병 장병이 평양에 나타나 http://www.hani.co.k[...] 2014-12-12
[57] 뉴스 Vietnam War Soldier Is POW, Not Defector to Pyongyang https://www.koreatim[...] 2009-01-01
[58] 웹사이트 The Forgotten History of South Korean Massacres in Vietnam https://thediplomat.[...]
[59] 뉴스 Apocalypse Then http://www.newsweek.[...] 2000-04-09
[60] 서적 America's rented troops: South Koreans in Vietnam https://searchworks.[...] American Friends Service Committee
[61] 웹사이트 Anatomy of US and South Korean Massacres in the Vietnamese Year of the Monkey, 1968 https://apjjf.org/-H[...] 2007-06-04
[62] 뉴스 Vietnam Killings Laid to Koreans https://www.nytimes.[...] 1970-01-10
[63] 서적 RAND in Southeast Asia: A History of the Vietnam War Era https://books.google[...] Rand Corporation 2010-02-08
[64] 서적 Counter-Revolutionary Violence:Bloodbaths in fact and propaganda http://www.unsw.adfa[...] Warner Modular Publications
[65] 뉴스 Villagers recall S. Korean atrocities in Viet War Troops massacred 1,600 civilians in all, survivors say https://web.archive.[...] 2000-04-09
[66] 뉴스 Vietnam memorial recalls massacre by Korean troops https://www.theglobe[...] 2000-01-20
[67] 뉴스 The 'forgotten' My Lai: South Korea's Vietnam War massacres https://www.cnn.com/[...]
[68] 서적 Ruptured Histories: War, Memory, and the Post-Cold War in Asi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69] 서적 전투감각 https://books.google[...] 샘터(샘터사) 2013-06-29
[70] 뉴스 Reckoning with Korea's role in Vietnam War massacres http://koreajoongang[...] 2018-04-24
[71] 웹사이트 People's Tribunal on War Crimes Committed by South Korean Troops during the Vietnam War The Asia-Pacific Journal: Japan Focus https://apjjf.org/20[...] 2019-06-15
[72] 논문 America's Korea, Korea's Vietnam 2001-09-01
[73] 뉴스 Citizens' court to investigate Vietnam War atrocities committed by South Korean troops http://english.hani.[...]
[74] 웹사이트 Vietnam pieta: a last lullaby for peace in Vietnam, on Jeju Island http://english.hani.[...]
[75] 웹사이트 Survivor of Korean troops' civilian killings in Vietnam files suit against Korean government http://www.koreahera[...] 2020-04-21
[76] 뉴스 Vietnam War massacre survivors making their first visit to South Korea http://english.hani.[...]
[77] 뉴스 The South Korean Vietnam War experience http://english.hani.[...] 2013-07-08
[78] 뉴스 Moon's apology ignored in Vietnam https://www.koreatim[...] 2017-11-15
[79] 웹사이트 Moon's apology ignored in Vietnam https://www.koreatim[...] 2017-11-15
[80] 웹사이트 Moon faces growing calls to investigate South Korean war crimes in Vietnam https://www.scmp.com[...] 2019-04-18
[81] 뉴스 Hanoi objects to glorification of S.Korean mercenaries engaging in war in Vietnam https://tuoitrenews.[...] Tuoi Tre News 2017-06-13
[82] 웹사이트 Remarks by MOFA Spokesperson Le Thi Thu Hang on Viet Nam's view on the June 6 remarks by President Moon Jae-in of the Republic of Korea in which he honored Korean veterans who fought various wars oversea, including the war in Viet Nam https://web.archive.[...]
[83] 뉴스 Women raped by Korean soldiers during Vietnam war still awaiting apology http://www.theguardi[...] 2019-01-19
[84] 뉴스 The Vietnamese women whose mothers were raped in wartime seek justice for a lifetime of pain and prejudice https://www.independ[...] 2017-09-11
[85] 웹사이트 OpEdNews-South Korea's War Crimes Still Haunt Vietnam https://www.opednews[...] 2017-09
[86] 웹사이트 1968 - The year that haunts hundreds of women https://bbc.co.uk/ne[...]
[87] 웹사이트 베트남전쟁시 한국군의 해·공군 및 특수작전 https://web.archive.[...]
[88] 웹사이트 ベトナム戦の韓国軍戦死者、4968人に計30億ウォン https://www.donga.co[...] 東亜日報
[89] 웹사이트 [ベトナ参戦外交文書公開]朴正熙,安保・経済に十分活用 https://news.naver.c[...] NAVER
[90] 뉴스 South Korea seeks to calm Vietnam after controversial remarks by president http://e.vnexpress.n[...] 2017-06-14
[91] 뉴스 99年5月 256号ハンギョレ21 http://www.altasia.o[...]
[92] 뉴스 韓国 軍も企業もベトナム参戦 https://www.asahi.co[...]
[93] 뉴스 週刊文春の「韓国軍トルコ風呂」報道、腹立たしいが反論は困難… http://japan.hani.co[...] 2015-04-25
[94] 뉴스 癒えることないベトナム戦争での民間人虐殺 「ああ、韓国人は今も村に入れない」 http://japan.hani.co[...] 2016-01-16
[95] 서적 親日派のための弁明 草思社 2002-07-01
[96] 뉴스 朴槿恵大統領、ベトナムで父の時代の歴史の結び目をほどく https://japanese.joi[...] 2013-09-10
[97] 뉴스 ベトナム訪問の朴大統領 過去の戦争の歴史で謝罪せず http://sankei.jp.msn[...] 2013-09-10
[98] 뉴스 訪越で謝罪しなかった朴大統領 https://www.sankei.c[...] 2013-10-07
[99] 뉴스 韓国軍の性的暴力訴え大統領に謝罪要求 http://www3.nhk.or.j[...] 2015-10-16
[100] 뉴스 「韓国兵から性的暴行」 ベトナム女性ら謝罪要求 朴大統領に https://www.tokyo-np[...] 2015-10-17
[101] 뉴스 ライダイハン ベトナム戦争時の韓国軍の所業を英BBCが報道 https://www.sankei.c[...] 2020-04-04
[102] 뉴스 To become an advanced country, S. Korea should reckon with Vietnam War massacres http://english.hani.[...] 2017-06-29
[103] 서적 ベトナム戦争 誤算と誤解の戦場 中央公論新社 2001-07-25
[104] 뉴스 ベトナム戦争に従軍した韓国兵への弔辞に抗議。ベトナム政府「国民感情を傷つけかねない」 https://www.huffingt[...] 2017-06-16
[105] 뉴스 ベトナム政府、文大統領 'ベトナム戦参加勇士敬意' に反発 http://www.yonhapnew[...] 2017-06-13
[106] 뉴스 Phát biểu của Người Phát ngôn Bộ Ngoại giao Lê Thị Thu Hằng về quan điểm của Việt Nam trước việc ngày 6/6/2017, Tổng thống Hàn Quốc Mun Che In (Moon Jae-in) đã phát biểu vinh danh những “người có công” Hàn Quốc tham chiến tại nước ngoài trong đó có chiến tranh Việt Nam https://www.mofa.gov[...] Ministry of Foreign Affairs (Vietnam)
[107] 뉴스 베트남, 문 대통령의 '베트남 참전용사 경의' 추념사 내용에 항의 https://www.chosun.c[...] 2017-06-13
[108] 웹사이트 韓国軍によるベトナム人戦時虐殺問題――戦争の記憶と和解 https://synodos.jp/o[...] シノドス 2021-10-26
[109] 웹사이트 The Forgotten History of South Korean Massacres in Vietnam https://thediplomat.[...] 2021-10-26
[110] 웹사이트 ベトナム民間人虐殺「ハンギョレ21」初報道から23年後に認められた韓国の賠償責任 https://japan.hani.c[...] ハンギョレ 2023-02-19
[111] 논문 韓国軍によるベトナム人戦時虐殺問題―戦争の記憶と和解 https://doi.org/10.1[...] アジア政経学会
[112] 웹사이트 ベトナム戦争で民間人虐殺 政府の賠償責任初認定=韓国地裁 https://jp.yna.co.kr[...] 聯合ニュース 2023-02-09
[113] 웹사이트 韓国軍のベトナム戦争時の民間人虐殺 韓国地裁、政府に初の賠償命令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3-02-19
[114] 웹사이트 법원 "정부, 베트남전 민간인학살 은폐…시효 남았다" https://m.yna.co.kr/[...] 聯合ニュース 2023-02-19
[115] 웹사이트 ベトナム戦争での韓国軍の民間人射殺に初の賠償判決 https://www.donga.co[...] 東亜日報 2023-02-09
[116] 웹사이트 이재명 "오늘 이상민 탄핵…尹정권 비상식 바로잡는 첫걸음" https://www.sedaily.[...] ソウル経済新聞 2023-02-09
[117] 웹사이트 제127 공병대대 http://medcmd.mil.kr[...] 2021-10-26
[118] 서적 三島2003
[119] 서적 한국의 정치발전 무엇이 문제인가 을유문화사
[120] 서적 후광 김대중 평전
[12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imhc.mil.[...] 2014-01-31
[122] 웹인용 고엽제 후유증 환자 등 처리현황 http://www.kaova.or.[...] 2007-11-30
[123] 백과사전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정치/한국의 정치/한국의 외교/한국과 태평양지역 제국의 관계#베트남파병
[124] 뉴스 <베트남전> 브라운각서와 사이밍턴 청문회(재송) http://media.daum.ne[...] 연합뉴스 2005-08-26
[125] 뉴스 한반도 고비마다 ‘민주당 대통령’ 있었다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사 2008-11-10
[126] 웹인용 박정희 대통령 기념사업회 http://www.516.co.kr[...]
[127] 뉴스 베트남 참전 외교문서 공개- 박정희,안보·경제에 십분활용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2005-12-02
[128] 문서 기사의 수도사단(맹호부대)과 제2해병여단(청룡부대)의 1965년 베트남 상륙 날짜에 오류가 있는데 여기에 기재된 날짜가 정확하다.
[129] 뉴스 靑龍部隊(청룡부대)상륙 https://newslibrary.[...] 1965-10-09
[130] 뉴스 暴雨(폭우)속에퀴논上陸(상륙) https://newslibrary.[...] 1965-10-23
[131] 웹인용 제1차 파병(이동외과병원/태권도교관단)은 어떻게 이루어졌나 http://www.imhc.mil.[...] 국방부 2005-10-28
[132] 웹인용 제2차 파병(건설지원단)은 어떻게 이루어졌나? http://www.imhc.mil.[...] 국방부 2005-10-28
[133] 웹인용 제3차 파병(수도사단/제2해병여단)은 어떻게 이루어졌나? http://www.imhc.mil.[...] 국방부 2005-10-28
[134] 웹인용 제4차 파병(9사단)은 어떻게 이루어졌나? http://www.imhc.mil.[...] 국방부 2005-10-28
[135]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imhc.mil.[...]
[136] 웹인용 고엽제후유의증환자등 처리현황(총괄) http://www.kaova.or.[...]
[137] 웹인용 베트남전쟁시 한국군의 해·공군 및 특수작전 https://web.archive.[...]
[138] 뉴스 베트남 참전 외교문서 공개- 박정희,안보·경제에 십분활용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2005-12-02
[139] 뉴스 이명박 대통령, "변방적 사고 버리고 목소리 내야" https://news.v.daum.[...] YTN 2009-11-02
[140] 뉴스 야당, MB연설에 “뒷담화용 전파낭비” http://news.kukinews[...] 국민일보 2009-11-02
[141] 웹인용 연도별 해외근무수당 지급총액 및 국내송금액 http://www.imhc.mil.[...] 국방부 2005-11-09
[142] 뉴스 [책갈피 속의 오늘]1965년 전투병 베트남 파병 의결 http://www.donga.com[...] 2008-07-02
[143] 서적 한국의 정치발전 무엇이 문제인가 을유문화사 2007
[144] 서적 후광 김대중 평전
[145] 뉴스 “총성 소리만 듣고도 보복”
최초공개하는 미국 민간인 보고서, 다이앤 & 마이클 존스의 ‘한국군이라 불린 동맹군1 http://legacy.h21.ha[...] 한겨레신문사 2000-02-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