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호주 대한민국 대사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호주 대한민국 대사관은 오스트레일리아를 관할하는 대한민국 외교 공관으로, 1953년 영사급 외교 관계 수립 이후 1962년 대사급으로 격상되었다. 캔버라에 위치하며, 오스트레일리아 수도 준주,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태즈메이니아를 관할한다. 멜버른에는 분관이 설치되어 있으며, 시드니에는 총영사관이 별도로 운영되고 있다. 1962년 초대 대사로 이동환이 임명되었으며, 역대 대사 명단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캔버라 주재 공관 - 주오스트레일리아 타이베이 경제문화판사처
    주오스트레일리아 타이베이 경제문화판사처는 오스트레일리아와의 경제, 문화, 과학 기술 협력을 증진하고 양국 관계 발전을 위해 캔버라에 설립된 기관으로, 무역, 투자, 문화 교류, 과학 기술 협력, 정보 수집 및 분석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며, 브리즈번, 멜버른, 시드니에 분관을 두고 외교, 영사 업무를 담당한다.
  • 대한민국-오스트레일리아 관계 - 주시드니 대한민국 총영사관
    주시드니 대한민국 총영사관은 1953년 설치되어 한때 대사관으로 승격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총영사관으로서, 뉴사우스웨일스주, 퀸즐랜드주, 노던 준주를 관할하며 대한민국과 해당 지역 간의 정치·경제 관계 증진, 영사 업무, 문화 교류, 교육 지원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는 오스트레일리아 뉴사우스웨일스주 시드니 소재 대한민국 정부의 외교 공관이다.
  • 대한민국-오스트레일리아 관계 - 영연방 한국전 참전 기념비
    영연방 한국전 참전 기념비는 한국 전쟁에 참전한 영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 영연방 4개국 참전 용사 21,000명의 용기와 희생을 기리기 위해 부산 UN기념공원에 세워진 3.6m 높이의 검은색 화강암 기념물이다.
  • 대한민국의 재외 공관 - 주로스앤젤레스 대한민국 총영사관
    주로스앤젤레스 대한민국 총영사관은 대한민국 외교부 산하 재외공관으로 캘리포니아주 남부, 애리조나주, 뉴멕시코주를 관할하며, 한국계 주민들의 영사 업무 지원과 더불어 로스앤젤레스 한국문화원, 로스앤젤레스 한국교육원을 통해 한국 문화와 교육을 홍보한다.
  • 대한민국의 재외 공관 -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관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관은 미국에 주재하며, 1882년 조미수호통상조약 체결 이후 외교 관계를 맺고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대사를 파견했으며, 현재 워싱턴 D.C.에 위치하여 9개의 총영사관 등을 운영하며 바하마를 겸임한다.
주호주 대한민국 대사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대한민국의 국장
대한민국의 국장
현지어 이름Embassy of South Korea, Canberra, Australia
설립일1962년
소재지오스트레일리아 캔버라
산하 기관주시드니 대한민국 총영사관
주멜번 대한민국 분관
웹사이트주호주 대한민국 대사관 공식 웹사이트
인물
대사심승섭
공사조재영

2. 역사

대한민국오스트레일리아는 1953년 영사급 외교관계를 맺었고, 1962년에는 대사급으로 상호수교를 맺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1950년 6.25 전쟁 당시 영국, 캐나다, 뉴질랜드와 함께 영연방군을 결성, UN군의 일원으로 참전해 대한민국을 지원하였다. 양국은 1962년 수교 후 초반에는 시드니에 대사관을 설치하였으나, 1970년 시드니 대사관을 총영사관으로 격하시키고 캔버라 총영사관을 대사관으로 승격시켰다. 2012년 2월에는 멜버른에 주호주 대한민국 대사관 관할 분관이 설치되었다.

주호주 대한민국 대사관은 ACT, 타즈메이니아,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를 관할하고 있다. 시드니 총영사관은 NSW, QLD, NT를 관할하며, 멜버른 분관은 VIC를 관할한다.

2. 1. 외교 관계 수립

대한민국오스트레일리아는 1953년 영사급 외교관계를 수립하였고, 1962년에 대사급 외교 관계로 격상하였다.[1] 오스트레일리아는 1950년 6.25 전쟁 당시 영국, 캐나다, 뉴질랜드와 함께 영연방연합군을 결성, UN군의 일원으로 참전하여 대한민국을 지원하였다.[1] 양국 간 수교는 1962년에 이루어졌으며, 초기에는 시드니에 대사관을 설치하였으나 1970년 시드니의 대사관을 총영사관으로 격하시키고 캔버라에 있던 총영사관을 대사관으로 승격시켰다.[1] 2012년 2월에는 멜버른에 주호주 대한민국 대사관 관할의 분관이 설치되었다.[1]

2. 2. 6.25 전쟁 참전

오스트레일리아는 1950년 6.25 전쟁 당시 영국, 캐나다, 뉴질랜드와 함께 영연방 연합군을 결성, UN군의 일원으로 참전해 대한민국을 지원했다.[1]

3. 역대 공관장

대수성명임명
1이동환(李東煥)1962년 2월
2민충식(閔忠植)1970년 2월
3노석찬(盧錫瓚)1974년 2월
4이한림(李翰林)1977년 6월
5윤하정(尹河珽)1980년 7월
6김상구(金相球)1983년 7월
7임동원(林東源)1984년 11월
8이창수(李昌洙)1987년 12월
9이창범(李昌範)1991년 4월
10권병현(權丙鉉)1994년 3월
11문동석(文東錫)1996년 11월
12신효헌(申孝憲)1999년 3월
13송영식(宋永植)2001년 9월
14조상훈(趙商勳)2003년 6월
15조창범(曺昌範)2006년 4월
16김우상(金宇祥)2008년 5월
17조태용(趙太庸)2011년 9월
18김봉현(金奉炫)2013년 6월
19우경하(禹景夏)2016년 5월
20이백순(李伯純)2018년 2월
21강정식(康禎植)2020년 2월
22김완중2022년 12월
23이종섭(李鐘燮)[3]2024년 3월
24심승섭(沈勝燮)2024년 7월


3. 1. 역대 대사 명단

대수성명임명
제1대이동환(李東煥)1962년 2월
제2대민충식(閔忠植)1970년 2월
제3대노석찬(盧錫瓚)1974년 2월
제4대이한림(李翰林)1977년 6월
제5대윤하정(尹河珽)1980년 7월
제6대김상구(金相球)1983년 7월
제7대임동원(林東源)1984년 11월
제8대이창수(李昌洙)1987년 12월
제9대이창범(李昌範)1991년 4월
제10대권병현(權丙鉉)1994년 3월
제11대문동석(文東錫)1996년 11월
제12대신효헌(申孝憲)1999년 3월
제13대송영식(宋永植)2001년 9월
제14대조상훈(趙商勳)2003년 6월
제15대조창범(曺昌範)2006년 4월
제16대김우상(金宇祥)2008년 5월
제17대조태용(趙太庸)2011년 9월
제18대김봉현(金奉炫)2013년 6월
제19대우경하(禹景夏)2016년 5월
제20대이백순(李伯純)2018년 2월
제21대강정식(康禎植)2020년 2월
제22대김완중2022년 12월
제23대이종섭(李鐘燮)[3]2024년 3월
제24대심승섭(沈勝燮)2024년 7월


4. 대한민국 공관 현황

대한민국오스트레일리아는 1953년 영사급 외교관계를 맺었고, 1962년 대사급으로 상호 수교했다.[1] 오스트레일리아는 6.25 전쟁 당시 영국, 캐나다, 뉴질랜드와 함께 영연방연합군을 결성, UN군의 일원으로 참전해 대한민국을 지원했다.[1]

공관명소재지관할 지역
주호주 대한민국 대사관캔버라ACT, 타즈메이니아,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주시드니 대한민국 총영사관시드니NSW, QLD, NT
주멜번 대한민국 분관멜버른VIC


4. 1. 주호주 대한민국 대사관

대한민국과 오스트레일리아는 1953년 영사급 외교관계를 맺었고, 1962년에는 대사급 상호수교를 맺었다.[1] 오스트레일리아는 1950년 6.25 전쟁 당시 영국, 캐나다, 뉴질랜드와 함께 영연방연합군을 결성, UN군의 일원으로 참전해 대한민국을 지원한 바 있다.[1] 1962년 상호 수교가 이루어진 뒤 초반에는 시드니에 대사관을 설치하였으나, 1970년 시드니에 있던 대사관을 총영사관으로 격하시키고 캔버라에 있던 총영사관을 대사관으로 승격시켰다.[1] 2012년 2월에는 멜버른에 주호주대사관 관할의 분관을 설치하였다.[1]

주호주 대한민국 대사관은 ACT와 타즈메이니아,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와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를 관할하고 있다.[1] 시드니 총영사관은 NSW와 QLD, NT를 관할하며 멜버른 분관은 VIC를 관할하고 있다.[1]

4. 2. 주시드니 대한민국 총영사관

대한민국오스트레일리아는 1962년 대사급 상호 수교를 맺은 뒤 초반에는 시드니에 대사관을 설치하였으나, 1970년 시드니에 있던 대사관을 총영사관으로 격하시켰다.[1] 주시드니 대한민국 총영사관뉴사우스웨일스 주, 퀸즐랜드 주, 노던 준주를 관할하고 있다.[1]

4. 3. 주멜버른 대한민국 분관

1962년 대한민국과 오스트레일리아 간의 상호 수교 이후, 2012년 2월 멜버른에 주호주 대한민국 대사관 관할의 분관이 설치되었다.[1] 멜버른 분관은 빅토리아 주(VIC)를 관할하고 있다.[1]

5. 인접 지역 공관

참조

[1] 웹인용 역대 공관장 https://overseas.mof[...] 주호주 대한민국 대사관 2022-01-08
[2] 서적 한국 외교 60년 http://www.mofat.go.[...] 2015-02-21
[3] 문서 취임 25일만에 사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