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거리 달리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거리 달리기는 800m, 1000m, 1500m, 1마일 등을 포함하는 육상 경기 종목으로, 선수들은 트랙을 여러 바퀴 달리며 속도, 지구력, 전략을 겨룬다. 800m 달리기는 올림픽 정식 종목이며, 1500m는 '미터 마일'로 불리며 전술적 요소가 중요하다. 1마일 달리기는 미터법을 사용하지 않는 국가에서 인기가 있으며, 2마일, 3000m, 3200m, 3000m 장애물 경주 등 다양한 세부 종목이 존재한다. 중거리 달리기는 순발력, 주 속도 지구력, 심폐 능력을 균형 있게 발달시키는 훈련을 요구하며, 경기 중에는 레이스 전략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거리달리기 - 장애물 경주 (육상)
장애물 경주는 육상 트랙 경기에서 코스 위에 설치된 허들과 물웅덩이를 뛰어넘는 경기로, 스테이플체이스라고도 불리며 올림픽을 비롯한 주요 국제 대회에서 남자부와 여자부 경기가 시행된다. - 중거리달리기 - 1500미터 달리기
1500미터 달리기는 육상 트랙 경기이며, 선수들이 400미터 트랙을 3바퀴 300미터 달려 기록을 경쟁하고, 마지막 바퀴에서 속도를 높여 순위를 결정하는 전략적인 레이스가 펼쳐지며, 남자 세계 기록은 히샴 엘 게루즈가, 여자 세계 기록은 페이스 키피에곤이 보유하고 있다.
중거리 달리기 | |
---|---|
중거리 달리기 | |
거리 | 800m ~ 3200m (2마일) |
특징 | 지구력과 속도 조절 능력 요구 전략적 레이스 운영 중요 |
관련 종목 | 800m 1500m 1마일 3000m 크로스 컨트리 역전 경주 |
세부 종목 | |
800 미터 | 육상 트랙에서 2바퀴를 도는 경기 초반 스피드와 후반 지구력 요구 |
1500 미터 | 육상 트랙에서 바퀴를 도는 경기 전략적인 페이스 조절 중요 |
1 마일 | 1609.34 미터 (약 바퀴) 1500m와 유사한 전략 필요 |
3000 미터 | 육상 트랙에서 7바퀴 반을 도는 경기 장거리 달리기와 유사한 지구력 요구 |
크로스 컨트리 | 잔디, 흙, 숲길 등 다양한 지형에서 진행 강한 체력과 정신력 필요 |
역전 경주 | 여러 명의 선수가 번갈아 가며 달리는 경기 팀워크와 전략 중요 |
기타 정보 | |
훈련 방법 | 인터벌 훈련 지속주 근력 운동 |
주요 선수 | 알려지지 않음 |
2. 역사
880야드(약 804.67m) 달리기는 800m 달리기의 전신으로, 1830년대 영국에서 열린 대회에서 유래되었다.[8]
2. 1. 한국 중거리 달리기의 역사
3. 종목
- 800m 달리기
- 1000m 달리기
- 1500m 달리기
- 1마일 달리기 - 오래전부터 행해져 온 전통적인 경기이며, 미터법 이외의 국가(특히 미국)에서는 현재도 인기가 있다.
- 2000m 달리기
- 3000m 달리기
- 3200m 달리기
- 2마일 달리기
- 3000m 장애물 경주
3. 1. 800m 달리기
800m 달리기는 표준 400m 트랙을 두 바퀴 도는 경주로, 올림픽 정식 종목이다.[6] 1928년 첫 여자 육상 프로그램에 포함되었지만 1960년까지 중단되었다. 남자 세계 기록은 데이비드 르시다(케냐)가 2012년 8월 9일 런던에서 세운 1분 40초 91이다.[6] 여자 세계 기록은 야르밀라 크라토흐빌로바(체코슬로바키아)가 1983년 7월 26일 뮌헨에서 세운 1분 53초 28이다.[7]3. 2. 1000m 달리기
1000m 달리기는 실내 남자 7종 경기의 한 종목이며, 실내 고등학교 경기에서도 자주 치러진다.[4] 1881년, 론 마이어스는 2분 13.0초로 1000야드에서 당시 세계 기록을 세웠다.[4]남자 1000m 세계 기록은 노아 겐이(케냐)가 1999년 9월 5일 리에티에서 세운 2분 11.96초이며,[9] 여자 1000m 세계 기록은 스베틀라나 마스테르코바(러시아)가 1996년 8월 23일 브뤼셀에서 세운 2분 28.98초이다.[9]
1000m 세계 기록 경신도 참고.
3. 3. 1500m 달리기
1500m 달리기는 '미터 마일'이라고도 불리며, 올림픽 규격 트랙을 3바퀴하고 4분의 3바퀴를 도는 주요 중거리 경주이다.[9] 이 경주는 전술적인 요소가 강하고, 선수 간의 치열한 경쟁이 마지막 몇 미터에서 승리할 정도로 격렬하게 벌어진다.[9]최근 몇 년 동안 1500m 달리기는 장거리 스프린트와 같이 속도가 중요해졌으며, 유산소 운동 능력이 중요하게 되었다.[9] 남자 세계 기록은 모로코의 히샴 엘 게루주가 1998년 7월 14일 로마에서 세운 3분 26초 00이다.[9] 여자 세계 기록은 케냐의 페이스 키피에곤이 2024년 7월 7일 파리에서 세운 3분 49초 04이다.[11]
3. 4. 1600m 달리기
1600m 달리기는 일반적인 400m 트랙을 정확히 4바퀴 도는 경주로, 1마일 경주보다 9.344m 짧지만, 미국 고등학교에서는 1마일 달리기를 대체하는 종목으로 사용된다.[12] 전미 고등학교 연맹에서 공식적인 거리로 지정하고 있으며, 거리 혼성 계주의 마지막 구간이기도 하다. 고등학교 및 대학 초청 경기 외에는 거의 열리지 않지만, 국제적인 수준에서 개최된 적이 있다.[12] 대학 및 국제 수준에서는 1500m 달리기가 더 흔하게 치러진다.미터법 트랙에서 실제 1마일을 정확하게 달리려면 첫 번째 400m 랩을 시작하기 전에 추가로 9.344m를 더 달려야 한다.[12] 많은 트랙, 특히 고수준 트랙은 이러한 목적으로 9.344m 뒤에 폭포 시작선을 그려 놓는다.[12]
1600m로 환산하면, 히샴 엘 게루주는 1999년 세계 기록인 3분 43.13초로 1600m를 3분 41.83초로 달린 것과 동일한 기록을 세웠다. 마찬가지로, 페이스 키피에곤은 2023년 세계 기록인 4분 07.64초로 1600m를 4분 06.20초로 달린 것과 동일한 기록을 세웠다.
3. 5. 1마일 달리기
1마일 달리기는 중거리 달리기의 한 종류로, 원 마일 런/One-mile run영어이라고도 하며, 길이는 1,760야드(약 1,609m)이다.[13] 미터법을 사용하지 않는 국가에서 매우 흔하며, 여전히 트랙 경주의 "블루 리본"이라고 불린다. 세계 육상 연맹은 1976년에 미터법 거리에 대해서만 세계 기록을 인정하기로 결정했지만, 마일에 대해서는 예외를 두었고, 오늘날까지 기록이 유지되고 있다. 역사적으로 1마일 달리기는 오늘날 1500m 달리기가 차지하는 위치에 있었다. 세계적인 수준에서 여전히 경주가 열리지만, 보통 와나메이커 마일과 같이 특별한 경우에만 열리며, 와나메이커 마일은 밀로스 게임에서 매년 개최된다.[13]4분 이내에 1마일을 달리는 것은 오랫동안 과학계에서 불가능하다고 여겨져 온 매우 어려운 업적이었다.[13] 1954년 옥스퍼드에서 영국인 로저 배니스터가 최초로 4분 벽을 깼다.[13]
현재 1마일 달리기 기록 보유자는 히샴 엘 게루주(모로코) (3:43.13, 로마, 1999년 7월 7일)와 페이스 키피에곤(케냐) (4:07.64, 모나코, 2023년 7월 21일)이다.[9]
3. 6. 2000m 달리기
야콥 인게브리그센(노르웨이)은 2023년에 4분 43.13초의 남자 2000m 세계 기록을 세웠으며, 이는 히샴 엘 게루주(모로코)가 1999년 9월 7일 베를린에서 세운 이전 기록 4분 44.79초를 경신한 것이다. 제시카 헐(오스트레일리아)은 2024년에 5분 19.70초의 여자 세계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14] 2000m는 실내 공식 세계 기록 종목이 아니다.3. 7. 3000m 달리기
3000m 달리기는 중거리와 장거리의 경계에 있는 종목이다.[9] 1984년부터 1992년까지 여자 올림픽 정식 종목이었다.[9] 1984년 올림픽 경기는 메리 데커와 졸라 버드의 충돌로 유명했다.[9] 1985년부터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남녀 모두에게 가장 긴 경주로 자리 잡았다.[9] 이 경주는 속도와 더불어 유산소 지구력 훈련과 경기 전술이 요구된다.[9] 이 거리의 기록은 야콥 인게브리게첸 (노르웨이)(7:17.55, 실레지아, 2024년 8월 25일)과 왕준샤(중국)(8:06.11, 베이징, 1993년 9월 13일)가 세웠다.[9]3. 8. 3200m 달리기
3200m 달리기는 표준 400m 트랙에서 정확히 8바퀴를 도는 경기로, 1600m와 함께 일반적으로 미국 고등학교에서만 치러진다.[15] 이 거리는 2마일(약 3218.688m)보다 18.688미터 짧지만, 구어체로 "2마일"이라고 불린다.[15] 대학에서는 이 경기의 일반적인 선수들이 5000m 달리기(또는 실내 시즌 동안 3000m 달리기)로 전환한다.[15] 대부분의 미국 동부 고등학교, 대학교 및 중학교에서 이 경기는 지역에 따라 장거리 경주로 간주되며, 대부분의 고등학교 대회에서 치러지는 가장 긴 트랙 거리 경주이다.[15]2023년, 야콥 잉게브리츠센(Jakob Ingebrigtsen)은 2마일 달리기 세계 최고 기록인 7분 54.10초에서 3200m에 해당하는 7분 51.35초를 기록했다. 메세레트 데파르(Meseret Defar)는 2007년 2마일 달리기 세계 최고 기록인 8분 58.58초에서 3200m에 해당하는 8분 55.45초를 기록했다.
3. 9. 2마일 달리기
2마일 달리기는 중거리 또는 단거리 장거리 경주로, 길이는 3218.69m이다.[16] 역사적으로 2마일은 오늘날 3000m와 3200m 경주가 차지하는 자리를 대신했다.다니엘 코멘(케냐)은 1997년 7월 19일 벨기에 헤흐텔-엑셀에서 7분 58.61초의 기록으로 2마일과 3000m 두 거리 모두에서 4분대 장벽을 깬 최초의 남자 선수였다.[16] 현재 2마일 세계 기록은 2023년 6월 9일 2023 파리 다이아몬드 리그 경기에서 7분 54.10초를 기록한 야콥 인게브리그센이 보유하고 있다. 국제 올림픽 위원회는 이 거리의 세계 기록을 추적하지 않는다.[16] 여자 최고 기록은 메세레트 데파르(에티오피아)가 2007년 9월 14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세운 8분 58.58초이다.[16]
3. 10. 3000m 장애물 경주
3000m 장애물 경주는 평지 3000m 달리기에 장애물(허들, 물웅덩이 등)을 추가한 종목이다. 이는 평지 3000m 경기보다 더 큰 힘, 지구력, 민첩성을 요구한다. 선수들은 평지 200m를 달린 후, 매 랩마다 5개의 장애물을 뛰어넘어야 하며, 그중 하나는 물웅덩이 앞에 놓여 있다. 따라서 선수들은 젖은 신발에 의한 쓸림 현상도 감수해야 한다.세계 기록은 남자부에서 라메차 기르마(에티오피아)가 2023년 6월 9일 파리에서 세운 7분 52초 11이며, 여자부에서는 굴나라 사미토바(러시아)가 2008년 8월 17일 베이징에서 세운 8분 58초 81이다.
3. 11. 기타 종목
500m 달리기는 단거리 선수들이 근육 지구력 훈련을 위해 가끔씩 뛰는 매우 드문 중거리 달리기 종목이다.[4] 600 야드/600m 달리기는 다소 흔하지 않은 중거리 달리기로, 더 긴 거리에서 지구력을 시험하려는 단거리 선수들이 주로 뛰며, 800m 선수들이 완전한 경주 체력을 갖추기 전 시즌 초반 발판으로 사용되기도 한다.[5] 600 야드는 1882년, 미국의 론 마이어스가 1분 11.4초의 당시 세계 기록을 세웠다.[4]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 마틴 맥그레이디는 이색적인 600 야드 거리에서 명성을 얻었고, 세계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5] 남자 600m 기록은 조니 그레이(Johnny Gray, 미국)가 1986년 5월 24일 산타 모니카에서 기록한 1분 12.81초이다. 여자 600m 기록은 캐스터 세메냐(Caster Semenya, 남아프리카 공화국)가 2017년 8월 27일 베를린에서 기록한 1분 21.77초이다.1200m 달리기는 단독으로 경주되는 경우는 드물지만, 거리 혼성 계주의 한 구간으로 자주 사용된다. 히샴 엘 게루지(모로코)가 이 거리에서 가장 빠른 남성으로 여겨지며, 2002년 리에티에서 2분 44.75초를 기록했다.[10]
엘리미네이션 마일은 일부 대회에서 치러지는 종목으로, 트랙 4바퀴(1600m)를 달리지만, 1바퀴마다 최하위 주자가 탈락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17]
4. 경기 방식 및 규칙
4. 1. 출발
4. 2. 코스
4. 3. 전략
중거리 달리기는 단거리 달리기와 달리 400m 트랙을 오픈 코스로 달리며 여러 바퀴를 돌아야 하므로, 레이스 전략이 중요하다. 세계 수준의 대회에서도 스타트 직후 많은 선수들이 좋은 위치를 확보하기 위해 서로 심하게 부딪히는 경우가 많다. 반대로, 선수단 속에 갇혀 제 속도를 내지 못하고 마지막 가속 시기를 놓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선수들은 자신의 페이스를 유지하면서 다른 선수들의 움직임을 주시해야 한다. 마지막 스퍼트 시점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5. 중거리 달리기의 훈련
중거리 달리기는 순발력, 주 속도 지구력, 높은 심폐 능력(주 지구력)을 동시에 개발하고, 거리에 따라 각 능력을 균형 있게 조절해야 하는 험난한 경기이다. 훈련은 인터벌 트레이닝, 지속주, 근력 운동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중거리 달리기는 속도, 지구력, 근력 등 다양한 체력 요소를 필요로 한다.
단거리 달리기와는 달리 400m 트랙을 오픈 코스로 달리며, 트랙을 여러 바퀴 도는 동안 경기를 진행하기 때문에, 레이스 전략도 중요하다. 세계 수준의 대회에서도, 스타트 직후 많은 선수들이 서로 심하게 부딪히면서 좋은 위치를 확보하려고 하거나, 반대로 집단 속에 들어가 포켓 상태가 되어 실속하여 스퍼트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이 보인다.
6. 한국의 중거리 달리기
6. 1. 주요 선수
6. 2. 한국 기록
6. 3. 한국 중거리 달리기의 과제와 전망
참조
[1]
웹사이트
Middle-distance running
https://www.britanni[...]
2023-01-04
[2]
문서
Track Cycling Track Dimensions
[3]
웹사이트
1500 m – Introduction
http://www.iaaf.org/[...]
2010-04-05
[4]
간행물
L. E. Myers, "World's Greatest Runner"
http://www.la84found[...]
Journal of Sport History
1975-11-02
[5]
웹사이트
http://www.fitness.g[...]
[6]
웹사이트
World Athletics
https://worldathleti[...]
2023-08-02
[7]
웹사이트
World Athletics
https://worldathleti[...]
2023-08-02
[8]
웹사이트
800 m – Introduction
http://www.iaaf.org/[...]
2010-04-05
[9]
웹사이트
World Athletics
https://www.worldath[...]
2023-01-04
[10]
웹사이트
Progression of the Fastest 1200m Time En Route to 1500 or Mile
http://www.trackandf[...]
trackandfieldnews.com
2015-07-28
[11]
웹사이트
Diamond League 2024: Full list of disciplines and results for each World Athletics track and field top tier event
https://olympics.com[...]
[12]
웹사이트
Guide to Track Markings
http://www.trackinfo[...]
2023-01-04
[13]
논문
The Physiological Basis of Athletic Records
http://www.jstor.org[...]
[14]
웹사이트
JESSICA HULL SMASHES 2000M WORLD RECORD AT MONACO DIAMOND LEAGUE 2024
https://olympics.com[...]
[15]
웹사이트
Kentucky High School Athletic Association
https://khsaa.org/sp[...]
2023-01-04
[16]
웹사이트
Jakob Ingebrigtsen breaks 26-year-old world best performance over two miles
https://olympics.com[...]
2023-06-11
[17]
뉴스
陸上・ミドルディスタンスC 男子エリミネーションマイルの坂東、初体験種目「楽しめた」
https://www.kobe-np.[...]
神戸新聞
2022-03-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