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력측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력 측정은 중력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을 의미하며, 가속도 단위(m/s²) 또는 g-force(g)로 표현된다. 중력계는 중력을 측정하는 기기로, 상대 중력계와 절대 중력계로 나뉜다. 상대 중력계는 용수철의 길이 변화를 이용하며, 절대 중력계는 자유 낙하하는 시험 질량의 가속도를 측정한다. 중력계는 지구 내부의 밀도 변화, 지각 변동, 조석 현상 연구, 석유 및 광물 탐사, 지진학 연구 등에 활용되며, 위성을 이용한 중력 측정 기술도 발전하고 있다. 1936년 루시앙 라코스트와 아놀드 롬버그에 의해 현대식 중력계가 개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측정 - 측지학
측지학은 지구의 형상, 크기, 중력장 및 시간적 변화를 측정하고 연구하는 지구과학의 한 분야로,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현대에는 GPS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지구 역학적 현상 연구에 기여한다. - 측정 - 불확실성
불확실성이란 현재나 미래를 정확히 예측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하며, 확률을 알 수 없는 근본적인 불확실성도 존재하고,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위험과는 구별되며, 과학, 경제,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뤄지는 중요한 개념이다. - 중력 - 중력 가속도
중력 가속도는 물체가 중력에 의해 가속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자유 낙하하는 물체의 가속도와 같으며, 지구의 경우 자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인해 적도에서 가장 작고 극에서 가장 크게 나타난다. - 중력 - 만유인력의 법칙
만유인력의 법칙은 모든 질량을 가진 물체들이 서로를 끌어당기는 힘에 대한 법칙으로, 뉴턴은 질량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것을 제시했으며, 케플러의 행성 운동 법칙을 설명하고 뉴턴 역학의 기초가 되었으나, 일반 상대성 이론이 등장하면서 저중력 한계로 여겨진다.
중력측정 | |
---|---|
개요 | |
분야 | 물리학, 지구과학, 측지학 |
연구 대상 | 중력, 중력장 |
측정 도구 | 중력계, 가속도계 |
관련 개념 | 등가 원리, 지오이드 |
설명 | |
정의 | 중력 또는 중력장의 세기를 측정하는 것 |
활용 | 지구 내부 구조 연구 지하자원 탐사 지진 예측 인공위성 궤도 결정 |
측정 단위 | 갈 (Gal, cm/s²) 또는 밀리갈 (mGal, 0.001 cm/s²) |
측정 방법 | |
절대 중력 측정 | 자유 낙하 방식 탄성 중력계 |
상대 중력 측정 | 스프링 중력계 초전도 중력계 |
응용 분야 | |
지구과학 | 지각 구조 연구 맨틀 대류 연구 지오이드 결정 |
자원 탐사 | 석유 탐사 광물 자원 탐사 지하수 탐사 |
토목 공학 | 댐 건설 터널 건설 교량 건설 |
우주 탐사 | 인공위성 궤도 결정 행성 중력장 연구 |
역사 | |
초기 | 진자를 이용한 중력 측정 |
현대 | 정밀 중력계 개발 및 활용 |
2. 측정 단위
중력은 일반적으로 가속도 단위로 측정된다. SI 단위계에서 가속도의 표준 단위는 미터 매 초 제곱(m/s²)이다. 다른 단위로는 1 센티미터 매 초 제곱과 같은 cgs 갈(Gal)과 9.80665 m/s²과 같은 ''g''(gn)가 있다. gn의 값은 지구 표면에서 중력 가속도와 근사적으로 같도록 정의되어 있지만, 실제 가속도는 위치에 따라 약간씩 다르다.
중력계는 중력 가속도를 측정하는 기기이다. 일반 상대성 이론의 등가 원리에 따르면 중력의 효과와 가속도의 효과는 구별할 수 없으므로, 중력계는 특수 목적의 가속도계로 간주될 수 있다. 간단한 체중계 역시 중력계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일반적인 중력계는 용수철을 사용하여 물체를 당기는 중력에 대항하는 힘을 측정한다. 용수철의 길이 변화는 중력과 균형을 이루는 힘에 맞춰지며, 그 결과는 뉴턴과 같은 힘의 단위로 나타낼 수 있지만, 보통 갈(cm/s2) 단위로 표시된다.
3. 중력계의 종류와 원리
최초의 중력계는 지구 표면에서 일정한 하향 중력 가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특화된 수직 가속도계였다. 지구의 수직 중력은 표면에 따라 약 ±0.5% 정도 차이가 나며, 태양과 달의 상대적 위치 변화에 따라 특정 위치에서 약 ±1000 nm/s2 (나노미터/초 제곱) 정도 변한다.
대부분의 현대 중력계는 시험 질량을 지지하기 위해 특수 설계된 금속 또는 석영 영점 용수철을 사용한다. 이 용수철의 특별한 점은 용수철-질량 시스템의 공진 주기를 매우 길게(수천 초)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시험 질량이 대부분의 국부적인 진동 및 기계적 노이즈로부터 분리되어 중력계의 감도와 유용성을 높여준다. 석영 용수철과 금속 용수철은 서로 다른 장점을 가지는데, 석영 용수철은 자기장 및 전기장의 영향을 덜 받는 반면, 금속 용수철은 시간이 지나도 늘어짐(드리프트)이 적다. 시험 질량은 기밀 용기에 밀봉되어 바람이나 기압 변화로 인한 부력 변화를 막는다.
중력계의 해상도는 더 긴 시간에 걸쳐 측정값을 평균하여 높일 수 있다. 중력계의 기본적인 특성은 단일 측정의 정확도(단일 ''샘플'')와 샘플링 속도이다.
:
예를 들어:
:
정확도 외에도, 안정성은 중력 변화를 관찰할 수 있게 해주므로 중력계에 중요한 특성이다. 이러한 변화는 지구 내부의 질량 이동이나 측정 지점의 지각의 수직 이동 때문에 발생할 수 있다.
3. 1. 상대 중력계
상대 중력계는 서로 다른 위치 간의 중력 차이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대부분의 상대 중력계는 용수철의 길이 변화를 이용하여 중력의 힘을 측정한다. 용수철의 강도는 알려진 중력 가속도가 있는 위치에 기기를 배치하여 보정해야 한다.[6]
정밀한 측정을 위해 영점 용수철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영점 용수철은 후크의 법칙을 따르지 않고, 길이에 비례하는 힘을 가지며, 진동 주기가 길어 외부 진동과 소음의 영향을 줄인다.
초전도 중력계는 초전도 니오브 구체를 매우 안정적인 자기장에 매달아 작동하며, 매우 높은 감도(1 나노갈 수준)를 가진다.[7]
3. 2. 절대 중력계
절대 중력계는 진공 상태에서 시험 질량의 중력 가속도를 측정하여 절대 중력 값을 결정한다.[1] 시험 질량은 진공 챔버 내에서 자유 낙하하며, 그 위치는 레이저 간섭계로, 시간은 원자 시계로 정밀하게 측정한다.[16] 레이저 파장은 ±0.025 ppb, 시계는 ±0.03 ppb 수준으로 안정적이다. 잔류 공기 저항(진공에서도), 진동, 자기력 등 외부 교란 요인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세심한 주의를 기울인다.[16] 이러한 기기는 약 2 ppb (0.002 mGal) 수준의 정확도를 보인다.[16]
절대 중력계는 주로 상대 중력계를 보정하거나, 지각 변형을 모니터링하거나, 고정밀도 및 안정성이 요구되는 지구물리학 연구에 활용된다. 하지만, 절대 기기는 상대적인 스프링 중력계보다 크고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드물게 사용된다.
3. 3. 기타 중력계
MEMS 중력계는 저렴하고 소형화가 가능하여 센서 배열에 활용될 수 있다. 원자 중력계는 원자 집합을 이용하여 중력을 측정한다.
이동형 중력계는 선박, 항공기, 잠수함 등에 탑재하여 이동하면서 중력을 측정할 수 있으며, 관성 플랫폼을 사용하여 움직임과 진동의 영향을 보상한다.[16]
4. 중력계의 활용
중력계는 지구 내부의 밀도 변화, 지각 변동, 조석 현상 등을 연구하는 데 사용된다. 석유, 광물 탐사, 지진학, 측지학, 지구물리 탐사, 계측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2] 미세 중력 측정은 공동(空洞)의 위치 파악 및 모니터링 등 공학 지질학 분야에서 활용된다.[3]
항공기나 선박에 장착되는 특수 중력계는 움직임에서 발생하는 가속도를 분리하여 측정값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설계되었다. 이러한 기술은 항공 중력, 선박 중력 측정 등에 활용된다.[2]
아폴로 17호 임무 중 달 표면 중력계는 달 표면에 배치되었으나 설계 오류로 작동하지 않았다. 하지만, 같은 임무에 탑재된 달 탐사 중력계는 정상 작동하였다.[3]
5. 위성 중력 측정
현재 지구의 정적 및 시간 가변 중력장 매개변수는 GOCE, CHAMP, Swarm, GRACE 및 GRACE-FO와 같은 현대 위성 임무를 사용하여 결정된다.[13][14] 지구의 편평도 및 지구 중심 이동을 포함한 최저 차수 매개변수는 위성 레이저 거리 측정으로 가장 잘 결정된다.[15]
위성 중력 임무를 통해 대규모 중력 이상을 우주에서 감지할 수 있다(예: GOCE). 이러한 위성 임무는 지구의 상세한 중력장 모델 복구를 목표로 하며, 일반적으로 지구 중력 포텐셜의 구면 조화 함수 전개 형태로 제시되지만, 지오이드 요동 또는 중력 이상 지도와 같은 대안적 표현도 생성된다.
중력 회복 및 기후 실험(GRACE)은 지구 전체의 중력 변화를 감지하는 두 개의 위성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중력 이상 시간 변화로 나타낼 수 있다. 중력 회복 및 내부 연구소(GRAIL) 역시 달을 공전하는 두 개의 우주선으로 구성되었으며, 2015년 폐기되기 전 3년 동안 공전했다.
6. 역사
현대식 중력계는 1936년 루시앙 라코스트와 아놀드 롬버그가 개발했다.[1]
이들은 1965년 선박 탑재형 중력계, 심부 시추공용 내열 계측기, 경량 휴대용 계측기 등 대부분의 후속 개선 사항들을 발명했다.[1] 이들의 설계 대부분은 데이터 수집 및 데이터 처리 개선과 함께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1]
7. 한국의 중력 연구 (추가 제안)
(이전 출력이 비어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요약 정보가 제공되면 지침에 따라 위키텍스트를 작성하고, 필요한 경우 수정하겠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Micro-g LaCoste Absolute Gravimeters
http://microglacoste[...]
Micro-g LaCoste, Inc.
2012
[2]
서적
Gravity Interpretation: Fundamentals and Application of Gravity Inversion and Geological Interpreta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9
[3]
웹사이트
Seismic and Newtonian Noise in the GW Detectors
https://www.mdpi.com[...]
2024-12-16
[4]
웹사이트
Micro-g LaCoste, Inc
http://www.microglac[...]
2021-04-06
[5]
웹사이트
Miniaturized Gravimeter May Greatly Improve Measurements
http://www.agu.org/e[...]
1999-08-10
[6]
웹사이트
Professor Robert B. Laughlin, Department of Physics, Stanford University
http://large.stanfor[...]
2016-03-15
[7]
웹사이트
Operating Principles of the Superconducting Gravity Meter
http://www.gwrinstru[...]
gwrinstruments
2011
[8]
서적
Studies of earth dynamics with superconducting gravimeter
http://ethesis.helsi[...]
Academic Dissertation at the University of Helsinki, Geodetiska Institutet
2006
[9]
간행물
Measurement of the Earth tides with a MEMS gravimeter
2016
[10]
간행물
High-precision gravity measurements using atom interferometry
2001
[11]
간행물
Quantum sensing with nanoparticles for gravimetry: when bigger is better
2020-10-01
[12]
서적
Observation of the Earth System from Space
2006
[13]
간행물
SLR, GRACE and Swarm Gravity Field Determination and Combination
2019-04-22
[14]
간행물
Contributions of GRACE to understanding climate change
2019-05
[15]
간행물
Time variable Earth's gravity field from SLR satellites
2015-10
[16]
웹사이트
Micro-g LaCoste Absolute Gravimeters
http://microglacoste[...]
Micro-g LaCoste, Inc.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