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위 투표자 정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위 투표자 정리는 홀수 명의 유권자와 1차원 스펙트럼 상의 후보가 있을 때, 유권자가 자신과 가장 가까운 후보에게 투표하면 중위 투표자와 가장 가까운 후보가 승리한다는 이론이다. 이 정리는 콩도르세 기준을 충족하는 투표 방식에서 성립하며, 후보자가 2명인 경우 단순 다수결 투표가 적용된다. 중위 투표자 정리는 쟁점이 하나이고, 유권자의 선호가 단봉형이며, 근접성 투표를 한다는 조건 하에 성립한다. 이 정리는 정치인의 이념적 입장이 중위 투표자에게 수렴한다는 호텔링의 법칙으로 확장될 수 있지만, 현실 정치에서는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한계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리경제학 - 사회 선택 이론
    사회 선택 이론은 개인의 선호를 기반으로 집단적 의사결정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애로우의 일반 가능성 정리 등을 통해 집단적 의사결정의 복잡성과 한계를 드러내며 공정한 사회 시스템 설계의 어려움을 보여준다.
  • 수리경제학 - 사회적 선택과 개인의 가치
    사회적 선택과 개인의 가치는 개인의 선호와 사회적 선호, 그리고 애로의 불가능성 정리 등의 개념을 통해 집단 의사 결정 과정의 어려움을 설명하고, 한국 사회의 다양한 함의와 더 나은 사회적 선택을 위한 노력을 강조하는 사회적 선택 이론을 소개한다.
  • 공공선택론 - 압력 단체
    압력 단체는 특정 이해관계 증진을 목표로 정치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조직화된 집단으로, 선거 지지, 로비, 여론 형성 등의 활동을 통해 정책 결정 과정에 개입하며, 정치 공정성 훼손 비판과 사회적 요구 반영이라는 양면적 평가를 받는다.
  • 공공선택론 - 클럽재
    클럽재는 배제성은 있지만 비경합적인 재화로, 영화관, 케이블 TV, 저작권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며 제임스 M. 뷰캐넌의 클럽 이론을 통해 연구되었다.
  • 정치학 이론 - 경제고통지수
    경제고통지수는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율의 합으로 계산되어 국민들이 체감하는 경제적 어려움을 수치화한 지표이며, 직관적인 이해를 돕지만 경제의 복잡성을 완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고, 다양한 변형된 지표들이 존재하며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 정치학 이론 - 놀란 차트
    놀란 차트는 개인의 자유와 경제적 자유를 기준으로 정치적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표로, 자유지상주의, 좌파, 우파, 국가주의, 중도주의 다섯 영역으로 구분되어 정치적 입장을 다차원적으로 파악하는 데 사용되지만, 사회 정책과 경제 정책의 분리 가능성에 대한 비판도 있다.
중위 투표자 정리
개요
유형정치학 정리
분야공공 선택 이론, 후생경제학, 정치학
관련 개념애로우의 불가능성 정리, 깁바드-새터스웨이트 정리
설명단봉 선호도를 가진 유권자들의 집단적 선호는 중위 투표자의 선호와 일치한다.
역사적 맥락
최초 제안해럴드 호텔링 (1929년)
발전던컨 블랙 (1948년)
가정
유권자유권자는 정책에 대한 '단봉 선호'를 가진다.
정책 공간정책 공간은 단일 차원이다.
투표유권자는 전략적으로 투표하지 않는다.
정보완전 정보가 존재한다.
함의
정치적 결과경쟁하는 정치 후보는 유권자의 중간적 선호에 수렴하는 경향이 있다.
정책 결과선거 결과는 중위 투표자의 이상적인 정책과 일치하는 정책을 선택할 것이다.
비판
현실성실제 정책 결정은 종종 복잡하고 다차원적이다.
가정의 한계단봉 선호, 완전 정보 등의 가정은 현실에서 충족되기 어렵다.
전략적 투표유권자는 종종 전략적으로 투표하며, 이는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응용
정책 분석정책 결정 과정을 분석하고 예측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선거 전략선거 전략을 수립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정치 이론정치 현상을 설명하고 이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2. 중위 투표자 정리의 핵심 내용과 증명

후보 ''C''는 중앙값 유권자 M 에 가장 가깝다.


중위 투표자 정리는 1차원 선거에서 중위 투표자와 가장 가까운 후보가 콩도르세 승자가 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콩도르세 승자는 다른 모든 후보와의 일대일 대결에서 과반수의 지지를 얻는 후보를 의미한다.[7]

후보자와 유권자의 의견이 1차원 스펙트럼(예: 진보-보수 축)을 따라 분포하고, 유권자들이 자신과 가장 가까운 후보부터 순서대로 선호하는 '근접성' 투표를 한다고 가정한다. 이때, 중위 투표자 'M'과 가장 가까운 후보 'C'는 콩도르세 기준을 만족하는 모든 선거 방식에서 콩도르세 승자가 된다. 특히 후보자가 두 명뿐이라면 다수결 투표가 콩도르세 기준을 만족시킨다. 여러 후보가 있을 때도 다양한 콩도르세 방법들이 이 기준을 충족한다.[8]

증명을 간략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중위수 투표자를 '말레인'이라고 하고, 그녀에게 가장 가까운 후보 '찰스'가 그녀의 왼쪽에 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말레인을 포함하여 왼쪽에 있는 모든 유권자들(과반수)은 찰스를 오른쪽에 있는 모든 후보보다 선호한다. 마찬가지로, 말레인과 오른쪽에 있는 유권자들(역시 과반수)은 찰스를 왼쪽에 있는 모든 후보보다 선호하게 된다.

2. 1. 정리의 핵심 내용

홀수 명의 유권자가 있고 최소 두 명의 후보자가 있다고 가정한다. 유권자와 후보자의 의견은 1차원 스펙트럼(예: 진보-보수)을 따라 분포하고, 유권자는 자신과 가장 가까운 후보자부터 순서대로 선호하는 근접성 투표를 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중위 투표자와 가장 가까운 후보자가 선거에서 승리한다.

'''증명'''. 중위 투표자와 가장 가까운 후보자는 중위 투표자의 첫 번째 선호 투표를 받는다. 이 후보자가 유권자의 약간 좌측에 있다고 가정하면, 중위 투표자의 좌측에 있는 모든 유권자(유권자의 과반수)는 그 후보자를 오른쪽에 있는 모든 후보자보다 선호하고, 중위 투표자의 우측에 있는 모든 유권자는 왼쪽에 있는 모든 후보자보다 그 후보자를 선호한다.

콩도르세 기준은 유권자의 과반수가 다른 모든 후보보다 선호하는 후보자가 승자가 되도록 하는 모든 투표 방법에 의해 충족된다. 따라서 중위 투표자와 가장 가까운 후보자는 콩도르세 기준을 충족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된 모든 선거에서 승리한다.

결론적으로, 콩도르세 기준을 충족하는 모든 투표 방법에 따라 중간 투표자가 선호하는 후보자가 승자가 된다. 이진 결정의 경우 과반수 투표가 기준을 충족한다. 다자간 투표의 경우 여러 방법이 이를 충족한다(콩도르세 방법 참조).

1차원 공간 모델에서 항상 중앙값 유권자에 가장 가까운 후보를 선택하는 경우 투표 방법이 "1차원에서 중앙값 유권자 속성"을 갖는다고 말한다. 모든 콩도르세 방법은 1차원에서 중간 투표자 속성을 갖는다고 말하는 것으로 중간 투표자 정리를 요약할 수 있다.

콩도르세 방법만이 이 속성을 갖는 것은 아니다. 쿰스 방법은 콩도르세와 일치하지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차원에서 중간 유권자 속성을 충족한다.[23]

중위 투표자 정리는 1차원 선거에서 중위 투표자와 가장 가까운 후보가 ''다수 선호'' (''콩도르세'') 후보, 즉 유권자의 과반수가 다른 모든 후보보다 선호하는 후보라고 말한다.

'''증명 개요:''' 중위수 투표자를 말레인이라고 하자. 그녀와 가장 가까운 후보가 그녀의 첫 번째 선호 투표를 받게 된다. 이 후보가 찰스이고 그가 그녀의 왼쪽에 있다고 가정해 보자. 말레인과 그녀의 왼쪽에 있는 모든 유권자(정의에 따르면 유권자의 과반수)는 찰스를 그의 오른쪽에 있는 모든 후보보다 선호할 것이고, 말레인과 그녀의 오른쪽에 있는 모든 유권자(또한 과반수)는 찰스를 그의 왼쪽에 있는 모든 후보보다 선호할 것이다.

  • 선호도가 근접성 순으로 투표된다는 가정은 단순히 단봉 선호도라고 말하도록 완화될 수 있다.[7]
  • 의견이 실선 위에 있다는 가정은 더 일반적인 위상 공간을 허용하도록 완화될 수 있다.[8]
  • '''''공간 / 가치 모델:''''' 각 후보가 공간에서의 위치 외에 ''가치'' (매력)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고, 유권자 ''i''가 후보 ''j''의 순위를 ''vj'' – ''dij''의 감소 순으로 매긴다고 가정하자. 여기서 ''vj''는 ''j''의 가치이고 ''dij''는 ''i''에서 ''j''까지의 거리이다. 그러면 중위 투표자 정리는 여전히 적용된다. 콩도르세 방식은 중위 투표자가 투표한 후보를 선출한다.


투표 방식이 1차원 공간 모형 하에서 항상 중위 투표자에 가장 가까운 후보를 선택한다면, 해당 투표 방식은 "1차원에서의 중위 투표자 속성"을 갖는다고 말할 수 있다. 중위 투표자 정리는 모든 콩도르세 방법이 1차원에서 중위 투표자 속성을 가진다고 요약할 수 있다.

콩도르세 방법만이 이러한 속성을 갖는 것은 아니다. 쿰스 방법은 콩도르세 일관성은 없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1차원에서 중위 투표자 속성을 만족한다.[9] 승인 투표 역시 전략적 투표의 여러 모형 하에서 동일한 속성을 만족한다.

2. 2. 증명

홀수 명의 유권자와 최소 두 명의 후보자가 있고, 의견이 스펙트럼을 따라 분포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각 유권자는 자신에게 가장 가까운 후보자에게 첫 번째 선호를, 다음으로 가까운 후보자에게 두 번째 선호를 주는 방식으로 후보자의 순위를 매긴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중위 투표자가 존재하고, 그 또는 그녀와 가장 가까운 후보자가 선거에서 승리한다.

'''증명'''. 중위 투표자와 가장 가까운 후보자는 중위 투표자의 첫 번째 선호 투표를 받는다. 이 후보자가 유권자의 약간 좌측에 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중위 투표자의 좌측에 있는 모든 유권자(유권자의 과반수)는 그 후보자를 오른쪽에 있는 모든 후보자보다 선호하고, 중위 투표자의 우측에 있는 모든 유권자는 왼쪽에 있는 모든 후보자보다 그 후보자를 선호한다.

콩도르세 기준은 유권자의 과반수가 다른 모든 후보자보다 선호하는 후보자가 승자가 되도록 하는 모든 투표 방법에 의해 충족된다. 따라서 중위 투표자와 가장 가까운 후보자는 콩도르세 기준을 충족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된 모든 선거에서 승리한다.

따라서 콩도르세 기준을 충족하는 모든 투표 방법에 따라 중위 투표자가 선호하는 후보자가 승자가 된다. 이진 결정의 경우 과반수 투표가 기준을 충족한다. 다자간 투표의 경우 여러 방법이 이를 충족한다(콩도르세 방법 참조).

중위 투표자 정리는 1차원 선거에서 중위 투표자와 가장 가까운 후보자가 다수 선호(콩도르세) 후보, 즉 유권자의 과반수가 다른 모든 후보보다 선호하는 후보라고 말한다.

후보자와 유권자의 의견이 1차원 스펙트럼을 따라 분포하고 유권자가 후보자를 근접성 순으로 순위를 매기는 "1차원" 선거에서, 즉 유권자와 가장 가까운 후보자가 첫 번째 선호도를 받고, 그 다음으로 가까운 후보자가 두 번째 선호도를 받는 방식에서 중위 투표자 정리는 "C", 즉 중위 투표자 "M"과 가장 가까운 후보가 콩도르세 기준을 만족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실시된 모든 선거의 콩도르세 승자가 될 것이라고 말한다. 특히, 후보자가 두 명뿐일 때 다수결 시스템은 콩도르세 기준을 충족한다. 여러 후보가 있는 투표의 경우, 여러 방식이 이를 충족한다.

'''증명 개요:''' 중위수 투표자를 말레인이라고 하자. 그녀와 가장 가까운 후보가 그녀의 첫 번째 선호 투표를 받게 된다. 이 후보가 찰스이고 그가 그녀의 왼쪽에 있다고 가정해 보자. 말레인과 그녀의 왼쪽에 있는 모든 유권자(정의에 따르면 유권자의 과반수)는 찰스를 그의 오른쪽에 있는 모든 후보보다 선호할 것이고, 말레인과 그녀의 오른쪽에 있는 모든 유권자(또한 과반수)는 찰스를 그의 왼쪽에 있는 모든 후보보다 선호할 것이다.

  • 선호도가 근접성 순으로 투표된다는 가정은 단순히 단봉 선호도라고 말하도록 완화될 수 있다.[7]
  • 의견이 실선 위에 있다는 가정은 더 일반적인 위상 공간을 허용하도록 완화될 수 있다.[8]
  • '''''공간 / 가치 모델:''''' 각 후보자가 공간에서의 위치 외에 가치(매력)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고, 유권자 ''i''가 후보 ''j''의 순위를 ''vj'' – ''dij''의 감소 순으로 매긴다고 가정하자. 여기서 ''vj''는 ''j''의 가치이고 ''dij''는 ''i''에서 ''j''까지의 거리이다. 그러면 중위 투표자 정리는 여전히 적용된다. 콩도르세 방식은 중위 투표자가 투표한 후보를 선출한다.

2. 3. 콩도르세 기준



콩도르세 기준은 유권자의 과반수가 다른 모든 후보보다 선호하는 후보가 승자가 되어야 한다는 기준이다. 중위 투표자 정리는 콩도르세 기준을 충족하는 모든 투표 방법(예: 과반수 투표, 콩도르세 방법)에서 중위 투표자가 선호하는 후보자가 승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23]

1차원 선거에서 후보자와 유권자의 의견이 1차원 스펙트럼을 따라 분포하고, 유권자가 후보자를 근접성 순으로 순위를 매긴다고 가정한다. 즉, 유권자와 가장 가까운 후보가 첫 번째 선호도를 받고, 그 다음으로 가까운 후보가 두 번째 선호도를 받는 방식이다. 이때 중위 투표자 정리에서는 "C", 즉 중위 투표자 "M"과 가장 가까운 후보가 콩도르세 기준을 만족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실시된 모든 선거의 콩도르세 승자가 된다고 설명한다.

특히, 후보자가 두 명뿐일 때 다수결 시스템은 콩도르세 기준을 충족한다. 여러 후보가 있는 투표의 경우, 여러 방식이 이를 충족한다.

'''증명 개요:''' 중위수 투표자를 말레인이라고 하자. 그녀와 가장 가까운 후보가 그녀의 첫 번째 선호 투표를 받게 된다. 이 후보가 찰스이고 그가 그녀의 왼쪽에 있다고 가정해 보자. 말레인과 그녀의 왼쪽에 있는 모든 유권자(정의에 따르면 유권자의 과반수)는 찰스를 그의 오른쪽에 있는 모든 후보보다 선호할 것이고, 말레인과 그녀의 오른쪽에 있는 모든 유권자(또한 과반수)는 찰스를 그의 왼쪽에 있는 모든 후보보다 선호할 것이다.

투표 방식이 1차원 공간 모형 하에서 항상 중위 투표자에 가장 가까운 후보를 선택한다면, 해당 투표 방식은 "1차원에서의 중위 투표자 속성"을 갖는다고 말할 수 있다. 중위 투표자 정리는 모든 콩도르세 방법이 1차원에서 중위 투표자 속성을 가진다고 요약할 수 있다.

콩도르세 방법만이 이러한 속성을 갖는 것은 아니다. 쿰스 방법은 콩도르세 일관성은 없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1차원에서 중위 투표자 속성을 만족한다.[9]

3. 중위 투표자 정리의 가정 및 성립 조건

중위 투표자 정리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가정이 필요하다. 다수결 투표에서 항상 중위 투표자 정리가 성립하는 것은 아니며, 다음과 같은 조건이 만족되어야 한다.


  • 단일 쟁점(1차원): 투표의 쟁점이 하나여야 한다.[18]
  • 단봉형 선호(Single Peaked Preference): 각 투표자의 선호는 단봉형 선호여야 한다.[7]
  • 투표자 수: 일반적으로 투표자 수가 홀수여야 한다.[21]


이러한 가정 하에 중위 투표자 정리는 성립한다.

3. 1. 투표자의 수

이 정리는 유권자 수가 짝수일 때도 적용되지만 세부 사항은 동점을 해결하는 방법에 따라 달라진다.[21] 중위 투표자 정리는 투표자가 홀수임을 상정하고 있지만, 투표자가 짝수인 경우에도 성립한다. 단, 이 경우 투표자가 짝수이면 중위 투표자는 두 명이 존재하기 때문에 균형은 두 개가 존재하게 된다. 투표자가 홀수일 때는 중위 투표자는 한 명이며, 투표의 균형은 하나가 되어 단 하나의 결과로 결정된다. 따라서 투표자가 홀수라는 것이 중위 투표자 정리 성립의 조건으로 간주되는 경우도 있다.

3. 2. 단일 쟁점(1차원)

중위 투표자 정리는 유권자와 후보자의 선호가 1차원 스펙트럼 상에 배열될 수 있을 때, 즉 투표의 쟁점이 하나일 때 성립한다. 쟁점이 여러 개일 경우, 유권자들의 선호가 복잡해져 중위 투표자 정리가 성립하지 않을 수 있다.[18]

1차원 공간 모델에서 항상 중위(중앙값) 유권자에 가장 가까운 후보를 선택하는 투표 방법은 "1차원에서 중위(중앙값) 유권자 속성"을 갖는다고 한다. 모든 콩도르세 방법은 1차원에서 중위 투표자 속성을 갖는다고 요약할 수 있다. 쿰스 방법은 콩도르세와 일치하지 않지만, 1차원에서 중위 유권자 속성을 충족한다.[9] 승인 투표 역시 전략적 투표의 여러 모형 하에서 동일한 속성을 만족한다.

1차원 선거에서 중위 투표자 정리는 중위 투표자와 가장 가까운 후보가 다수 선호(콩도르세) 후보, 즉 유권자의 과반수가 다른 모든 후보보다 선호하는 후보라고 말한다. 후보자와 유권자의 의견이 1차원 스펙트럼을 따라 분포하고 유권자가 후보자를 근접성 순으로 순위를 매기는 "1차원" 선거에서, 중위 투표자 "M"과 가장 가까운 후보가 콩도르세 기준을 만족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실시된 모든 선거의 콩도르세 승자가 된다. 특히, 후보자가 두 명뿐일 때 다수결 시스템은 콩도르세 기준을 충족한다.

'''증명 개요:''' 중위 투표자를 말레인이라고 하자. 그녀와 가장 가까운 후보가 그녀의 첫 번째 선호 투표를 받게 된다. 이 후보가 찰스이고 그가 그녀의 왼쪽에 있다고 가정해 보자. 말레인과 그녀의 왼쪽에 있는 모든 유권자(정의에 따르면 유권자의 과반수)는 찰스를 그의 오른쪽에 있는 모든 후보보다 선호할 것이고, 말레인과 그녀의 오른쪽에 있는 모든 유권자(또한 과반수)는 찰스를 그의 왼쪽에 있는 모든 후보보다 선호할 것이다.

  • 선호도가 근접성 순으로 투표된다는 가정은 단봉 선호도라고 말하도록 완화될 수 있다.[7]
  • 의견이 실선 위에 있다는 가정은 더 일반적인 위상 공간을 허용하도록 완화될 수 있다.[8]
  • '''공간 / 가치 모델:''' 각 후보가 공간에서의 위치 외에 가치(매력)를 가지고, 유권자 ''i''가 후보 ''j''의 순위를 ''vj'' – ''dij''의 감소 순으로 매긴다고 가정하자.(여기서 ''vj''는 ''j''의 가치이고 ''dij''는 ''i''에서 ''j''까지의 거리이다.) 그러면 중위 투표자 정리는 여전히 적용된다. 콩도르세 방식은 중위 투표자가 투표한 후보를 선출한다.


블랙의 중위 투표자 정리는 각 개인의 최적점이 일직선으로 정렬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이는 투표 시 쟁점이 하나인 경우에 한정된다. 쟁점이 두 개 이상인 경우, 어떤 한 명의 투표자는 각각의 쟁점에 대해 서로 다른 선호를 가지므로 최적점을 직선상에 정렬할 수 없다.

이 가정 하에서 일반적으로 중위 투표자 정리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각 개인이 가진 선호는 '''단봉형 선호'''(단봉형 선호)여야 한다. 단봉형 선호란 세로축에 효용, 가로축에 선택지를 놓았을 때, 각 투표자의 순서 집합(엄밀히는 강순서)이 하나만 정점을 갖는 효용 함수에 의해 표현되는 선호이다. 즉, 각자에게 가장 바람직한 점인 최적점으로부터 차차 멀어질수록 각자의 효용은 단조롭게 감소한다.

3. 3. 단봉형 선호(Single Peaked Preference)

유권자의 선호는 단봉형 선호(single peaked preferences)여야 한다.[7] 단봉형 선호란 각 유권자에게 가장 이상적인 선택지(최적점)가 있고, 그 선택지에서 멀어질수록 효용이 감소하는 형태를 의미한다. 세로축에 효용, 가로축에 선택지를 놓았을 때, 각 투표자의 순서 집합(엄밀히는 강순서)이 하나의 정점만을 가지는 효용 함수로 표현되는 선호이다. 즉, 각자에게 가장 바람직한 점인 최적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각자의 효용은 단조롭게 감소한다.

3. 4. 근접성 투표



유권자들은 자신의 선호와 가장 가까운 후보에게 투표한다. 후보자와 유권자의 의견이 1차원 스펙트럼을 따라 분포하고 유권자가 후보자를 근접성 순으로 순위를 매기는 "1차원" 선거에서, 즉 유권자와 가장 가까운 후보가 첫 번째 선호도를 받고, 그 다음으로 가까운 후보가 두 번째 선호도를 받는 방식에서 중위 투표자 정리는 "C"(중위 투표자 "M"과 가장 가까운 후보)가 콩도르세 승자가 될 것이라고 말한다.[7]

3. 5. 추가적인 가정 완화


  • 선호도가 근접한 순서로 투표된다는 가정은 단봉 선호도라고 하는 것으로 완화될 수 있다.[7]
  • 의견이 1차원 스펙트럼 위에 있다는 가정은 더 일반적인 위상 공간을 허용하도록 완화될 수 있다.[8]

4. 중위 투표자 정리의 확장

중위 투표자 정리는 2차원 이상의 공간에서는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모든 가능한 유권자 분포에 대해 단일하고 고유한 "중위"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8] 예를 들어,

모든 방향에서 중위수가 없는 분포
그림과 같이 모든 방향에서 중위수가 없는 분포가 존재할 수 있다.

하지만, 특정한 조건에서는 중위 투표자 정리가 적용될 수 있다. 유권자 분포가 모든 방향에서 고유한 중앙값을 갖고, 유권자가 후보자를 근접한 순서대로 순위를 매길 때, 중위값에 가장 가까운 후보자가 과반수의 선호도를 얻어 당선된다.[12]

2차원에서 중위 투표자 정리
그림은 2차원에서 중위 투표자 정리가 성립하는 경우를 보여준다. 회색 원은 유권자 분포를 나타내고, M은 모든 방향에서의 중위값이다. A와 B 두 후보 중 A가 중위값에 더 가깝다면, A를 B보다 선호하는 유권자는 빨간색 실선 왼쪽에 있는 사람들이다. A가 B보다 M에 더 가깝기 때문에 중위값도 이 선의 왼쪽에 있다. M은 모든 방향의 중앙값이므로, 빨간색 실선에 수직인 파란색 화살표 방향의 1차원 중앙값과 일치한다. 따라서 파란색 화살표에 수직이고 M을 지나는 빨간색 점선을 그리면, 유권자의 절반이 이 선의 왼쪽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점선은 빨간색 실선의 왼쪽에 있으므로, 유권자의 절반 이상이 A를 B보다 선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에도 불구하고, 중위 투표자 정리는 모든 방향에서 동일한 단일 중위값을 갖는 가우시안 분포와 같이 회전 대칭인 분포에는 적용될 수 있다.[12]

모든 방향에서 중위값을 갖지 않는 유권자 분포는 쉽게 만들 수 있다. 가장 간단한 예는 직선 위에 있지 않은 세 점(1, 2, 3)으로 제한된 분포이다. 각 유권자 위치는 특정 1차원 투영 집합에서 중위값과 일치한다. 만약 A, B, C가 후보라면, '1'은 A-B-C, '2'는 B-C-A, '3'은 C-A-B로 투표하여 콘도르세 사이클을 만들 수 있다. 이는 McKelvey-Schofield 정리의 주제이다.

보조정리의 다이어그램


모든 방향의 중앙값이 존재할 때, 이는 콘도르세 투표 방법의 결과를 결정한다.[12] 동시에 기하 중앙값은 우선 순위 선거의 이상적인 승자로 식별될 수 있다. 따라서 둘 사이의 관계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이산 분포의 경우, 모든 방향의 중앙값이 존재하면 기하학적 중앙값과 일치한다.[13]

'''보조 정리''': 이산 분포가 모든 방향에서 중앙값 ''M''을 가질 때마다, ''M''에 위치하지 않은 데이터 포인트는 ''M''의 양쪽에 균형 잡힌 쌍(''A'', ''A' ')으로 와야 하며, ''A'' – ''M'' – ''A' '가 직선이라는 속성을 가져야 한다.

'''증명''': 이 결과는 1967년 찰스 플롯(Charles Plott)에 의해 증명되었다.[13] 여기서는 두 차원에서 모순에 의한 간단한 기하학적 증명을 제시한다.

반대로, 모든 방향에서 ''M''을 중앙값으로 가지지만, ''M''과 일치하지 않는 점이 균형 잡힌 쌍으로 나타나지 않는 점 집합 ''Ai''가 있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이 집합에서 ''M''에 있는 모든 점과 ''M''에 대한 모든 균형 잡힌 쌍을 제거할 수 있으며, ''M''이 어떤 방향에서도 중앙값임을 멈추지 않는다. 즉, ''M''은 모든 방향의 중앙값으로 유지된다.

남아 있는 점의 수가 홀수이면, ''M''을 통과하는 선을 쉽게 그릴 수 있어 다수의 점이 한쪽에 놓이게 되며, 이는 ''M''의 중앙값 속성에 모순된다.

만약 그 수가 짝수, 즉 2''n''이라고 가정하면, 임의의 점에서 시작하여 ''M'' 주위에서 시계 방향으로 점 ''A'' 0, ''A''1,...을 표시할 수 있다(다이어그램 참조). θ를 ''M'' – ''A'' 0에서 ''M'' – ''A'' ''n'' 까지의 호가 이루는 각도로 정의한다. 그러면, 그림과 같이 θ < 180°이면, ''M''을 통과하는 빨간색 점선과 유사한 선을 그릴 수 있으며, 이 선의 한쪽에 데이터 포인트가 다수 존재하여 다시 ''M''의 중앙값 속성에 모순된다. 반면에 θ > 180°이면 다른 쪽에 다수의 점이 있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θ = 180°이면 ''A'' 0과 ''A'' ''n''은 균형 잡힌 쌍을 이루어 또 다른 가정을 모순합니다.

'''정리''': 이산 분포가 모든 방향에서 중앙값 ''M''을 가질 때마다, 이는 기하학적 중앙값과 일치한다.

'''증명''': 임의의 점 ''P''에서 균형 잡힌 쌍(''A'', ''A' ')의 데이터 점까지의 거리의 합은 길이 ''A'' – ''P'' – ''A' '의 합이다. 이 형태의 각 개별 길이는 ''P''가 ''M''과 일치할 때와 같이 선이 직선일 때 ''P''에 대해 최소화된다. 마찬가지로, ''P''에서 ''M''에 위치한 모든 데이터 점까지의 거리의 합은 ''P''와 ''M''이 일치할 때 최소화된다. 따라서 데이터 점부터 ''P''까지의 거리의 합은 ''P''가 ''M''과 일치할 때 최소화된다.

4. 1. 다차원 공간으로의 확장

중위 투표자 정리는 2차원 이상의 공간에서는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모든 가능한 유권자 분포에 대해 단일하고 고유한 "중위"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8] 예를 들어, 그림과 같이 모든 방향에서 중위수가 없는 분포가 존재할 수 있다.

하지만, 특정한 조건에서는 중위 투표자 정리가 적용될 수 있다. 유권자 분포가 모든 방향에서 고유한 중앙값을 갖고 유권자가 근접한 순서로 후보자의 순위를 매길 때, 중위값에 가장 가까운 후보자가 모든 경쟁자보다 과반수 선호도를 가지며 선출된다.[12]

그림은 2차원에서 중위 투표자 정리가 성립하는 경우를 보여준다. 회색 원반은 원으로 균일하게 유권자 분포를 나타내고, M은 모든 방향에서 중위값이다. A와 B 두 후보 중 A가 중위값에 더 가깝다고 가정하면, A를 B보다 높게 순위를 매기는 유권자는 정확히 실선 빨간색 선의 왼쪽에 있는 유권자들이다. A가 B보다 M에 더 가깝기 때문에 중위값도 이 선의 왼쪽에 있다. M은 모든 방향의 중앙값이므로, 빨간색 실선에 수직인 파란색 화살표 방향에서는 1차원 중앙값과 일치한다. 따라서 파란색 화살표에 수직인 M을 지나는 빨간색 점선을 그리면 유권자의 절반이 이 선의 왼쪽에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 점선은 빨간색 실선의 왼쪽에 있으므로, 유권자의 절반 이상이 A를 B보다 높게 평가한다.

이러한 결과에도 불구하고, 중위 투표자 정리는 모든 방향에서 동일한 단일 중위값을 갖는 가우시안 분포와 같이 회전 대칭인 분포에는 적용될 수 있다.[12]

모든 방향에서 중위값을 갖지 않는 유권자 분포는 쉽게 구성할 수 있다. 가장 간단한 예는 직선 위에 있지 않은 세 점(1, 2, 3)으로 제한된 분포이다. 각 유권자 위치는 특정 1차원 투영 집합에서 중위값과 일치한다. A, B, C가 후보라면, '1'은 A-B-C, '2'는 B-C-A, '3'은 C-A-B로 투표하여 콘도르세 사이클을 만든다. 이는 McKelvey-Schofield 정리의 주제이다.

4. 2. 모든 방향의 중앙값과 기하 중앙값 간의 관계



모든 방향의 중앙값이 존재할 때, 이는 콘도르세 투표 방법의 결과를 결정한다.[12] 동시에 기하 중앙값은 우선 순위 선거의 이상적인 승자로 식별될 수 있다. 따라서 둘 사이의 관계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사실 모든 방향의 중앙값이 존재할 때마다(적어도 이산 분포의 경우) 기하학적 중앙값과 일치한다.[13]

'''보조 정리'''. 이산 분포가 모든 방향에서 중앙값 ''M''을 가질 때마다, ''M''에 위치하지 않은 데이터 포인트는 ''M''의 양쪽에 균형 잡힌 쌍(''A'', ''A' ')으로 와야 하며, ''A'' – ''M'' – ''A' '가 직선(즉, 다이어그램에서 ''A'' 0 – ''M'' – ''A'' 2와 같지 않음)이라는 속성을 가져야 한다.

'''증명'''. 이 결과는 1967년 찰스 플롯(Charles Plott)에 의해 대수적으로 증명되었다.[13] 여기서는 두 차원에서 모순에 의한 간단한 기하학적 증명을 제시한다.

반대로, 모든 방향에서 ''M''을 중앙값으로 가지지만, ''M''과 일치하지 않는 점이 균형 잡힌 쌍으로 나타나지 않는 점 집합 ''Ai''가 있다고 가정해 보자. 그러면 이 집합에서 ''M''에 있는 모든 점과 ''M''에 대한 모든 균형 잡힌 쌍을 제거할 수 있으며, ''M''이 어떤 방향에서도 중앙값임을 멈추지 않는다. 즉, ''M''은 모든 방향의 중앙값으로 유지된다.

남아 있는 점의 수가 홀수이면, ''M''을 통과하는 선을 쉽게 그릴 수 있어 다수의 점이 한쪽에 놓이게 되며, 이는 ''M''의 중앙값 속성에 모순된다.

만약 그 수가 짝수, 즉 2''n''이라고 가정하면, 임의의 점에서 시작하여 ''M'' 주위에서 시계 방향으로 점 ''A'' 0, ''A''1,...을 표시할 수 있다(다이어그램 참조). θ를 ''M'' – ''A'' 0에서 ''M'' – ''A'' ''n'' 까지의 호가 이루는 각도로 정의한다. 그러면, 그림과 같이 θ < 180°이면, ''M''을 통과하는 빨간색 점선과 유사한 선을 그릴 수 있으며, 이 선의 한쪽에 데이터 포인트가 다수 존재하여 다시 ''M''의 중앙값 속성에 모순된다. 반면에 θ > 180°이면 다른 쪽에 다수의 점이 있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θ = 180°이면 ''A'' 0과 ''A'' ''n''은 균형 잡힌 쌍을 이루어 또 다른 가정을 모순합니다.

'''정리'''. 이산 분포가 모든 방향에서 중앙값 ''M''을 가질 때마다, 이는 기하학적 중앙값과 일치한다.

'''증명'''. 임의의 점 ''P''에서 균형 잡힌 쌍(''A'', ''A' ')의 데이터 점까지의 거리의 합은 길이 ''A'' – ''P'' – ''A' '의 합이다. 이 형태의 각 개별 길이는 ''P''가 ''M''과 일치할 때와 같이 선이 직선일 때 ''P''에 대해 최소화된다. 마찬가지로, ''P''에서 ''M''에 위치한 모든 데이터 점까지의 거리의 합은 ''P''와 ''M''이 일치할 때 최소화된다. 따라서 데이터 점부터 ''P''까지의 거리의 합은 ''P''가 ''M''과 일치할 때 최소화된다.

5. 중위 투표자 정리의 응용

이 정리는 특정 투표 제도의 최적성(및 최적성의 한계)을 밝힌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12] 발레리오 도티는 이 정리가 정치경제학 문헌에서 매우 인기가 있다고 언급하며, 그 이유로 정치 과정의 다른 특징들을 배제하고 투표 인구의 일부 특성과 정책 결과 간의 관계에 대한 검증 가능한 함의를 도출하는 데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을 들었다.[12]

중위 투표자 정리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질문에 적용되어 왔다.


  • 소득 불평등과 재분배 정책에서 정부 개입 규모 간의 관계 분석 (Meltzer and Richard, 1981)[15]
  • 이민 정책의 결정 요인 연구 (Razin and Sadka, 1999)[16]
  • 다양한 유형의 소득에 대한 과세 범위 연구 (Bassetto and Benhabib, 2006)[17]


앤서니 다운스는 1957년에 중위 투표자 정리를 정치 영역에 적용했다.[22]

5. 1. 다운즈 모델(Downsian Model)

앤서니 다운스는 1957년 중위 투표자 정리를 정치 영역에 적용했다.[22] 이와 관련된 내용은 해럴드 호텔링이 '최소 차별화 원리'(일명 '호텔링의 법칙')에서 다루었다. 이 법칙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성립한다.

# 후보자가 선거에서 이기려는 의도로만 이념적 입장을 선택하고 (실제 신념에 기반하지 않고),

# 중간 투표자 정리의 다른 모든 기준이 충족되고 (즉, 유권자가 이념적 거리에 따라 후보자를 평가),

# 투표 시스템이 중간 투표자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위의 조건이 충족될 경우 모든 정치인은 중간 투표자에게 수렴할 것이다. 특히, 이 법칙은 경쟁 후보가 정확히 두 명이고, 더 많은 후보가 참여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드문 상황에 적용된다. 두 대안 간의 단순 과반수 투표가 콩도르세 기준을 충족하기 때문이다.

이 정리는 1929년 호텔링에 의해 처음 설명되었다.[4] 하지만 현대 미국의 선거에서는 이러한 조건 중 어느 것도 충족되지 않는다. 호텔링 시대에는 이러한 조건이 충족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가장 중요한 점은, 정치인은 주요 정당의 지명자로 선택되기 위해 종종 도전자나 경쟁자를 포함하는 당내 경선에서 이겨야 한다는 것이다. 그 결과, 정치인은 예비 선거 및 본선에서 중간 투표자에게 어필하는 것 사이에서 타협해야 한다. 선거 제도가 중간 투표자 정리를 충족하지 않는 경우(예: 단순 다수결 투표, 결선 투표, 순위 결선 투표 (RCV))에도 후보자가 중간 투표자에게 수렴하지 않는 유사한 효과가 나타난다.[5][14]

5. 2. 호텔링의 법칙(Hotelling's Law)

호텔링의 법칙으로도 알려진 해롤드 호텔링의 '최소 미분 원칙'은 정치인들이 중위 투표자가 선호하는 위치로 수렴하는 경향을 설명한다. 이 법칙은 1929년 호텔링에 의해 처음 제시되었다.[24]

호텔링은 경제학적 관점에서 정치인들의 행동을 분석했다. 그는 특정 상품을 판매하는 상점들이 종종 같은 지역에 모이는 현상을 정당들이 유사한 정책으로 수렴하는 현상과 연결 지었다. 이는 시장 점유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합리적인 전략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발생한다.

# 후보자가 선거 승리만을 목표로 이념적 입장을 선택한다.

# 유권자가 이념적 거리에 따라 후보자를 평가하는 등 중위 투표자 정리의 다른 모든 기준이 충족된다.

# 투표 시스템이 중간 투표자 기준을 충족한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 모든 정치인은 중간 투표자에게 수렴할 것이다. 특히, 두 명의 후보만 경쟁하는 상황에서 이 법칙이 잘 적용된다. 이는 두 대안 간의 단순 과반수 투표가 콩도르세 기준을 만족시키기 때문이다.

1929년 호텔링에 의해 처음 설명된 이 법칙은,[4] 현대 미국의 선거에서는 항상 충족되지는 않지만, 호텔링 시대에는 충족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당시에는 이념적으로 다양한 정당의 비공개 당원 집회에서 대중에게 알려지지 않은 후보를 지명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현대 정치에서는 정치인들이 주요 정당의 후보로 지명되기 위해 당내 경선을 거쳐야 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정치인들은 예비 선거와 본선에서 중간 투표자에게 어필하는 것 사이에서 균형을 맞춰야 한다. 또한, 선거 제도가 중간 투표자 정리를 충족하지 않는 경우(예: 단순 다수결 투표, 결선 투표, 순위 결선 투표 (RCV))에는 후보자가 중간 투표자에게 수렴하지 않을 수 있다.[5][14]

6. 중위 투표자 정리의 한계와 비판

공간 모형이 1차원을 넘어서면, 모든 유권자 분포에 대해 단일하고 고유한 "중위"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중위 투표자 정리는 일반적으로 적용되기 어렵다. 그러나 몇 가지 제한적인 조건에서는 유사한 정리가 성립할 수 있다.

콘도르세 승자가 사회적으로 최적의 후보가 아닌 도메인의 Saari의 예시.


순위투표수
A-B-C30
B-A-C29
C-A-B10
B-C-A10
A-C-B1
C-B-A1



유권자 수
A > B41:40
A > C60:21
B > C69:12
합계81



위 표는 콩도르세 후작이 제시한 선거 예시이다. 콩도르세 후작은 이 예시를 통해 보르다 점수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했다.[10] 왼쪽 표에서 콘도르세 승자는 A인데, A는 B보다 41:40으로, C보다 60:21로 선호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보르다 승자는 B이다. 도널드 사아리는 2차원에서 보르다 점수가 (콘도르세 승자가 아닌) 기하학적 중앙값에 의해 결정된 중심에 가장 가까운 후보를 올바르게 식별하는 예시를 제시했다.[11]

위 그림은 유권자와 후보자의 가능한 구성을 보여주는데, 유권자는 단위 원의 원주 위에 위치한다. 이 경우, A의 평균 절대 편차는 1.15km2이고, B의 편차는 1.09km2, C의 편차는 1.7km2이므로 B가 공간적 승자가 된다.

이처럼 선거는 두 가지 다른 공간적 표현이 서로 다른 최적의 승자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모호성을 띤다. 이는 공간 모형에 대한 중위 지표를 채택함으로써 피하고자 했던 모호함이다. 중위 지표는 1차원에서는 그 목적을 달성하지만, 그 속성은 더 높은 차원으로 완전히 일반화되지 않는다.

6. 1. 현실 정치와의 괴리

중위 투표자 정리는 한 차원 이상의 공간 모형에서는 완전히 일반화될 수 없다. 모든 가능한 유권자 분포에 대해 단일하고 고유한 "중위"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몇 가지 제한적인 조건 하에서는 유사한 정리를 증명하는 것이 여전히 가능하다.

순위투표수
A-B-C30
B-A-C29
C-A-B10
B-C-A10
A-C-B1
C-B-A1



유권자 수
A > B41:40
A > C60:21
B > C69:12
합계81



위 표는 콩도르세 후작이 제시한 선거의 예시이다. 그는 이 예시가 보르다 점수에 문제가 있음을 보여준다고 결론지었다.[10] 왼쪽 표에서 콘돌세 승자는 A인데, A는 B보다 41:40으로, C보다 60:21로 선호된다. 보르다 승자는 B이다. 그러나 도널드 사아리는 2차원에서 보르다 점수가 (콘돌세 승자가 아닌) 기하학적 중앙값에 의해 결정된 중심에 가장 가까운 후보를 올바르게 식별하는 예시를 구성한다.[11]

위 그림은 유권자와 후보자의 가능한 구성을 보여주며, 유권자는 단위 원의 원주 위에 위치한다. 이 경우, A의 평균 절대 편차는 1.15km2이고, B의 편차는 1.09km2, C의 편차는 1.7km2이므로 B가 공간적 승자가 된다.

따라서 선거는 두 가지 다른 공간적 표현이 두 가지 다른 최적의 승자를 암시한다는 점에서 모호하다. 이것이 바로 공간 모형에 대한 중위 지표를 채택하여 이전에 피하고자 했던 모호성이지만, 중위 지표는 1차원에서는 그 목적을 달성하지만, 그 속성은 더 높은 차원으로 완전히 일반화되지 않는다.

6. 2. 맥켈비-쇼필드 혼돈 정리(McKelvey–Schofield chaos theorem)

공간 모형이 한 차원 이상으로 확장되면, 모든 유권자 분포에 대해 단일하고 고유한 "중위"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중위 투표자 정리는 완전히 일반화될 수 없다. 그러나 몇 가지 제한적인 조건 하에서는 유사한 정리를 증명할 수 있다.

순위투표수
A-B-C30
B-A-C29
C-A-B10
B-C-A10
A-C-B1
C-B-A1



유권자 수
A > B41:40
A > C60:21
B > C69:12
합계81



위 표는 콩도르세 후작이 제시한 선거 예시를 보여준다. 콩도르세 후작은 이 예시를 통해 보르다 점수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했다.[10] 왼쪽 표에서 콘도르세 승자는 A인데, A는 B보다 41:40으로, C보다 60:21로 선호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보르다 승자는 B이다. 도널드 사아리는 2차원에서 보르다 점수가 (콘도르세 승자가 아닌) 기하학적 중앙값에 의해 결정된 중심에 가장 가까운 후보를 올바르게 식별하는 예시를 제시했다.[11]

위 그림은 유권자와 후보자의 가능한 구성을 보여주는데, 유권자는 단위 원의 원주 위에 위치한다. 이 경우, A의 평균 절대 편차는 1.15이고, B의 편차는 1.09 (C의 편차는 1.70)이므로 B가 공간적 승자가 된다.

따라서 선거는 두 가지 다른 공간적 표현이 두 가지 다른 최적의 승자를 암시한다는 점에서 모호하다. 이는 공간 모형에 대한 중위 지표를 채택하여 이전에는 피하고자 했던 모호성이지만, 중위 지표는 1차원에서는 그 목적을 달성하지만, 그 속성은 더 높은 차원으로 완전히 일반화되지 않는다.

참조

[1] 학술지 On the Rationale of Group Decision-making https://www.journals[...] 1948-02-01
[2] 서적 An Economic Theory of Democracy 1957
[3] 서적 Public Sector Economics: The Role of Government in the American Economy https://books.google[...] Pearson Education
[4] 학술지 Stability in Competition
[5] 학술지 A Theory of Voting Equilibria https://www.cambridg[...] 1993-03
[6] 학술지 Australia: No party convergence where we would most expect it http://journals.sage[...] 2023-07-21
[7] 문서 See Black's paper.
[8] 문서 Condorcet winners on median spaces 2014
[9] 문서 If you like the alternative vote (a.k.a. the instant runoff), then you ought to know about the Coombs rule 2004
[10] 문서 Numbers Rule 2010
[11] 웹사이트 Voting Methods 2019
[12] 학위논문 Multidimensional Voting Models https://discovery.uc[...] 2016
[13] 문서 A Notion of Equilibrium and its Possibility Under Majority Rule 1967
[14] 학술지 Implications of strategic position choices by candidates https://doi.org/10.1[...] 2023-09-01
[15] 문서 A Rational Theory of the Size of Government 1981
[16] 문서 Migration and Pension with International Capital Mobility 1999
[17] 문서 Redistribution, Taxes, and the Median Voter 2006
[18] 문서
[19] 문서 On the Rationale of Group Decision-making 1948
[20] 서적 Public Sector Economics: The Role of Government in the American Economy https://books.google[...]
[21] 문서 See Black's paper.
[22] 서적 An Economic Theory of Democracy 1957
[23] 문서 If you like the alternative vote (a.k.a. the instant runoff), then you ought to know about the Coombs rule 2004
[24] 저널 Stability in Competi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