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링의 법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텔링의 법칙은 경쟁하는 두 상점이 고객 점유율을 최대화하기 위해 위치를 결정하는 경제학 이론이다. 이 법칙은 고객이 균등하게 분포된 거리에서 두 상점이 동일한 제품을 판매할 경우, 상점들이 중간 지점에 위치하려는 경향을 예측한다. 현실에서는 음식 판매대, 대형 체인점, 정치적 정책 등 다양한 상황에서 관찰되며, 기업의 이윤 추구와 사회적 후생 사이의 불일치를 보여준다. 하지만, 소비자의 소득 수준, 가격, 품질과 같은 요소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호텔링의 법칙 | |
---|---|
일반 정보 | |
![]() | |
유형 | 경제 모형 |
분야 | 산업조직론 수리경제학 |
이름 붙여짐 | 해럴드 호텔링 |
개발 연도 | 1929년 |
호텔링의 법칙 | |
설명 | 호텔링의 법칙은 다른 모든 것이 동일하다면, 기업이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가능한 한 서로 가까이 위치하려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것은 차별화되지 않은 제품을 판매하는 공급업체의 경우 특히 그렇다. |
예시 | 해변에 아이스크림을 파는 두 상인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해변에 아이스크림을 사러 온 사람들의 분포는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 두 상인 모두 해변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그들의 이윤을 극대화하는 방법이다. 이런 식으로 최대한 많은 사람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
2. 호텔링의 법칙
두 개의 경쟁 상점이 남북으로 뻗은 거리에 위치해 있으며, 고객들이 거리에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두 상점 주인 모두 고객의 시장 점유율을 가장 많이 얻을 수 있는 위치에 자신의 상점을 두고 싶어 한다. 두 상점이 동일한 가격으로 동일한 범위의 상품을 판매한다면, 상점의 위치 자체가 '제품'이 된다. 각 고객은 더 멀리 이동하는 것은 불리하기 때문에 항상 더 가까운 상점을 선택할 것이다.
2. 1. 기본 원리
두 개의 경쟁 상점이 남북으로 뻗은 거리에 위치해 있으며, 고객들이 거리에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두 상점 주인 모두 고객의 시장 점유율을 가장 많이 얻을 수 있는 위치에 자신의 상점을 두고 싶어 한다. 두 상점이 동일한 가격으로 동일한 범위의 상품을 판매한다면, 상점의 위치 자체가 '제품'이 된다. 각 고객은 더 멀리 이동하는 것은 불리하기 때문에 항상 더 가까운 상점을 선택할 것이다.2. 2. 가정
2. 3. 다양한 상황
단일 상점의 경우, 최적의 위치는 거리의 어느 곳이든 될 수 있다. 상점 주인은 모든 고객을 끌어들일 수 있으므로 위치에 무관심하다. 그러나 사회 후생 함수의 관점에서 최적 지점은 거리의 중간 지점이다.두 개의 상점이 있는 경우, 호텔링의 법칙은 두 상점 모두 동일한 중간 지점에 나란히 위치하게 될 것이라고 예측한다. 각 상점은 시장의 절반, 즉 하나는 북쪽, 다른 하나는 남쪽의 모든 고객을 끌어들일 것이다.
해변 양쪽 끝에 있는 두 개의 이동식 음식 판매대를 예로 들 수 있다. 해변에 소비자가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다면, 각 판매대는 보이지 않는 선에 의해 절반으로 나뉜 고객의 절반을 얻는다. 각 판매대 주인은 다른 쪽으로 약간 밀어 보이지 않는 선을 움직여 자신의 영역을 넓히려 할 것이다. 결국, 판매대 운영자는 해변 중앙에서 서로 옆에 위치하게 된다.

세 개의 판매대가 있는 경우, 불안정한 평형 상태에 도달한다. 판매대 A와 B가 인접해 있고 각각 잠재 고객의 절반(A는 왼쪽, B는 오른쪽)에 접근할 수 있다고 가정할 때, 새로운 판매대 C는 B의 오른쪽에 위치하여 B의 고객 접근을 막을 수 있다. 그러면 B는 C의 오른쪽에 위치하여 C의 고객을 막고, 이 주기는 계속된다. 판매대는 위치 경쟁에도 불구하고 호텔링의 법칙을 따르며 거리 중앙 근처에 모인다.
선형 도로와 달리 원형 경로의 경우, 두 개의 판매대 A와 B는 경로를 따라 어디든 위치할 수 있으며 고객을 균등하게 공유할 수 있다. 그러나 세 번째 판매대를 도입하면 다시 불안정한 평형 상태가 되어, 세 판매대 모두 위치를 놓고 다투면서 원의 어딘가에 군집하게 된다.
3. 현실에서의 적용 및 사례
맥도날드와 버거킹,[6] 필리핀의 맥도날드와 졸리비, 타겟과 월마트, 로우스와 홈디포, CVS와 월그린,[7] 홀 푸드 마켓과 트레이더조스와 같이 대형 체인을 포함한 실생활에서 호텔링의 법칙 현상은 관찰이 가능하다.[8] 거리는 제품 차별화에 대한 은유이며, 거리의 특정한 경우, 상점들은 위치로 서로 차별화된다. 이 예는 단맛, 색상 또는 크기와 같은 거의 모든 제품 특성에서 다른 모든 유형의 수평적 제품 차별화로 일반화될 수 있다. 두 상점이 나란히 있는 위의 경우는 서로 동일한 제품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 현상은 많은 시장, 특히 주로 원자재로 간주되는 시장에서 나타나며 소비자에게 더 적은 다양성을 초래한다.
이 현상은 실제 생활에서도 관찰될 수 있는데, 술집, 식당, 주유소와 같은 상품 사업체뿐만 아니라 대규모 브랜드 체인점들도 경쟁사와 가깝게 위치해 있다.[5]
인도네시아의 알파마트와 인도마렛도 호텔링의 법칙의 사례로 볼수 있다.
대한민국에서도 호텔링의 법칙과 유사한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 특히 대형 체인점들이 경쟁사와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맥도날드와 롯데리아는 대한민국 내에서도 서로 인접한 위치에 매장을 두는 경우가 흔하며, 올리브영과 롭스, 랄라블라 같은 드럭스토어 체인점들도 경쟁적으로 가까운 거리에 입점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현상은 비단 패스트푸드점이나 드럭스토어뿐만 아니라, 편의점, 카페, 제과점 등 다양한 업종에서 나타난다.
3. 1. 유통 산업
대형 체인점들이 경쟁적으로 유사한 위치에 입점하는 현상은 실생활에서 흔히 관찰된다.[8] 맥도날드와 버거킹,[6] 필리핀의 맥도날드와 졸리비, 타겟과 월마트, 로우스와 홈디포, CVS와 월그린[7], 홀 푸드 마켓과 트레이더조스 등이 그 예시이다.[5]3. 2.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도 호텔링의 법칙과 유사한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 특히 대형 체인점들이 경쟁사와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다.[8][5] 예를 들어, 맥도날드와 버거킹은 대한민국 내에서도 서로 인접한 위치에 매장을 두는 경우가 흔하다.[6] 이러한 현상은 비단 패스트푸드점뿐만 아니라 다양한 업종에서 나타난다.4. 사회적 최적과의 비교
호텔링의 법칙에 따르면, 기업들은 서로 최대한 가까이 위치하거나 유사한 제품을 출시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하지만 이러한 선택은 사회 전체의 후생 측면에서 최적이 아닐 수 있다.
사회적 후생을 극대화하려면 기업들이 서로 떨어져 위치하여 소비자들의 이동 거리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점들이 거리 양 끝에서 4분의 1 지점으로 이동하면 각 상점은 여전히 고객의 절반을 유치하지만, 고객들은 평균적으로 더 짧은 거리를 이동하게 된다. 하지만, 시장에서 어느 상점도 독립적으로 이렇게 하려고 하지 않을 것인데, 그렇게 하면 다른 상점이 재배치하여 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한국의 경제 현실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는데, 특정 지역에 특정 업종이 몰리는 현상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이러한 현상은 단기적으로는 기업들에게 이익이 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소비자들의 선택권을 제한하고 경쟁을 저해하여 사회 전체의 후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4. 1. 사회적 후생
사회적 후생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기업들이 서로 떨어져 위치하여 소비자들의 이동 거리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점들이 거리 양 끝에서 4분의 1 지점으로 이동하면 각 상점은 여전히 고객의 절반을 유치하지만, 고객들은 평균적으로 더 짧은 거리를 이동하게 된다. 하지만, 어느 상점도 독립적으로 이렇게 하려고 하지 않을 것인데, 그렇게 하면 다른 상점이 재배치하여 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4. 2. 기업의 이윤 추구
5. 정치에서의 적용
민주주의 사회, 특히 미국의 양당제에서 정당들은 자신들의 후보에게 할당된 득표율을 최대화하려 한다.[3] 이론적으로 이것은 정당들이 중간 유권자의 선호에 맞춰 자신들의 정책 플랫폼을 조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비교 중간점 모델은 이러한 아이디어를 가장 잘 나타내는데, 양 정당 모두 자신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경쟁 정당의 정책 플랫폼에 최대한 근접하려 할 것이다.[3] 그러나 당내 경선은 이러한 역학 관계를 복잡하게 만들 수 있으며, 안정적인 지점을 찾기 어렵게 만들 수 있다.[4]
5. 1. 중도 수렴 현상
민주주의 사회, 특히 미국의 양당제에서 정당들은 자신들의 후보에게 할당된 득표율을 최대화하려 한다.[3] 이론적으로 이것은 정당들이 중간 유권자의 선호에 맞춰 자신들의 정책 플랫폼을 조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비교 중간점 모델은 이러한 아이디어를 가장 잘 나타내는데, 양 정당 모두 자신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경쟁 정당의 정책 플랫폼에 최대한 근접하려 할 것이다.[3] 그러나 당내 경선은 이러한 역학 관계를 복잡하게 만들 수 있으며, 안정적인 지점을 찾기 어렵게 만들 수 있다.[4]5. 2. 비판적 시각
민주주의 사회에서, 특히 미국의 양당제와 같은 환경에서는 정당들이 득표율을 최대화하기 위해 노력한다.[3] 이론적으로는 각 정당이 중간 유권자의 선호에 맞춰 정책 플랫폼을 조정해야 한다. 비교 중간점 모델은 이러한 현상을 잘 보여주는데, 양 정당이 자신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도 상대 정당의 정책에 최대한 근접하려 하는 것이다.[3] 그러나 당내 경선은 이러한 역학 관계를 복잡하게 만들어 안정적인 지점을 찾기 어렵게 할 수 있다.[4]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 볼 때, 이러한 중도 수렴 현상은 정당 간의 정책 차별성을 약화시키고, 유권자들의 선택권을 제한할 수 있다는 비판적인 시각이 있을 수 있다.
6. 한계 및 비판
거리를 따라, 또는 가능한 서로 다른 제품 위치의 범위에 있는 사람들이 최소한의 상품 이상을 소비할 때 (즉, 가처분 소득이 있을 때), 기업은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소비자가 존재하는 구역에 제품을 배치할 수 있다. 이는 기업이 종종 거리의 서로 다른 구역에 위치하여 틈새 시장을 점유하는 것을 의미한다.[2] 가격이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기업은 고객을 확보하기 위해 가격을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업은 서로 경쟁을 덜 하기 위해 최대한 멀리 떨어져 차별화하는 것이 최선의 이익이다.[2]
호텔링의 법칙은 몇 가지 가정을 기반으로 하는데, 이러한 가정이 현실과 부합하지 않을 수 있다.[2] 소비자들이 가처분 소득을 가지고 최소한의 상품 이상을 소비할 때, 기업은 이윤 극대화를 위해 소비자가 있는 곳에 제품을 배치할 수 있다. 이는 기업들이 거리의 서로 다른 구역에 위치하여 틈새 시장을 점유하는 결과로 이어지기도 한다.[2]
그러나 실제로는 소비자들이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지 않거나, 가격, 품질 등 다른 요소를 고려할 수 있다. 가격이 고정되지 않은 경우, 기업은 고객 확보를 위해 가격을 조정할 수 있으며, 서로 경쟁을 줄이기 위해 최대한 멀리 떨어져 제품을 차별화하는 전략을 선택하기도 한다.[2]
6. 1. 가정의 비현실성
호텔링의 법칙은 몇 가지 가정을 기반으로 하는데, 이러한 가정이 현실과 부합하지 않을 수 있다.[2] 소비자들이 가처분 소득을 가지고 최소한의 상품 이상을 소비할 때, 기업은 이윤 극대화를 위해 소비자가 있는 곳에 제품을 배치할 수 있다. 이는 기업들이 거리의 서로 다른 구역에 위치하여 틈새 시장을 점유하는 결과로 이어지기도 한다.[2]그러나 실제로는 소비자들이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지 않거나, 가격, 품질 등 다른 요소를 고려할 수 있다. 가격이 고정되지 않은 경우, 기업은 고객 확보를 위해 가격을 조정할 수 있으며, 서로 경쟁을 줄이기 위해 최대한 멀리 떨어져 제품을 차별화하는 전략을 선택하기도 한다.[2]
6. 2. 제품 차별화
기업은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소비자가 존재하는 구역에 제품을 배치할 수 있다.[2] 이는 기업이 종종 거리의 서로 다른 구역에 위치하여 틈새 시장을 점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가격이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기업은 고객을 확보하기 위해 가격을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업은 서로 경쟁을 덜 하기 위해 최대한 멀리 떨어져 차별화하는 것이 최선의 이익이다.[2] 가처분 소득이 있는 소비자들이 최소한의 상품 이상을 소비할 때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다.참조
[1]
논문
Stability in Competition
http://people.bath.a[...]
2014-10-20
[2]
논문
On Hotelling's "Stability in Competition"
https://ideas.repec.[...]
1979
[3]
논문
Primary Election Systems and Candidate Deviation
2004
[4]
웹사이트
A Hotelling-Downs framework for party nominees
https://ora.ox.ac.uk[...]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2021
[5]
웹사이트
Why Do Certain Retail Stores Cluster Together?
http://www.planetize[...]
[6]
웹사이트
Why are McDonald's and Burger King usually located near each other? Fast food location game theory
https://mindyourdeci[...]
[7]
뉴스
Nation's biggest pharmacies sidle right up to each other
http://www.startribu[...]
[8]
웹사이트
Why Do Certain Retail Stores Cluster Together?
http://www.planetiz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