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달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달수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 군인, 정치인이다. 아버지 지청천을 따라 중국에서 항일 독립운동에 참여하여 대한독립군 하사로 활동했으며, 한국광복군에서 경리, 구대장 등을 역임했다. 광복 후에는 미군정청에서 근무하고,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대한국민당, 민주국민당 등에서 활동했다.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받았으며, 1969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청천 - 이준식 (교육인)
이준식은 연세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여러 대학에서 교수를 역임했으며, 대한민국민족근현대사기념관 관장, 통일부 공보관, 독립기념관 관장 등을 지낸 대한민국의 교육인이다. - 대한국민당 (1948년) 당원 - 윤치영
윤치영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서 활동하며 이승만, 박정희 정부에서 요직을 역임하고 제헌 국회의원, 초대 내무부 장관, 주프랑스 공사, 서울특별시장, 국회의장 등을 지냈으나, 친일 의혹과 독재 정권 옹호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대한국민당 (1948년) 당원 - 신익희
신익희는 해공이라는 호를 가진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내무총장과 외무부장을 역임하고 국민대학교를 설립했으며, 국회의장과 대통령 후보를 지냈고 사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지달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지달수 |
![]() | |
출생지 | 대한제국 한성부 종로방 |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학교 부속 병원 |
출생일 | 1909년 8월 6일 |
사망일 | 1969년 5월 16일 (59세) |
별명 | 일명: 이경옥(李景玉)·이달수(李達洙) |
학력 | 국방대학교 행정학사 1기(1956년 2월) |
거주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동 30번지 |
국적 | 대한민국 |
본관 | 충주(忠州) |
본명 | 지경옥(池景玉) → 지달수(池達洙) |
부모 | 지청천(부), 윤용자(모) |
형제 | 지복영(여동생) 지정계(남동생) |
친척 | 이재석(매제) 지재선(친조부) 이준식(생질) 지운영(삼종조부) 지석영(삼종조부) |
웹사이트 | 독립유공자 |
활동 | |
주요 활동 | 대한독립군 대한정일군 대한광복군 존 리드 하지 미군정청 군정장관 등을 비롯한 삼팔도선 이남 미군정 시대 |
활동 기간 | 1931년 3월 2일~1964년 12월 9일 |
관련 활동 | 독립 운동 |
경력 | |
군 경력 | 대한광복군 중령 전역(1945. 08. 22.) 대한독립군 특무별동대 예하 소대장 대한독립군 특무별동대 작전장교 대한독립군 특무별동대 정보장교 대한독립군 특무별동대 예하 중대장 대한독립군 특무별동대 예하 대대장 대한정일군 항일반만군단 예하 대대장 대한광복군 제2지대 예하 구대장 |
주요 전투 참여 | 1931년 만주 지린 성 지린 독립군 전투 참전 1931년 만주 헤이룽장 성 솽청 정일군 전투 참전 1932년 만주 주둔 정일군 항일 반만 전투 참전 1937년 중일 전쟁 참전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
관료 경력 | 안재홍 미군정청 민정장관 비서실 보좌관 직무대리(1947년 2월 26일~1947년 6월 18일)를 지냄. |
정당 활동 | 대한국민당 당무위원 겸 중앙위원 민주국민당 당무위원 겸 중앙감찰위원 한국독립당 당무위원 겸 중앙대표위원 |
사회단체 활동 | 대한광복군동지회 부회장 겸 고문 대한독립동지회 상임위원장 겸 상임고문 |
서훈 | |
훈장 | 1963년 3월 1일 건국훈장 독립장 |
2. 생애
지달수는 지청천의 아들로, 아버지와 함께 독립운동을 하였다. 8·15 광복 이후 귀국하여 미군정청에서 잠시 일했고,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에는 여러 정당 및 단체에서 활동하였다.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받았으며, 1969년 5월 16일 서울대학병원에서 지병으로 사망했다.[1][2]
2. 1. 독립운동
1931년 아버지 지청천을 따라 중화민국 둥베이로 건너가 지린 성 지린의 검성중학을 졸업하였다. 우창 현에서 농촌 청년을 규합하여 청년회를 조직, 항일 독립사상을 고취했고, 같은 해 대한독립군에 들어가 총사령관인 지청천 밑에서 하사로 활동했으며 지린 성 지린 독립군 전투와 헤이룽장성 하얼빈 부 솽청 현 정일군 전투에 각각 참전했다.[1] 1932년 항일 반만군과 연합하여 소대장이 되어 30차례 전투에 참가하기도 했다.1933년 중국중앙군관학교 제2분교에서, 1934년 중국군관학교 뤄양분교 한국인특별반에 입학하여 군사교육을 받았다. 1936년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화북·평수지구공작단원으로 임명되어 활동하는 한편, 조선민족혁명당 중앙위원 겸 쑤이위안성 지구당위원장을 역임하다가 1940년 한국광복군 편성에 참가하여 총사령부 경리에 임명되었고, 이듬해 광복군 제2지대 예하 구대장으로 활약했다.[1]
2. 2. 해방 이후
8·15 광복 후 귀국하여 미군정청에서 잠시 일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대한국민당 중앙위원, 민주국민당 중앙감찰위원, 한국광복군동지회 부회장, 대한독립동지회 상임위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받았으며 1969년 5월 16일 서울대학병원에서 지병으로 사망했다.[1][2]3. 학력
중화민국 만저우 지역 지린 성 지린 젠청 중학교 졸업 |
중화민국 광둥 성 광저우 중앙군사정치학교 제2분교 특별반 졸업 |
중화민국 장쑤 성 난징 군사참모학교 육군특별반 졸업 |
중화민국 허난 성 뤄양 육군군사방위학교 졸업 |
대한민국 국방대학교 1기 행정학사 (1956년 2월) |
4. 가족 및 친척 관계
참조
[1]
뉴스
獨立(독립)투사池達洙(지달수)옹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69-05-17
[2]
뉴스
愛國志士池達洙(애국지사지달수)씨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69-05-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