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지역별 재외한인 현황 중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국 내 한인 현황은 2019년 기준으로 총 2,461,386명으로 집계되었다. 주중 대사관 및 각 총영사관의 재외국민 등록 자료에 따르면, 재외국민은 307,914명, 외국 국적 동포(시민권자)는 2,153,472명이다. 지역별로는 주선양 총영사관 관할 지역에 가장 많은 한인이 거주하며, 주홍콩 총영사관 관할 지역은 외국 국적 동포는 없지만 재외국민이 18,969명으로 집계되었다.

2. 중국 내 한인 현황 (2019년)

주중 대사관 및 각 총영사관의 재외국민 등록 자료를 취합하면, 2019년 중국 전체 한인 인구수는 다음과 같다.

지역별재외국민외국국적동포
(시민권자)
총계
영주권자일반체류자유학생
주광저우(총)049,3742,60751,981105,831157,812
주다롄(출)07,0576007,65780,00087,657
주상하이(총)28837,25819,31856,86479,609136,473
주선양(총)017,6972,99220,6891,527,5101,548,199
주시안(총)13,2191,1694,3893,2807,669
주우한(총)02,7751,9034,6785,1409,818
주중국(대)055,23720,73975,976174,077250,053
주청두(총)24,9336955,6303,3308,960
주칭다오(총)059,1271,95461,081174,695235,776
주홍콩(총)7,2919,9411,73718,969018,969
총계7,582246,61853,714307,9142,153,4722,461,386



재외국민은 영주권자, 일반체류자, 유학생으로, 외국 국적 동포는 시민권자로 구분된다.

2. 1. 전체 현황

주중 대한민국 대사관 및 각 총영사관의 재외국민 등록 자료를 취합하면, 중국 전체 한인 인구수는 다음과 같다.

지역별재외국민외국국적동포
(시민권자)
총계
영주권자일반체류자유학생
주광저우(총)049,3742,60751,981105,831157,812
주다롄(출)07,0576007,65780,00087,657
주상하이(총)28837,25819,31856,86479,609136,473
주선양(총)017,6972,99220,6891,527,5101,548,199
주시안(총)13,2191,1694,3893,2807,669
주우한(총)02,7751,9034,6785,1409,818
주중국(대)055,23720,73975,976174,077250,053
주청두(총)24,9336955,6303,3308,960
주칭다오(총)059,1271,95461,081174,695235,776
주홍콩(총)7,2919,9411,73718,969018,969
총계7,582246,61853,714307,9142,153,4722,461,386



재외국민은 영주권자, 일반체류자, 유학생으로, 외국 국적 동포는 시민권자로 구분된다.

2. 2. 지역별 현황

2. 2. 1. 주중국 대한민국 대사관

베이징의 재외동포는 총 95,383명으로, 영주권자는 없고 일반 체류자는 36,660명, 유학생은 16,783명이다. 재외국민은 총 53,443명이며, 외국 국적 동포는 41,940명이다.

톈진의 재외동포는 총 58,554명으로, 영주권자는 없고 일반 체류자는 17,276명, 유학생은 3,280명이다. 재외국민은 총 20,556명이며, 외국 국적 동포는 37,998명이다.

허베이성, 산시성, 칭하이성, 내몽골, 신장, 서장의 재외동포는 총 96,116명으로, 영주권자는 없고 일반 체류자는 1,301명, 유학생은 676명이다. 재외국민은 총 1,977명이며, 외국 국적 동포는 94,139명이다.

이는 중국 국가통계국, 공안부, 교육부, 지역별 한국인회, 지역별 조선족단체, 한국학교, 재외국민등록부의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한다. 재외동포 현황 관련 남녀 인구에 대한 기준자료가 없어 총계만 제출되었다. 관할지역 경제 및 생활환경 변화로 귀국 또는 타지역으로 이주하는 경우가 늘면서, 2017년 대비 재외동포 수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2. 2. 2. 주광저우 대한민국 총영사관

주광저우 대한민국 총영사관 관할 지역은 광둥성, 푸젠성, 광시좡족 자치구, 하이난성이다.

지역별구분재외동포 총수영주권자일반 체류자유학생외국국적동포(시민권자)재외국민등록수(등록률%)
광둥성78,080024,9041,17652,000
71,128022,0841,04448,000
149,208046,9882,220100,000
푸젠성1,9410789641,088
1,8570729591,069
3,79801,5181232,157
광시좡족 자치구1,7850315531,417
1,6240291491,284
3,40906061022,701
하이난성680013985456
717012377517
1,3970262162973
총계82,486026,1471,37854,961
75,326023,2271,22950,870
157,812049,3742,607105,83122,574(43)



각 지역별 정부 유관기관 통계, 중국 교육부 유학생 통계(2017), 재외국민등록부, 제6차 중국 인구센서스를 참고하였다. 주재국 정부 제공 통계 자료에는 남녀 구분이 명확하지 않아 재외국민등록상 남녀 비율을 적용했다.

2017년 대비 재외동포 수는 감소(-8%)했다. 이는 중국 내 인건비 상승 및 기업경영 환경 악화로 인해 다른 국가로 사업 기반을 이전하는 비율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또한, 지방정부에서 단기 체류자에 대한 통계를 제공하지 않아 자료 산출에 어려움이 있으며, 단기 방문 유동인구에 따라 증감률 변동에 영향을 준다.

2. 2. 3. 주상하이 대한민국 총영사관

등록수
(등록률%)재외국민외국국적동포
(시민권자)영주권자체류자계일반유학생상하이계76,87218221,19710,65132,03044,842장쑤성계39,6268412,1824,24516,51123,115저장성계16,613172,9163,9896,9229,691안후이성계3,36259634331,4011,961총계계136,47328837,25819,31856,86479,60944,750(78.7)2017년대비
증감률(%)-5.74+113-7.62-2.74-5.74-5.74

2. 2. 4. 주선양 대한민국 총영사관

라오닝성의 재외동포는 2019년 기준 총 168,118명이다.[1] 이 중 남성은 82,746명, 여성은 85,372명이다. 거주 자격별로는 영주권자 0명, 일반 체류자 8,082명, 유학생 499명으로, 재외국민은 총 8,581명이다. 외국 국적 동포(시민권자)는 159,537명이다. 재외국민 등록수는 8,944명으로, 등록률은 104%이다.

2. 2. 5. 주시안 대한민국 총영사관

산시성, 간쑤성, 닝샤 자치구 지역의 재외한인 현황은 다음과 같다.

지역별구분재외동포 총수영주권자일반 체류자유학생재외국민 계외국국적동포
(시민권자)
재외국민
등록수
(등록률%)
산시성02,399875
0711734
5,82903,1101,1104,2201,609
간쑤성128637
029587
1,331157491071,224
닝샤 자치구280032234246
229020828201
5090521062447
총계12,4591,758929
07601,522828
7,66913,2191,1694,3893,2801,757(40)
2017년대비
증감률(%)
-4.5+100+15.3-41-8+0.6+19

2. 2. 6. 주우한 대한민국 총영사관

후베이성의 재외동포는 총 3,992명이다. 이 중 남성은, 영주권자, 일반 체류자, 유학생, 재외국민은 총 1,025명이다. 여성은, 영주권자, 일반 체류자, 유학생, 재외국민은 총 935명이다. 재외국민 등록수는 384명(18.9%)이다.

후난성의 재외동포는 총 1,668명이다. 이 중 남성은, 영주권자, 일반 체류자, 유학생, 재외국민은 총 583명이다. 여성은, 영주권자, 일반 체류자, 유학생, 재외국민은 총 597명이다. 재외국민 등록수는 65명(13.3%)이다.

허난성의 재외동포는 총 2,213명이다. 이 중 남성은, 영주권자, 일반 체류자, 유학생, 재외국민은 총 664명이다. 여성은, 영주권자, 일반 체류자, 유학생, 재외국민은 총 793명이다. 재외국민 등록수는 167명(22.1%)이다.

장시성의 재외동포는 총 1,945명이다. 이 중 남성은, 영주권자, 일반 체류자, 유학생, 재외국민은 총 226명이다. 여성은, 영주권자, 일반 체류자, 유학생, 재외국민은 총 317명이다. 재외국민 등록수는 50명(3.6%)이다.

총 재외동포는 총 9,818명이다. 남성은 2,498명, 여성은 2,642명이다. 재외국민 등록수는 666명(14.2%)이다. 2017년 대비 증감률은 +18.1%이다.

통계자료의 출처는 각 성 공안청(일반체류자), 중국 교육부(유학생, 2017)이다. 조사 대상 범위가 훈령과 다른 경우, 남녀 인구 관련 자료는 없으며, 외국 국적 동포는 2010년 중국국가통계국 자료이다. 외국 국적 동포 중 피입양인 수는 0명이다.

2. 2. 7. 주청두 대한민국 총영사관

쓰촨성, 충칭, 윈난성, 구이저우성의 한인 현황은 다음과 같다.

지역별구분재외동포 총수영주권자일반 체류자유학생재외국민 계외국국적동포
(시민권자)
재외국민
등록수
(등록률%)
쓰촨성1,3481251,473
9001251,025
3,95022,2482502,5001,450
충칭1,2001001,300
800100900
3,40002,0002002,2001,200
윈난성360100460
240100340
1,4500600200800650
구이저우성681886
172746
1600854513030
총계2,9743433,3171,632(49)
1,9593522,3111,335(58)
8,96024,9336955,6303,3302,967(52)
2017년대비
증감률(%)
+2+4+4+4



※ 통계자료의 출처 : 공안당국 공식자료 및 한인회 추산

※ 외국국적동포 중 피입양인 수 : 0명

2. 2. 8. 주칭다오 대한민국 총영사관

산둥성의 칭다오 지역 재외동포는 2019년 기준 146,635명이다. 이 중 재외국민은 29,894명(영주권자 0명, 일반 체류자 29,487명, 유학생 407명)이며, 외국국적동포는 116,741명이다.

웨이하이 지역 재외동포는 45,627명이다. 이 중 재외국민은 18,439명(영주권자 0명, 일반 체류자 17,768명, 유학생 671명)이며, 외국국적동포는 27,188명이다.

옌타이 지역 재외동포는 31,239명이다. 이 중 재외국민은 10,627명(영주권자 0명, 일반 체류자 10,251명, 유학생 376명)이며, 외국국적동포는 20,612명이다.

산둥성 기타 지역의 재외동포는 12,275명이다. 이 중 재외국민은 2,121명(영주권자 0명, 일반 체류자 1,621명, 유학생 500명)이며, 외국국적동포는 10,154명이다.

산둥성 전체 재외동포 수는 235,776명이며, 이 중 재외국민은 61,081명, 외국국적동포는 174,695명이다. 재외국민 등록수는 31,803명(등록률 52.06%)이다. 2017년 대비 재외동포 수는 9.35% 감소했는데, 이는 중국 정부의 외국인 취업 허가 제도 강화, 중국 경기 침체, 한중 사드 문제 등의 영향으로 재외국민들이 한국으로 귀국하거나 동남아 등지로 사업체를 이전했기 때문이다.

2. 2. 9. 주홍콩 대한민국 총영사관

wikitext

주홍콩 대한민국 총영사관 관할 재외한인 현황 (2019년)
지역별구분재외동포 총수재외국민외국국적동포
(시민권자)
재외국민
등록수
(등록률%)
체류자
영주권자일반유학생
홍콩8,8092,9445,0318348,80905,197 (59%)
홍콩9,8454,2424,7138909,84506,302 (64%)
홍콩18,6547,1869,7441,72418,654011,499 (62%)
마카오11232728112064 (58%)
마카오2037312552030131 (65%)
마카오315105197133150195 (62%)
총계8,9212,9765,1038428,92105,261 (59%)
총계10,0484,3154,83889510,04806,433 (64%)
총계18,9697,2919,9411,73718,969011,694 (62%)
2017년 대비
증감률(%)
+25.7+12.7+58.4+37.2+25.7+27.1

3. 중국 내 한인 사회의 특징

3. 1. 역사적 배경

3. 2. 경제적 특징

3. 3. 사회문화적 특징

4. 최근 동향 및 과제

4. 1. 미중 무역 갈등의 영향

4. 2. 사드 배치 및 한한령의 영향

4. 3. 한인 사회의 과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