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젠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푸젠성은 중국 동남부에 위치한 성으로, "민(閩)"으로 시작하는 고대 민족의 영역에서 유래했다. 푸저우와 난핑의 도시 이름을 따서 '푸젠'으로 명명되었으며, 80%가 산지로 이루어진 지형적 특징을 갖는다. 역사를 살펴보면, 고대에는 閩越(민월)로 불리며 독립 왕국으로 존재했고, 이후 한(漢)나라에 멸망했다. 이후 비한족의 세력이 유지되다가 당나라 시기부터 한족의 개척이 진행되었고, 909년에는 민(閩) 왕국이 건국되었다가 남당에 병합되었다. 송나라 시대에는 해상 무역이 번성하며 국제적인 항구로 발전했고, 원나라 시기에는 '복건성'이라는 명칭이 처음 사용되었다. 명나라 시대에는 왜구의 침입을 받았으며, 청나라 시기에는 대만을 푸젠성에 편입시켰다. 신해혁명 이후 중화민국의 통치를 받았으며, 국공 내전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이 푸젠성 대부분을 장악했다. 현재는 9개의 지급시와 여러 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경제적으로는 샤먼 경제 특구를 중심으로 발전했다. 주요 산업으로는 전자, 식품, 수산가공업 등이 있으며, 쌀, 사탕수수, 차 등 농작물 생산도 활발하다. 문화적으로는 다양한 방언과 중국 오페라, 복건 요리가 특징이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푸젠 터러우, 굴랑위, 무이산, 단샤 지형 등 관광 명소가 많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푸젠성 - 민난어
민난어는 푸젠성 남부에서 주로 사용되고 대만어의 주요 구성 요소인 중국어 방언으로, 동남아 화교 사회에서도 사용되며 고대 중국어 특징을 보존하고 있고, 다양한 하위 방언과 복잡한 음운 체계, 문백이독 현상을 특징으로 한다. - 푸젠성 - 민중어
민중어는 객가어의 방언으로, 싼밍, 융안, 샤현 지역에서 사용된다. - 푸젠성의 역사 - 민 (십국)
민은 오대 십국 시대에 복건 지역에서 왕심지 형제가 세력을 확장하여 건국한 국가로, 내분과 폭정으로 인해 945년 남당에 멸망했다. - 푸젠성의 역사 - 강남도 (당)
강남도는 당나라 시대 중국 남부의 광대한 지역을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733년 강남동도와 강남서도로 분할되었으며, 당나라 말기에는 절도사와 관찰사들이 등장하여 후대 봉건 체제에 영향을 미쳤다. - 분단된 지역 -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동아시아에 위치한 한반도 남부에 위치한 국가로, 삼국시대를 계승하여 1897년 대한제국 선포 이후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으로 국호가 확정되었으며, 약 5천만 명의 인구와 약 10만 km²의 면적으로 대통령 중심의 대통령제를 채택하고 있다. - 분단된 지역 - 베트남 공화국
베트남 공화국은 1955년 응오딘지엠이 수립한 국가로, 베트남 전쟁의 주요 무대였으며, 권위주의와 부패, 내전 격화, 미국의 개입을 거쳐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멸망했다.
푸젠성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푸젠 성 |
공식 이름 | 푸젠 성 |
다른 이름 | 푸키엔, 호키엔 |
유형 | 성 |
중국어 표기 | () |
약칭 | FJ / () |
![]() | |
![]() | |
![]() | |
![]() | |
![]() | |
이미지 설명 | 푸젠 톈허우 사원 샤먼, 스카이라인 삼방칠항 남보타사 푸젠 토루 |
![]() | |
지도 설명 | 푸젠 성의 위치를 보여주는 지도 |
소속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진먼, 마쓰 및 우치우)중국 국민당 내전의 결과로 역사적인 푸젠의 작은 부분이 현재 중화민국 (ROC) 내에 있다. 중화민국의 푸젠성은 진먼 제도, 마쓰 제도 및 우치우 제도의 세 개의 해상 군도로 구성된다. 자세한 내용은 푸젠 성 (중화민국)을 참조하십시오. |
이름 유래 | : 푸저우 : 젠저우 |
설립 구분 | 장난둥 순회 |
설립일 | 626년 |
설립 구분2 | 푸젠 순회 |
설립일2 | 985년 |
설립 구분4 | 푸젠 인민 정부 |
설립일4 | 1933–1934년 |
성도 | 푸저우시 |
최대 도시 | 취안저우시 |
하위 행정 구역 | 지급시 현급 향급 |
하위 행정 구역 수 | 9개 지급시 84개 현이것은 푸젠 성 통계국에서 2022년 공식 PRC 수치이다. 진먼은 현으로, 마쓰는 향으로 포함된다. 1102개 읍과 가도 |
정부 형태 | 성 |
정부 기관 | 푸젠성 인민대표대회 |
당 서기 | 저우주이 |
인민대표대회 의장 | 저우주이 |
성장 | 자오룽 |
인민정치협상회의 주석 | 텅자차이 |
전국인민대표대회 대표 | 74명 |
면적 | 121400 km²중국 사업(보관됨)푸젠성의 총 면적은 진먼, 마쓰 및 우치우 섬을 포함할 경우, 중화민국 (ROC)에 의해 간소화된 푸젠 성의 일부로 관리되는 총 면적은 121580km²이다. |
면적 순위 | 23위 |
최고 지점 | 황강 산 (2158m) |
인구 | 41,540,086명 (2020년)제7차 전국 인구 조사 공보 (제3호)(보관됨) |
인구 순위 | 15위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인구 밀도 순위 | 14위 |
민족 구성 | 한족 – 98% 셔족 – 1% 후이족 – 0.3% |
언어 및 방언 | 민어 (푸저우어, 동민어, 북민어, 중민어, 푸셴 민어, 호키엔어 등 포함) 만다린어 셔어 객가어 |
ISO 코드 | CN-FJ |
GDP (2023년) | 5조 4360억 위안 (8위) 7710억 달러 |
1인당 GDP (2023년) | 129,865 위안 (4위) 18,429 달러 |
인간 개발 지수 (2022년) | 0.804인간 개발 지수 (8.0)- 중국 (7위) –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중국어 정보 | |
한자 | 福建 |
의미 | 푸(저우)와 젠(저우) |
우정식 로마자 표기 | Fukien |
병음 | Fújiàn |
광둥어 | Fwujiann |
주음 부호 | ㄈㄨˊ ㄐㄧㄢˋ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 Fu2-chien4 |
민난어 로마자 표기법 | Fújyàn |
중화민국 병음 | Fújiàn |
통용 병음 | Fújiàn |
오어 | Foh-ji |
객가어 | Fuk1-gin3 |
광둥어 | Fūk-gin |
하카어 | Fuk-kian |
민난어 페-오에-지 | Hok-kiàn |
대만어 로마자 표기법 | Hok-kiàn |
민난어 백화자 | Hōkgiàn |
푸저우어 로마자 표기 | Hók-gióng |
허흥 방언 | Ho̤h-ge̤̍ng |
문백음 | Hŭ-gṳ̿ing |
약칭 | 閩 |
약칭 의미 | 민강 |
약칭 병음 | Mǐn |
약칭 광둥어 | Miin |
약칭 주음 부호 | ㄇㄧㄣˇ |
약칭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 Min3 |
약칭 객가어 | Man5 |
약칭 광둥어 | Máhn |
약칭 대만어 로마자 표기법 | Bân |
약칭 푸저우어 로마자 표기 | Mìng |
약칭 허흥 방언 | Máng |
약칭 문백음 | Mâing |
약칭 통용 병음 | Mǐn |
기타 정보 | |
이전 로마자 표기 | 푸키엔 또는 호키엔 |
1인당 GDP | 126,829 위안 (18,856 달러) |
자연 지수 | 상위 200대 과학 도시(보관됨) |
2. 명칭의 유래
“민(閩)”의 가장 오래된 기록은 중국 상고시대의 백과전서 《산해경》의 《해내남경(海內南經)10권》에 있다. 한(漢)대 허신이 지은 자전 《설문해자》에는 “민, 동남월(越), 뱀의 종류”라고 적혀있다. “민남인은 뱀을 숭상하는 민족이라 정의하고 있다. 증거로 삼을 수 있는 것은 “민(閩)”의 쓰는 것이다. 게다가 고대인은 뱀을 긴 벌레라고 불렀다. 해석을 하자면 “민은 산지에 있어, 많은 종류의 뱀이 있으며, 문(門)아래 충(蟲)을 써 그 특징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해석은 사학계의 증명을 얻어내지 못했다.[1]
삼국시대에 푸젠성 지역은 오나라에 속했다. 이 시기에 소수의 한족들이 푸젠 지역으로 이주해 오기 시작하면서 건안군이 설치되었고, 진안군에는 푸젠 역사상 첫 번째 도시와 읍이 나타났다. 진(晉)과 양(梁) 시대에 젠안 군을 뒤이어 진안, 젠안, 난안(南安)의 세 개의 군이 설치되었다. 한족 이주민 중에는 림(林), 황(黃), 진(陳), 정(鄭), 첨(詹), 구(邱), 하(何), 호(胡)의 여덟 성씨가 비교적 많았다. 수나라 때 세 개의 군이 모두 폐지되고 천주(泉州)가 설립되었다가 후에 다시 건안군(建安郡)으로 바뀌었다.
“민(閩)” 이외에 푸젠성은 “칠민(七閩)”, “팔민(八閩)”이라는 다른 이름이 있었으며 현재는 “칠민(七閩)이라 부른다. “칠민(七閩)”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주례·하관·직방씨(周禮·夏官·职方氏)》에서 발견된다.[1] “칠민”의 최초 의미는 주나라 때 오늘날의 푸젠과 저장 남부에 산재하여 살고 있으며 뱀을 토템으로 하는 민족의 후예 촌락을 가리키는 것이었다. 당나라 때 고공언(賈公彦)이 지은 《주례소(周禮疏)》에서는 “숙웅(叔熊)은 복(濮)에 거주하며 야만족과 같고 자손은 7부류로 나뉘어 예로부터 칠민(七閩)이라 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후에는 넓게 푸젠을 가리키게 되었다.[1]
팔민(八閩)이라는 것은 원나라 때 행정중서성제(行中書省制)인 복주(福州), 건녕(建寧), 천주(泉州), 흥화(興化), 소무(邵武), 연평(延平), 정주(汀州), 장주(漳州) 등 여덟 개의 부(府)로 인해 생긴 이름이다.[1]
'푸젠'(福建)이라는 이름은 복주(福州)와 인근의 건저우(建州, 현재의 난핑)의 도시 이름이 합쳐진 데서 유래했다.[1]
3. 역사
당나라 개원(開元) 21년(733년)에 복건경략사(福建經略使)가 세워지면서 처음으로 복건, 즉 푸젠이라는 명칭이 등장하였다. 오대십국시대에는 처음에 왕(王)씨의 민국(閩國)이 푸젠 성 지역을 통치하였지만, 나중에 남당(南唐)에게 점거당했고, 구획의 명칭은 몇 번의 변천을 겪었다. 송(宋) 왕조는 이 지역에 복건로(福建路)를 세웠고, 여섯 개의 주(복주(福州), 건주(建州), 천주(泉州), 남검주(南劍州), 장주(漳州), 정주(汀洲))와 두 개의 군(소무군(邵武軍), 흥화군(興化軍))을 통괄하였다. 송원(宋元) 시대에 천주는 국제적으로 유명한 항만으로 발전하였으며, 시내에는 많은 외국인 거주 지역이 형성되었으나 대부분 아랍인들이었다. 이들은 변방에 정착하여 거류하였다. 이 시기에 세워진 이슬람교 사원은 현재까지 계속 보존되고 있다.
원나라는 지방 행정 조직으로 행중서성(行中書省)을 설치하면서 복건성이라는 명칭이 처음 등장하게 되었다. 지원(至元) 15년(1278), 복건행중서성(福建行中書省, 복건행성)이 천주에 설치되었고, 강서행중서성(江西行中書省)을 복건행중서성에 편입시켰다. 지원 17년(1280), 강서행성이 용흥부(龍興府)에 설치되면서 분리되었다. 지원 18년(1281), 복건행성이 복주로 이전되었다. 지원 22년(1285), 복건행성이 강서등처행중서성(江西等處行中書省)에 편입되었다. 지원 23년, 복건행성 지역은 다시 강절등처행주서성(江浙等處行中書省)으로 편입되었다.
명나라 때 푸젠 성 지역의 행정구획은 로(路)에서 다시 부(府)로 바뀌었다. 송나라 때의 육주양군(六州兩軍)은 이후에 팔개 로(八個路) 혹은 팔개 부(八個府)로 개칭되기까지의 구획제도였다. (팔민(八閩)의 유래). 명나라 시대에는 왜구(일본해적)가 자주 복건 지역에서 소란을 피웠다. 명나라 조정은 해금(海禁, 해상활동금지령)을 선포하였고, 복건의 정상적인 해상무역은 지장을 받았다. 명나라 말 1645년 7월 19일에 당왕(唐王) 주율건(朱聿鍵)은 복주에서 제위에 올랐고, 연호를 융무(隆武)라 하였다. 1646년 10월 6일에 주율건은 청나라 군에 의해 포로가 되었고, 이후에 정성공(鄭成功)이 샤먼과 타이완을 근거지로 하여 약 40년간 청군에 대항하였다.
청나라 시대에 복녕부(福寧府)와 용암주(龍巖州), 영춘주(永春州)를 증설하였다. 강희 22년(1683년)에는 대만부(臺灣府)를 세우고 푸젠 성에 예속시켰다. 뒤이어 많은 수의 한족(漢族)이 푸젠 남부의 장주부(漳州府)와 천주부(泉州府)에서 대만으로 이주하였다. 광서 12년(1886년) 타이완에 단독으로 성이 설립되었다. 청나라 왕조 시기에 푸저우는 유구와 함께 국제무역의 규정 항구였다.
1842년의 난징 조약으로 샤먼과 푸저우를 통상항구로 개설하였고, 외국 상인들에게 개방하였다. 1902년에 샤먼에서 다시 고랑서 공공조계(鼓浪嶼公共租界)가 개척되었다. 양무운동 중에 좌종당이 복주선정국과 선정학당을 설립하였는데, 그것이 근대 중국 해군의 요람이 되었다. 1883년 중화전쟁 기간에 프랑스가 마독강(馬瀆江) 군항을 습격하였다. 1895년의 시모노세키 조약으로 일본은 1945년 제2차 세계대전이 종결될 때까지 푸젠 성 맞은편의 대만을 손에 넣었다. 푸젠 성은 아직도 근대 서양 선교사가 가장 많고, 또 가장 활발히 활동하는 성(省)이다.
1949년 푸젠성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성으로 선포되었으나, 진먼 등 일부 도서는 중화민국령으로 남았다.
3. 1. 고대
백월 사람들이 푸젠성 지역에 고대에 거주하였다. 월인들은 키가 작고, 얼굴이 짧았으며, 코가 넓고, 눈은 둥글고 컸다. 그들은 강가에 살았고, 배와 뗏목을 모는 데 능숙했다. 또한 머리를 짧게 깎고 문신을 새기는 습관과 풍속이 있었다.[7] 진나라(秦)는 푸젠 성 지역에 군을 설치하였지만 유명무실한 것이었다. 기원전 202년, 한나라 시기에 유방이 푸젠 지역을 민월국(閩越國)이라 하여 월나라 구천의 후손인 무제(無諸)를 왕으로 봉하였다. 무제는 우이산(武夷山, 우이산)에 성을 건설 하였다. 한 무제 즉위 첫해(기원전 110년)에 대군을 파견하여 민월국을 멸망시켰다. 지금의 푸저우 지역은 서한 말에 동야(東冶) 현이 설치되었고, 회계군에 예속되었다. (지금의 저장성 사오싱 지역).
2011년의 최근 고고학적 발견에 따르면 기원전 6천년대 중반에 이미 푸젠성에 신석기 시대가 도래했다.[7] 푸저우에서 남동쪽으로 약 70km 떨어진 핑탄섬(Pingtan Island)에 위치한 초기 신석기 유적지인 커치우터우(Keqiutou, 壳丘头) 유적(7450–5590 BP)에서는 돌, 패각(Exoskeleton), 뼈, 옥(jade), 도자기(차륜제 도자기 포함)로 만들어진 다수의 도구들이 출토되었고, 물레도 함께 발견되어 직조의 확실한 증거를 제시한다.
푸젠성은 민월 왕국이 있었던 곳이기도 하다. "민월(Mǐnyuè)"이라는 명칭은 "민(Mǐn, 閩|민중국어)"과 월(Yuè)에서 유래했다. "월(Yuè)"은 북쪽 저장성에 있었던 춘추 시대의 월(State of Yue) 나라를 가리킨다. 기원전 306년 초(楚)나라에 의해 월나라가 멸망한 후 월나라 왕족들이 푸젠성으로 도망쳤기 때문이다.
진(秦)은 민월(閩越)의 왕을 폐하고 그곳에 민중군(閩中郡)이라는 준군사적 성격의 주(州)를 설치했다.
진나라 멸망 후, 내전이 두 장수 항우와 유방 사이에서 발발했다. 민월(Minyue)의 왕 무주(Wuzhu)는 유방을 돕기 위해 군대를 파견했고, 그의 도박은 성공했다. 유방이 승리하여 한나라를 건국했다. 기원전 202년, 그는 민월의 지위를 조공을 바치는 독립 왕국으로 복원했다.
무주의 죽음 후, 민월은 그들의 호전적인 전통을 유지하며 기원전 2세기에 주로 광둥성, 장시성, 저장성의 이웃 왕국들에 대한 여러 차례의 원정을 감행했다. 이것은 한나라가 남쪽으로 확장하면서 중단되었다. 한나라 황제는 결국 군사 원정을 통해 잠재적인 위협을 제거하기로 결정했다. 기원전 111년, 대규모 군대가 육로와 해로를 통해 네 방향에서 동시에 민월에 접근했다. 푸저우의 통치자들은 헛된 싸움과 파괴를 피하기 위해 항복했고, 푸젠성 역사상 최초의 왕국은 갑작스럽게 멸망했다.
한나라는 2세기 후반에 멸망하여 삼국 시대를 열었다. 오(吳)의 창건자 손권은 산악 지대에 사는 월족의 한 갈래인 산월(Shan Yue) 사람들을 진압하는 데 거의 20년을 보냈다.
고대 민(閩)족의 영역으로, 전국시대에 초에 멸망한 월 왕족이 민(閩)으로 피난하여 민월(閩越)이라 불리게 되었다. 기원전 221년, 진에 정복되어 민중군(閩中郡)이 설치되었으나, 진말의 혼란기에 민월국으로 독립하였다. 동야(현재의 푸저우)에 도읍을 정하고 92년간 한에 저항하였으나, 무제에게 멸망하였다.
3. 2. 중세
삼국시대에 복건성 지역은 오나라에 속했다. 이 시기에 소수의 한족들이 푸젠 지역으로 이주하기 시작했고, 건안군이 설치되었다. 진안군에는 푸젠 역사상 첫 번째 도시와 읍이 나타났다. 진(晉)과 양(梁) 시대에 젠안 군을 뒤이어 진안, 젠안, 난안(南安)의 세 개의 군이 설치되었다. 한족 이주민 중에는 림(林), 황(黃), 진(陳), 정(鄭), 첨(詹), 구(邱), 하(何), 호(胡) 8개 성씨가 비교적 많았다. 수나라 때 세 개의 군이 모두 폐지되고 천주(泉州)가 설립되었다가 후에 다시 건안군(建安郡)으로 바뀌었다.
당나라 개원(開元) 21년(733년)에 복건경략사(福建經略使)가 세워지면서 처음으로 복건, 즉 푸젠이라는 명칭이 등장하였다. 오대십국시대에는 처음에 왕(王)씨의 민국(閩國)이 푸젠 성 지역을 통치하였지만, 나중에 남당(南唐)에게 점거당했고, 구획의 명칭은 몇 번의 변천을 겪었다. 송(宋) 왕조는 이 지역에 복건로(福建路)를 세웠고, 여섯 개의 주(복주(福州), 건주(建州), 천주(泉州), 남검주(南劍州), 장주(漳州), 정주(汀洲))와 두 개의 군(소무군(邵武軍), 흥화군(興化軍))을 통괄하였다. 송원(宋元) 시대에 천주는 국제적으로 유명한 항만으로 발전하였다. 시내에는 많은 외국인 거주 지역이 형성되었으나 대부분 아랍인들이었다. 이들은 변방에 정착하여 거류하였다. 이 시기에 세워진 이슬람교 사원은 현재까지 보존되고 있다.
4세기 초, 내전과 북쪽과 서쪽의 유목민 반란으로 서진이 멸망하고, 이주의 첫 물결이 귀족 계층을 통해 이 지역에 도착했다. 이 이주민들은 주로 중국 중부의 여덟 가문 출신이었다. 오늘날까지도 처음 네 성씨가 복건성에서 가장 흔한 성씨로 남아 있다.
험준한 지형으로 인한 인근 지역과의 고립은 "오랑캐" 반란 기간 동안 중국 북부에서 인구가 크게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복건성의 경제 및 발전 수준이 상대적으로 낙후되는 데 기여했다. 복건성의 인구 밀도는 중국 다른 지역에 비해 낮게 유지되었다. 서진은 복건성에 단 두 개의 군과 열여섯 개의 현만 설치했다. 광동성, 광서성, 귀주성, 운남성과 같은 다른 남부 지방과 마찬가지로 복건성은 당시 유배된 죄수와 반체제 인사들의 목적지로 자주 이용되었다.
남북조 시대에는 남조( 유송, 남제, 양나라(서량), 그리고 진)가 양자강 남쪽 지역을 통치했는데, 복건성도 포함되었다.
수나라와 당나라 시대에 많은 이주민들이 복건성에 정착했다. 수나라 시대에 복건은 다시 양주(揚州)의 일부였다. 당나라 시대에 복건은 더 큰 강남동도(江南東道)의 일부였으며, 그 도의 도읍은 소주(蘇州)였다. 오늘날의 복건성은 약 5개의 부(府)와 25개의 현(縣)으로 구성되었다.
당나라(618~907)는 중국의 다음 황금기를 이끌었고, 이는 복건의 문화와 경제의 호황에 기여했다. 복주의 경제 및 문화 기관은 성장하고 발전했다. 당나라 후기에 중국 중원 지역에서 여러 정치적 혼란이 발생하여 더 많은 북방인들이 복건성 북부로 이주하게 되었다.
당나라가 멸망한 후 중국은 오대십국 시대의 혼란에 휩싸였다. 이 시기에 왕씨 형제(왕초(왕조, 王潮), 왕숭귀(王審邽), 왕선지(王审知))가 이끄는 두 번째 대규모 이민자들이 푸젠의 안전한 피난처로 들어왔다. 그들은 푸저우(福州)를 수도로 삼아 독립적인 민(閩)나라를 건국하였다. 그러나 건국 왕의 사후, 내분으로 인해 곧 남당(南唐)이라는 또 다른 남방 왕국에 흡수되었다.
북부 푸젠의 일부 지역, 푸저우를 포함한 민나라의 수도 또한 북쪽의 오월(吳越) 왕국에 정복당했다. 취안저우는 민(閩)나라 시대에 해항으로 번영하였다.
청원절도사(清源節度使)는 남당(南唐)의 두 번째 황제인 이경(李璟)이 949년에 유총효(劉崇孝)라는 군벌을 위해 설치한 군사 행정 기관이었다. 유총효는 명목상으로는 이경에게 복종했지만, 사실상 남당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취안(泉州, 현재 취안저우, 푸젠)과 장(漳州, 현재 장저우, 푸젠) 두 주를 지배했다. (장주는 청원절도사가 존재하는 동안 때때로 남주(南州)로도 알려졌다.) 960년부터 청원절도사는 명목상으로 남당에 복종했을 뿐만 아니라, 남당의 명목상 종주국이 된 송(宋)에도 복종했다.
유총효의 사후, 청원절도사는 그의 친조카이자 양자였던 유소자(劉少子)가 잠시 통치했으나, 장한사(張漢思)와 진홍진(陳洪進)에게 폐위되었다. 장한사는 잠시 통치했지만, 진홍진에게 폐위되고 진홍진이 권력을 잡았다. 978년, 중국 대륙 통일을 결심한 송은 진홍진이 사실상 독립을 유지할 수 없다는 것을 판단하여 송 태종(宋太宗)에게 청원절도사의 지배권을 바침으로써 사실상 독립체로서의 청원절도사는 막을 내렸다. 이 지역은 985년에 복건로로 개편되었는데, 이는 행정 구역명으로 "복건(福建)"이라는 이름이 처음 사용된 시기이다.
많은 중국인들이 푸젠(福建)의 주요 항구에서 베트남의 홍하 삼각주로 이주했다. 정착민들은 그 후 Trần 항구와 번돈(Vân Đồn)을 건설했다. 푸젠과 광둥(廣東) 출신의 중국인들은 무역을 하기 위해 번돈(Vân Đồn) 연안 항구로 이주했다.
리(Lý) 왕조와 쩐(Trần) 왕조 시대에, 현재 푸젠 또는 광시(廣西) 출신인 많은 중국계 성씨인 Trần(陳)이 베트남으로 이주했다. 그들은 베트남 해안과 수도의 남동쪽 지역에 정착했다. 베트남의 Trần 씨족은 그들의 족보를 전국시대 진(秦) 장군이었던 Trần Tự Minh(기원전 227년)에게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는 남중국과 북베트남의 백월(百越) 민족인 토착 민족인 만(Mân) 출신이었다. Tự Minh은 안양왕(An Dương Vương)의 오락(Âu Lạc) 왕국에서 진(秦)의 오락 정복에 저항하는 데 봉사하기도 했다. 그들의 계보에는 교주(Giao Châu)의 Trần Tự Viễn(582~637)과 대월(Đại Việt)의 Trần Tự An(1010~1077)도 포함되어 있다. 11세기 말 대월(현대 베트남)의 즉막(Tức Mạc) 마을 출신 어부 Trần Kinh의 후손들은 당시 베트남을 건국한 리(Lý) 왕족과 결혼하여 1225년 쩐(Trần) 왕조를 세웠다.
베트남에서 Trần씨는 관리로 일했다. 그들의 성씨는 쩐(Trần) 왕조와 리(Lý) 왕조의 과거 시험 기록에서 발견된다. 중국계 민족들은 쩐(Trần) 왕조와 리(Lý) 왕조 관리들의 기록에 등장한다. 현재 푸젠, 광시, 광둥 출신의 중국계 민족들이 고향을 떠나 이주한 번돈(Vân Đồn) 지구에서는 의복, 음식, 언어가 현지 베트남인들과 융합되었다.
1172년, 푸젠은 타이완 또는 필리핀 비사야스 제도 출신의 피시예(Pi-she-ye) 해적들의 공격을 받았다.
고대 閩(민)족의 영역으로, 전국시대에 초에 멸망한 월 왕족이 閩(민)으로 피난하여 閩越(민월)이라 불리게 되었다. 기원전 221년, 진에 정복되어 閩中郡(민중군)이 설치되었으나, 진말의 혼란기에 민월국으로 독립하였다. 동야(현재의 복주)에 도읍을 정하고 92년간 한에 저항하였으나, 무제에게 멸망하였다.
비한족은 그 후에도 오랫동안 세력을 유지하였으나, 푸젠 동부(복주와 그 주변)와 푸젠 북서부(건주와 그 주변)에서 한족의 개척이 진행되어 당대 중반까지는 양 지역이 연결되었다. 푸젠의 한화를 결정지은 것은 당대 후기에 지리적 이점으로 연안 지역을 무대로 국내외 무역이 성행하고, 거기에 중원의 전란을 피해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이곳으로 이주해 온 것이다.
909년, 왕심지에 의해 건국된 민(왕국) 아래에서 푸젠의 개발이 진행되었다. 945년, 민은 남당에 병합되었다. 북송에서는 취안저우에 무역 관청인 시박사가 설치되었고(1087년), 주희를 비롯한 많은 문인·관료를 배출하는 등, 불과 300여 년 만에 미개척지의 전형이었던 푸젠은 선진 지역의 반열에 올랐다.
3. 3. 근현대
원나라 때 행중서성(行中書省) 설치로 복건성 명칭이 처음 등장했다. 명나라 때는 왜구의 잦은 소란에 대응, 해금(海禁)을 선포하여 해상무역이 지장을 받았다. 명말청초 정성공이 샤먼(厦門)과 타이완을 근거지로 청나라에 저항하였다.
1842년 난징 조약으로 샤먼과 푸저우가 통상항구로 개방, 1902년 샤먼에 고랑서 공공조계(鼓浪嶼公共租界)가 개척되었다. 양무운동 중 좌종당이 복주선정국과 선정학당을 설립, 근대 중국 해군의 요람이 되었다. 1895년 시모노세키 조약으로 일본이 1945년 제2차 세계대전 종전까지 타이완을 점령했다.
1949년 푸젠성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성으로 선포되었으나, 진먼 등 일부 도서는 중화민국령으로 남았다. 초기 발전은 타이완과의 갈등으로 더뎠으나, 현재는 높은 경제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4. 지리
푸젠성(福建省)은 약칭으로 '민(閩)'이라고 불리며, 중국 대륙 남동부에 위치한다. 북쪽으로는 저장성, 남서쪽으로는 광둥성, 서쪽으로는 장시성과 인접해 있다. 또한 타이완 해협을 사이에 두고 타이완과 마주하고 있다.
지형은 산이 많아 "80%가 산이고 10%가 물이고 나머지 10%가 밭이다(八山一水一分田, 팔산일수일분전)"라는 말이 있을 정도이다. 성 내에는 민서(閩西)와 민중(閩中)이 양대 산맥을 이루고 있으며, 무이산맥이 장시성과의 경계를 이룬다. 최고봉은 우이산 시(武夷山市) 서북부에 위치한 황강산(黃崗山)으로 높이는 2157m이다.[32] 민강(閩江), 진강(晋江), 구룡강(九龍江) 하류에는 충적물이 쌓여 장저우 평원(漳洲平原), 푸저우 평원(福州平原), 취안저우 평원(泉州平原), 싱화 평원(興化平原)의 4대 평야를 이루고 있다.
해안선은 굴곡이 심하고 많은 만과 섬들이 있다. 해안선의 직선 길이는 535km이지만 곡선 길이는 약 3,324km에 달하며, 이는 중국 전체 해안선의 약 18.3%를 차지한다. 주요 만으로는 푸닝 만(福寧灣), 싼사 만(三沙灣), 뤄위안 만(羅源灣), 둥산 만(東山灣), 싼두아오(三都澳), 샤먼 만(厦門灣) 등이 있다. 연해의 섬은 총 1404개가 있고 그 총면적은 1200km2 이상이다. 주요 섬으로는 진먼 현(金門, 중화민국이 통치하는 섬, Kinmen으로도 알려짐), 하이탄 섬(海壇島), 난르 섬(南日島)이 있다. 메이저우 섬(湄洲島)은 중국 선원들의 수호신인 마쭈(媽祖, Matsu로도 알려짐) 신앙의 중심지이다.
푸젠성은 180km 너비의 타이완 해협을 사이에 두고 타이완과 분리되어 있다. 진먼 현(金門)과 마쭈 열도(Matsu Islands)는 중화민국(Republic of China)의 행정 관할 아래 있다.
푸젠성에는 유라시아판(Asiatic Plate, Eurasian Plate)과 필리핀해판(Philippine Sea Plate)의 충돌로 인한 여러 단층(Fault (geology))이 있다. 이 지역의 창러-나오아오(Changle-Naoao)와 룽안-진장(Longan-Jinjiang) 단층대는 연간 3~5mm의 변위율을 보인다. 이로 인해 향후 대규모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33]
푸젠성은 온화한 겨울을 가진 아열대 기후(subtropical climate)를 가지고 있다. 1월의 해안 지역 평균 기온은 7°C에서 10°C이고, 구릉 지역은 6°C에서 8°C이다. 여름에는 기온이 높고, 태평양(Pacific Ocean)에서 발생하는 태풍(typhoon)의 위협을 받는다. 연평균 강수량은 1400mm에서 2000mm이다.
5. 행정 구역
푸젠성은 9개의 지급시로 구성되어 있다.
№ | 이름 | 한자 | 병음 | 면적(km2) | 인구(2010년) | 시청소재지 |
---|---|---|---|---|---|---|
부성급시 | ||||||
2 | 샤먼시 | 厦门市 | Xiàmén Shì | 1699.39km2 | 3,531,347 | 쓰밍구 |
지급시 | ||||||
1 | 푸저우시 | 福州市 | Fúzhōu Shì | 12155.46km2 | 7,115,370 | 구러우구 |
3 | 룽옌시 | 龙岩市 | Lóngyán Shì | 19028.26km2 | 2,559,545 | 신뤄구 |
4 | 난핑시 | 南平市 | Nánpíng Shì | 26280.54km2 | 2,645,549 | 젠양구 |
5 | 닝더시 | 宁德市 | Níngdé Shì | 13452.38km2 | 2,821,996 | 자오청구 |
6 | 푸톈시 | 莆田市 | Pútián Shì | 4119.02km2 | 2,778,508 | 청샹구 |
7 | 취안저우시 | 泉州市 | Quánzhōu Shì | 11245km2 | 8,128,530 | 펑쩌구 |
8 | 싼밍시 | 三明市 | Sānmíng Shì | 22928.79km2 | 2,503,388 | 메이례구 |
9 | 장저우시 | 漳州市 | Zhāngzhōu Shì | 12873.33km2 | 4,809,983 | 샹청구 |
6. 경제
1980년대 이전 푸젠성은 해방 전선에 있어 경제 발전이 더뎠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개혁개방 정책으로 외국 자본을 유치, 샤먼 경제 특구, 마웨이 경제 기술 개발 구역, 옌하이 개방 지구, 타이상 투자 지구 등을 건립했다.
이후 경제가 빠르게 발전하여 중국 동남연해의 성들 중 비교적 발달한 지역이 되었다. 샤먼, 푸저우, 취안저우 등 민동남 지역은 경제가 발달했고, 농촌 기업과 대외 지향형 기업도 성장했다. 소형 공업을 중심으로 푸저우, 샤먼, 취안저우, 장저우 등은 중국의 공업 지구로 발전했다. 연해 지역은 전자, 식품, 수산가공업을, 내륙 철도 연선 지역은 원자재, 방직, 삼공, 화공을 중심으로 공업 구조를 형성했다.
킹롱과 골든드래곤 본사가 샤먼시에, CATL 본사가 닝더시에 있다.
푸젠성은 산이 많고 경작지가 부족하여 쌀이 주요 농작물이다. 민북, 민서북 논은 겨울 밭 형태에 알맞아 벼 이모작과 일모작 늦벼 재배에 적절하다. 민동남대 면적 논은 1년에 두 번 또는 세 번 벼와 밀을 재배한다. 푸젠성은 열대, 아열대 경제 작물 기지 중 하나로, 사탕수수 생산량과 설탕 함유량이 높다.
2005년 푸젠성 GDP는 648700000000CNY로 11위였다. 도시 1인당 수입은 10816CNY으로 6위, 농촌 1인당 수입은 3724CNY으로 7위였다. 2003년 샤먼 1인당 GDP는 중국 8위, 푸젠은 21위였다.
푸젠성은 중국에서 부유한 성 중 하나로, 차, 의류, 스포츠 용품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했다. 중앙 정부로부터 외국인 투자를 허가받은 최초의 성 중 하나로, 보잉, 델, GE, 코닥, 노키아, 지멘스 등 많은 외국 기업이 진출해 있다.[46][47] 샤먼(廈門)은 중국 최초의 특수경제구역 중 하나였다.[46]
2022년 푸젠성 GDP는 5310000000000CNY(미화 7900억달러)로 전국 8위, 세계 20위권 내 최대 하위 국가 경제에 속한다.[48] 1인당 GDP는 126829CNY (18856USD)로 장쑤성에 이어 2위다.[48] 1, 2, 3차 산업은 각각 307000000000CNY(4570억달러), 2510000000000CNY(3728억달러), 2500000000000CNY(3710억달러)을 기여했다.[48]
연도 | GDP | 1인당 GDP 중간 연도 인구 기준 | 기준 지수 | ||||||
---|---|---|---|---|---|---|---|---|---|
GDP (백만) | 실질 성장률 (%) | 1인당 GDP | 환율 외화 1 대 중국 위안 | ||||||
CNY | USD | PPP (국제 달러) | CNY | USD | PPP (국제 달러) | USD 1 | 국제 달러 1 (PPP) | ||
2016 | 28810.6억위안 | 4337.44억달러 | 8.4 | 74707CNY | 11247USD | 21339ID | 6.6423 | 3.5009 | |
2015 | 26239.2억위안 | 4212.83억달러 | 9.0 | 68645CNY | 11021USD | 19339ID | 6.2284 | 3.5495 | |
2014 | 24292.6억위안 | 3954.65억달러 | 9.9 | 64097CNY | 10434USD | 18053ID | 6.1428 | 3.5504 | |
2013 | 22077.8억위안 | 3564.85억달러 | 11.0 | 58702CNY | 9478USD | 16411ID | 6.1932 | 3.5769 | |
2012 | 19883.8억위안 | 3149.91억달러 | 11.4 | 53250CNY | 8436USD | 14997ID | 6.3125 | 3.5508 | |
2011 | 17703.8억위안 | 2741.04억달러 | 12.3 | 47764CNY | 7395USD | 13625ID | 6.4588 | 3.5055 | |
2010 | 14845.8억위안 | 2193.04억달러 | 13.9 | 40320CNY | 5956USD | 12179ID | 6.7695 | 3.3106 | |
2009 | 12324.2억위안 | 1804.16억달러 | 12.3 | 33677CNY | 4930USD | 10666ID | 6.8310 | 3.1575 | |
2008 | 10889.4억위안 | 1567.93억달러 | 13.0 | 29938CNY | 4311USD | 9424ID | 6.9451 | 3.1768 | |
2007 | 9301.9억위안 | 1223.29억달러 | 15.2 | 25730CNY | 3384USD | 8534ID | 7.6040 | 3.0149 | |
2006 | 7627.4억위안 | 956.8억달러 | 14.8 | 21226CNY | 2663USD | 7376ID | 7.9718 | 2.8777 | |
2005 | 6588.6억위안 | 804.3억달러 | 11.6 | 18448CNY | 2252USD | 6453ID | 8.1917 | 2.8590 | |
2000 | 3764.54억위안 | 454.74억달러 | 9.3 | 11194CNY | 1352USD | 4117ID | 8.2784 | 2.7193 | |
1990 | 522.28억위안 | 109.19억달러 | 7.5 | 1763CNY | 369USD | 1035ID | 4.7832 | 1.7026 | |
1980 | 87.06억위안 | 58.1억달러 | 18.4 | 348CNY | 232USD | 233ID | 1.4984 | 1.4955 | |
1978 | 66.37억위안 | 42.68억달러 | 17.8 | 273CNY | 176USD | 1.5550 | |||
1970 | 34.7억위안 | 14.1억달러 | 9.9 | 173CNY | 70USD | 2.4618 | |||
1962 | 22.12억위안 | 8.99억달러 | 98.6 | 137CNY | 56USD | 2.4618 | |||
1957 | 22.03억위안 | 8.46억달러 | 6.7 | 154CNY | 59USD | 2.6040 | |||
1952 | 12.73억위안 | 5.73억달러 | 23.3 | 102CNY | 46USD | 2.2227 |
푸젠성은 구릉지대로 경작지가 부족하여 쌀이 주요 작물이며, 고구마, 밀, 보리 등으로 보충한다.[51] 사탕수수와 유채가 주요 상품 작물이다. 롱간 생산량 1위이며, 라이치와 차의 주요 생산지다. 해산물, 특히 조개류 생산이 중요하다.
1978년 이전 푸젠성은 대만과의 지리적 위치 때문에 잠재적 전쟁 최전선으로 간주되어 중앙 정부 투자가 적었다. 그러나 1978년 이후 해외 푸젠 출신, 대만, 외국으로부터 투자를 받았다.
민난 황금 삼각지대(閩南金三角)는 푸젠성 GDP의 40%를 차지한다.
푸젠성은 2008년 12월 시작된 대만과의 직접 운송 개방의 최대 수혜자다. 대만에서 푸젠 주요 도시로 직항편이 운항되며, 샤먼, 취안저우, 푸저우 항구는 대만과의 무역 증진을 위해 인프라를 개선할 것이다.[52][53]
푸젠성은 매년 중국 국제 투자 무역 박람회를 개최하여 외국인 투자를 유치한다.
푸젠성에는 다음과 같은 경제특구가 있다.
- 동산(Dongshan) 경제기술개발구
- 푸저우(Fuzhou) 경제기술개발구
- 푸저우 자유무역지구
- 푸저우 첨단기술산업단지
- 푸저우 대만 상인 투자 지역
- 지메이 대만 상인 투자 지역
- 메이저우 섬(Meizhou Island) 국가 관광 휴양지
- 무이산(Wuyi Mountain) 국가 관광 휴양지
- 샤먼(Xiamen) 수출 가공구
- 샤먼 자유무역지구
- 샤먼 하이창 경제기술개발구
- 샤먼 토치 신기술산업개발구 (중국어판)
- 싱린(Xinglin) 대만 상인 투자 지역
2009년 푸젠성(福建省)은 전국 GDP 10위였다. 취안저우는 푸젠성의 경제 중심지로 경공업, 전자, 식품, 목공 중심의 공업 생산이 많다.
대륙부 남부를 중심으로 대만으로부터의 외국인직접투자가 많고, 거주하는 대만인도 많다.[70] 2017년 푸젠성에 온 대만 출신자는 연 300만 명을 넘었다. 해협을 사이에 두고 경제 통합이 진행되고 있다.
우롱차 생산지로 유명하며, 특히 무이산시(武夷山市)의 무이암차(武夷岩茶)는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랩상수총(Lapsang souchong)홍차 수출도 오래전부터 계속되고 있다.
화강암 등 석재와 가공품, 마위송에서 채취하는 로진의 산지로도 알려져 있다.
취안저우시(泉州市) 부근에는 종이 위생 용품 대형 제조업체와 신발 제조업체가 모여 있다.
7. 사회
푸젠성의 인구는 비교적 조밀하지만, 해안 평야 지역에 인구가 집중되어 있고 내륙 산지에는 적은 편이다. 한족이 주를 이루지만, 서족, 후이족, 몽골족, 만주족, 고산족, 먀오족, 좡족, 야오족, 징족, 둥족 등 31개의 소수민족도 거주한다. 특히 서족은 북쪽 산지에 집중되어 있으며, 전국 서족 인구의 60%를 차지한다. 푸젠성은 해외 화교를 많이 배출했으며, 특히 동남아시아에 푸젠 출신 화교가 많다. 싱가포르 화인(華人)의 다수는 푸저우를 본적으로 두고 있다. 복청, 장악 등 지역 사람들은 미국, 영국 등에 불법 이민자로 많이 살고 있다.
푸젠성에는 불교, 마조, 개신교, 천주교, 이슬람교, 도교, 마니교 등 다양한 종교가 존재한다.
- 불교: 서진 시대(282년)에 소인사가 세워졌고, 당나라 이후 많은 고승을 배출했다. 푸젠성 전역에는 2,000여 곳의 비구니 암자와 사원이 있으며, 약 7,000명의 승려가 있다. 안시현의 고승은 청수 창시자로 추앙받는다.
- 개신교: 1842년 전파된 후, 샤먼에 세워진 신가당은 중국 최초의 교회로 알려져 있다. 40여 개 현과 시에 300여 곳의 교회가 있으며, 포전당, 복주화항당, 천안당 등이 유명하다. 등록된 신자는 68만 명 정도이며, 푸저우시에만 20만 명이 넘는다. 푸톈시, 취안저우시, 푸칭시에도 약 10만 명의 신자가 있다.
- 천주교: 16세기 말 전파되어 청나라(1883년) 때 푸저우, 샤먼에 교구가 설치되었다. 푸저우시의 판촨포주교좌당과 장러의 청관천주교당이 유명하다. 푸저우시와 닝더시에 신자가 집중되어 있으며, 1994년 푸저우시 천주교 신자는 20만 명을 넘었다.
- 도교: 당나라 때 사찰과 도사가 생겨났고, 남송 시대에 발달했다. 청나라 건륭 연간에 쇠퇴했지만, 여전히 많은 도사가 활동하고 있다. 푸저우의 임수부인, 민남 지역의 개장성왕, 청산왕, 보성대제, 법주공 등이 유명하다.
- 마조 숭배: 북송 시대 푸젠 연해에서 시작되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1억 명 정도의 신자가 있다. 화남 연해 지방, 푸젠, 황동 일대, 대만, 동남아시아에 널리 퍼져 있다. 푸젠성 포전의 미주도는 마조 성지로, 매년 많은 신자들이 참배한다.
- 이슬람교: 주로 취안저우, 샤먼, 푸저우, 샤오우 등 4개 도시와 주변 현에 무슬림이 분포하며, 각 도시에 청진사(이슬람 사원)가 1곳씩 있다. 취안저우 영산에는 이슬람 무덤이 있다.
- 마니교: 당나라 때 푸저우, 취안저우 등지에서 활동했으며, 농촌에 신자가 많았다. 농민 봉기에 영향을 주었으나, 통치자들에게 탄압받았다. 취안저우 부근에 보존된 마니광불석조와 석각은 전국에 3개밖에 없다.
많은 중국인들이 푸젠의 주요 항구에서 베트남의 홍하 삼각주로 이주했다. 정착민들은 Trần 항구와 번돈(Vân Đồn)을 건설했다.[19] 푸젠과 광둥(廣東) 출신 중국인들은 무역을 위해 번돈(Vân Đồn) 연안 항구로 이주했다.[20] 리(Lý) 왕조와 쩐(Trần) 왕조 시대에, 푸젠 또는 광시(廣西) 출신인 Trần(陳) 성씨를 가진 많은 중국계 사람들이 베트남으로 이주하여 해안과 수도 남동쪽에 정착했다.[21] 베트남 Trần 씨족은 전국시대 진(秦) 장군 Trần Tự Minh(기원전 227년)을 선조로 여기며, 그는 남중국과 북베트남의 백월(百越) 민족인 만(Mân) 출신이었다. Tự Minh은 안양왕(An Dương Vương)의 오락(Âu Lạc) 왕국에서 진(秦)에 저항했다. 11세기 말 대월(현대 베트남) 즉막(Tức Mạc) 마을 출신 어부 Trần Kinh의 후손들은 베트남을 건국한 리(Lý) 왕족과 결혼하여 1225년 쩐(Trần) 왕조를 세웠다.[22]
베트남에서 Trần씨는 관리로 일했으며, 쩐(Trần) 왕조와 리(Lý) 왕조의 과거 시험 기록에 그들의 성씨가 나타난다.[23] 현재 푸젠, 광시, 광둥 출신의 중국계 민족들이 이주한 번돈(Vân Đồn) 지구에서는 의복, 음식, 언어가 현지 베트남인들과 융합되었다.
1172년, 푸젠은 타이완 또는 필리핀 비사야스 제도 출신 피시예(Pi-she-ye) 해적들의 공격을 받았다.[25]
중국 국공 내전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은 푸젠성 대부분을 장악했지만, 금문도(Quemoy)와 마쭈 열도(Matsu Island)는 제외되었다. 초기 푸젠성의 발전은 중화민국과의 갈등으로 인해 더뎠으나, 오늘날 푸젠성은 높은 산림 피복률과 경제 성장률을 보인다. 푸젠성의 1인당 GDP는 최근 중국 성들 중 4~6위를 기록하고 있다.
발전과 함께 인구 과밀 지역인 푸젠성 북부와 서부에서 많은 인구가 유입되었고, 농지, 산림, 문화유산 등이 고층 건물로 대체되었다. 푸젠성은 발전과 자연 및 문화 유산 보존이라는 과제를 안고 있다.

1832년 푸젠성의 인구는 약 1400만 명으로 추산되었다.[55] 2021년에는 4187만 명으로 추산되었으며, 도시화율은 69.7%였다.[48]
푸젠성 인구의 98%는 한족으로 분류된다. 푸젠성에서 가장 큰 한족 하위 집단은 호로인(Hoklo people), 푸저우인(Fuzhounese people), 푸톈인(Putian people), 푸저우 탄카(Fuzhou Tanka) 등 다양한 민계어 사용자들이다. 자신들만의 독특한 정체성을 가진 객가인(Hakka people)은 푸젠성 중부와 남서부에 거주한다. 북부 산악 지대에 흩어져 사는 소수민족인 샤(She)족은 푸젠성에서 가장 큰 소수민족이다.[56]
전 세계, 특히 동남아시아에 거주하는 많은 화교들은 호로인(Hoklo people)과 객가인(Teochew people)의 푸젠 계통에서 기원을 찾는다. 남부 민계어를 사용하는 이민자들의 후손들은 대만, 싱가포르, 오스트레일리아, 브루나이, 태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의 화교 인구 대부분을 구성한다. 동부 민계어를 사용하는 사람들(특히 푸저우인(Fuzhounese people))은 1990년대 이후 미국으로 이주하는 중국인 이민자들의 주요 출처 중 하나이다.[57]
2007년과 2009년 조사에 따르면, 푸젠성 인구의 30% 이상이 중국 전통 종교를 믿고, 3.5%는 기독교인이다.[58] 나머지 65.19%는 무종교이거나 중국 민간 종교, 불교, 유교, 도교, 중국 구원파 종교 또는 이슬람에 참여할 수 있다. 푸젠성은 마니교가 여전히 실천되는 세계에서 유일한 곳 중 하나이다.[59] 2010년 푸젠성에는 약 11만 6천 명의 무슬림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60]
8. 문화
산악 지형과 중국 중부 지역에서의 대규모 이주, 그리고 역사 과정에서 해상 무역상 등 여러 외국 민족 집단의 동화로 인해 푸젠성은 중국에서 문화적, 언어적으로 가장 다양한 지역 중 하나이다. 지역 방언은 10km 이내에서 서로 알아듣기 어려울 수 있으며, 지역 문화와 민족 구성 또한 서로 완전히 다를 수 있다. 이는 "푸젠성에서 8km를 운전하면 문화가 바뀌고, 16km를 운전하면 언어가 바뀐다"는 표현에 반영되어 있다.[61]
푸젠성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방언은 광범위한 민(Min)어 범주에 속한다. 최근 분류에서는 민어를 다음과 같이 세분화하고 있다.[62][63]
- 동민(Eastern Min)어(이전의 북부 집단), 복주 방언 포함
- 북민(Northern Min)어, 내륙 북부 지역에서 사용
- 푸젠 민(Pu-Xian Min)어, 중부 해안 지역에서 사용
- 중민(Central Min)어, 성의 서쪽에서 사용
- 소강 민(Shao-Jiang Min)어, 북서쪽에서 사용
- 남민(Southern Min)어, 아모이 방언과 타이완어(Taiwanese Hokkien) 포함
민어의 일곱 번째 세분인 Qiong Wen은 푸젠성에서 사용되지 않는다. 또 다른 중국어 방언인 객가(Hakka)어는 륭옌 주변에 거주하는 객가족에 의해 사용된다.
다른 성과 마찬가지로 푸젠성의 공용어는 표준어(Mandarin)이며, 서로 다른 지역 사람들 간의 의사소통에 사용된다.[61] 하지만 푸젠성 원주민들은 여전히 각각의 모국어와 방언으로 대화한다.
푸젠성의 여러 지역은 고유한 형태의 중국 오페라를 가지고 있다. 민극은 복주 주변에서 인기가 있으며, 고가희는 진강시와 취안저우 주변에서, 향극(Xiangju)은 장저우 주변에서, 복건 남곡은 남부 전역에서, 푸시엔시는 푸톈과 시엔요우 현 주변에서 인기가 있다.
복건 요리는 해산물을 중시하는 중국 요리의 8대 전통 중 하나이다. 복주 요리와 민남 요리를 포함한 다양한 지역의 전통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장 유명한 요리는 불도장(佛跳牆, Fotiaoqiang, 문자 그대로 "부처가 담을 넘는다"라는 뜻)으로, 상어 지느러미, 해삼, 전복 및 사오싱주(중국 알코올 음료) 등 많은 재료를 사용하는 복잡한 요리이다.
우롱차, 무이암차, 랩상수총, 복주 자스민 차를 포함한 많은 유명한 차가 푸젠성에서 유래했다. 실제로 우롱차, 백차, 홍차 세 가지 주요 차의 차 가공 기술은 모두 이 성에서 개발되었다. 복건 차례는 차를 준비하고 제공하는 정교한 방법이다. 영어 단어 "tea"는 복건어에서 차용되었다. 표준어(Mandarin)와 표준 광둥어(Cantonese)는 이 단어를 'chá'라고 발음한다.
남음(Nanyin)은 인기 있는 복건 음악 형태이다.
주목할 만한 칠기의 한 종류인 복주 무형 칠기는 모양을 만들기 위해 점토 및/또는 석고를 사용하는 것으로 유명하며, 나중에 본체를 제거한다. 복주는 또한 수산석 조각으로도 유명하다.
푸젠성은 중국 내에서도 지역에 따른 방언 차이가 심한 지역이다. 주로 푸젠성에서 사용되는 민어(광의의 복건어)는 중국어의 7대 방언 중 하나이며, 다시 민남어·민북어·민동어·포선어·민중어·민감어 등으로 나뉘지만, 서로 다른 분류의 방언끼리는 대화가 어렵다. 민서라고도 불리는 서쪽 내륙부에는 객가어를 사용하는 사람들도 많다. 그 외에 남평시에는 북방화의 언어섬이 있으며, 포성현 일부에서는 오어가 사용된다. 민동어와 민남어는 텔레비전·라디오 방송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중국 푸젠성의 전통적인 지방극으로는 민극(福州), 이원희(취안저우), 고갑극(취안저우), 장극(장저우), 포선희(푸톈), 목우희(괴뢰희, 포대희), 한극 등 24종류가 있다.
주로 다음과 같은 계통으로 나뉜다.
- 복주 요리(福州菜): 담백한 수프부터 진한 홍곡(紅麹) 풍미의 요리까지, 맛과 재료의 다양성이 풍부하다.
- 민남 요리(閩南菜): 대만 요리의 기초가 되는 요리로, 비교적 담백하거나 단맛이 나는 요리가 많고, 소스를 찍어 먹는 요리가 많은 것도 특징이다.
- 민서 요리(閩西菜): 객가 요리의 일종으로, 소박하고 비교적 짠맛이 강한 요리이다.
- 푸저우탈태칠기
- 푸저우수산석각
- 취안저우칠선조
- 취안저우혜안석조
9. 관광
무이산은 1999년에 유네스코 세계문화 자연유산으로 지정되었다.[68] 난핑 지구에 있는 산맥으로, 푸젠성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인 황강산을 포함하고 있다. 중국의 아름다운 자연 경관과 여름 휴양지로 유명하다.
샤먼의 굴랑위 섬은 해변, 구불구불한 골목길, 풍부한 건축물로 유명하다. 이 섬은 중국의 국가 명승지 목록에 포함되어 있으며, 중국 국가여유국(CNTA)에 의해 5A급 관광 명소로 분류되어 있다. 2017년 유네스코에 의해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샤먼에는 남보타사도 있다.
푸톈에는 관광사가 있다. 남진의 마지막 해에 건립되었으며, 메이저우 만 입구 북쪽, 본토에서 약 1.8해리 떨어져 있고 남동쪽으로는 타이완 해협을 마주하고 있다. 약 15.54km2 면적의 이 섬은 무성한 녹지로 덮여 있으며, 해안선은 약 19.31km가 넘는 해변 지역으로 이어진다.
장저우에는 남산사가 있다.
취안저우에는 개원사가 있는데, 면적이 78000m2인 복건성에서 가장 큰 불교 사찰이다.[65] 힌두교와 불교 사찰로 알려져 있지만, 타밀 힌두교의 영향이 더해진 것으로 보이며, 가장 중요한 전당의 주요 조각상은 화엄불교의 주불인 비로자나불이다.
푸저우에는 당나라 시대에 건립된 불교 사찰인 용권사가 있다.
충우 군사 사당은 1949년 국민당군의 공격으로 사망한 인민해방군 전사 27명을 기리는 곳이며, 그중 5명은 공격 중 10대 소녀를 보호하다 사망했다.[66] 이곳은 지역 주민과 관광객들이 자주 찾는 곳이다.[67]
메이저우 제도 주변에는 마조 순례가 있다.
푸딩에는 태무산이 있는데, 산과 바다의 아름다운 전망을 제공하며, 화강암 동굴, 기이한 형태의 돌, 절벽, 맑은 시내, 폭포와 같은 자연 경관과 고대 사찰, 절벽에 새겨진 글씨 등의 문화 유적지로 유명하다.
타이닝 현에는 단샤 지형이 있으며, 2010년 유네스코에 의해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이것은 중국에서 발견되는 독특한 유형의 암석학 지형학이다. 단샤 지형은 대부분 백악기 시대의 붉은색 사암과 역암으로 형성된다. 석회암이 깔린 지역에서 형성되는 카르스트 지형과 매우 흡사하지만, 단샤를 형성하는 암석은 사암과 역암이기 때문에 "가성 카르스트" 지형이라고 불린다. 이들은 내생적인 힘(지각융기 포함)과 외생적인 힘(풍화와 침식 포함)에 의해 형성되었다.
난징에는 푸젠 토루가 있는데, 이는 중국 남서부 푸젠성에 거주하는 한족의 독특한 농촌 주택이다. 이 46개의 건물[64]은 2008년 유네스코에 의해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푸젠성에는 푸저우, 취안저우, 장저우, 샤먼(구랑위), 창팅의 국가역사문화명성이 있으며, 세계유산으로는 문화유산인 푸젠 토루, 구랑위, 취안저우의 문화재와 복합유산인 무이산이 있다.
10. 교통
- 응하철도(전체길이 693km), 외복선(전체길이 186km), 횡남성(전체길이 470km)은 성내의 철도 중 중요한 간선이다. 현재 온복철도, 복하철도, 하심객운전선 등을 포함하여 연해철도선이 건설되고 있다.
- 연해의 고속도로로는 원저우, 푸저우, 톈저우, 샤먼, 장저우, 산터우 등이 서로 이어지고 있으며, 그 밖의 장용고속 등도 있다. 경복고속푸젠은 이미 푸저우에서 난징에 이르기까지 건설됐다.
- 도로는 39100km 개통되었고, 전국성은 국도 간선 5개를 가지고 있고, 성도 간선 29개를 가지고 있다.
- 내수는 3888km 개통되었고, 연해 항구부두정박장은 416개가 있다. 매년 물동량 1만 톤 이상의 항구가 54개 있고, 8개 국가와 지역에 6개 이상의 항구가 개통되었다.
- 푸저우, 샤먼, 무이산 3개의 공항은 베이징, 상하이, 홍콩, 마닐라, 싱가포르 등 31개 국내외에 이르는 항로를 열었다.

2012년 기준으로, 푸젠성에는 고속도로가 54876km 있으며, 그중 고속화 도로는 3500km에 달한다. 최근 몇 년간 주요 인프라 프로젝트로는 장저우-자오안 고속도로 (6.24억달러)와 산밍시-푸저우 고속도로 (14억달러)가 있다. 2011년부터 2015년까지의 기간을 포괄하는 제12차 5개년 계획은 푸젠성 고속화 도로의 길이를 5500km로 두 배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34]
푸젠성의 산악 지형과 전통적으로 해상 운송에 의존해 온 역사 때문에 철도는 비교적 늦게 도입되었다. 이웃 장시성, 광둥성, 저장성과의 최초 철도 연결은 각각 1959년, 2000년, 2009년에 개통되었다. 2013년 10월 기준으로 푸젠성은 북서쪽 장시성과 영탄-하문 철도(1957년 개통), 헝펑-난핑 철도(1998년), 간저우-룽옌 철도(2005년), 그리고 고속 샹탕-푸톈 철도(2013년) 등 네 개의 철도 연결 노선을 가지고 있다. 서쪽 광둥성과의 유일한 철도 연결 노선인 장핑-룽촨 철도(2000년)는 2013년 말에 고속 하문-선전 철도(하선 선)와 연결될 예정이다. 하선 선은 중국의 동남 연해 고속철도의 최남단 구간을 형성한다. 이 고속철도의 온저우-푸저우 구간과 푸저우-하문 구간은 2009년에 개통되어 최대 250km/h의 속도로 운행되는 열차를 통해 푸젠성과 저장성을 연결한다.
푸젠성 내에서는 난핑-푸저우(1959년), 장핑-취안저우-샤오추오(2007년), 롱옌-하문 철도(2012년) 등이 해안 도시와 내륙 도시를 연결한다. 대만의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푸젠성은 철도 길이를 50% 증가시켜 2500km로 확장할 계획이다.[35]
주요 공항으로는 푸저우 창러 국제공항, 샤먼 가오치 국제공항, 취안저우 진장 국제공항, 난핑 우이산 공항, 롱옌 관저우산 공항 및 산밍 샤시안 공항이 있다. 2011년 기준 샤먼 공항은 연간 1,575만 명의 승객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푸저우 공항은 연간 650만 명의 승객을 처리할 수 있으며, 화물 처리량은 20만 톤이 넘는다. 이 공항은 일본, 말레이시아, 태국, 싱가포르, 홍콩을 포함한 45개 목적지와 직항편을 제공한다.[35]
11. 교육
푸젠성은 중국의 교육 및 연구 분야를 선도하는 주요 성 중 하나로 여겨진다. 2023년 기준, 푸젠성의 주요 도시 두 곳(샤먼 38위, 푸저우 45위)이 Nature Index가 집계한 세계 과학 연구 성과 상위 45개 도시에 이름을 올렸다.[6]
푸젠성의 주요 대학은 다음과 같다.
종류 | 도시 | 학교 이름 |
---|---|---|
국립 | 샤먼 | 샤먼대학교(1921년 설립) |
국립 | 취안저우 | 화교대학교(華僑大學) |
공립 | 푸저우 | 복단대학교(1958년 설립) |
공립 | 푸저우 | 푸젠사범대학교 |
공립 | 푸저우 | 푸젠농림대학교 |
공립 | 푸저우 | 푸젠의과대학교 |
공립 | 푸저우 | 푸젠중의약대학교 |
공립 | 취안저우 | 취안저우사범대학 |
공립 | 샤먼 | 샤먼공과대학교 |
공립 | 푸저우 | 민장대학교 |
공립 | 푸저우 | 푸젠공과대학교 |
공립 | 샤먼 | 지메이대학교 |
공립 | 장저우 | 민난사범대학교 |
공립 | 푸톈 | 푸톈대학교 |
공립 | 산밍 | 산밍대학교 |
사립 | 취안저우 | 양안대학교 |
이 외에도 민난 불교대학교, 푸젠 신학대학교, 복주격지중학교, 복주제일중학교, 복주제삼중학교, 천주제오중학교, 하문쌍십중학교, 하문제일중학교, 하문외국어학교, 복건운효일중 등이 있다.
12. 저명한 인물
푸젠성과 그 해외 동포들은 교육적 성취의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많은 중요한 학자, 정치가 및 저명한 인물들을 배출했다. 여기에는 조적(祖籍)이 푸젠성인 사람들(선조가 푸젠성 출신인 사람들)도 포함된다. 대만, 동남아시아 및 다른 지역의 한족 출신 저명한 인물 중 많은 사람들이 푸젠성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혈통을 가지고 있다.
몇몇 저명한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대략적인 연대순).
한, 당, 송나라
- 백장회해(720–814), 당나라 시대 영향력 있는 선종 승려
- 황벽희운(850년 사망), 당나라 시대 영향력 있는 선종 승려
- 진언(진언)(849–892), 당나라 푸젠성 주지사
- 주문진(945년 사망), 민 왕
- 탁염명(945년 사망), 불교 승려이자 황제
- 류총소(906–962), 진강왕이자 청원군 절도사
- 진홍진(914–985), 평해군 절도사
- 유용(987–1053), 유명한 시인
- 채경(1047–1126), 북송 시대에 살았던 정부 관리이자 서예가
- 리강(1083–1140), 송나라 정치가이자 군 지휘관 (조적은 소오)
- 주희(1130–1200), 유교 철학자
- 진덕수(1178–1235), 송나라 정치가이자 철학자
- 염우(1191–1241), 남송 시대 시론가이자 시인
- 진문룡(1232–1277), 남송 말년의 학자 장군
- 포수갱(1250–1281), 남송 말년의 무슬림 상인이자 관리
원, 명, 청나라
- 진유정(1330–1368), 원나라 군 지휘관
- 고병(1350–1423), 명나라 시대 작가이자 시론가
- 황선평(14세기-15세기), 브루나이 술탄 무함마드 샤의 왕실 사위
- 장경(1492–1555), 명나라 정치가이자 장군
- 유대우(1503–1579), 명나라 장군이자 무술가
- 리지(1527–1602), 철학자, 역사가이자 작가
- 진적(1541–1617), 명나라의 문헌학자, 전략가, 여행가
- 황도주(1585–1646), 명나라 정치가, 서예가, 학자
- 영감(1592–1673), 명나라 시대에 살았던 유명한 불교 승려, 시인, 서예가
- 홍승초(1593–1665), 명나라와 청나라 관리
- 정지룡(1604–1661), 명나라 말기 제독, 해적 두목이자 정치가
- 시랑(1621–1696), 청나라 제독
- 리광제(1642–1718), 청나라 대학사
- 정성공(1624–1662), 대만에서 네덜란드인을 축출한 명나라 장군
- 정경(1642–1681), 연평왕
- 황신(1687–1772), 청나라 시대 화가
- 린쩌슈(1785–1850), 청나라 학자이자 관리
- 진보천(1848–1935), 청나라 황제의 스승
- 전석채(1840년대–1893), "장 중국 거인"으로서의 연예인
- 황내상(1849–1924), 학자이자 혁명가, 1901년 동 말레이시아 사라왁의 시부 마을을 발견
- 임술(1852–1924), 서양 고전을 중국에 소개한 번역가
- 엄복(1854–1921), 학자이자 번역가
- 사진병(1859–1952), 몽골 출신 고위 해군 장교
- 정소서(1860–1938), 만주국 총리
- 구진(1875–1907), 혁명가이자 작가
- 임장민(林長民|임장민중국어) (1876–1925), 북양정부 고위 주지사
- 량홍지(1882–1946), 중화민국 개혁정부 행정원 원장
- 인주경(1885–1947), 동하북 자치정부 의장
- 임주민(1887–1911), 광저우 황후강에서 72명의 혁명 순국자 중 한 명
- 진소관(1889–1969), 국민혁명군 해군의 최고 사령관으로 재직한 함대 제독
- 황준(1890–1937), 작가
- 현우(1893–1959), 단백질 과학자
- 임어탕(1894–1976), 작가
- 주도봉(1895–1944), 언론인, 미디어 기업가, 정치 활동가
- 정정도(1898–1958), 문학사가
- 노인(1899–1934), 작가
20세기-21세기
- 빙심(1900–1999), 작가
- 서춘등(1902–1970), 과학자, 연구원, 강사
- 장우철(1902–1986), 천문학자이자 자금산 천문대 소장
- 호예빈(1903–1931), 작가
- 진보타(1904–1989), 공산주의 언론인, 교수, 정치 이론가
- 림휘인(1904–1955), 건축가이자 작가
- 고세원(1914–2014), 가명 바둑 챔피언 우칭위안
- 임가교(1916-2013), 저명한 수학자
- 왕시진(1916-2016), 핵의학 의사
- 림시오룡(1916–2012), 복청 출신 중국계 인도네시아 사업가, 살림 그룹 창립자
- 정민(1920–2022), 학자이자 시인
- 레이 우(1928–2008), 유전학자
- 지탕사(1932년생), 몽골 출신 저명한 전자 공학자
- 진경룬(1933–1996), 진의 정리와 진 소수를 발명한 유명한 수학자
- 왕원싱(1939년생), 작가
- 류영명(1940–2016), 수학자이자 학자
- 손선수(1943년생), 콜롬비아 대학교 출신 지구화학자 박사 (조적은 복주)
- 첸카이거(1952년생), 영화 감독 (조적은 복주)
- 진장량(1961년생), 2007년 광시 부지사로 선출된 중국 생물학자
- 류유동(1970년생), 프로 농구 선수
- 석지용(1980년생), 프로 역도 선수
- 장징추(1980년생), 배우
- 린단(1983년생), 프로 배드민턴 선수
- 조니 제이(1989년생), 래퍼이자 작곡가
- 서빈(1989년생), 배우이자 가수
- 천후위(1992년생), 프로 배드민턴 선수
- 오호우(1992년생), 배우이자 가수
- 왕절림(1994년생), 프로 농구 선수
- 천곤(1996년생), 가수이자 작곡가
- 장이밍(1983년생), 인터넷 기업가, 바이트댄스(틱톡 모회사) 창립자, 2024년 10월 기준 중국 최고 부자.
- 왕싱(1979년생), 인터넷 기업가, 미투안뎬핑 창립자.
- 로빈 증(1968년생), 기술 기업가, 컨템포러리 암페렉스 테크놀로지(CATL) 창립자.
- 장호(2000년생), 한국 보이그룹 제로베이스원 멤버.
푸젠성에는 중국 농구 협회와 중국 1부 리그에 모두 프로 스포츠 팀이 있다.
중국 농구 협회의 푸젠성 대표팀은 진강, 취안저우에 연고지를 둔 푸젠 스터전스이다. 푸젠 스터전스는 2004-2005 시즌에 데뷔하여 남부 디비전 7위(최하위)를 기록하며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2005-2006 시즌에는 5위를 기록하며 플레이오프 진출에 단 한 경기 차이로 아쉽게 좌절했다.
샤먼 블루 라이온스는 2007년 해체되기 전까지 중국 슈퍼리그에서 푸젠성을 대표하는 팀이었다. 현재 푸젠성은 중국 2부 리그에서 활동하는 푸젠 티앤신 F.C.와 푸젠 브롱코스가 대표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Doing Business in China - Survey
http://english.mofco[...]
Ministry Of Commerce - People's Republic Of China
2013-08-05
[2]
웹사이트
Communiqué of the Seventh National Population Census (No. 3)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2021-05-11
[3]
웹사이트
2023年福建省国民经济和社会发展统计公报
http://tjj.fujian.go[...]
fujian.gov.cn
2024-03-14
[4]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Indices (8.0)- China
https://globaldatala[...]
2024-09-23
[5]
백과사전
Fujian
http://www.lexico.co[...]
Oxford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Leading 200 science cities Nature Index 2023 Science Cities Supplements Nature Index
https://www.nature.c[...]
2023-11-22
[7]
학술지
Holocene sea-level change and the emergence of Neolithic seafaring in the Fuzhou Basin (Fujian, China)
2011-04-00
[8]
서적
The Neolithic Archaeology of Southeast China
Wiley-Blackwell
[9]
백과사전
Britannica
[10]
웹사이트
Fuijan
https://web.archive.[...]
[11]
서적
The Pan-Pearl River Delta: An Emerging Regional Economy in a Globalizing China
https://books.google[...]
Chinese University Press
[12]
백과사전
Fukien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08-12-20
[13]
서적
伊本・白图泰游记
宁夏人民出版社
[14]
뉴스
http://news.xinhuane[...]
Xinhua News
[15]
서적
Zizhi Tongjian
[16]
서적
History of Song (Yuan dynasty)
[17]
서적
Xu Zizhi Tongjian
[18]
서적
Xu Zizhi Tongjian
[19]
서적
Sources of Vietnamese Tradition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2-08-21
[20]
서적
The Elephant and the Lotus: Vietnamese Ceramics in the Museum of Fine Arts, Boston
https://books.google[...]
MFA Pub.
[21]
서적
Secondary Cities & Urban Networking in the Indian Ocean Realm, c. 1400-1800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1955-01-01
[22]
서적
Encyclopedia of Asian history
https://books.google[...]
Scribner
[23]
서적
Vietnam and the Chinese Model: A Comparative Study of Vietnamese and Chinese Government in the First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 Asia Center
[24]
서적
History Without Borders: The Making of an Asian World Region, 1000-1800
https://books.google[...]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11-08-01
[25]
웹사이트
http://www.filipikno[...]
[26]
서적
The Great Ming Code / Da Ming lu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2-09-00
[27]
웹사이트
朝鲜人笔下的十六世纪末福建面貌_江苏频道_凤凰网
http://js.ifeng.com/[...]
[28]
웹사이트
https://tspace.libra[...]
[29]
서적
Chuan-chou Fu-chi
[30]
서적
The City in late imperial China
Stanford University Press
[31]
학술지
Open Door or Sphere of Influence?: The Diplomacy of the Japanese–French Entente and Fukien Question, 1905–1907
[32]
웹사이트
Forestry in Fujian Province
http://english.fores[...]
English.forestry.gov.cn
2010-01-21
[33]
학술지
Neotectonic interpretations and PS-InSAR monitoring of crustal deformations in the Fujian area of China
2017-05-05
[34]
웹사이트
China Briefing Business Reports
http://www.stats-fj.[...]
Asia Briefing
[35]
웹사이트
China Expat city Guide Dalian
http://www.chinaexpa[...]
China Expat
[36]
웹사이트
http://files2.mca.go[...]
Ministry of Civil Affairs
2015-12-11
[37]
서적
http://www.sztj.gov.[...]
China Statistics Print
2015-05-29
[38]
서적
China Statistics Print
2012
[39]
서적
China Statistics Print
2014-08
[40]
웹사이트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18
[41]
웹사이트
http://www.quanzhou.[...]
Quanzhou People's Government
[42]
웹사이트
http://www.xzqh.org/[...]
XZQH.org
2015-07-14
[43]
서적
China Statistics Print
2022
[44]
서적
China Statistics Print
2012
[45]
서적
中国城市建设统计年鉴2018
http://www.mohurd.go[...]
China Statistic Publishing House
2019
[46]
서적
How China Escaped the Poverty Trap
Cornell University Press
2016
[47]
웹사이트
Market Profiles on Chinese Cities and Provinces
http://info.hktdc.co[...]
[48]
웹사이트
National Data
https://data.stats.g[...]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2022-03-01
[49]
간행물
Bulletin on Reforming Fujian's GDP Accounting and Data Release System
http://www.stats-fj.[...]
fj.gov.cn
2017-10-23
[50]
웹사이트
China Statistical Yearbook
http://www.stats.gov[...]
State Administration of Foreign Exchange
[51]
백과사전
Fujian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08-12-20
[52]
뉴스
Ever cuddlier
http://www.economist[...]
2008-12-18
[53]
뉴스
China Pledges Loans to Taiwan Firms to Boost Ties (Update2)
https://www.bloomber[...]
2008-12-21
[54]
간행물
http://www.cqvip.com[...]
2005-04
[55]
서적
Embassy to the Eastern Courts of Cochin-China, Siam, and Muscat
http://www.wdl.org/e[...]
Harper & Brothers
[56]
웹사이트
Fujian Demographics - China Maps, map of china, maps of Beijing, Shanghai, Xian, Hong Kong, Tibet
http://www.chinamaps[...]
[57]
뉴스
In Chinatown, Sound of the Future Is Mandarin
https://www.nytimes.[...]
2009-10-21
[58]
보고서
China General Social Survey 2009, Chinese Spiritual Life Survey (CSLS) 2007
https://baylor-ir.td[...]
2015
[59]
웹사이트
Manichaeism and its Spread into China
http://trace.tenness[...]
2002
[60]
웹사이트
Muslim in China, Muslim Population & Distribution & Minority in China
https://www.topchina[...]
[61]
뉴스
Uniting China to Speak Mandarin, the One Official Language: Easier Said Than Done
https://www.nytimes.[...]
2005-07-10
[62]
서적
Chinese Language(s): A Look Through the Prism of "The Great Dictionary of Modern Chinese Dialects"
Walter de Gruyter
[63]
서적
Chine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4]
웹사이트
Fujian - My Tours Company
https://mytours.comp[...]
[65]
웹사이트
Kaiyuan Temple
Chinaculture.org
2012-01-31
[66]
서적
China's grandmothers : gender, family, and aging from late Qing to twenty-first centu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
[67]
학술지
Deifying Communist Soldiers: The Coastal Defence Culture and the Continuation of Apotheosis in Contemporary China
http://dx.doi.org/10[...]
2021-11-24
[68]
웹사이트
High-speed railway revives ancient tea road
https://global.china[...]
[69]
일반
[70]
웹사이트
福建[省]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71]
웹사이트
<コラム>日本と多くの共通点を持つ福建省、出身者にとって日本は住みやすい場所に違いない
https://www.recordch[...]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