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진곤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곤서는 광서성 계평 출신으로, 1851년 금전봉기에 참여한 태평천국의 장수이다. 삼하 전투에서 승리하고, 제2차 강남대영 공략에 참여하여 창저우, 무석, 소주 등을 점령하며 파죽지세로 세력을 확장했다. 1863년 창저우를 공격한 회군과 상승군에 맞서 싸웠으나, 1864년 창저우 전투에서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나라의 반란자 - 홍수전
    홍수전은 과거 시험에 낙방한 후 기독교적 사상을 받아들여 태평천국을 건국하고 천왕으로 즉위하여 토지 개혁과 사회 개혁을 시도했지만, 내부 갈등과 청나라의 공격으로 사망하며 태평천국을 멸망시킨 중국의 농민 반란 지도자이다.
  • 청나라의 반란자 - 오삼계
    오삼계는 명나라 말 청나라 초의 무장으로, 명나라 멸망 후 청과 손잡고 이자성을 격파, 평서왕에 봉해졌으나 삼번의 난을 일으켰다가 실패한 인물로, 배신과 야망의 상징이자 진원원과의 러브스토리로도 알려져 있다.
  • 태평천국의 난 관련자 - 보르지기트 셍게린첸
    보르지기트 셍게린첸은 청나라 말기 몽골족 장군이자 귀족으로, 태평천국의 난, 애로 전쟁, 념군 토벌 등 여러 전쟁에서 활약했고, 사후 충친왕 시호를 받았으며, 현대 중국에서는 청나라에 대한 그의 충성이 애국심으로 평가받는다.
  • 태평천국의 난 관련자 - 석달개
    석달개는 광서성 출신의 객가인으로, 태평천국 운동의 주요 지도자로서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지도력으로 두각을 나타내며 '성광왕' 칭호를 받았으나, 톈징 사변 이후 독자적인 원정을 감행하다 청군에 포위되어 능지처참을 당했고, 그의 영웅적인 면모는 후대에 영향을 미쳐 객가인들에게 민족 영웅으로 추앙받고 있다.
  • 1864년 사망 - 홍수전
    홍수전은 과거 시험에 낙방한 후 기독교적 사상을 받아들여 태평천국을 건국하고 천왕으로 즉위하여 토지 개혁과 사회 개혁을 시도했지만, 내부 갈등과 청나라의 공격으로 사망하며 태평천국을 멸망시킨 중국의 농민 반란 지도자이다.
  • 1864년 사망 - 막시밀리안 2세 (바이에른)
    막시밀리안 2세는 바이에른 왕국의 왕으로, 학구적인 성향을 보이며 문화, 교육, 예술 발전에 힘썼으나 보수적인 반발에 직면했고, 프로이센의 범독일주의에 맞서 바이에른의 정체성을 강화하려 노력하다가 1864년 사망했다.
진곤서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진곤서
원어 이름陳坤書
출생일1820년 1월 1일
출생지광시성 구이강
사망일1864년 5월 7일
사망지장쑤성 창저우
국적청나라, 태평천국
직업군인
병역태평천국 장군
활동 기간1850년–1864년
소속태평천국
군사 경력
충성청나라 (1849년까지), 태평 (1864년까지)
복무 기간1850년–1864년
계급태평천국 대장군
참전 전투동정
강남대영 2차 격파전 (1860년)
상해 전투 (1861년–1863년)
자계 전투 (1862년)
창저우 전투 (1864년)
서정
삼하 전투 (1858년)

2. 생애

진곤서는 광서성 계평 출신으로 1851년 금전봉기에 참가하여 태평천국 운동에 뛰어들었다. 1854년 서정군에 파견되었고, 1858년 삼하 전투에서는 이수성을 따라 상군을 격파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1860년 이수성과 함께 제2차 강남대영 공략에 참여하여 창저우, 무석, 소주 등 주요 도시들을 연이어 함락하며 큰 공을 세웠다. 1863년까지 천경 방어에 참여했다.

1863년 12월부터 이홍장이 이끄는 회군과 찰스 고든의 상승군이 창저우를 공격해오자, 진곤서는 결사적으로 항전했다. 1864년 4월, 진탄이 함락되고 형이 전사하는 와중에도 분전하여 적군을 격퇴했으나, 5월 11일 회군과 상승군의 협공에 밀려 성이 함락되고 포로로 잡혀 처형되었다.[1]

2. 1. 초기 활동

광서성 계평 출신으로 1851년 금전봉기에 참가했다. 1854년, 서정군에 파견되어 안휘성 소현에 주둔했다. 1858년, 충왕 이수성을 따라 삼하 전투에 참여하여 상군 소속의 이속빈군 6천을 전멸시켰다.[1]

1860년 1월부터 5월까지 이수성을 따라 제2차 강남대영 공략에 참여했다. 이후 5월 26일 창저우를 점령하고, 30일 무석을 차지하고, 6월 2일에 소주를 함락시켰으며, 13일에는 오강, 진택(震澤)을 차지하고, 15일에는 가흥을 함락시키는 파죽의 기세를 보였다.[1] 10월에는 소주를 수비하기 위해 파견되었으나, 1862년 봄, 창저우로 이주했다. 1863년 봄부터 이수성을 따라 천경을 구원하기 위해 각지를 전전했다.[1]

2. 2. 주요 전투 및 승리

진곤서는 1858년 삼하 전투에서 충왕 이수성을 따라 상군 소속 이속빈군 6천 명을 전멸시키는 데 큰 공을 세웠다.[1]

1860년 1월부터 5월까지 이수성을 따라 제2차 강남대영 공략에 참여하여 혁혁한 전과를 올렸다.[1] 주요 전투는 다음과 같다.

날짜전투
5월 26일창저우 점령[1]
5월 30일무석 점령[1]
6월 2일소주 점령[1]
6월 13일오강, 진택(震澤) 점령[1]
6월 15일가흥 점령[1]



이러한 공으로 증국번은 진곤서를 산 채로 잡아오는 자에게는 은 50000냥, 죽여서 잡아오는 자에게는 은 25000냥(당시 병사의 월급은 은 2냥)을 포상금으로 내걸 정도였다.[2]

1861년부터 1863년까지 벌어진 상하이 전투와 1862년 츠시 전투에서도 활약했다.[2]

1864년 4월 25일, 창저우 외성인 진탄이 함락되고 형 진지서(陳志書)가 전사했지만, 진곤서의 태평천국군은 3천 명을 섬멸하며 회군을 격퇴하는 데 성공했다.[1] 그러나 5월 11일, 회군과 찰스 고든이 이끄는 상승군의 수륙 양면 공격으로 회군이 성내에 진입하면서 시가전이 벌어졌고, 결국 진곤서는 사로잡혀 처형되었다.[1]

2. 3. 창저우 전투와 최후

1860년 1월부터 5월까지 이수성을 따라 제2차 강남대영 공략에 참여했다. 이후 5월 26일 창저우를 점령하고, 30일 무석을 차지하고, 6월 2일에 소주를 함락시켰고, 13일에는 오강, 진택(震澤)을 차지하고, 15일에는 가흥을 함락시키는 파죽의 기세를 보였다.[1] 10월에는 소주를 수비하기 위해 파견되었으나, 1862년 봄 창저우로 이주했다.[1] 1863년 봄부터 이수성을 따라 천경을 구원하기 위해 각지를 전전했다.[1] 12월, 강소순무 이홍장이 이끄는 장수성, 유명전, 주성파 등 10만 명의 회군과 찰스 고든이 이끄는 상승군 3천 명이 창저우 공격을 시작했다.[1]

1864년 4월 25일, 창저우 외성인 진탄이 함락되고, 형 진지서(陳志書)가 전사했다.[1] 진곤서의 태평천국군은 분전하며 3천 명을 섬멸하고 회군을 격퇴하는데 성공했다.[1] 그러나 5월 11일, 회군과 상승군이 수륙 양쪽에서 공격하며 회군이 성내에 들어오자 시가전이 벌어졌다.[1] 그 와중에서 진곤서는 사로잡혀 며칠 후 처형되었다.[1]

참조

[1] 서적 The Peking Gazette: A Reader in Nineteenth-Century Chinese History https://books.google[...] BRILL 2018-05-07
[2] 서적 Eminent Chinese of the Qing Period: 1644-1911/2 https://books.google[...] Berkshire Publishing Group 2018-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