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회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회군은 1860년대 청나라 말기에 이홍장이 안휘성 지역에서 창설한 군대로, 태평천국 운동 진압에 기여했다. 회군은 서양식 무기와 훈련 방식을 도입하여 청나라 군대의 근대화에 영향을 미쳤으며, 념군 진압, 청불 전쟁, 청일 전쟁 등 주요 분쟁에 참여했다. 회군은 이홍장의 세력 기반이 되었으며, 청나라 말기 군벌 세력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청일 전쟁 이후 해산되었으나, 회군에서 파생된 신건 육군은 베이양 군벌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나라 - 만주
    만주는 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을 포함한 중국 동북 지역을 가리키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왕조가 지배했으며, 지리적으로는 광활한 평야와 산맥을 특징으로 하며, 현재는 중국 정부가 "동북"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 청나라 - 제1차 아편 전쟁
    제1차 아편 전쟁은 1839년부터 1842년까지 청나라와 영국 간에 벌어진 전쟁으로, 광저우 무역 체제와 아편 밀매가 원인이 되어 영국의 승리로 끝났으며, 난징 조약 체결로 청나라의 몰락을 가속화하고 서구 열강의 아시아 침략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회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개요
명칭회군
원어명淮軍 (Huái Jūn)
별칭안휘군
존속 기간1862년–1894년
소속 국가청나라
군사 정보
군 종류민병대
역할불명
규모불명
지휘 구조불명
주둔지불명
장비전통 무기와 19세기 근대 무기의 혼합
참전태평천국의 난
청불 전쟁
청일 전쟁 (1894년)
해체불명
지휘관
주요 지휘관이홍장

2. 기원

1861년, 태평천국군이 난징에서 출발하여 상하이로 진격하자, 청나라 군대는 항거불능 상태에 빠졌다. 당시 양강총독이었던 증국번상군을 안휘성 안칭에 주둔시키고 있었는데, 상하이 관리들은 증국번에게 구원을 요청했다. 증국번은 상군의 제도를 활용하여 회하 지역 장정을 훈련시킬 계획을 가지고 있었고, 참모였던 이홍장에게 안휘성 지역 장정 모병을 명령했다. 1862년 3월, 이홍장은 안칭에서 "회군"을 창설했다.[1]

이홍장은 회군을 이끌고 상하이에 도착하여 영국군, 미국군과 함께 태평천국군 진압 작전을 펼쳤다. 1861년 말 안칭 탈환 전, 증국번은 이홍장에게 향군 일부를 안후이로 데려와 군 복무를 시키고 독립적인 군대를 조직하도록 명령했다. 총 병력은 25,000명이었으며, 안칭에서 항복한 태평천국 군인들도 포함되었다. 이홍장은 이들을 통합하여 3개월간 훈련시킨 후 첫 전투인 상하이 전투 (1861년)를 치렀다.[1]

이홍장은 념군 반란 이후 중국에 도입된 용영 중 하나인 회군을 지휘했다. 이들은 만주족 팔기군이나 녹영과는 달리 장교들이 순환 보직되지 않았고, 병사들을 직접 선택하여 부자 관계를 형성했으며, 현대식 무기를 갖추었다.[1]

1853년, 태평천국 군이 안휘성으로 쳐들어오자, 이홍장은 고향인 합비에서 단련을 만들었다. 이 단련은 "회용오영" 또는 "회군"이라고 불리며 태평천국과의 전투에 참여했다.

1858년부터 이홍장은 증국번의 상군 막료가 되어 상군 경영을 보좌하며 부대 지휘권도 얻었다. 1860년, 증국번이 양강총독이 되자 이홍장은 회양수사를 맡아 회하 일대에서 활약했다. 1861년, 상군은 태평천국군을 격파하여 안칭을 점령했다.

같은 해 말, 태평천국군이 항주를 공략하고 상하이를 위협하자, 현지 부호층은 전정명을 통해 증국번에게 구원을 요청했다. 1862년, 증국번으로부터 향용 7,000명을 모으라는 명령을 받은 이홍장은 옛 회군 부장들과 상군 부장들을 이끌고 합비에서 향용을 모집하여 회군을 정식으로 성립시켰다.

3. 태평천국의 난 진압

1861년, 태평천국군이 난징을 출발하여 상하이로 진격하자, 청나라 군대는 항거불능 상태에 빠졌다. 이에 증국번이홍장에게 안휘성 지역 장정을 모병하라는 명을 내렸고, 1862년 3월 이홍장은 안칭에서 "회군"을 창설했다.

이홍장은 영국 기선에 회군을 태워 태평천국군의 점령지를 돌파하고 상하이에 도착하여 영국군, 미국군과 함께 태평천국군 진압을 위한 합동작전을 폈다. 1864년까지 회군은 영국군, 프랑스군, 상승군과 협력하여 상하이를 수비했고, 장쑤성에서 상군과 연합하여 저장성 각지에서 태평천국군과 교전했다.[1]

함풍 3년(1853년)에 태평천국 군이 안휘성으로 쳐들어오자, 이홍장은 고향인 합비에서 단련을 만들었다. 이 단련은 "회용오영" 또는 "회군"이라고 불렸으며, 여러 차례 태평천국과의 전투에 참여했다. 함풍 11년(1861년), 상군은 태평천국군을 격파하여 안칭을 점령했다.

같은 해 말, 태평천국군이 항주를 공략하여 상하이를 위협하자, 증국번은 이홍장에게 향용 7,000명을 모으라는 명령을 내렸다. 이홍장은 옛 회군 부장들과 상군 부장들을 이끌고 합비에서 향용을 모집하여 회군을 성립시켰다.

새롭게 편성된 회군은 상하이 구원에 나섰고, 영국의 기선 7척을 고용하여 상하이로 수송되었다. 6,500명의 상회 혼성군을 태운 영국 선박은 양쯔강의 태평천국군 세력권 내를 통과하여 상하이에 도착했다.

상하이에 도착한 이홍장은 서양 무기를 구입하여 회군의 장비를 정비하고, 영국인을 초빙하여 훈련을 실시했다. 회군은 첫 전투에서 대승을 거두었고, 이홍장은 수천 명으로 이수성의 10만여 명 대군을 격파했다.

같은 해, 이홍장은 강소성 순무에 임명되었고, 회군을 확대하여 서양의 신식 장비를 채용했다. 회군은 6천 명 남짓에서 6만~7만 명으로 확대되었고, 청군 중에서 가장 장비가 충실한 부대가 되었다. 회군은 상승군과도 연계하여 태평천국군을 공격했다. 1863년부터 1864년에 걸쳐 회군은 소주, 상주를 함락시키고, 상군과 함께 태평천국을 멸망시켰다.

4. 태평천국의 난 진압 이후

1864년 태평천국의 수도인 천경이 함락된 후, 회군은 일부 해산되었지만 여전히 104개 영(營)과 5만여 명의 병력을 유지했다. 이들은 이홍장증국번의 지휘 아래 청나라 군대의 주력으로서 안휘, 후베이, 허난, 산둥, 장쑤, 허베이 등지에서 염군과 전투를 벌였다.[1]

념군 반란 이후, 이홍장은 용영으로 알려진 새로운 지방군 중 하나인 회군을 지휘했다. 만주족 팔기군이나 녹영과는 달리, 이 지방군의 장교들은 순환 보직되지 않았고, 병사들을 직접 선택하여 부자 관계를 형성했다. 이 군대는 현대식 무기를 갖추었다.[1]

Huai Army의 한 부대 유니폼


차 롄바오(Ch'a Lien-piao, 查廉標)와 같은 안휘군 장교들은 독일에서 서양식 군사 훈련을 받았다.[2] 저우성촨(Gen. Zhou Shengchuan)은 즈리에 있는 안휘군 최고의 부대 중 하나의 통링(t'ung-ling, 사령관)이었으며, 리훙장(Li Hongzhang)에게 현대적인 외국 무기 구매를 권장했다.[3] 서양식 군사 훈련은 저우에 의해 시행되었고, 장교들은 참여하도록 장려되었다. 사격술이 좋고 나쁨에 따라 각각 보상과 처벌이 이루어졌으며, "공로 훈장"과 돈이 지급되었다.[5]

저우는 의학, 전신, 철도와 같은 현대 기술에 매우 관심이 많았고, 영국 고문 찰스 고든이 전쟁에서 이를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리훙장의 독일인 교관 장교들은 엎드려 사격하는 방법과 야간 전투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저우에게 비판을 받았다. 서양인들과 일본인들은 그의 군대를 칭찬했으며, 그들은 "일류"로 여겨졌다. 저우는 20년이 지난 후 부대에 "황혼의 기운"이 드리워졌고, 그들의 성과가 감소했다고 말했다.[6] 안휘군 하사관들은 "특별 훈련"을 받았다.[7]

리훙장은 즈리의 녹영(Green Standard Army) 장교들에게 안휘군 출신 장교들에게 고위 장교직을 주었다.[8] 안휘군 부대는 청불 전쟁 당시 통킹과 포모사에서 프랑스에 맞서 싸웠으나, 가끔 승리했지만 대부분의 전투에서 패배했다.[9]

안휘군 병력은 정부에 의해 즈리, 산시, 후베이, 장쑤, 산시와 같은 중국 전역의 여러 성에 주둔했으며, 총 45,000명 정도였다. 그들은 또한 청일 전쟁에도 참전했다.[10] 류밍촨 장군의 안휘군 지휘는 중국군이 대만에서 프랑스군과 전투에서 대등하게 싸울 수 있도록 했다.[11] 프랑스가 대만의 지룽 요새를 점령하고 단수이 인근을 공격하려 했을 때, 그들은 류 장군 휘하의 안휘군 병사들에게 격퇴되었다.[12] 중국 군대에 도입된 근대화 이후, 대부분의 회군 장교들은 공식적인 학위나 직함을 가지고 있지 않았는데, 이는 학자들보다 더 많은 일반인들이 군 복무를 시작했기 때문이다.[13]

회군은 기동력 있는 념군의 기병대에 맞서기 위해 각 기병 영(ying)에 250명의 기병, 225명의 보병, 25명의 하사관, 11명의 장교, 81명의 노동자를 포함하여 총 592명으로 구성된 기병대를 조직에 도입하기 시작했다. 무장 병력은 5개 중대로 나뉘었다. 또한, 더 많은 회군 부대가 화기 채택으로 현대화되었고, 군대의 규모는 전체적으로 증가했다.[16]

1865년까지 4,000명 이상의 병사가 외국 소총을 사용했으며, 1866-67년에는 31개의 보병 대대와 16개의 기병 대대가 추가로 창설되었다. 1867년에는 새로운 보병 대대 중 7개가 기병 대대로 전환되었고, 캠페인이 종료된 1868년에는 17,400명의 기병 대대 병력이 있었으며, 기병대는 7,000명이었다. 이러한 새로운 대대와 보조 병력의 추가는 회군의 병력이 10만 명 이상으로 확장되었음을 의미한다.

1865년 4월에 념군 진압을 담당하던 승격린친이 전사하자 증국번이 후임 흠차대신으로 임명되었다. 이에 따라 회군도 념군의 진압에 나섰다. 또한, 1866년 겨울에 증국번이 해임되자 이홍장이 그 뒤를 이었다. 념군이 동서로 갈라진 후에는 좌종당이 서념군을 진압하고, 회군은 동념군을 진압했다. 념군의 진압이 완료된 것은 1868년의 일이다.

5. 조직

1861년, 태평천국군이 난징에서 상하이로 진격하자, 증국번이홍장에게 안휘성 지역 장정을 모병하라는 명을 내렸다. 1862년 3월, 이홍장은 안칭에서 "회군"을 창설했다. 회군은 상군의 제도를 바탕으로 영(營)을 기본 단위로 하여 500명의 정원으로 구성되었다. 1863년에는 서양 교관을 초빙하여 서양식 훈련과 무기 사용법을 교육하고, 구식 포병대를 근대적으로 개편했다. 신식 무기 운용을 위해 병력이 700~800명까지 늘어나기도 했다.

1877년, 회군은 독일식 제도를 참고하고 크루프사의 대포를 수입하여 포병대를 구성, 지휘 및 운용 제도를 서양식으로 발전시켰다. 그러나 부대 구성(영)과 운영은 옛 제도를 유지하여, 영 이상의 부대 단위 지휘가 어렵고 지휘권 소재가 불분명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투 시에는 서양식 전술을 모르는 중국인 장교가 지휘하여 훈련 효과가 떨어지기도 했다.

차 롄바오(Ch'a Lien-piao) 등 안휘군 장교들은 독일에서 서양식 군사 훈련을 받았고[2], 저우성촨(Gen. Zhou Shengchuan)은 리훙장에게 현대적인 외국 무기 구매를 권장했다.[3] 서양식 군사 훈련과 함께 사격술에 따른 보상과 처벌, "공로 훈장"과 돈 지급이 이루어졌다.[5]

회군은 기동력 있는 니엔(Nian) 반군의 기병대에 맞서기 위해 기병 영(ying)을 도입, 각 기병 영은 250명의 기병, 225명의 보병, 25명의 하사관, 11명의 장교, 81명의 노동자를 포함하여 총 592명으로 구성되었다. 무장 병력은 5개 중대로 나뉘었다.[16] 1865년에는 4,000명 이상의 병사가 외국 소총을 사용했으며, 1866년-1867년에는 31개의 보병 대대와 16개의 기병 대대가 추가 창설되었다. 1867년에는 새로운 보병 대대 중 7개가 기병 대대로 전환되었고, 1868년에는 17,400명의 기병 대대 병력이 있었으며, 기병대는 7,000명이었다. 이러한 새로운 대대와 보조 병력의 추가는 회군의 병력이 10만 명 이상으로 확장되었음을 의미한다.

서양식 훈련을 받은 병사


회군은 상군과 달리 적극적으로 서양의 신식 병기를 도입했다. 동치 2년, 서양인을 군사 교관으로 초빙하여 서양식 군사 훈련을 실시하고, 조총대를 서양식 소총대로 개편, 구식 벽산포를 개화포로 개량했다. 광서 3년(1877년)에는 독일 군제를 참고하여 크루프포대를 설치하고, 양무운동 과정에서 창설된 강남기기제조총국·천진무비학당에서 무기 제조와 인재 양성을 도모했다. 또한 거점을 직례성으로 옮긴 후에는 북양수사 내에 근대적인 북양함대를 편성했다.

하지만, 회군은 편성은 상군의 제도를 계승했기에 평시 병사 훈련은 서양식으로 실시했지만, 사관은 서양 용병술을 배우지 못해 전시 훈련 성과를 발휘하지 못했다. 사관 양성 기관·교육 체계가 없었고, 지휘 체계는 각 지휘관이나 이홍장과의 개인적인 관계에 의존했다. 때문에 회군 편성이 몇 년 지나 지휘관 세대교체가 진행되면서 관계가 희박해졌고, 말기에는 각 지휘관·부대 간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아[19][20] 각 부대가 개별적으로 싸울 수밖에 없었다.

1865년 회군 조직은 다음과 같다.[15]

1865년 회군 조직
부대 유형대대 수병력
경비대7개 대대4,795명
보병84개 대대57,450명
포병6개 대대4,110명
수군7개 대대4,795명
연합군8개 대대4,000명
총계104개 대대75,240명


5. 1. 상군으로부터 계승한 제도

회군은 "영(營)"을 기본 단위로 하였으며, 상군과 마찬가지로 한 개의 영은 500명의 정원을 가지고 있었다. 1863년에는 각 영마다 청나라 지휘관 외에 서양 교관을 초빙하여 서양식 교련과 무기의 사용법을 교육시켰다. 또한 구식 포병대도 근대적으로 개편되었다. 신식 무기는 운용 병력이 많이 필요했으므로 매 영의 병력이 700~800명 선까지 늘어날 때도 있었다.[14]

1877년, 독일식 제도를 참고하고, 독일 크루프사의 대포를 수입하여 포병대를 구성하였다. 그래서 회군은 상군이 확립한 지휘, 운용 제도를 서양식 제도와 혼합해 발전하였다. 회군은 비록 상군의 제도를 승계했지만, 훈련 방법과 무기는 모두 서양식이었고, 서양 교관을 채용하여 훈련을 실시하였다. 이것은 상군이 중국 전통의 훈련법, 중국산 무기, 중국인 교관을 채용한 것과 대조적인 것이다. 그리하여 회군은 중국의 근대 군대의 시초가 되었다.

그러나 회군은 부대 구성(영)과 운영만큼은 옛 제도를 결코 변경하지 않았다. 그래서 자체 내에 모순과 폐단이 많았다. 예를 들어, 영 이상의 부대 단위의 지휘가 곤란했고, 각 영의 각 지휘관 간의 상하 관계가 확립되지 않아 지휘권의 소재가 불분명했다. 회군은 서양 교관을 초빙하여 평상시에 훈련만 시켰을 뿐, 전투 시에는 서양식 전술을 전혀 모르는 중국인 장교가 지휘하였다. 그리하여 전투 시에 그들은 마구잡이로 작전을 펴서 평시에 실시한 서양식 훈련은 무용지물이 되곤 했다.[14]

1862년 회군은 표준화된 방식으로 편성되었으며, 주력 부대는 대대와 유사한 잉(營)으로, 504명의 병력으로 구성되어 4개의 샤오(少, 중대)로 나뉘어 정면, 후면, 좌익 및 우익 중대로 편성되었다. 샤오는 다시 각 12~14명의 병력으로 구성된 8개의 소대(小隊)로 세분화되었으며, 사용 무기, 요리사 및 병장에 따라 그룹을 지었다.

회군 잉 조직[14]
중대지휘 부대제1 및 제5 소대 (소총)제2, 4, 6, 8 소대 (칼과 창)제3 및 제7 소대 (소형 무기)노동자총계
4개의 정규 중대중대장,병장 1명,병장 1명,병장 1명,108
경비 중대대대장제1 및 제3 소대 (대포)제2, 4, 6 소대 (칼과 창)제5 소대 (소형 무기)
1개 중대병장 1명,병장 1명,병장 1명,72
1개 노동 중대180180



잉 이상의 조직은 표준화되지 않았으며, 파견 지휘관은 소수의 잉만을 지휘할 수 있었고, 한 번에 최대 70개의 잉을 지휘할 수 있었다. 그러나 위 표의 수치조차 승인된 표준화된 부대만 나열하고 있으며, 특수 임무를 수행하거나 아직 정식화되지 않은 부대는 군 구조에 포함되지 않았고, 부패와 전투, 그리고 일반적인 마모로 인해 대부분의 잉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병력이 부족했을 가능성이 높다.[14]

회군의 기본적인 군제는 상군의 그것을 계승했다. 회군 역시 상군과 마찬가지로 사적 집단, 단련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청나라의 정규군인 녹영에서는 "병사는 국가에 속한다"는 전제에서 장교와 병사 간의 교류가 제한되었던 것에 반해, 회군에서는 "병사는 장교에 속한다"는 원칙을 내세워, 장교가 직접 병사를 모집하고, 병사는 오직 그 장교를 따르면 되었다. 그리고 회군 전체로서는 이홍장 단 한 사람을 따랐다.

또한, 녹영이 개별 영(營)의 정원이 제각각이었던 것에 반해, 회군의 각 영은 500명으로 정원이 정해져 있었다. 초기 영의 편성은 다음과 같다.


  • 영(영관이 지휘)
  • * 친병(영관의 직속 부대. 72명)
  • ** 벽산포대 × 2
  • ** 도모대 × 3
  • ** 소총대 × 1
  • * 전초(초관이 지휘. 108명)
  • * 후초(후초관이 지휘. 108명)
  • * 좌초(좌초관이 지휘. 108명)
  • * 우초(우초관이 지휘. 108명)
  • ** 태창대 × 2
  • ** 도모대 × 4
  • ** 소총대 × 2


※ 후에 도모대, 소총대, 태창대는 모두 서양식 소총대로 개편되었다.

5. 2. 회군만의 독자적인 제도

회군은 "영(營)"을 기본 단위로 하였으며, 500명의 정원을 가지고 있었다. 1863년에는 각 영마다 청나라 지휘관 외에 서양 교관을 초빙하여 서양식 훈련과 무기 사용법을 교육시켰다. 또한 구식 포병대도 근대적으로 개편되었다. 신식 무기는 운용 병력이 많이 필요했으므로 매 영의 병력이 700-800명 선까지 늘어날 때도 있었다.[2]

1877년, 독일식 제도를 참고하고, 독일 크루프사의 대포를 수입하여 포병대를 구성하였다. 회군은 상군이 확립한 지휘, 운용 제도를 서양식 제도와 혼합해 발전하였다. 훈련 방법과 무기는 모두 서양식이었고, 서양 교관을 채용하여 훈련을 실시하였다. 이는 상군이 중국 전통의 훈련법, 중국산 무기, 중국인 교관을 채용한 것과 대조적이다. 그리하여 회군은 중국 근대 군대의 시초가 되었다.[2]

그러나 회군은 부대 구성(영)과 운영만큼은 옛 제도를 결코 변경하지 않았다. 그래서 자체 내에 모순과 폐단이 많았다. 예를 들어, 영 이상의 부대 단위의 지휘가 곤란했고, 각 영의 각 지휘관 간의 상하관계가 확립되지 않아 지휘권의 소재가 불분명했다. 회군은 서양 교관을 초빙하여 평상시에 훈련만 시켰을 뿐, 전투 시에는 서양식 전술을 전혀 모르는 중국인 장교가 지휘하였다. 그리하여 전투 시에 그들은 마구잡이로 작전을 펴서 평시에 실시한 서양식 훈련은 무용지물이 되곤 했다.[2]

차 롄바오(Ch'a Lien-piao, 查廉標)와 같은 안휘군 장교들은 독일에서 서양식 군사 훈련을 받았다.[2] 저우성촨(Gen. Zhou Shengchuan)은 즈리에 있는 안휘군 최고의 부대 중 하나의 통링(t'ung-ling, 사령관)이었다. 그는 리훙장에게 현대적인 외국 무기 구매를 권장했다.[3] 안휘군의 온정주의와 병사들과 장교들 간의 관계는 저우 장군에게 칭찬을 받았으며, 그는 또한 자신의 부대에서 족벌주의를 행했다.[4] 서양식 군사 훈련은 저우에 의해 시행되었고, 장교들은 참여하도록 장려되었다. 사격술이 좋고 나쁨에 따라 각각 보상과 처벌이 이루어졌으며, "공로 훈장"과 돈이 지급되었다.[5]

저우는 의학, 전신, 철도와 같은 현대 기술에 매우 관심이 많았고, 영국 고문 찰스 고든이 전쟁에서 이를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리훙장의 독일인 교관 장교들은 엎드려 사격하는 방법과 야간 전투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저우에게 비판을 받았다. 서양인들과 일본인들은 그의 군대를 칭찬했으며, 그들은 "일류"로 여겨졌다. 저우는 20년이 지난 후 부대에 "황혼의 기운"이 드리워졌고, 그들의 성과가 감소했다고 말했다.[6] 안휘군 하사관들은 "특별 훈련"을 받았다.[7] 리훙장은 즈리의 녹영(Green Standard Army) 장교들에게 안휘군 출신 장교들에게 고위 장교직을 주었다.[8]

1862년 회군은 표준화된 방식으로 편성되었으며, 주력 부대는 대대와 유사한 잉(營)으로, 504명의 병력으로 구성되어 4개의 샤오(少, 중대)로 나뉘었다. 샤오는 다시 각 12~14명의 병력으로 구성된 8개의 소대(小隊)로 세분화되었으며, 사용 무기, 요리사 및 병장에 따라 그룹을 지었다.[14]

회군 잉 조직[14]
중대지휘 부대제1 및 제5 소대제2, 4, 6, 8 소대제3 및 제7 소대노동자총계
4개의 정규 중대중대장병장 1명병장 1명병장 1명108
경비 중대대대장제1 및 제3 소대제2, 4, 6 소대제5 소대
1개 중대병장 1명병장 1명병장 1명72
1개 노동 중대180180



잉 이상의 조직은 표준화되지 않았으며, 파견 지휘관은 소수의 잉만을 지휘할 수 있었고, 한 번에 최대 70개의 잉을 지휘할 수 있었다. 그러나 위 표의 수치조차 승인된 표준화된 부대만 나열하고 있으며, 특수 임무를 수행하거나 아직 정식화되지 않은 부대는 군 구조에 포함되지 않았고, 부패와 전투, 그리고 일반적인 마모로 인해 대부분의 잉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병력이 부족했을 가능성이 높다.[14]

1865년 회군 조직[15]
부대 유형대대 수병력
경비대7개 대대4,795명
보병84개 대대57,450명
포병6개 대대4,110명
수군7개 대대4,795명
연합군8개 대대4,000명
총계104개 대대75,240명



회군은 더 기동력 있는 반군(Nian rebels)의 기병대에 맞서기 위해 각 기병 영(ying)에 250명의 기병, 225명의 보병, 25명의 하사관, 11명의 장교, 81명의 노동자를 포함하여 총 592명으로 구성된 기병대를 조직에 도입하기 시작했다. 무장 병력은 5개 중대로 나뉘었다. 또한, 더 많은 회군 부대가 화기 채택으로 현대화되었고, 군대의 규모는 전체적으로 증가했다.[16]

회군과 상군의 가장 큰 차이점은 회군이 적극적으로 서양의 신식 병기를 도입했다는 점이다. 동치 2년, 각 부대 지휘관과는 별도로 서양인을 군사 교관으로 초빙하여 서양식 군사 훈련을 실시했다. 또한 그 전까지의 조총대를 서양식 소총대로 개편하고, 구식의 벽산포를 개화포로 개량했다. 게다가 광서 3년 (1877년)에는 독일의 군제를 참고하여 크루프포대를 설치하고, 양무운동 과정에서 창설된 강남기기제조총국·천진무비학당에서 무기 제조와 인재 양성을 도모했다. 또한 거점을 직례성으로 옮긴 후에는 북양수사 내에 근대적인 북양함대를 편성했다.

이처럼 회군은 근대화를 추진했지만, 그 편성은 상군의 제도를 계승했기 때문에 한계가 있었다. 평시의 병사 훈련은 서양인 군관을 초빙하여 양식으로 실시했지만, 통령·영관·초관 등 사관은 서양의 용병술을 배우지 못했기 때문에, 전시에는 반드시 훈련의 성과를 발휘하지 못했다. 천진무비학당은 별도로 하고, 사관 전체에 대한 양성 기관·교육 체계가 없었으며, 지휘 체계는 각 급 지휘관 사이나 이홍장과의 개인적인 관계성에 의존했다. 그 때문에, 회군 편성이 몇 년 지나 지휘관의 세대교체 (이 역시 계획적·체계적인 것이 아니라 지휘관의 친척·친족 간 등으로 계승되는 경우가 많았다[17][18])가 진행되면서 관계가 희박해져 갔고, 말기에는 각 급 지휘관·부대 간의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아[19][20] 각 부대가 개별적으로 싸울 수밖에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

6. 쇠퇴

염군이 진압된 이후 회군은 북으로는 톈진, 바오딩, 남으로는 상하이, 우쑹 등 남북간 천리간의 연안지구를 방어하였다. 이홍장은 회군을 세력기반으로 삼아 국가의 외교, 군사, 경제의 실권을 장악하였고 청나라 말기의 주요인사가 되었다. 회군의 주요 지휘관인 장수성, 주성파, 반정신, 오장경, 정여창, 섭지초, 위여귀, 섭사성 등은 회계 군벌을 형성하여 청나라 말기의 유력한 군벌 세력이 되었다.

1884년 청불전쟁 때, 회군은 광시성 전투에서 패전했고, 장수성, 반정신은 지휘관에서 파면되었으나, 후에 도독으로 임명되었다. 청일전쟁 당시 정여창은 섭지초와 북양해군을 지휘했고, 위여귀는 육군을 지휘했으나, 모두 참패했고, 회군의 세력은 급속하게 쇠락했다. 위안스카이신식 육군이 탄생한 이후, 회군은 국방군의 지휘를 상실하고 제2선급의 경비병력으로 격하되었다.

광서제, 선통제의 시기에 혁명세력이 장강 부근에서 봉기를 시도하자, 청나라 정부는 북양군과 회군을 수비군으로 삼아 장강을 방위하도록 했고, 이후 장쉰이 이 부대를 지휘하여 난징에서 혁명군과 교전하였다. 회군 수비대는 청조가 멸망할 때까지 존속하였다.

7. 주요 인물

주요 인물



안휘군 장교인 차 롄바오(Ch'a Lien-piao, 查廉標) 등은 독일에서 서양식 군사 훈련을 받았다.[2] 즈리에 있는 안휘군 최고의 부대 중 하나의 통링(t'ung-ling)/통링(tongling, 사령관)이었던 저우성촨(Gen. Zhou Shengchuan)은 이훙장에게 현대적인 외국 무기 구매를 권장했다.[3]

8. 평가

청불전쟁 때 회군은 광시성 전투에서 패전했고, 장수성, 반정신은 지휘관에서 파면되었으나, 후에 도독으로 임명되었다.[2] 청일전쟁 당시 정여창은 섭지초와 북양해군을 지휘했고, 위여관은 육군을 지휘했으나, 모두 참패하여 회군의 세력은 급속하게 쇠락했다. 위안스카이의 신식 육군이 탄생한 이후, 회군은 국방군의 지휘권을 상실하고 제2선급 경비병력으로 격하되었다.[10]

광서제, 선통제 시기에 혁명세력이 장강 부근에서 봉기를 시도하자, 청나라 정부는 북양군과 회군을 수비군으로 삼아 장강을 방위하도록 했다. 이후 장쉰이 이 부대를 지휘하여 난징에서 혁명군과 교전하였다. 회군 수비대는 청조가 멸망할 때까지 존속하였다.[10]

차롄바오(Ch'a Lien-piao, 查廉標)와 같은 안휘군 장교들은 독일에서 서양식 군사 훈련을 받았다.[2] 저우성촨(Gen. Zhou Shengchuan)은 즈리에 있는 안휘군 최고의 부대 중 하나의 통링(t'ung-ling, 사령관)이었으며, 리훙장에게 현대적인 외국 무기 구매를 권장했다.[3] 저우성촨은 안휘군의 온정주의와 병사 및 장교들 간의 관계를 칭찬했으며, 자신의 부대에서 족벌주의를 행했다.[4]

저우성촨은 서양식 군사 훈련을 시행했고, 장교들은 참여하도록 장려되었다. 사격술의 좋고 나쁨에 따라 각각 보상과 처벌이 이루어졌으며, "공로 훈장"과 돈이 지급되었다.[5]

저우성촨은 의학, 전신, 철도와 같은 현대 기술에 매우 관심이 많았고, 영국 고문 찰스 고든이 전쟁에서 이를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리훙장의 독일인 교관 장교들은 엎드려 사격하는 방법과 야간 전투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저우성촨에게 비판받았다. 서양인들과 일본인들은 그의 군대를 칭찬했으며, "일류"로 평가했다. 저우성촨은 20년이 지난 후 부대에 "황혼의 기운"이 드리워졌고, 성과가 감소했다고 말했다.[6]

안휘군 하사관들은 "특별 훈련"을 받았다.[7]

리훙장은 즈리의 녹영(Green Standard Army) 장교들에게 안휘군 출신 장교들에게 고위 장교직을 주었다.[8]

안휘군 부대는 청불전쟁 당시 통킹과 포모사에서 프랑스에 맞서 싸웠다. 비록 가끔 승리했지만, 대부분의 전투에서 패배했다.[9]

안휘군 병력은 정부에 의해 즈리, 산시, 후베이, 장쑤, 산시와 같은 중국 전역의 여러 성에 주둔했으며, 총 45,000명 정도였다. 그들은 청일 전쟁에도 참전했다.[10]

류밍촨 장군의 안휘군 지휘는 중국군이 대만에서 프랑스군과 대등하게 싸울 수 있도록 했다.[11] 프랑스가 대만의 지룽 요새를 점령하고 단수이 인근을 공격하려 했을 때, 류밍촨 휘하의 안휘군 병사들에게 격퇴되었다.[12]

중국 군대에 근대화가 도입된 이후, 대부분의 회군 장교들은 공식적인 학위나 직함을 가지고 있지 않았는데, 이는 학자들보다 더 많은 일반인들이 군 복무를 시작했기 때문이다.[13]

참조

[1]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2]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3]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4]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5]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6]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7]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8]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9]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10]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11]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12]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13] 서적 Late Ch'ing, 1800-191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18
[14] 서적 Li Hung-chang and the Huai Army Washington University Press
[15] 서적 Li Hung-chang and the Huai Army Washington University Press
[16] 서적 Li Hung-chang and the Huai Army Washington University Press
[17] 서적 中国の歴史(七) 講談社
[18] 서적 江は流れず(下) 中央公論社
[19] 서적 中国の歴史(七) 講談社
[20] 서적 江は流れず(下) 中央公論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