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홍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홍장은 청나라 말기의 정치가, 외교관, 군인으로, 양무운동을 주도하며 근대화에 힘썼다. 안휘성에서 태어나 과거에 급제한 후 증국번의 휘하에서 태평천국 진압에 참여했다. 이후 직례총독과 북양통상대신을 역임하며 외교를 담당, 열강과의 조약을 체결했다. 청일 전쟁에서 패배하고 시모노세키 조약을 맺었으며, 의화단 운동을 수습하는 역할을 했다. 그는 긍정적, 부정적 평가가 공존하며, 상업 및 산업 발전, 군사력 강화에 기여했으나, 조약의 불평등성, 뇌물 수수 의혹 등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나라의 내각학사 - 심계분
    심계분은 청나라 말기 아편 금지 정책 추진과 양무운동 지지 등 내정 개혁에 참여하고 군기대신과 총리아문대신을 역임하며 외교에도 관여한 관료로, 류큐국 멸망 과정에서 류큐 분할안에 합의했으나 이홍장의 비준 지연으로 류큐 병탄을 막지 못했다.
  • 도광 27년 정미과 진사 - 곽숭도 (청나라)
    청나라 관료이자 외교관인 곽숭도는 양무운동에 참여하여 근대화를 지지하고 외국어 교육을 강조했으며, 영국, 프랑스 주재 공사를 역임하며 서구 정치 제도를 칭찬하는 《사서기정》을 저술했고, 철도 도입을 옹호하다 보수파 반발로 은퇴 후 저술 활동을 했다.
  • 청나라의 직례총독 - 보르지기트 키샨
    보르지기트 키샨은 청나라 시대의 관료로, 형부 원외랑, 양강 총독, 쓰촨 총독, 즈리 총독 등을 역임했으며, 린쩌쉬를 대신하여 영국과 평화 협상을 진행했으나 파면된 후 관직에 복귀하여 태평천국의 난을 진압하다 사망했다.
  • 청나라의 직례총독 - 위안스카이
    위안스카이는 청나라 말기와 중화민국 초기에 걸쳐 군인, 정치인으로 활동하며 청나라 멸망을 주도하고 중화민국 초대 대총통이 되었으나, 황제 즉위 시도 실패 후 사망하여 독재적 통치와 군벌 시대 개막이라는 비판을 받는 인물이다.
이홍장
기본 정보
1896년의 리훙장
리훙장, 1896년
작위1등 숙의후
칭호태자태부 문화전 대학사
출생일1823년 2월 15일
출생지청나라 안후이성 루저우부 허페이시 모뎬향
사망일1901년 11월 7일
사망지청나라 베이징
배우자주씨
조소련 (계실)
막씨 (측실)
친족리원안 (아버지)
이한장 (형)
아이린 창 (증손)
리훙장 서명
직위
문화전 대학사임기 시작: 1875년 1월 9일
임기 종료: 1901년 11월 7일
무영전 대학사임기 시작: 1872년 1월 16일
임기 종료: 1875년 1월 9일
대학사 보좌관임기 시작: 1868년 8월 27일
임기 종료: 1872년 6월 22일
직례총독 겸 북양통상대신임기 시작: 1900년 7월 8일
임기 종료: 1901년 11월 7일
전임: 유루
후임: 위안스카이
직례총독 겸 북양통상대신임기 시작: 1870년 8월 29일
임기 종료: 1895년 8월 28일
전임: 쩡궈판
후임: 왕원샤오
양광총독임기 시작: 1900년 5월 24일
임기 종료: 1900년 7월 9일
전임: 탄중린
후임: 타오모
호광총독임기 시작: 1867년 2월 2일
임기 종료: 1870년 8월 29일
전임: 관원
후임: 이한장
양강총독 (대리)임기 시작: 1865년 5월 23일
임기 종료: 1866년 10월 27일
전임: 쩡궈판
후임: 쩡궈판
강소순무임기 시작: 1862년
임기 종료: 1865년
군사 경력
소속청나라 군대
지휘북양함대
회군
계급장군
참전 전투태평천국의 난
청일전쟁
학력
학위진사 (과거)
훈장
훈장쌍용훈장
로열 빅토리아 훈장 기사단장
붉은 독수리 훈장 대십자장
기타

2. 생애

이홍장의 조각 초상화 (찰스 스키너 작)


이홍장은 안휘성 합비 북동쪽 14km 지점에서 태어났다. 이홍장의 아버지와 스승 증국번유교 문관 시험에서 "고급 학자" 신분을 얻었다.[29] 1844년 이홍장은 과거제에서 생원이 되었고, 1847년 진사 학위를 취득하여 2년 후 한림원에 들어갔다.[29]

1850년 태평천국의 난이 일어나자, 이홍장과 그의 아버지는 향토를 지키는 지방 시민군을 만들었다. 1855년 아버지 사망 후에도 이홍장은 계속 직위에 머물렀다. 1856년 심판 직위를 얻었고, 1859년 복건성으로 옮겨져 도대 계급을 받았다.[29]

그의 재능은 양광총독 증국번의 눈에 띄었다. 증국번의 요구로 이홍장은 반란 진압에 참여하여 그의 막료가 되었다. 미국인 프레더릭 타운센드 워드가 키우고 30세의 영국인 육군 장교 찰스 조지 고든이 지휘하는 외국 용병 군단 "상승군"의 지원을 받아, 이홍장은 소주 항복과 남경 포획을 이끌었다. 이러한 공으로 강소순무로 임명되고 백작 작위를 받았다.[29]

하지만 소주 항복 과정에서 이홍장이 반란군 왕자들의 즉결 처형을 명령하면서 고든과의 관계는 나빠졌다. 고든은 이 잘못된 행동에 화가나 이홍장을 쏘려 했으나, 이홍장이 도망쳐 실패했다.[29]

1864년 태평천국의 난 진압 후 이홍장은 강소순무 임무를 맡았으나, 염군의 난하남(1865년)과 산동(1866년)에서 일어나자 다시 전투를 지휘하여 진압에 성공했다. 1년 후 톈진 교안으로 호광으로 이동, 1870년까지 호광총독으로 있었다.[29]

2. 1. 초기 생애와 경력



이홍장은 안휘성 합비 북동쪽으로 14km 떨어진 마을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친과 스승 증국번은 모두 유교 문관 시험에서 "고급 학자" 신분을 얻었다.[29] 1844년 이홍장은 과거제에서 생원이 되었고, 1847년 진사 학위를 취득하여 2년 후 한림원에 입학했다.[29]

1850년 태평천국의 난이 발발하자, 이홍장과 그의 부친은 향토를 지키는 지방 시민군을 결성하였다. 1855년 부친 사망 후에도 이홍장은 계속 직위에 머물렀다. 1856년 심판 직위를 얻었고, 1859년 복건성으로 옮겨져 도대 계급을 받았다.[29]

과거를 통해 그의 재능은 양광총독 증국번의 주목을 받았다. 증국번의 요구로 이홍장은 반란 진압에 참여하여 그의 막료가 되었다. 그는 미국인 프레더릭 타운센드 워드가 키우고 30세의 영국인 육군 장교 찰스 조지 고든이 지휘하는 외국 용병 군단 "상승군"의 지원을 받았다. 이 지원으로 이홍장은 소주 항복과 남경 포획을 이끌었다. 이러한 공으로 그는 강소순무로 임명되고 백작 작위를 받았다.[29]

하지만 소주 항복 과정에서 이홍장이 반란군 왕자들의 즉결 처형을 명령하면서 고든과의 관계가 악화되었다. 고든은 이 신뢰 위반에 격분하여 이홍장을 쏘려 했으나, 이홍장이 도망쳐 실패했다.[29]

1864년 태평천국의 난 진압 후 이홍장은 강소순무 임무를 맡았으나, 염군의 난하남 (1865년)과 산동 (1866년)에서 발생하자 다시 전투를 지휘하여 진압에 성공했다. 1년 후 톈진 교안으로 호광으로 이동, 1870년까지 호광총독으로 재임했다.[29]

2. 2. 태평천국 운동 진압

1861년 증국번의 향군이 반란군으로부터 안칭을 탈환한 후, 증국번은 황실에 이홍장을 칭찬하는 상소를 올리고 그를 "막대한 잠재력을 가진 인재"라고 부르며 합비로 돌려보내 민병을 조직하도록 했다. 1862년 이홍장은 5개 대대를 구성할 만큼 충분한 병력을 모집하는 데 성공했다. 증국번은 이홍장에게 부대를 이끌고 상하이로 가라고 명령했다. 이홍장과 그의 부대는 영국 증기선을 타고 양자강을 따라 반란군이 장악한 지역을 지나갔다(영국은 중립국이었기 때문에 반란군은 공격하지 않았다). 그리고 상하이에 도착하여 회군으로 임명되었다. 증국번은 이홍장을 강소성 순무로 추천했다.[29] 강소성에서 기반을 굳힌 후, 이홍장은 서양식 화기와 포병을 장비하는 등 회군의 능력 향상에 주력했다. 2년 만에 회군의 병력은 6,000명에서 약 60,000~70,000명으로 증가했다. 이홍장의 회군은 나중에 증국번의 향군, 찰스 조지 고든상승군과 연합하여 태평천국 반란군을 공격할 준비를 했다.

1863년부터 1864년까지 이홍장은 회군을 이끌고 쑤저우, 창저우 등 반란군 점령 지역을 공격하여 탈환했다. 이러한 공로로 이홍장은 명예직인 태자태보와 황마괘를 받았다. 창저우를 탈환하고 반란군 지도자 천쿤수를 사로잡아 처형한 후, 이홍장은 기두위 작위를 받았다.[29] 쑤저우 항복과 관련된 사건은 이홍장과 고든의 관계를 악화시켰다. 고든과의 이전 합의에 따라 반란군 지도자들은 목숨을 보장받는 조건으로 황실군에게 난징을 넘기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난징 함락 후, 이홍장은 반란군 지도자들을 처형하라고 명령했다. 이러한 신의를 저버린 행위는 고든을 격분시켜 소총을 들고 이홍장을 쏘려고 했지만, 이홍장은 도망쳤다.[29] 1864년 말까지 태평천국 운동은 황실군에 의해 기본적으로 진압되었다. 이홍장은 "일등숙의백"(一等肅毅伯)이라는 귀족 작위를 받았고, 모자에 쌍안 공작의 깃털을 달 수 있는 특권을 얻었다.[29]

상하이 구원을 명받은 이홍장은 군대를 모으기 위해 잠시 합비로 귀향하여, 향군을 본떠 회군을 조직했다. 동치 원년(1862년) 4월, 증국번의 추천으로 강소순무가 되자, 상해에서 온 영국 배를 타고 양자강을 건너 상해로 내려가, 쑤저우에 근거지를 둔 이수성과 대치하여, 현지에서 결성된 외인 부대인 상승군과 연계하여 5월부터 6월까지 상해 방어에 공을 세웠다. 동치 2년(1863년)부터 동치 3년(1864년)에 걸쳐 공세로 전환하여, 항복한 적군을 흡수하면서 서양식 군사 훈련도 실시하여 자군 강화에 힘썼고, 쑤저우와 창저우를 탈환하여 강소성을 회복했다.[30]

동치 3년(1864년) 향군에 의한 난징 포위에는 참가하지 않았지만, 태평천국 멸망에 크게 공헌한 공로로 백작에 서임되었다.[30]

2. 3. 양무운동 주도

1864년 태평천국 운동 진압 후, 이홍장은 강소성 순무(巡撫)로서 민정을 담당했다. 1866년 하남성과 산동성에서 발발한 니안의 난을 진압하여 협반대학사에 임명되었다.[30] 1867년 호광 총독에 임명되었고, 1870년 톈진 대학살 사건을 처리하기 위해 톈진으로 이동, 직례성 총독과 북양통상대신(北洋通商大臣)을 겸임하며 직례성, 산동성, 봉천성(Liaoning)의 무역, 관세, 외교, 해안 방위 및 양무운동을 감독했다. 그는 "문화전대학사"(文華殿大學士)라는 명예직도 받았다.[31]

직례성 총독 겸 북양통상대신 재임 기간 동안 청나라 외교 정책에 큰 영향을 미쳤다. 1876년 영국과 연태 조약에 서명했고, 페루와 조약을 체결, 일본톈진 조약을 맺었으며, 조선에 대한 외교 정책을 지휘했다. 1872년부터 중국 소년들을 미국으로 유학 보낸 중국 유학생 파견을 지원했으나, 1881년 중단되었다.

1875년 동치제 사망 후, 이홍장은 대규모 군대를 수도로 진입시켜 쿠데타를 일으켜 광서제를 섭정인 서태후와 자희태후의 섭정 아래 황위에 올렸다. 1879년 명예직인 태자태부(太子太傅)에 임명되었다.

1886년 청불 전쟁이 끝나자 프랑스와 조약을 체결했다. 이홍장은 청나라를 강화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직례성 총독으로 재임하는 동안 정예화되고 잘 무장된 대규모 군대를 양성했으며, 뤼순과 다구 요새를 강화하고 해군을 증강하는 데 막대한 비용을 지출했다. 그는 수년간 일본에서 성공적인 개혁을 지켜보았고, 일본과의 충돌에 대한 우려를 갖고 있었다.

1885년, 군사 개혁의 일환으로 천진무비학당을 설립했다.[3][4] 淮軍 사령관 주성전(周盛傳)의 지원을 받아 설립된 이 학당은 淮軍과 녹영 장교들을 위한 것이었다. 학당에서는 다양한 실용적인 군사, 수학 및 과학 과목이 가르쳐졌고, 독일 군 장교들이 강사로 활동했다.[5] 1887년에는 청소년들을 새로운 군 장교로 훈련시키기 위한 5년 과정의 프로그램이 시작되었다. 위하위와 산해관의 군사 학교는 천진무비학당을 본떠 만들어졌다.[6] 해상 방위 기금이 천진무비학당의 예산을 지원했으며, 이는 천진해군학당과 공유되었다.

이홍장은 1862년 증국번의 추천으로 강소순무(江蘇巡撫)가 되어 상해에서 온 영국 배를 타고 양자강을 건너 상해로 내려가, 소주에 근거지를 둔 이수성과 대치, 현지에서 결성된 외인 부대인 상승군과 연계하여 1862년 5월부터 6월까지 상해 방어에 공을 세웠다. 1863년부터 1864년에 걸쳐 공세로 전환하여, 항복한 적군을 흡수하면서 서양식 군사 훈련도 실시하여 자군 강화에 힘썼고, 소주와 상주(常州)를 탈환하여 강소성을 회복했다.

태평천국 멸망에 크게 공헌한 공로로 백작(伯爵)에 서임되었다. 또한 이홍장은 1860년대 이후 양무운동(洋務運動)의 추진자 중 한 명이며, 전란 중 1863년에 강남기기제조총국을 설립했다. 1873년에는 운선초상국을 설립했고, 그 외에도 전보국(電報局), 개평광무국(開平礦務局), 천진무비학당(天津武備學堂) 등을 설립했다.

같은 시기에 외국인과의 마찰에도 관여하게 되었는데, 1863년에 상해 어용상인 양방(楊坊)과 상승군 사령관 헨리 버제빈이 다투어, 버제빈이 양방을 때리고 태평천국에 투항하는 사건이 발생하자 즉시 양방 등을 해임하고 상해의 이권을 손에 넣었다. 1864년에 상승군의 지휘를 맡은 찰스 고든과도 전후 처리를 둘러싸고 대립하여 상승군 해산의 원인을 제공하기도 했고, 서양 함대 구입에도 반대하여 백지화하기도 했지만(레이 오즈번 함대 사건(レイ・オズボーン艦隊事件)), 그것들은 군비 강화를 하면서 외국의 개입을 막는 아슬아슬한 조치였다. 또한 상해가 무역항이었던 만큼, 일련의 사건을 통해 외교 수완을 갈고 닦을 기회를 얻어 이후 활동에 활용되었다.[30]

태평천국 진압 후에는 捻軍 진압이 초점이 되었고, 1865년의 센게린친(Sengge Rinchen) 전사 후 증국번이 捻軍 격퇴에 나섰지만, 전혀 전과를 올리지 못하는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1866년에 이홍장에게 기회를 양보했다. 이홍장은 증국번의 기대에 부응하여 淮軍을 동원하고, 1867년에 호광총독(湖廣總督)에 임명되어 1868년에 완전히 평정하여 捻軍 진압에도 공을 세웠다. 1870년 9월, 천진교안(天津敎案)에서 외국의 협상에 어려움을 겪는 증국번을 지원하기 위해 淮軍을 이끌고 협상을 원활하게 진행하는 역할을 수행했고, 협상 완료 후 증국번의 뒤를 이어 직례총독(直隷總督)에 취임했다. 이때 북양통상대신(北洋通商大臣)을 겸임했기 때문에 淮軍은 그 후 북양군벌(北洋軍閥)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이홍장 때 북양대신(北洋大臣)이 외교를 관할하게 되면서, 외교를 총괄하는 기관이었던 총리각국사무아문(總理各国事務衙門)의 기능은 점차 축소되었다. 이홍장은 청조의 중신 수장으로서 동치제(同治帝)의 어머니인 서태후(西太后)의 두터운 신임을 얻었다.[31]

2. 4. 직례총독 재임과 외교 활동

1896년 8월 13일 《배니티 페어》(Vanity Fair)에 실린 장지동(Jean Baptiste Guth)의 이홍장 그림


1896년 이홍장의 밴쿠버 도착


1870년 직례총독(直隷總督)에 임명된 이홍장은[40] 제국의 학감, 제국 대협의회의 회원이 되었고, 공작새 깃털 장식을 받았다. 총독 임무 외에도 무역 감독관을 맡아, 퇴직 기간을 제외하고는 청나라 외교 정책을 주도했다.

이홍장은 제국 강화를 최우선으로 삼았다. 직례총독 재임 동안 잘 조직되고 무장된 군대를 육성하고, 포트아서(Port Arthur)와 다구포대를 요새화했으며, 해군 증강에 많은 자금을 투입했다. 일본의 개혁 성공을 보며 일본과의 갈등을 우려했다.

1864년 태평천국 운동 진압 후, 약 2년간 강소성 순무를 맡았다. 1866년 하남성과 산동성에서 니안의 난이 발발하자 군대를 이끌고 진압, 협반대학사()에 임명되었다.

1867년 호광 총독에 임명, 1870년까지 재임 후 톈진 대학살 사건으로 톈진으로 이동, 직례성 총독과 북양통상대신()을 겸임, 직례성, 산동성, 봉천성(Liaoning)의 무역, 관세, 외교, 해안 방위 및 양무운동을 감독했다. "문화전대학사"()라는 명예직도 받았다.

1875년 동치제 사망 후, 군대를 동원한 쿠데타로 광서제를 즉위시키고 서태후와 자희태후의 섭정을 받게 했다. 1879년 명예직 태자태부()에 임명되었다.

1896년,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 2세 즉위식에 참석하고 유럽, 캐나다, 미국을 순방, 중국 배제법 개혁을 옹호했다.[9]

1896년 9월 3일 뉴욕 타임스 인터뷰에서 이홍장은 중국 신문이 진실을 말하지 않고 절약한다고 비판하며, 언론의 사명에 실패하고 있다고 지적했다.[9]

영국 방문 시, 기차로 영국 곳곳을 여행하며 철도 개발을 장려, 배로 공업 지역 방문, 퍼니스 철도(Furness Railway Company) 증기선 턴(Tern)을 타고 윈더미어 호를 여행했다.[10] 1896년 스핏헤드 해상 검열을 목격, 빅토리아 여왕에게 왕립 빅토리아 훈장 그랜드 크로스 기사 작위를 받았다.[11]

아편전쟁 이후 청나라 고관들은 영국을 가상 적국으로 보는 해방파(이홍장)와 러시아를 가상 적국으로 보는 쇄방파(좌종당)로 나뉘었다. 이홍장의 실책으로 해방파는 타격을 입었지만, 좌종당 사망으로 쇄방파 중진이 부족, 해방파는 요직을 차지했다. 이홍장은 서태후의 힘으로 복권했다.

이홍장은 양무운동의 한계를 인지, 1874년 인재 육성을 위해 과거 시험에 과학·공학 등 실학 포함을 제안했으나, 보수파 반대로 좌절, 류병장에게 편지로 한탄했다. 청일전쟁 패배로 30여 년간 지속된 양무운동의 실패가 명백해졌다.[36]

2. 4. 1. 주요 외교 활동

솔즈베리 경과 커즌 경과 함께(왼쪽)


이홍장은 청나라의 무역 감독관을 겸임하며, 몇 차례 퇴직 기간을 제외하고는 청나라 외교 정책을 주도했다. 토머스 웨이드 경과 연대조약(煙臺條約)을 체결하여 운남성에서 발생한 오거스트 레이몬드 마거리 살해 사건으로 인한 영국과의 갈등을 해결했고, 페루, 일본과 조약을 체결했으며, 조선에 대한 청나라의 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시했다.[40]

1876년 일본이 조선과 한반도에 대한 청나라의 전통적인 종주권을 무시하는 조약을 협상하자, 이홍장은 미국과 조선 사이의 무역 협정을 중재하려 했으나, 미국이 조선과 청나라 사이의 관계를 인정하도록 설득하지는 못했다. 1879년 청나라는 류큐 제도의 종주권을 일본에 상실했다. 1886년 청불 전쟁 종결 후, 이홍장은 프랑스와 조약을 체결했으나, 안남에 대한 청나라의 통지를 프랑스가 수용하도록 하는 데는 실패하고 프랑스의 주권을 인정해야 했다.

1886년 발간된 통상장정성안휘편(通商章程成案彙編)에 실린 조선 국기(오른쪽)


1885년 이홍장은 일본의 이토 히로부미와 조선에 대한 공동 보호에 합의했다. 1894년 청일 전쟁 발발 시, 이홍장은 조선에서의 외교적 역할과 만주에서의 정치적 연줄 때문에 청나라를 이끌게 되었다. 이홍장의 북양(北洋) 함대는 다른 청나라 함대의 지원 없이 일본과 교전했다. 청나라 군함의 대포 탄약 부족, 해군 사령관 등세창의 적함 충돌 시도, 탄약 구매 자금 유용 등 부패 문제로 인해 청나라는 해전에서 패배했다. 대만랴오둥반도를 일본에 할양하고, 조선의 독립을 인정하며, 새로운 조약 항구를 개항하고, 일본에 배상금을 지불하는 등 불평등 조약 하의 서양 국가들의 이점을 일본에 승인해야 했다. 이홍장은 평화 협상을 위해 일본을 방문, 일본인 광신도의 공격으로 부상을 입었으나, 평화 조건 완화에 기여했다.

이홍장은 전쟁을 피하려 노력했으나, 부국강병 정책과 정치적 지위가 약화되는 결과를 겪었다.

이홍장은 직례성 총독 겸 북양통상대신 재임 기간 동안 청나라 외교 정책에 큰 영향을 미쳤다. 1876년 웨이드 경과 연태 조약을 체결하여 운남성에서의 어거스터스 레이먼드 마가리 살해 사건으로 인한 영국과의 외교적 위기를 종식시켰다. 페루, 일본과 조약을 체결하고, 한국에 대한 외교 정책을 지휘했다.

메이지 유신기의 일본 부상으로 조선 개국 요구가 시작되자, 청나라는 조선과의 조공 관계 때문에 조선과 일본의 관계 설정을 고심했다.

이홍장은 1864년부터 일본 내정을 주시, 총리아문에 일본과의 연합을 제안했다. 서양 열강을 위협으로 간주, 부국강병에 힘쓰는 일본과 협력하여 서양에 대항하려는 의도였으나, 일본이 서양과 연합하여 적이 될 가능성도 고려했다. 1870년 9월, 류원전광 등 일본 사절단과 천진 회담을 가졌고, 1871년까지 일본과의 제휴 초안을 작성, 같은 해 9월 다테 무네시게·류원전광 등 사절단과 일청수호조규를 체결했다. 그러나 제1조의 상호 불가침 영토 해석을 두고 양국 간 갈등이 발생했다.[32]

같은 해, 러시아 제국신장 북부 일리 점령, 야쿠브 베크의 신장 장악(야쿠브 베크의 난) 사태가 발생했다. 산시 감숙 총독좌종당의 출병 준비에, 이홍장은 야쿠브 베크 정권의 독립과 영국, 러시아의 승인을 근거로 청나라도 조공국으로서 야쿠브 베크 정권을 승인하고 남은 원정 경비를 해방에 투입할 것을 1874년 정부에 제안했다. 러시아를 가상 적국으로 여기는 좌종당 등의 삭방파는 이에 반발, 해방·삭방 논쟁이 벌어졌으나, 1875년 좌종당의 신장 유지안에 정부가 동의, 해방과 삭방 양쪽에 경비를 배분하는 절충안으로 결론지어졌다. 좌종당의 출병으로 야쿠브 베크의 난은 1877년 진압되었고, 러시아도 1881년 협상으로 일리를 반환, 신장은 청나라에 귀속되었다.

1874년, 일본의 타이완 출병에 이홍장은 적극 개입하지 않았고, 총리아문의 협상 결과 일본에 배상금을 지불했다. 이홍장은 오쿠보 도시미치에게 "동양의 단결"을 호소했다. 1876년, 강화도 사건 관련, 조선 종속 관계에 대해 일본의 모리 아리요시와 협의했으나, 영토 해석을 두고 갈등이 있었지만, 일본과의 연합을 중시한 이홍장은 일조수호조규 체결에 간섭하지 않고 관망했다.

1879년 일본의 류큐 처분에 대해서도 주일 공사 하여장의 항의에도 불구하고 같은 태도를 보였다. 군사력 부족, 타이완과 류큐가 남양통상대신 담당 구역으로 이홍장의 관할 밖이라는 점 때문에 적극적인 대책을 취하지 않았다. 6월 12일, 류큐 처분 대응을 위해 천진에서 율리시스 S. 그랜트 전 미국 대통령과 회담, 일청 간 조정을 요청했고, 이후 일청 간 류큐 제도 분도 문제를 협의했다. 1880년, 중국통 소네 도시토라의 아시아주의 선구 흥아회 결성을 지원했고, 주일 공사 하여장도 참여했다.

그러나 1881년부터 조선 외교가 예부에서 북양대신으로 이관, 조선 내정과 외교 간섭이 강화되고 조선의 속국화가 진행되었다. 1882년 조선 쿠데타(임오군란) 발생 시, 마건충을 파견하여 대원군을 납치했고, 1884년 친일파의 갑신정변 때도 원세개 군대를 파견, 친청 정권을 부활시켰다. 1882년 모친상으로 사직했으나, 장수성이 직례총독 겸 북양대신에 취임, 조선 대응은 계승되었다.

영국·프랑스에는 양보적 태도를 취했다. 광서 원년 마가리 사건 발생, 주재 대사 토마스 프랜시스 웨이드와 협의하여 1876년 자부 조약을 체결, 개항장을 늘리고 통상 특권을 영국에 인정했다. 1884년 청불 전쟁에서 강화를 주장, 개전 전부터 프랑스 주재 대사 프레데리크 부르와 무관 풀니에와 협의, 1882년과 1884년 휴전 협정을 맺었으나, 양국 강경파에 밀려 실행되지 못했다. 그러나 협상을 지속, 베트남 종주권을 프랑스에 양도하고 1885년 6월 톈진 조약을 체결했다.

이홍장은 조공 관계에 기반한 주변 속국 유지를 위해 열강과의 협상에 임했지만, 열강이 수용하지 않으면 타협하여 피해를 최소화하고, 외국과의 관계를 유지하며 속국도 존속시키려 했다.

같은 해 4월, 갑신정변 후처리를 위해 일본 이토 히로부미와 천진에서 협상, 톈진 조약을 체결, 조선 양군 철수와 재출병 규약을 맺었다. 이홍장은 이토를 평가하는 편지를 총리아문에 보냈으나, 10년 후 재회담하게 된다. 북양함대(후의 북양군) 정비에 힘써 일본 위압 목적으로 1886년과 1891년 나가사키에 기항했고, 1886년 기항 중 난투 사건(나가사키 사건)이 발생했다.[33]

1894년, 조선 종주권을 둘러싼 청일 대립 악화 시, 이홍장은 회군과 북양함대 훈련 수준으로 승산이 없다고 판단, 개전에 반대했다. 그러나 광서제 등 양국 주전파에 의해 청일전쟁이 발발했다. 이홍장의 예상대로 회군과 북양함대는 평양 전투, 황해 해전에서 연패했고, 11월 북양함대 기지 여순이 함락되었으며(여순 전투), 1895년 1월~2월 위하이웨이도 함락되었다(위하이웨이 전투). 측근이자 북양함대 제독 정여창의 자살로 이홍장의 권위는 실추되었다.

청일전쟁 패배 후, 강화 교섭 전권을 위임받은 이홍장은 1895년 3월부터 시모노세키 인접사에 머물며 춘반루에서 이토 히로부미, 무쓰 무네미쓰와 강화 회의를 진행했다. 3월 24일, 이홍장이 이홍장도에서 고야마 토요타로에게 저격당해 부상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이홍장 저격 사건 참조).[34][35] 일본은 열강 간섭을 우려, 휴전 조약을 먼저 체결하고, 4월 17일 청일 강화 조약(시모노세키 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으로 조선, 대만, 랴오둥반도(삼국 간섭으로 반환)를 상실하고 배상금을 지불, 청나라는 큰 타격을 입었다.

1896년 3월 28일,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 2세 대관식 참석 요청으로 상해에서 출발, 5월 26일 대관식 참석, 6월 3일 러시아와 협상, 밀약(러청밀약[37])을 맺어 사실상 만주를 러시아에 넘겨주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후 유럽, 미국 순방, 10월 3일 귀국했다. 각지에서 환대받았고, 영국 수상 솔즈베리 후작, 외무 정무 차관 조지 커존, 전 독일 제국 재상 비스마르크 등과 회담했지만, 외교적 성과는 없었다.

귀국 후 총리아문 대신에 임명, 독일 제국 전권 공사와 1898년 3월 교주만 조차 조약 협상 및 체결을 담당했다.

2. 5. 청일전쟁과 그 이후

1875년 동치제(同治帝)가 사망하자, 이홍장은 수도로 대규모 무장 군대를 갑자기 들여와 광서제가 동태후(東太后)와 서태후(西太后) 두 황태후들의 섭정 하에 즉위하는 쿠데타를 일으켰다.

1876년 일본이 조선과 한반도에 대한 청나라의 전통적인 종주권을 무시한 조약을 협상하자, 이홍장은 미국과 조선 사이의 무역 협정을 교묘히 다루려 했으나, 미국이 조선과 청나라 사이의 옛 관계를 인정하도록 하는 데는 실패했다. 1879년 청나라는 류큐 제도의 종주권을 일본에게 빼앗겼다. 1886년 청불 전쟁이 끝날 무렵, 이홍장은 프랑스와 조약을 맺었으나, 안남에 대한 청나라의 통지를 프랑스가 수용하도록 하는 데는 실패하고 프랑스의 주권을 인정해야 했다.

이홍장은 제국 강화를 최우선으로 삼았다. 직례총독으로 재임하는 동안 그는 잘 조직되고 무장된 큰 군대를 육성했고, 포트아서(오늘날 뤼순커우구)와 다구포대를 요새화했으며, 해군력을 증강하는 데 많은 돈을 썼다. 그는 일본에서 성공적인 개혁이 시행되는 것을 보면서 일본과의 갈등에 대한 확고한 두려움을 갖게 되었다.

1885년 이홍장과 일본의 정치인 이토 히로부미는 조선에 대한 공동 보호에 동의하였다. 1894년 일본은 조선 문제로 청나라와 전쟁을 벌였다. 이홍장은 조선에서 청나라 외교에 중요한 역할을 맡았고, 만주에서 강력한 정치적 연줄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청일 전쟁에서 청나라 군대를 이끌게 되었다.

이홍장은 1894년 서태후(慈禧太后)의 60세 생일 축하 행사에서 삼목 공작 깃털을 모자에 착용할 특권을 얻었다. 이는 아이신기오로(愛新覺羅) 황족에게만 허용되었던 것이므로 매우 드문 예외였다. 그러나 청일 전쟁에서 패배한 후, 이홍장은 좌천되어 공작 깃털을 박탈당했다. 청나라 황실은 처음에 장음환(張蔭桓)과 소우렴(邵友濂)을 일본과의 협상 대표로 파견하려 했지만, 일본은 이들을 거절했다. 결국 이홍장이 이 임무를 맡게 되었고, 그의 공작 깃털은 복권되었다.

1895년 3월 24일, 시모노세키(下關)에서 일본의 총리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와 외무대신 무쓰 무네미쓰(陸奥宗光)와 협상하던 중, 이홍장은 암살자 고야마 도요타로(小山豊太郎)의 공격을 받아 왼쪽 뺨에 총상을 입었다.[7][8] 고야마는 나중에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고, 그는 전쟁을 계속하고 싶었다고 주장했다.

이 공격으로 인한 공개적인 망신 때문에, 일본은 며칠 전 이홍장이 촉구했던 즉각적인 휴전에 동의했다. 비록 대만과 펑후 열도(澎湖列島)에서는 전투가 계속되었지만, 1895년 4월 17일, 이홍장은 일본과 시모노세키 조약에 서명하여 청일 전쟁을 종식시켰다.[7]

아편전쟁 이후 청나라 고관들은 영국을 가상 적국으로 보는 해방파(대표적인 인물이 이홍장)와 러시아를 가상 적국으로 보는 쇄방파(대표적인 인물이 좌종당)로 나뉘었다. 이홍장의 실책으로 해방파는 타격을 입었지만, 쇄방파는 좌종당의 사망으로 조정 내에 중진이 부족했기에, 해방파는 계속해서 요직을 차지했다. 이홍장 또한 곧 서태후의 힘으로 복권되었다.

1896년 3월 28일 러시아의 요청에 따라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 2세의 대관식 참석을 위해 상해를 배로 출발하여, 5월 26일 대관식에 참석하고, 6월 3일 러시아와의 협상을 통해 밀약(러청밀약[37])을 맺어, 사실상 만주를 러시아에 넘겨주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후 유럽미국을 여행하며 세계 일주를 하고, 10월 3일 귀국했다. 가는 곳마다 성대한 환대를 받았고, 영국 수상 솔즈베리 후작, 외무 정무 차관 조지 커존, 전 독일 제국 재상 비스마르크 등과 회담했지만, 외교적으로 어떤 성과도 없이 의례적인 방문에 그쳤다.

귀국 후 총리아문 대신에 임명되어, 독일 제국 전권 공사와 1898년 3월 교주만 조차 조약의 협상과 체결을 담당했다. 외교관으로서의 역할은 남았지만, 1898년 4월부터 무술변법에 착수한 광서제에 의해 파면되었고, 무술정변으로 권력을 되찾은 보수파로부터 명령받은 황하 치수 조사, 1899년 변법파를 색출하기 위한 개항장 조사와 양광총독 임명 및 정무를 수행했다. 1900년에 발생한 의화단 사변 때는 성선휘를 통해 양강총독류곤일·호광총독 장지동 등 각지의 총독과 동남호보를 체결한 후, 정부로부터 다시 직례총독·북양대신에 임명되어 전권을 위임받고 경친왕의강과 함께 여러 외국과의 협상에 임하여, 1901년 9월 7일에 신축조약을 체결하고, 그 후 얼마 안 된 11월 7일에 병사했다. 향년 78세. 시호는 '''문충'''[38]이다.

사후 직례총독·북양대신은 원세개가 계승하여 군인·정치가로서 두각을 나타내는 계기가 되었다. 작위는 후작으로 승서되어 장남인 이경술에게 계승되었고, 차남인 이경매도 경당 후보로 발탁되었으며, 손자인 이경술의 아들인 이국걸(1881년 - 1939년)은 청나라 마지막 주비리시 흠차대신(주벨기에 공사)에 임명되었고, 청나라 멸망 후 중화민국에서도 계속 등용되었다. 장녀인 이국우(1866년 - 1912년)의 사위가 장배륜이며, 2명의 자녀 중 장지의(1896년 - 1953년)가 있고, 그 자녀가 작가 장아이링이다. 또한 조카 이경방을 양자로 맞이했다.

2. 5. 1. 청일전쟁 패배의 원인

청일 전쟁에서 청나라가 패배한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 이홍장의 군사적 판단 착오: 이홍장은 회군과 북양함대의 훈련 수준으로는 일본에 승산이 없다고 판단하여 개전에 반대했다. 그러나 전쟁이 발발하자, 그의 예상대로 청나라 군대는 연전연패했다.[34][35]
  • 부패: 청나라 군 내부의 만연한 부패는 심각한 문제였다. 일례로, 한 관리가 탄약 구매 자금을 개인 용도로 횡령하여 전투 중 포탄 부족 사태를 야기했고, 이는 해군 함장 등세창(鄧世昌)이 적선에 자신의 배를 충돌시키는 극단적인 선택을 하게 만들었다.[7]
  • 지휘 체계 분열: 청일 전쟁에 참전한 것은 이홍장이 지휘하는 북양함대와 회군이 주력이었고, 다른 군벌들은 지원에 소극적이었다. 이러한 지휘 체계의 분열은 청나라 군의 효율적인 대응을 저해했다.[36]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청일 전쟁에서 청나라의 패배를 초래했고, 이는 이홍장의 정치적 몰락뿐만 아니라 30여 년간 지속된 양무운동의 실패를 명확히 보여주는 사건이 되었다.[36]

3. 유산과 평가

이홍장은 청나라 말기의 중요한 인물로, 그의 유산과 평가는 매우 복잡하고 다면적이다.

이홍장은 청조와 유학 제도를 보존하면서 중국을 현대화하려 노력한 주요 인물로 평가받는다. 직례총독으로 25년간 재임하며 상업과 산업 발전, 특히 군사력 현대화에 힘썼다. 그러나 낡은 정부 제도의 부정부패 때문에 이러한 노력이 완전히 효과를 발휘할 수 없음을 알았다. 교육 개혁과 과거 시험에 과학을 도입하려 했으나, 1881년 보수파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이홍장은 서방 세력 및 일본과의 외교에서 중국을 대표하는 역할을 맡았으며, 예지력과 전망을 인정받았으나 동시에 부패와 권력 남용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청일 전쟁 이후, 이홍장은 배신자이자 악명 높은 역사적 인물로 묘사되며 많은 비판을 받았다. 1885년 군사 지도자 좌종당은 이홍장을 배신자로 고발했다. 1884년 마강해전에서 청나라 해군이 패배했음에도, 1885년 3월 진남관 전투에서 승리하여 프랑스 쥘 페리 정부를 무너뜨렸다. 그러나 이홍장은 7월후에 조약을 확증한 청불 조약에 서명했고, 좌종당은 이를 이해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1896년 6월 3일 이홍장이 "청나라와 러시아 사이의 상호 방어 조약" 체결 당시 3백만 루블의 뇌물을 받았다는 주장이 있다. 러시아의 동양학자 에스페르 에스페레비치 오우치톰스키 황태자는 자신의 회고록에서 뇌물 지급 약정 문서를 언급하며, 이홍장이 실제로 받은 금액은 1천 7십만 2천 5백 루블이라고 주장했다.

2003년 CCTV에서 제작한 드라마 《주향공화》는 이홍장을 영웅적으로 묘사하여 논란이 되었다. 이 드라마는 타이완의 중국 국민당이 옹호한 쑨원의 사상을 다루었기 때문에 중국 본토에서 금지되었다.

많은 역사가와 학자들은 이홍장을 청나라 말기의 노련한 정치가이자 능숙한 외교관, 산업 개척자로 평가한다. 외국과의 만남에서 보여준 이홍장의 용기와 솔직함을 보여주는 역사적 문서들이 발견되기도 했다. 그는 자신을 평가하며 "나를 알고 나를 판단하는 것은 다음 천년의 과제이다."()라고 말했다.

이홍장은 1896년 미국 방문과 외세 환영으로 미국에서 호의적으로 여겨졌다. 미국 방문 중 미국 중식 요리인 찹수이를 발명했다는 잘못된 이야기가 퍼지기도 했다. 1913년 윌리엄 프랜시스 매닉스(William Francis Mannix)는 날조된 『리홍장 회고록』(Memoirs of Li Hung Chang)을 출판했는데, 1923년 위작으로 밝혀지기 전까지 널리 찬사를 받았다.[22]

전기 작가 윌리엄 J. 헤일(William J. Hail)은 이홍장이 "백성들의 보수성, 반동적인 관료, 억제되지 않은 국제적 경쟁이 한 걸음 앞으로 나아가는 것을 매우 어렵게 만든 나라를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했을 것이다"라고 주장했다. 중국 신문화운동의 지도자 후 시는 이홍장에게 기회가 주어졌다면 그의 업적은 1895년 시모노세키 조약에서 일본 측 이토 히로부미의 업적과 맞먹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중국 국수주의자들은 이홍장의 서구 열강 및 일본과의 관계를 비판했다. 량 치차오는 이홍장을 자강운동의 주범으로 비난했고, 그의 아들 량 시청은 이홍장이 나라를 "팔아넘겼다"고 비난했다.[23] 중화인민공화국 역사 교과서는 이홍장을 "봉건주의자"이자 배신자로 규정했다.[25]

3. 1. 긍정적 평가

몇몇 동시대 사람들은 이홍장이 청조와 정부의 유학 제도를 보존하면서 중국을 현대화시킨 주요 인물이었다고 평가했다. 직례총독으로 25년간 재임하면서 상업과 산업 발전 계획을 추진했고, 특히 중국 군사력 현대화에 힘썼다. 그러나 이홍장은 정부의 낡은 제도 때문에 이러한 노력이 완전히 효과를 발휘할 수 없음을 알았다. 교육 개혁과 과거 시험에 과학을 도입하려 했으나, 1881년 보수파의 반대에 부딪혀 제안을 철회해야 했다.[22]

이홍장은 예지력과 전망을 인정받았지만, 동시에 부패에 빠지고 전통적인 청나라 관료 사회에서 권력을 남용했다는 평가도 받았다. 그는 자신을 평가하며 "나를 알고 나를 판단하는 것은 다음 천년의 과제이다."()라고 말했다.

2003년 CCTV에서 제작한 드라마 《주향공화》는 이홍장을 영웅적으로 묘사하여 논란이 되었다. 이 드라마는 타이완의 중국 국민당이 옹호한 쑨원의 사상과 원칙을 광범위하게 다루었기 때문에 중국 본토에서 금지되었다.

많은 역사가와 학자들은 이홍장을 청나라 말기의 노련한 정치가이자 능숙한 외교관, 산업 개척자로 평가한다. 외국과의 만남에서 보여준 이홍장의 용기와 솔직함을 보여주는 역사적 문서들이 발견되기도 했다.

이홍장은 미국에서 외세를 환영하고 1896년 미국을 방문한 것으로 인해 호의적으로 여겨졌다. 미국 방문 중 미국 중식 요리인 찹수이를 발명한 것으로 잘못 알려지기도 했다. 1913년 윌리엄 프랜시스 매닉스(William Francis Mannix)는 날조된 『리홍장 회고록』(Memoirs of Li Hung Chang)을 출판했는데, 1923년 위작으로 밝혀지기 전까지 널리 찬사를 받았다.[23][24]

전기 작가 윌리엄 J. 헤일(William J. Hail)은 이홍장이 "백성들의 보수성, 반동적인 관료, 억제되지 않은 국제적 경쟁이 한 걸음 앞으로 나아가는 것을 매우 어렵게 만든 나라를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했을 것이다"라고 주장하며, "항상 진보적이면서도 인내하고 관용적이었던 그에게는, 그가 자신의 뜻대로 했다면 피할 수 있었을 실패에 대한 책임을 지는 운명이 있었다"고 칭찬했다. 중국 신문화운동의 지도자였던 후 시 또한 동정적인 반응을 보이며, 이홍장에게 기회가 주어졌다면 그의 업적은 1895년 시모노세키 조약에서 그의 일본 동료 이토 히로부미의 업적과 맞먹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3. 2. 부정적 평가

청일 전쟁 이후, 이홍장은 배신자이자 악명 높은 역사적 인물로 묘사되며 많은 비판을 받았다. 1885년, 군사 지도자 좌종당은 이홍장을 배신자로 고발했다. 1884년 마강해전에서 청나라 해군이 패배했음에도, 청나라 육군은 1885년 3월 진남관 전투에서 승리하여 프랑스 쥘 페리 정부를 무너뜨렸다. 그러나 이홍장은 7월후에 조약을 확증한 청불 조약에 서명했고, 좌종당은 이를 이해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12]

러시아의 동양학자 에스페르 에스페레비치 오우치톰스키 황태자에 따르면, 1896년 이홍장은 "청나라와 러시아 사이의 상호 방어 조약" 체결 당시 3백만 루블의 뇌물을 받았다고 한다. 오우치톰스키 황태자는 회고록에서 뇌물 지급 약정 문서를 언급하며, 이홍장이 실제로 받은 금액은 1천 7십만 2천 5백 루블이라고 주장했다.[13]

2003년 중국에서 제작된 드라마 《주향공화》는 이홍장을 영웅적으로 묘사했지만, 쑨원의 사상을 옹호했다는 이유로 방영 금지되었다.

많은 역사가와 학자들은 이홍장을 지나치게 기교적인 정치인이자 능숙한 외교관, 산업 개척자로 평가한다. 그러나 그가 체결한 조약들은 불공평하고 굴욕적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1900년 의화단 운동 진압을 위해 팔국연합군이 베이징을 침략했을 때, 이홍장은 청나라가 의화단을 지지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는 입장을 취하며 협상을 통해 해결을 모색했다. 그는 승헌휘 등 지방 관리들의 제안에 따라 외교 전권을 위임받아 전쟁 선포를 "가짜 칙령"이라고 묘사했다. 이러한 전술은 지방 관리들이 서태후의 전쟁 선포를 따르지 않을 명분을 제공했다.[14] 이홍장은 군대 제공을 거부하고 전신 서비스를 통제하며, 외국인들이 모두 제거되었다는 거짓 주장을 퍼뜨리기도 했다.[15]

1901년, 이홍장은 의화단 의정서에 서명하여 의화단 운동을 종식시키고 막대한 배상금을 지불하는 대가로 팔국연합군의 철수를 이끌어냈다. 그는 협상에 지쳐 두 달 후 간염으로 사망했다.[16]

이홍장은 미국에서 호의적으로 여겨졌지만, 찹수이 발명에 대한 잘못된 이야기가 퍼지기도 했다. 1913년에는 날조된 『리홍장 회고록』이 출판되어 1923년 위작으로 밝혀지기 전까지 널리 찬사를 받았다.[22]

중국 국수주의자들은 이홍장의 외교 관계를 비판하며 그를 중국 고난의 원흉으로 묘사했다. 량 치차오는 이홍장을 자강운동의 주범으로 비난했고, 그의 아들 량 시청은 이홍장이 나라를 "팔아넘겼다"고 비난했다.[23] 중화인민공화국 역사 교과서는 이홍장을 "봉건주의자"이자 배신자로 규정했다.[25]

3. 3. 한국과의 관계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 제목, 섹션 제목, 요약을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를 생성해 드립니다.)

4.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이문안(李文安, 1801~1855)진사(進士) 출신, 형부 랑중(郎中) 역임
이한장(李瀚章, 1821~1899)여러 성의 순무(巡撫)와 총독(總督) 역임
이학장(李鶴章, 1825~1880)군인 복무
동생이온장(李蘊章)
동생이봉장(李鳳章)
동생이소경(李昭慶, 1835~1873)
첫 번째 정실 부인주씨(周氏)1861년 사망, 아들 이경육(李經毓)을 낳았으나 요절
두 번째 정실 부인조소련(趙小蓮)아들 이경술(李經述) 출생, 이경술은 아버지의 작위(숙의후)를 계승했으나 일찍 죽음
아들 (조소련 소생)이경술(李經述)아버지의 작위(숙의후)를 계승했으나 일찍 죽음
손자 (이경술의 아들)이국걸(李國傑, 1881~1939)숙의후(肅毅侯) 작위 계승, 청나라 말기 여러 관직 역임, 중화민국에서 관리이자 실업가, 나동(那桐, 1857~1925)의 딸과 결혼[18]
후실막씨(莫氏)세 아들(이경원(李經遠), 이경매(李經邁, 1876~1938), 이경진(李經進)) 출산, 이경매(李經邁)만 성년까지 생존
아들 (막씨 소생)이경원(李經遠)
아들 (막씨 소생)이경매(李經邁, 1876~1938)청나라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대사이자 민정부(民政部)의 우시랑(右侍郎) 역임
아들 (막씨 소생)이경진(李經進)
이국오(李菊藕)장패륜(1848~1903)과 결혼, 작가 장아이링(1920~1995)의 어머니
(이름 미상)위방현 현령이었던 곽은후(郭恩垕)와 결혼
(이름 미상)의흥현 주사(主事)였던 임덕화(任德和)와 결혼
양자이경방(李經芳, 1855~1934)여섯째 형 이소경의 아들, 청나라의 일본 대사이자 우정부(郵傳部)의 좌시랑(左侍郎) 역임
조카딸이패생(李佩生)이한장의 딸
손자리 시우 통마그누스 히르슈펠트와의 관계로 알려진 성학자[19]


참조

[1] 간행물 Race, Monarchy, and the Anglo-Japanese Alliance, 1902–1922
[2] 서적 Chinese in Germany at the end of the Qing-Dynasty
[3] 서적 Late Ch'ing, 1800-1911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서적 Late Ch'ing, 1800-1911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서적 Late Ch'ing, 1800-1911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서적 Late Ch'ing, 1800-1911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뉴스 Li Hung Chang Attacked: An Attempt to Assassinate the Chinaman by a Japanese. The Assailant is Under Arrest A Report that the Japanese Forces Occupied the Main Island of the Pescadores Last Thursday. https://www.nytimes.[...] 1895-03-25
[8] 뉴스 The embattled envoy: Xi critics take aim at trade negotiator Liu He https://asia.nikkei.[...] 2022-06-23
[9] 뉴스 LI ON AMERICAN HATRED: CHINESE LABORERS, HE SAYS, HAVE HIGHER VIRTUES. Argues for Free Competition in Labor as Well as Free Trade in Commodities -- The Geary Act Most Unfair, He Says in a Formal Audience with Reporters -- Amazed by Our Tall Buildings and Pleased with Most Things He Sees. https://www.nytimes.[...] 1896-09-03
[10] 웹사이트 English: Li Hung-chang's visit to Britain in 1896 http://commons.wikim[...] 2013-08-04
[11] 간행물 Race, Monarchy, and the Anglo-Japanese Alliance, 1902–1922
[12] 서적 Inheritance within Rupture: Culture and Scholarship in Early Twentieth Century China BRILL 2015-01-30
[13] 서적 Historicizing Online Politics: Telegraphy, the Internet, and Political Participation in China https://archive.org/[...]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5-06
[14] 서적 The dragon empress: life and times of Tz'u-hsi, 1835-1908, Empress dowager of China Cardinal
[15] 서적 Warriors of the rising sun: a history of the Japanese military https://archive.org/[...] W. W. Norton & Company
[16] 서적 The Penguin History of Modern China: The Fall and Rise of a Great Power, 1850–2009 Penguin Books
[17] 뉴스 Another Political Murder in Shanghai http://www.britishne[...] 1939-02-21
[18] 서적 Manchus and Han: Ethnic Relations and Political Power in Late Qing and Early Republican China, 1861–1928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 웹사이트 No historical basis for Hong Kong's bad attitude to same-sex couples https://www.scmp.com[...] 2020-03-10
[20] 간행물 Race, Monarchy, and the Anglo-Japanese Alliance, 1902–1922
[21] 간행물 Königlich Preussische Ordensliste (supp.) Gedruckt in der Reichsdruckerei
[22] 서적 Memoirs of Li Hung Chang Houghton Mifflin Company
[23] 서적 Li Hung-Chang and China's Early Modernization M. E. Sharpe
[24] 서적 The Translation of Things Past: Chinese History and Historiography The Chinese University Press
[25] 서적 History in Communist China MIT Press
[26] 웹사이트 The memoirs of Count Witte https://archive.org/[...] Garden City, N.Y. Doubleday, Page 2018-01-30
[27] 서적 俄国的远东政策--1881~1904 商务印书馆
[28] 간행물 旅大租借交涉中李鸿章、张荫桓的“受贿”问题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뉴스 1895-03-30
[35] 디지털자료 新聞集成明治編年史. 第九卷
[36] 서적 (제목 없음)
[37] 웹사이트 (제목 없음)
[38] 서적 (제목 없음)
[39] 논문 Ли Хунчжан На Нижегородской Выставке В 1896 Году (по Мемуарным Источникам И В Романе М. Горького "Жизнь Клима Самгина") https://www.elibrary[...] 2017-00-00
[40] 간행물 『大淸穆宗毅皇帝實錄』 1870-08-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