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9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709년은 청나라 강희제 48년, 일본 호에이 6년, 조선 숙종 35년에 해당하며, 서유럽에 500년 만에 최악의 추위가 닥친 해이다. 1월 프랑스는 뉴펀들랜드 생장을 점령했으며, 아브라함 다비 1세는 코크스 연료를 사용한 주철 생산에 성공했다. 2월에는 알렉산더 셀커크가 구조되었고, 4월에는 뉴프랑스에서 노예 제도가 합법화되었다. 6월에는 정강이 북베트남의 왕이 되었고, 폴타바 전투에서 러시아가 스웨덴을 격파하여 스웨덴의 유럽 강국으로서의 지위가 약화되었다. 12월에는 네덜란드 화가 메인데르트 호브마가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09년 - 폴타바 전투
폴타바 전투는 1709년 대북방 전쟁에서 러시아가 스웨덴을 상대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둔 전투로, 러시아의 발트해 지배를 확고히 하고 러시아 제국의 부상을 가져왔다.
1709년 | |
---|---|
1709년 | |
달력 | |
주제별 1709년 | |
2. 연호
3. 기년
호에이宝永일본어 6년 |
황기 2369년 |
후 레 왕조 영성 5년 |
4. 사건
1709년에는 다음과 같은 사건들이 있었다.
- 1709년 1월 1일 – 생장 전투: 프랑스가 영국의 뉴펀들랜드 식민지 수도인 뉴펀들랜드 래브라도주 생장을 점령했다.
- 1709년 2월 – 프랑스 루이지애나의 수도였던 앨라배마주 모빌에서 마지막으로 ''Masque de la Mobile''와 함께 마디 그라 축제가 열렸다. 이후 모빌은 모빌 강을 따라 모빌 만으로 43km 이동했다.
- 4월 13일 – 프랑스 식민지 뉴프랑스에서 1709년 로도 법령이 제정되어 노예 제도가 합법화되었다.
- 5월 6일 – 라인 팔츠 출신의 가난한 독일 팔라타인 난민 가족들이 영국에 처음으로 대거 유입되었다.[8] 이들 대부분은 신대륙 식민지로 가는 길에 있던 프로테스탄트들이었다.[9]
- 6월 26일 – 포트앨버니 전투 발발. 프랑스 식민지 자원봉사자 100명과 크리 원주민들이 허드슨 만 회사의 포트앨버니 전초기지를 공격했으나, 기지 사령관 존 풀라틴이 성공적으로 요새를 방어하고 공격자 18명을 사살했다. 이후 공격자들은 후퇴했으며, 이 지역은 현재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크리 제1국민 보호구역의 일부이다.
- 6월 28일 – 덴마크-노르웨이 왕국과 작센 선제후국 사이에 드레스덴 조약이 체결되어 동맹이 재확립되었다. 이 조약은 덴마크-노르웨이의 프리드리히 4세와 작센의 왕 아우구스트 2세를 대신하여 체결되었다.
- 79년 베수비오 화산 폭발로 화산재와 부석에 묻혔던 이탈리아 캄파니아주 에르콜라노의 고대 도시 헤르쿨라네움이 수도원 우물을 파던 중 대리석과 기타 자재가 발견되면서 우연히 발굴되었다.
- 윌리엄 셰익스피어 희곡의 첫 현대판이 런던에서 출판되었다. 셰익스피어의 편집자 니콜라스 로우가 편집을 맡았다.
- 발명가 바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가 피렌체에서 "그라비쳄발로 콜 피아노 에 포르테"라고 명명된 피아노를 처음으로 전시했다. 이후 "피아노포르테", 그리고 "피아노"로 줄여졌다.
- 파리에서 접이식 우산이 소개되었다.[13]
- 뉴욕시에 트리니티 교회의 자선 학교인 트리니티 스쿨이 설립되었다.
- 영국 남서 해안에 존 러디어드가 건설한 두 번째 에디스톤 등대가 완공되었다.[14]
- 나폴리 철학자 지암바티스타 비코가 저술한 "우리 시대의 연구 방법론"이 출판되었다.
- 티롤 출신 조각가 미하엘 파허가 제작한 귀중한 중세 제단화들이 파괴되었다.
- 바실 라자루스 3세가 동방 시리아 정교회의 마프리안이 되었다.[15]
4. 1. 동아시아
- 3월 1일(보영 6년 1월 20일) - 도쿠가와 쓰나요시 쇼군 사망 후 10일째에 생물을 불쌍히 여기는 법령이 폐지되었다.[1]
- 도쿠가와 이에노부가 에도 막부 제6대 쇼군이 되었다.[2]
- 도쿠가와 이에노부가 주자학자 아라이 하쿠세키를 등용하였다.[3]
4. 2. 유럽
- 1709년 1월 6일 – 서유럽에 1709년 대한파가 밤 사이에 시작되어 500년 만의 최악의 추위가 석 달 동안 지속되고 그 영향은 일 년 내내 이어졌다.[1] 프랑스에서는 대서양 연안과 센강이 얼어붙고 흉작이 들었으며, 파리에서만 2만 4천 명이 사망했다. 북해에는 떠다니는 얼음이 나타났다.
- 1709년 1월 10일 – 아브라함 다비 1세가 잉글랜드 슈롭셔주 콜브룩데일의 용광로에서 코크스를 연료로 사용하여 주철 생산에 성공했다.[2][3][4]
- 1709년 2월 1일 또는 1709년 2월 2일 – 우즈 로저스 선장이 표류 중이던 사략선 선장 알렉산더 셀커크를 후안 페르난데스 제도의 한 섬에서 구조했다. 셀커크는 이 섬에서 4년간 생활했으며, 이는 다니엘 디포의 소설 『로빈슨 크루소』에 영감을 주었다.[5][6] 로저스는 이후 과야킬을 약탈하고 갈라파고스 제도를 방문했다.[7]
- 1709년 3월 28일 – 요한 프리드리히 뷜트거가 드레스덴에서 유럽 최초로 경질 자기 생산을 보고했다.
- 1709년 7월 8일 (구력 6월 27일, 스웨덴력 6월 28일) – 대북방전쟁: 폴타바 전투에서 표트르 1세가 이끄는 러시아 제국 군대가 칼 12세 휘하의 스웨덴군을 결정적으로 격파하여 러시아 침공을 종식시키고, 스웨덴의 유럽 주요 강국으로서의 지위를 사실상 끝냈다.
- 1709년 7월 9일 – 런던의 크리스토퍼 슬로터포드가 약혼녀 제인 영 살인 혐의로 길드퍼드에서 처형되었다. 그는 순전히 정황 증거에 기반하여 현대 영국에서 살인죄로 처형된 최초의 인물이며, 끝까지 자신의 결백을 주장했다.
- 1709년 7월 13일 – 독일의 향수 제조업자 요한 마리아 파리나가 쾰른 향수 생산을 시작하며 요한 마리아 파리나 게겐위버 뎀 율리히스플라츠를 설립했다.
- 1709년 7월 26일 – 라인하르트 카이저의 오페라 《데시데리우스, 랑고바르드족의 왕》(Desiderius, König der Langobarden)이 함부르크에서 초연되었다.[10]
- 1709년 7월 30일 –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존 처칠 몰버러 공작과 사보이아의 외젠이 투르네를 점령했다.[4]
- 1709년 8월 8일 – 바르톨로메우 드 구스망의 열기구가 포르투갈에서 비행했다.
- 1709년 9월 11일 (구력 8월 31일) –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말플라케 전투에서 몰버러 공작이 이끄는 네덜란드 공화국, 합스부르크 군주국, 대영 제국, 프로이센 왕국의 군대가 프랑스군을 격퇴했지만, 프랑스군보다 두 배나 많은 사상자를 냈다.[4]
- 1709년 10월 9일 –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영국군이 몽(벨기에)을 점령했다.[11]
- 1709년 12월 25일 – 10척의 배가 런던을 출발하여 4,000명이 넘는 사람들을 싣고 뉴욕 식민지로 향했다.
- 1709년 12월 26일 – 조르주 프리드리히 헨델의 오페라 《아그리피나》(Agrippina)가 베네치아의 산 조반니 그리소스토모 극장에서 초연되었다.[12]
4. 3. 기타 지역
- 1709년 2월 19일 - 도쿠가와 이에노부가 도쿠가와 막부의 여섯 번째 쇼군이 되었다. 그는 1680년부터 정부 수반이었던 도쿠가와 쓰나요시의 뒤를 이었다.
- 1709년 4월 21일 - 미르와이스 호탁이 페르시아 총독이자 구르긴 칸(게오르기 11세)을 살해하고 아프가니스탄 칸다하르를 장악했다.
- 1709년 6월 17일 - 정근의 사망으로 정강이 북베트남(당외)의 새로운 왕이 되어 1729년 12월 20일까지 20년간 통치했다.
- 1709년 7월 27일 - 히가시야마 천황이 1687년부터 23년간의 통치를 마치고 퇴위, 그의 아들 요시히토가 나카미카도 천황으로 즉위했다.
- 1709년 8월 28일 - 팜헤이바가 마니푸르의 왕으로 즉위했다.
- 1709년 10월 12일 - 멕시코의 치와와 시가 건설되었다.
- 1709년 10월 14일 - 중국 닝샤 지역에서 1709년 중웨이 지진(규모 7.5)이 발생, 2,000명 이상이 사망했다.
5. 탄생
- 4월 16일 - 난부 히로노부, 하치노헤번의 4대 번주 (~1741년)
- 9월 18일 - 영국의 시인, 평론가 새뮤얼 존슨. (~1784년)
- 12월 18일 - 러시아 제국 로마노프 왕조의 6번째 군주 옐리자베타 페트로브나. (~1762년)
- 12월 25일 - 프랑스의 의사, 철학자 쥘리앵 오프루아 드 라 메트리. (~1751년)
- 일본 에도 막부의 7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쓰구.
- 일본 에도 시대의 다이묘 마쓰다이라 사다요시. (~1770년)
- 1월 2일 - 영국의 자서전 작가 테레시아 콘스탄시아 필립스 (사망 1765년)
- 1월 17일
- * 이탈리아 추기경 조반니 오타비오 부팔리니 (사망 1782년)
- * 조지 리틀턴 제1대 리틀턴 남작 (사망 1773년)
- 1월 24일 - 베네딕트 수도사이자 파이프 오르간 제작 장인 돔 베도 드 셀 (사망 1779년)
- 2월 7일 - 프랑스 작가 샤를 드 브로스 (사망 1777년)
- 2월 12일 - 프랑스 의사 자크 바르뵈-뒤부르 (사망 1779년)
- 2월 24일 - 프랑스 자동 인형 발명가 자크 드 보캉송 (사망 1782년)
- 3월 10일
- * 영국 성직자 제임스 벤섬 (사망 1794년)
- * 독일 식물학자 게오르크 빌헬름 슈텔러 (사망 1746년)
- 3월 18일 - 스위스 수학자 요하네스 게스너 (사망 1790년)
- 3월 31일 - 프랑스 해군 장군, 마르티니크 총독, 풍상 제도 총독 루이-샤를 르 바소르 드 라 투슈 (사망 1781년)
- 4월 14일 - 프랑스 극작가이자 작곡가 샤를 콜레 (d. 1783년)
- 4월 17일 - 이탈리아 출신 천문학자 조반니 도메니코 마랄디 (d. 1788년)
- 4월 30일 - 브리그 출신 독일 의사이자 식물학자 크리스티안 고틀리브 루드비히 (d. 1773년)
- 5월 1일 - 독일-덴마크 외교관 요아힘 바서슐레베 (d. 1787년)
- 5월 24일 - 제네바 의사 테오도르 트롱샹 (d. 1781년)
- 6월 4일 - 라레도를 건설한 베테랑 스페인 선장 토마스 산체스 (d. 1796년)
- 6월 11일 - 독일 초상화가 요아힘 마르틴 팔베 (d. 1782년)
- 7월 5일 - 프랑스 루이 15세 치하의 옛 제도 재무 총감독 에티엔 드 실루엣 (사망 1767년)
- 7월 10일 - 영국의 부동산 개발업자이자 노예 소유주 윌리엄 버너스 (사망 1783년)
- 7월 11일 - 스웨덴의 화학자이자 광물학자 요한 고트샬크 발레리우스 (사망 1785년)
- 7월 15일 - 프랑스 건축가 앙투안 마튀 르 카르팡티에 (사망 1773년)
- 7월 17일
- * 이몰라 주교를 역임한 이탈리아 추기경 조반니 카를로 반디 (사망 1784년)
- * 독일 철학자 프리드리히 크리스티안 바우마이스터 (사망 1785년)
- * 이탈리아 화가 주세페 안토니오 루키 (사망 1774년)
- 8월 8일
- * 독일 수도사이자 음악가 헤르만 안톤 겔리넥 (사망 1779년)
- * 독일의 자연 과학자 요한 게오르크 겔린 (사망 1755년)
- 8월 10일 - 프랑스의 문필가이자 박식가 장-자크 르프랑 드 폼피냥 (사망 1784년)
- 8월 16일
- * 덴마크 신학자이자 주교 루드비히 하르보 (사망 1783년)
- * 영국 판사, 공동항소법원장(1766-1771) 존 얼들리 윌못 (사망 1792년)
- 8월 26일 - 프랑스 신부이자 순교자 기욤 레팽 (사망 1794년)
- 8월 29일 - 프랑스 시인이자 극작가 장-바티스트-루이 그레세 (사망 1777년)
- 9월 5일 - 스위스 화가 루돌프 퓌슬리 (사망 1793년)
5. 1. 동아시아
- 4월 16일 - 난부 히로노부, 하치노헤번의 4대 번주 (~1741년)
- 도쿠가와 이에쓰구, 일본 에도 막부의 7대 쇼군
- 마쓰다이라 사다요시, 일본 에도 시대의 다이묘 (~1770년)
- 2월 3일 - 사카이 타다타케, 츠루가 번 번주 (+ 1731년)
- 8월 8일 - 도쿠가와 이에쓰구, 에도 막부 제7대 장군 (+ 1716년)
5. 2. 유럽
- 9월 18일 - 영국의 시인이자 평론가 사무엘 존슨이 태어났다.(~1784년)
- 12월 18일 - 러시아 제국 로마노프 왕조의 6번째 군주 옐리자베타 페트로브나가 태어났다.(~1762년)
- 12월 25일 - 프랑스의 의사이자 철학자 쥘리앵 오프루아 드 라 메트리가 태어났다.(~1751년)
- 1월 2일 - 영국의 자서전 작가 테레시아 콘스탄시아 필립스가 태어났다. (사망 1765년)
- 1월 17일
- * 이탈리아 추기경 조반니 오타비오 부팔리니가 태어났다. (사망 1782년)
- * 조지 리틀턴 제1대 리틀턴 남작이 태어났다. (사망 1773년)
- 1월 24일 - 베네딕트 수도사이자 파이프 오르간 제작 장인 돔 베도 드 셀이 태어났다. (사망 1779년)
- 2월 7일 - 프랑스 작가 샤를 드 브로스가 태어났다. (사망 1777년)
- 2월 12일 - 프랑스 의사 자크 바르뵈-뒤부르가 태어났다. (사망 1779년)
- 2월 24일 - 프랑스 자동 인형 발명가 자크 드 보캉송이 태어났다. (사망 1782년)
- 3월 10일
- * 영국 성직자 제임스 벤섬이 태어났다. (사망 1794년)
- * 독일 식물학자 게오르크 빌헬름 슈텔러가 태어났다. (사망 1746년)
- 3월 18일 - 스위스 수학자 요하네스 게스너가 태어났다. (사망 1790년)
- 3월 31일 - 프랑스 해군 장군이자 마르티니크 및 풍상 제도 총독 루이-샤를 르 바소르 드 라 투슈가 태어났다. (사망 1781년)
- 4월 14일 - 프랑스 극작가이자 작곡가 샤를 콜레가 태어났다. (d. 1783년)
- 4월 17일 - 이탈리아 출신 천문학자 조반니 도메니코 마랄디가 태어났다. (d. 1788년)
- 4월 30일 - 브리그 출신 독일 의사이자 식물학자 크리스티안 고틀리브 루드비히가 태어났다. (d. 1773년)
- 5월 1일 - 독일-덴마크 외교관 요아힘 바서슐레베가 태어났다. (d. 1787년)
- 5월 24일 - 제네바 의사 테오도르 트롱샹이 태어났다. (d. 1781년)
- 6월 4일 - 라레도를 건설한 베테랑 스페인 선장 토마스 산체스가 태어났다. (d. 1796년)
- 6월 11일 - 독일 초상화가 요아힘 마르틴 팔베가 태어났다. (d. 1782년)
- 7월 5일 - 프랑스 루이 15세 치하의 옛 제도 재무 총감독 에티엔 드 실루엣이 태어났다. (사망 1767년)
- 7월 10일 - 영국의 부동산 개발업자이자 노예 소유주 윌리엄 버너스가 태어났다. (사망 1783년)
- 7월 11일 - 스웨덴의 화학자이자 광물학자 요한 고트샬크 발레리우스가 태어났다. (사망 1785년)
- 7월 15일 - 프랑스 건축가 앙투안 마튀 르 카르팡티에가 태어났다. (사망 1773년)
- 7월 17일
- * 이몰라 주교를 역임한 이탈리아 추기경 조반니 카를로 반디가 태어났다. (사망 1784년)
- * 독일 철학자 프리드리히 크리스티안 바우마이스터가 태어났다. (사망 1785년)
- * 이탈리아 화가 주세페 안토니오 루키가 태어났다. (사망 1774년)
- 8월 8일
- * 독일 수도사이자 음악가 헤르만 안톤 겔리넥이 태어났다. (사망 1779년)
- * 독일의 자연 과학자 요한 게오르크 겔린이 태어났다. (사망 1755년)
- 8월 10일 - 프랑스의 문필가이자 박식가 장-자크 르프랑 드 폼피냥이 태어났다. (사망 1784년)
- 8월 16일
- * 덴마크 신학자이자 주교 루드비히 하르보가 태어났다. (사망 1783년)
- * 영국 판사이자 공동항소법원장(1766-1771) 존 얼들리 윌못이 태어났다. (사망 1792년)
- 8월 26일 - 프랑스 신부이자 순교자 기욤 레팽이 태어났다. (사망 1794년)
- 8월 29일 - 프랑스 시인이자 극작가 장-바티스트-루이 그레세가 태어났다. (사망 1777년)
- 9월 5일 - 스위스 화가 루돌프 퓌슬리가 태어났다. (사망 1793년)
6. 사망
- 2월 19일 - 도쿠가와 쓰나요시, 일본 에도 막부의 5대 쇼군. ([1])
- 3월 8일 - 윌리엄 쿠퍼, 외과의·해부학자
- 12월 7일 - 메인데르트 호베마, 화가
- 1월 20일 - 프랑수아 드 라 셰즈, 프랑스 루이 14세의 고해신부 (출생: 1624년)
- 1월 22일 - 헨리 허버트, 초대 쳐브리 허버트 남작, 잉글랜드 정치인 (출생: 1654년)
- 1월 24일 - 조지 루크, 잉글랜드 제독 (출생: 1650년)
- 1월 26일 - 엘레오노레 샤를로트, 작센-라우엔부르크-프란츠하겐 공녀 (출생: 1646년)
- 4월 21일
- * 구르긴 칸 (조지 11세), 칸다하르 페르시아 총독 (출생: 1651년)
- * 에마뉘엘 필리베르, 카리냥 공, 사보이아 공 (출생: 1628년)
- 6월 30일 - 에드워드 휘드, 웨일스 과학자 (출생: 1660년)
- 7월 17일 - 로버트 볼링, 버지니아 이주민 (출생: 1646년)
- 10월 2일 - 이반 마제파, 우크라이나 헤트만 (출생: 1639년)
- 10월 5일 - 다니엘 스피어, 독일 바로크 시대 작곡가, 작가 (출생: 1636년)
- 10월 9일 - 바바라 팔머, 초대 클리블랜드 공작부인, 잉글랜드 찰스 2세의 정부 (출생: 1640년)
- 10월 31일 - 헨리 하이드, 2대 클래런던 백작, 잉글랜드 귀족 (출생: 1638년)
- 11월 4일 - 바렌드 그라트, 네덜란드 화가 (출생: 1628년)
- 11월 23일 - 윌리엄 벤팅크, 초대 포틀랜드 백작 (출생: 1649년)
- 11월 29일 - 찰스 도머, 2대 카나번 백작, 잉글랜드 귀족 (출생: 1632년)
- 12월 1일 - 아브라함 아 산크타 클라라, 오스트리아 설교가 (출생: 1644년)
- 12월 8일 - 토마 코르네유, 프랑스 극작가 (출생: 1625년)[16]
- 12월 15일 - 스티븐 레너드, 2대 남작, 잉글랜드 정치인 (출생: 1637년)
- 12월 31일
- * 피에르 칼리, 프랑스 철학자, 신학자 (출생: 1630년)
- * 토마스 리틀턴, 3대 남작, 잉글랜드 정치가 (출생: 1647년)
- 날짜 미상 - 존 쿠드, 메릴랜드 식민지 총독 (출생: 약 1648년)
- 추정 날짜 - 엘레노어 글랜빌, 잉글랜드 곤충학자 (출생: 1654년)
6. 1. 동아시아
- 2월 19일 - 일본 에도 막부의 5대 쇼군 도쿠가와 쓰나요시가 사망했다.([1])
- 3월 1일 - 도쿠가와 쓰나요시 사후 10일째에 생물을 불쌍히 여기는 법령이 폐지되었다.([2])
- 도쿠가와 이에노부가 에도 막부 제6대 쇼군이 되었다.([3])
- 도쿠가와 이에노부가 주자학자 아라이 하쿠세키를 등용하였다.([3])
6. 2. 유럽
- 2월 8일 - 주세페 토렐리(Giuseppe Torelli), 이탈리아 작곡가 (1658년~)
- 2월 9일 - 프랑수아 루이(François Louis), 콩티 공작, 프랑스 장군 (1664년~)
- 2월 11일 - 루이즈 홀란딘(Louise Hollandine) 팔츠 공녀, 독일 화가 (1622년~)
- 2월 17일 - 에릭 벤젤리우스(Erik Benzelius) 장로, 스웨덴 신학자 (1632년~)
- 3월 9일 - 랄프 몽태규(Ralph Montagu), 초대 몽태규 공작, 잉글랜드 외교관 (1638년~)
- 3월 21일 - 부르하르트 드 볼더(Burchard de Volder), 네덜란드 수학자 (1643년~)
- 4월 1일 - 앙리 쥘(Henri Jules), 콩데 공 (1643년~)
- 4월 2일 - 조반니 바티스타 가울리(Giovanni Battista Gaulli), 이탈리아 화가 (고바로크와 초기 로코코 시대 활동) (1639년~)
- 4월 5일 - 로제 드 필(Roger de Piles), 프랑스 화가 (1635년~)
- 4월 8일 - 볼프강 디트리히(Wolfgang Dietrich) 카스텔-렘링겐 백작, 독일 귀족 (1641년~)
- 4월 20일 - 요한 에른스트 폰 툰(Johann Ernst von Thun), 티롤 가톨릭 주교 (1643년~)
- 6월 25일 - 프리드리히 7세(Frederick VII), 바덴-두르라흐 변경백 (1677년부터 사망 시까지 재임) (1647년~)
- 6월 29일 - 앙투안 토마스(Antoine Thomas), 벨기에 예수회 천문학자 (중국에서 활동) (1644년~)
- 8월 24일 - 엘리자베트 도로테아(Elisabeth Dorothea) 작센-고타-알텐부르크 공녀, 독일 공주 (1640년~)
- 8월 31일 - 안드레아 포초(Andrea Pozzo), 예수회 수사, 건축가, 화가 (1642년~)
- 9월 4일 - 장-프랑수아 레나르(Jean-François Regnard), 프랑스 희극 시인 (1655년~)
- 9월 7일 - 구노 달스티에르나(Gunno Dahlstierna), 스웨덴 시인 (1661년~)
- 9월 14일 - 루이스 마누엘 페르난데스 데 포르토카레로(Luis Manuel Fernández de Portocarrero), 스페인 추기경, 톨레도 대주교 (1635년~)
- 10월 5일
- * 피터 애플바이(Peter Applebye), 영국계 덴마크 실업가 (1774년~)
- * 루도비코 스테른(Ludovico Stern), 이탈리아 로코코 또는 후기 바로크 시대 화가 (1777년~)
- 10월 6일 – 에드워드 카이내스턴(Edward Kynaston), 영국 지주이자 토리당 국회의원 (1772년~)
- 10월 9일
- * 장-바티스트 드 벨로이(Jean-Baptiste de Belloy), 파리 대주교이자 가톨릭교회 추기경 (1808년~)
- * 존 클레이턴(John Clayton), 영국 성직자 (1773년~)
- 10월 12일 – 앤 해밀턴 경(Lord Anne Hamilton), 스코틀랜드 귀족 (1748년~)
- 10월 13일 – 존 콜 1세 남작(John Cole, 1st Baron Mountflorence), 아일랜드 귀족 및 정치인 (1767년~)
- 10월 16일 – 요한 다니엘 리터(Johann Daniel Ritter), 독일 역사가 (1775년~)
- 10월 17일 – 장-가브리엘 베르뷔도(Jean-Gabriel Berbudeau), 프랑스 출신 외과의사로 캐나다 동부에서 의술을 행함 (1792년~)
- 10월 19일 – 세월리스 셜리(Sewallis Shirley), 조지 2세 치세의 영국 국회의원 (1765년~)
- 10월 25일
- * 게오르크 게벨(Georg Gebel), 독일 음악가이자 작곡가 (1753년~)
- * 얀 와게나르(Jan Wagenaar), 네덜란드 역사가 (1773년~)
- 11월 1일 – 이그나티우스 폰 바이테나우어(Ignatius von Weitenauer), 독일 예수회 작가 (1783년~)
- 11월 2일 – 앤 공주(Anne, Princess Royal and Princess of Orange), 하노버 출신 프리스란드 총독 (1759년~)
- 11월 6일 – 크리스토퍼 마셜(Christopher Marshall), 미국 독립혁명 지도자 (1797년~)
- 11월 15일 – 디르크 클링켄베르크(Dirk Klinkenberg), 수학자, 아마추어 천문학자, 40년간 네덜란드 정부의 서기관 (1799년~)
- 11월 18일 – 헨리 로프투스 1세 엘리 백작(Henry Loftus, 1st Earl of Ely) (1783년~)
- 11월 22일 – 요한 프리드리히 빌헬름 예루살렘(Johann Friedrich Wilhelm Jerusalem), 계몽주의 시대 독일 루터교 신학자 (1789년~)
- 12월 1일 – 프란츠 크사베르 릭터(Franz Xaver Richter), 오스트리아-모라비아 가수, 바이올리니스트, 작곡가, 지휘자, 음악 이론가 (1789년~)
- 12월 9일 – 피에르 2세 수레트(Pierre II Surette), 아카디아와 와바나키 연맹의 영국 제국에 대한 저항 예술가 (1789년~)
- 12월 14일
- * 카스파르 프리드리히 하켄베르크(Caspar Friedrich Hachenberg), 네덜란드 와게닝언 라틴 학교 교장이자 그리스어 및 라틴어 문법 저술가 (1793년~)
- * 찰스 로렌스(Charles Lawrence), 영국군 장교 (1760년~)
- 12월 18일 – 엘리자베타 여제(Elizabeth of Russia), 러시아 여제 (1762년~)
- 12월 21일
- * 찰스 프레드릭(Charles Frederick), 국회의원 (1785년~)
- * 아르노 프랑수아 르페브르(Arnaud-François Lefèbvre), 퀴논 교구(Diocese of Quy Nhon) 코친 사도좌 대리 (1760년~)
- 12월 24일 – 요한 에반젤리스트 홀처(Johann Evangelist Holzer), 오스트리아-독일 화가 (1740년~)
참조
[1]
뉴스
1709: The year that Europe froze
https://www.newscien[...]
2009-02-07
[2]
논문
The earliest use of coke for ironmaking
1957-01-05
[3]
서적
Dynasty of Ironfounders: the Darbys and Coalbrookdale
Longmans, Green
[4]
서적
Cassell's Chronology of World History
https://archive.org/[...]
Weidenfeld & Nicolson
[5]
서적
Penguin Pocket On This Day
Penguin Reference Library
[6]
서적
Our West Indian Neighbors: the Islands of the Caribbean Sea
James Pott & Company
[7]
서적
Galapagos: a Natural Histor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gary Press
[8]
서적
Lists of Germans from the Palatinate Who Came to England in 1709
Clearfield
[9]
서적
The History Today Companion to British History
https://archive.org/[...]
Collins & Brown
[10]
서적
Operas in German: A Dictionar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11]
서적
The Chronology of British History
Century Ltd
[12]
서적
Handel's Operas, 1704–1726
Clarendon Press
[13]
웹사이트
The History of Umbrellas
http://www.oakthrift[...]
Oakthrift Corporation
2011-12-22
[14]
서적
The Red Rocks of Eddystone
Longmans
[15]
서적
The Syriac World
Routledge
2019
[16]
웹사이트
Thomas Corneille French dramatist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03-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