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우옌 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응우옌 주는 베트남의 귀족 가문으로, 16세기 중반부터 18세기 후반까지 베트남 남부를 지배한 광남국을 세웠다. 응우옌 가문은 레 왕조 부흥을 도왔으나, 정씨 가문과의 갈등으로 남쪽으로 세력을 확장했다. 광남국은 남진 정책을 통해 영토를 넓히고 유럽과의 교류를 통해 서양식 무기를 도입했으나, 18세기 말 떠이선 세력의 봉기로 멸망했다. 이후 응우옌 아인이 떠이선 세력을 물리치고 응우옌 왕조를 건국하여 베트남을 통일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 레 왕조 - 대월사기전서
《대월사기전서》는 베트남의 역사서로, 응오시리엔이 이전의 역사서를 바탕으로 1479년에 15권으로 완성했으며, 이후 수정 및 증보를 거쳐 1697년 레히가 간행한 25권의 정화본이 가장 오래된 판본이다. - 후 레 왕조 - 황려일통지
황려일통지는 황조 시대의 정치적 사건들을 권력 다툼, 외세 침략, 왕조 흥망성쇠 등 다양한 관점에서 기록한 총 17장으로 구성된 역사서이다. - 응우옌 주 - 응우옌푹코앗
응우옌 푹 코앗은 베트남 응우옌 주의 제8대 군주로, 1744년 칭왕을 선포하고 독립적인 통치 체제를 구축하였으며, 캄보디아 내란 개입과 참파 속국화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사치와 과세로 서산당의 난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 응우옌 주 - 응우옌푹즈엉
응우옌푹즈엉은 응우옌푹하오의 아들이자 응우옌푹코앗의 손자로 현명하고 덕이 있다는 평을 받았으나, 떠이선 반란으로 1777년 처형당했으며 후에 자롱 황제에 의해 효혜왕으로 추존되었다. - 베트남의 역사 - 응우옌 왕조
응우옌 왕조는 응우옌 푹 아인이 떠이선 왕조를 무너뜨리고 1802년부터 1945년까지 베트남을 통치한 왕조로, 중국 문화의 영향을 받아 중앙집권화를 추진했으며, 프랑스 침략으로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일부가 되었고, 베트남 역사상 최초로 현재의 베트남과 거의 같은 영토를 통일했다. - 베트남의 역사 - 베트남 공화국
베트남 공화국은 1955년 응오딘지엠이 수립한 국가로, 베트남 전쟁의 주요 무대였으며, 권위주의와 부패, 내전 격화, 미국의 개입을 거쳐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멸망했다.
응우옌 주 - [전쟁]에 관한 문서 | |
---|---|
명칭 | |
일반 명칭 | 응우옌 |
공식 명칭 | 응우옌 주 |
다른 명칭 | 응우옌 왕 꽝남국 안남국 |
역사 | |
존속 기간 | 1558년-1777년, 1780년-1802년 |
이전 | 응우옌푹 가문 |
이후 | 후 레 왕조 응우옌 왕조 |
성립 | 1558년 |
멸망 | 1802년 |
사건 | 찐주의 통제 하에 (1558년–1600년) 레 왕조 내의 영지 (1558년–1777년, 1780년–1789년) 사실상 독립 국가 (1789년–1802년) |
지도 | |
![]() | |
정치 | |
정치 체제 | 절대 군주제 |
수장 | 응우옌 주 (군주) |
초대 수장 | 응우옌 호앙 (1558년–1613년) |
마지막 수장 | 응우옌푹 아인 (1780년–1802년) |
국새 | "대월국 응우옌 주 영진지보" (大越國阮𪐴永鎮之寶, "대월국의 응우옌 주의 영원한 통치 보장" 인장) (1709년부터) |
수도 | |
수도 | 아이 뜨 (1558년–1570년) 짜 밧 (1570년-1600년) 딘 깟 (1600년-1626년) 프억 옌 (1626년-1636년) 낌 롱 (1636년-1687년) 푸쑤언 (1687년–1712년), (1738년-1775년) 박 봉 (1712년-1738년) 꽝남 (1775년) 자딘 (1775년-1777년, 1780년-1783년, 1788년–1802년) |
인구 | |
1800년 | 1,770,000명 |
언어 및 종교 | |
공용어 | 베트남어 |
종교 | 성리학 불교 도교 베트남 민간 신앙 천주교 |
화폐 | |
통화 | 구리-아연 합금 주화 |
2. 역사적 배경
후 레 왕조 중기 막당융(莫登庸)이 막 왕조를 세우자, 후 레 왕조의 중신이었던 정씨와 응우옌 씨는 왕조 복원을 위해 군사를 일으켰다. 그러나 복원군 내에서 정씨가 권력을 독점하면서, 응우옌 씨는 남쪽으로 밀려나 사실상 남부의 왕으로 200년에 걸쳐 이 지역을 장악하였다. 이 반독립국이 광남국이다. 당시 백성들은 '''당쫑'''(Đàng Trong /塘中)이라 불렀고, 외국에서는 '''광남'''(廣南)이라고 불렀다. 겉으로는 후 레 왕조를 따르면서 독자적인 황제 연호를 쓰지는 않았지만, 황제를 옹립한 정씨와 여러 차례 전쟁을 벌였고, 주변국에서 사실상 독립 국가로 취급받았다. 응우옌 씨의 장기에 걸친 남부 지배는 참파와 캄보디아에 대한 베트남의 남진(南進)을 추진했다.[10]
광남 응우옌 씨는 탕화 지역을 근거지로 한 강력한 씨족에서 기원한다. 응우옌 씨는 레 로이(Lê Lợi)의 명(明)에 대한 독립 전쟁을 지원하여 대월(大越)에서 높은 지위를 가진 귀족 가문 중 하나가 되었다. 후 레 왕조 2대 황제 태종(太宗)의 황후였던 응우옌 티 안(Nguyễn Thị Anh) (선자태후)은 어린 나이에 즉위한 3대 황제 인종(仁宗)의 섭정으로서 국정을 총괄하기도 했다.
1527년, 막 등용이 꽁 황제로부터 황위를 물려받아 막 왕조를 열었다. 후 레 왕조의 중신이었던 응우옌 씨와 정 씨는 탕화를 근거지로 하여 후 레 왕조의 부흥을 내걸고 막 등용에게 반기를 들었다.[11] 후 레 왕조의 부흥 세력은 홍하(紅河) 이남을 지배했지만, 막 왕조의 동도(東都, 현재 하노이)를 공략할 수는 없었다.
1533년, 응우옌 깐은 소종(昭宗)의 아들 레 닝(Lê Ninh)을 장종으로 애뢰(哀牢)에서 즉위시켰고, 명에 막 등용의 찬탈을 고발하는 등의 외교 활동을 펼쳤다.[12] 명은 막 등용의 찬탈을 인정했지만, 막 등용이 신하의 예를 다했기에 이를 용서하고 안남도통사(安南都統使)에 봉하고 세습을 허락했다.[12] 후 레 왕조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지만, 명도 더 이상 개입할 의향이 없었기에 전란은 계속되었다.
1545년, 응우옌 깐은 막 왕조의 항복 장수 양집일(楊執一)의 손에 독살되었다. 응우옌 깐의 장남이 계승자였어야 했지만, 정 검에게 살해당했고, 주도권은 정 씨에게 넘어갔다.
2. 1. 레-막 전쟁과 응우옌 가문의 남하
1527년, 막당융(Mạc Đăng Dung)이 레 cung hoàng(Lê Cung Hoàng) 황제를 폐위하고 막 왕조(Mạc dynasty)를 세웠다. 응우옌 낌(Nguyễn Kim)과 그의 사위 정 검(Trịnh Kiểm)은 청화(Thanh Hóa)성으로 도망쳐 막 왕조의 지배를 거부했다. 홍하 이남 지역 전체가 그들의 지배하에 있었지만, 수년 동안 동경(Đông Kinh)(당시 수도)에서 막 왕조를 몰아낼 수는 없었다. 이들은 삼느아(Xam Neua)(란상 왕국(Kingdom of Lan Xang)])으로 망명하여 망명 정부를 수립하고 군대를 재편성하여2. 2. 찐 가문과의 갈등과 광남국의 성립
응우옌 낌(Nguyễn Kim) 사후, 그의 사위인 찐 끼엠(Trịnh Kiểm)이 권력을 장악하면서 응우옌 가문과 찐 가문 간의 갈등이 시작되었다.[10] 찐 끼엠은 응우옌 낌의 아들 응우옌 우옹(Nguyễn Uông)을 살해하고 권력을 독점했다. 응우옌 낌의 다른 아들 응우옌 호앙(Nguyễn Hoàng)은 찐 끼엠의 위협을 피해 남부 지역(현재의 꽝빈 성에서 꽝남 성에 이르는 지역)의 통치를 자청하여 남하했다.[7][9][13] 1558년, 응우옌 호앙은 투언호아(Thuận Hóa)에 자리를 잡고,[9] 이후 푸쑤언(Phú Xuân)(현재의 후에)으로 근거지를 옮기며 광남국(廣南國)의 기틀을 마련했다.16세기 초, 막당융(莫登庸)이 후 레 왕조(後黎朝)를 대신하여 막 왕조(莫朝)를 열자, 후 레 왕조의 중신이었던 응우옌 씨와 정 씨는 레 왕조 부흥을 위한 군사를 일으켰다. 그러나 부흥군 내에서 정 씨가 권력을 독점하게 되자, 응우옌 씨는 남쪽으로 이동하였다.
3. 광남국의 발전과 쇠퇴
16세기 초, 막당중(莫登庸)이 후 레 왕조(後黎朝)를 찬탈하여 막 왕조(莫朝)를 세우자, 후 레 왕조의 중신이었던 응우옌 씨(阮氏)와 정 씨(鄭氏)는 레 왕조 부흥을 위한 군사를 일으켰다. 그러나 부흥군 내에서 정 씨가 권력을 독점하자, 응우옌 씨는 남쪽으로 이동하여 사실상 남부 지역을 200년 동안 지배하였다. 이 반독립 정권이 바로 광남국(廣南國)이다. 당시에는 구어체로 “당중(Đàng Trong)”, 다른 나라에서는 “광남”이라고 불렸다.
응우옌 황은 자신의 형과 같은 운명을 맞을까 두려워 수도에서 도망치려 했다. 그는 누이 Nguyễn Thị Ngọc Bảo(정검의 부인)에게 청하여 정검에게 대월의 남쪽 변경 지역인 투언호아(현재 꽝빈, 꽝찌에서 꽝남성까지)의 지사직을 맡게 해줄 것을 요청했다. 당시 투언호아는 미개척지로 여겨졌고, 정검 또한 수도에서 응우옌 황의 영향력을 제거하고자 했기에 그의 제안을 받아들였다.
1558년, 응우옌 황은 가족, 친척, 충복들과 함께 투언호아로 이동하여 직책을 수행했다. 그는 찌에우퐁 현을 새로운 수도로 삼고 궁궐을 건설했다. 1636년, 응우옌 황은 근거지를 푸쑤언(현재 후에)으로 옮겼다. 응우옌 황은 점차 남쪽으로 영토를 확장했고, 정 씨는 막 왕조와 북부 베트남의 지배권을 두고 전쟁을 계속했다.
광남국은 형식적으로는 후 레 왕조의 신하였으나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지 않았고, 황제를 옹립한 정 씨와 여러 차례 전쟁을 벌였으며, 주변 국가들로부터는 사실상 독립국으로 여겨졌다. 응우옌 씨의 장기간에 걸친 남부 지배는 남진(南進)을 추진하는 배경이 되었다.[10]
3. 1. 남진(Nam tiến) 정책과 영토 확장
광남국은 남쪽으로 영토를 확장하는 "남진(Nam tiến)"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참파와 캄보디아를 공격하여 영토를 잠식하고, 메콩 삼각주 지역까지 세력을 넓혔다.응우옌 군주들은 1611년, 1629년, 1653년, 1692년에 참파와 여러 차례 전쟁을 벌였고, 1693년까지 참파 지도부는 응우옌의 지배에 굴복했다.[2] 응우옌 군주들은 투언탄 보호령을 설립하여 참파 궁정을 지배했고, 민망 황제가 1832년에 폐지할 때까지 그 권력을 행사했다.
1620년 광남국의 응우옌 푹 응우옌의 딸 阮氏玉萬|응우옌 티 응옥 만중국어은 크메르(캄보디아) 국왕 체이 체타 2세와 결혼했다. 3년 후인 1623년, 광남국은 크메르인이 거주하던 프레이녹콜(嘉定|가정중국어府, 현재 호찌민시)로의 이주를 공식적으로 허가했다.
1681년, 다낭 앞바다에 명나라 유신을 자칭하는 Dương Ngạn Địch|즈엉 응안 딕vi, Trần Thượng Xuyên|짠 투엉 시엔vi 등이 이끄는 50척이 넘는 선단이 나타나 광남국으로의 망명을 요청했다. 광남국은 이들을 남부 지배 영역 확장(메콩 삼각주 이주)에 활용했다.[14]
응우옌은 1658년, 1690년, 1691년, 1697년, 그리고 1713년에 캄보디아를 침략했다.[2] 1714년, 광남국은 크메르의 정쟁에 개입하여 군대를 파견했다. 이에 시암(아유타야 왕조)이 대항했지만 광남국이 승리하여 크메르에 새로운 왕인 Ang Em|앙 엠영어이 즉위했다. 이로써 광남국은 약화된 캄보디아로부터 많은 영토를 얻는 데 성공했다.
1739년, 캄보디아는 해안 지역의 잃어버린 땅을 되찾으려 했고, 전투는 수십 년 동안 계속되었다. 그러나 결국 광남국은 캄보디아를 물리치고 풍요로운 메콩 삼각주를 유지하는 데 성공했다.[9] 1755년에는 시암이 버마와의 전쟁에 대처하는 동안, 광남국은 캄보디아 정복군을 파견하여 수도 우동과 프놈펜까지 위협했다. 이 무렵 하티엔(현재 끼엔장성 하티엔)에는, 광남국에 예속된 중국인의 반독립 정권인 河仙镇|항구국중국어이 있었고, 광남국은 이들의 협력으로 약화된 캄보디아로부터 많은 영토를 얻었다.
시암에서는 톤부리 왕조가 들어서고, 탁신 왕 치하에서 캄보디아에 대한 개입이 시작되었고, 1769년에 시암과 광남국은 다시 전쟁에 돌입했다. 초기에는 광남국이 우세했지만, 나중에 패배했고, 1773년에는 내란(서산당의 난)의 영향으로 캄보디아 전선에서 철수해야 했다.[7][9]
3. 2. 대외 관계
광남국은 포르투갈, 네덜란드, 일본, 중국 등 다양한 국가와 교류하며 무역을 통해 경제적 이익을 추구했다.[15] 특히, 포르투갈과의 관계는 광남국이 서양식 무기를 도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5] 호이안(會安)에는 일본인 거리[9]와 중국인 거리가 설치되어 무역으로 번성했다.- '''일본과의 관계'''
연도 | 내용 |
---|---|
1601년 |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가 “안남국(安南國) 도원수(都元帥)·서국공(瑞國公)”이라는 서간을 주고받았다.[16] 그러나 이 “서국공”은 단국공(端國公) 응우옌 호앙으로 여겨진다.[17] |
17세기 | 에도 막부(江戸幕府)의 수인선 무역(朱印船貿易)에 의해 광남국을 방문한 일본 배는 71척에 달한다고 한다.[18] |
17세기 | 응우옌 푹 응우옌의 양녀였던 응우옌 푹 응옥 호아는 나가사키(長崎)의 상인 아라키 소타로(荒木宗太郎)에게 시집갔다.[19] |
1728년 | 중어문 천황(中御門天皇)을 알현했고, 당시 에도(江戸) 사람들 사이에 코끼리 붐을 일으켜 쇼군(將軍) 도쿠가와 요시무네(德川吉宗)에게 바쳐진 코끼리 “광남종사위백상(廣南従四位白象)”은 광남국 출신으로 여겨진다. |
- '''포르투갈과의 관계'''
1615년, 포르투갈은 당시 유럽인들에게 “파이포(Faifo)”라고 불렸던 호이안(會安)에 무역소를 설치했다.[15] 그러나 정-응우옌 분쟁이 끝나면서 서양식 무기의 수요가 급감하여 이 무역소는 고아나 마카오와 같은 대규모 집적지가 되지는 못했다.
- '''프랑스와의 관계'''
1640년, 예수회 선교사 알렉상드르 드 로드는 후에(부춘, 富春)의 왕궁을 방문했다. 로드는 민중에게 가톨릭으로의 개종을 권유하고 많은 교회를 건설했다. 그러나 6년 후 3대 당주 응우옌 푹 란(Nguyễn Phúc Lan)으로부터 사형 선고를 받았고, 사형은 면했지만 국외로 떠나게 되었다.
3. 3. 서산당의 난과 멸망
1771년, 캄보디아에서의 패전과 과도한 세금 징수로 인해 서산현에서 농민 반란(서산당의 난)이 일어났다.[7] 서산군은 2년 만에 지방 행정 기관이 있는 귀인(현재의 퀴논)을 함락시켰고, 반란은 곧 광남국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1774년, 이를 기회로 삼은 정씨가 100년 휴전을 깨고 광남국을 침공했다. 정씨 군대는 곧 광남국의 근거지인 부춘을 함락시켰고, 응우옌씨(阮氏) 일족은 자딘으로 도망쳤다. 응우옌씨는 서산당과 정씨 양쪽과 싸웠지만, 1777년 자딘마저 함락되고, 푸껫섬으로 도망친 12세의 응우옌푹아인(阮福映)을 제외한 응우옌씨 일족은 처형되었으며 광남국은 멸망했다.[9]4. 응우옌 왕조의 성립과 광남국의 유산
응우옌 왕조 성립은 떠이선 왕조에 의해 광남국이 멸망한 후, 응우옌 가문의 생존자 응우옌 푹 아인이 베트남을 통일하면서 시작되었다. 응우옌 푹 아인은 떠이선 세력과 찐 가문에 맞서 오랜 투쟁을 벌였다.
광남국은 후 레 왕조 중기 막등용이 막 왕조를 세우자, 후 레 왕조의 중신이었던 정씨와 응우옌 가문이 왕조 수복을 위해 군사를 일으켰으나, 정씨가 권력을 독점하면서 응우옌 가문이 남쪽으로 밀려나면서 시작되었다. 응우옌 가문은 남부에서 200여 년간 이 지역을 장악하며 사실상 반(半) 독립국인 광남국을 세웠다. 당시 백성들은 '''당쫑'''(塘中중국어)이라 불렀고, 외국에서는 '''광남'''이라고 불렀다.[1]
광남국은 겉으로는 후 레 왕조를 따랐지만, 독자적인 황제 연호를 쓰지는 않았다. 황제를 옹립한 정씨와 여러 차례 전쟁을 벌였고, 주변국에서는 사실상 독립 국가로 취급했다. 광남국은 참파와 캄보디아에 대한 베트남의 남진을 추진하는 결과를 낳았다.[1] 비록 18세기 말에 멸망했지만, 그 후예인 응우옌 푹 아인이 베트남의 마지막 왕조인 응우옌 왕조를 세웠다.[1]
4. 1. 응우옌 푹 아인의 베트남 통일
떠이선 세 형제가 농민 봉기를 일으켜 광남국이 멸망한 후, 응우옌 가문의 생존자인 응우옌 푹 아인(阮福映)은 떠이선 세력과 찐 가문에 맞서 오랜 투쟁을 벌였다.응우옌 푹 아인은 1780년 시암 왕 탁신과 동맹을 맺고 떠이선 군대를 공격했으나, 탁신이 쿠데타로 사망하면서 실패했다. 시암의 새로운 왕 라마 1세는 응우옌 푹 아인을 돕는 데 소극적이었고, 시암 군대는 철수했다.[1] 응우옌 푹 아인은 프랑스의 도움을 받으려 했지만 실패했고, 다시 시암의 도움을 받은 락감-소아이뭇 전투에서도 패배했다.[2]

그러나 응우옌 푹 아인은 포기하지 않고 떠이선 왕조의 내분, 유럽인, 소수민족, 참족 등의 지원에 힘입어 1788년 자딘(Gia Định)을 탈환하고, 1799년에는 귀인(Qui Nhơn)을 점령했다.[2] 1801년에는 푸쑤언(Phú Xuân)을 함락시켰고,[2] 1802년 마침내 베트남을 통일하고 응우옌 왕조를 건국했다.[2]
4. 2. 광남국의 역사적 의의
후레왕조 중기 막등용(莫登庸, Mạc Đăng Dung)이 막 왕조를 세우자 후레왕조의 중신이었던 정씨(鄭氏)와 완씨는 왕조 수복을 위한 군사를 일으켰다. 그러나 수복군 내에서 정씨가 권력을 독점하면서, 완씨는 남쪽으로 밀려나 사실상 남부의 왕으로 200년에 걸쳐 이 지역을 장악하였다. 이렇게 반(半) 독립국이 된 것이 광남국이다. 당시 백성들은 '''당쫑'''(Đàng Trong /塘中), 외국에서는 '''광남'''(廣南)이라고 불렀다.[1]광남국은 겉으로는 후 레 왕조를 따르면서 독자적인 황제 연호를 쓰지는 않았지만, 황제를 옹립한 정씨와 여러 차례 전쟁을 벌였고, 주변국에서는 사실상 독립 국가로 취급했다. 광남국의 장기간에 걸친 남부 지배는 참파와 캄보디아에 대한 베트남의 남진을 추진하는 결과를 낳았다.[1]
광남국 자체는 18세기 말에 멸망했지만, 그 후예인 완복영(阮福暎)이 이후 베트남의 마지막 왕조인 응우옌 왕조를 세웠기 때문에 광남 완씨 일족은 후세에 많은 시호를 얻었다.[1]
5. 역대 군주
참조
[1]
웹사이트
Bảo Đại trao kiếm giả cho 'cách mạng'? Mùa thu năm trước Bảo tàng Lịch sử Việt Nam mang chuông sang gióng ở thủ đô Pháp
https://www.bbc.com/[...]
BBC News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Government of the United Kingdom)
2015-09-04
[2]
서적
Les Portugais sur les Cotes du Vietnam et du Champa
EFEO Paris
[3]
서적
Offshore Asia: Maritime Interactions in Eastern Asia before Steamships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013
[4]
서적
China and Southeast Asia: Historical Interaction
Routledge, Singapore University Press
2018
[5]
서적
The Junk Trade from Southeast Asia: Translations from the Tôsen Fusetsu-gaki, 1674–1723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1998
[6]
서적
Tribal Communities in the Malay World: Historical, Cultural, and Social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002
[7]
웹사이트
広南国
2020-07-10
[8]
문서
漢訳:外國常呼 阮主之地 是 廣南國
[9]
웹사이트
クアンナム朝
2020-07-10
[10]
논문
Vietnam's southward expansion as it took place before the period of the Nguyễn Lords ...
[11]
웹사이트
阮氏
2020-07-10
[12]
논문
[13]
문서
{{Harvnb|石井|桜井|1985}}では自ら逃れたとしている。
[14]
문서
※カナ・ベトナム語表記は参照者。
[15]
논문
[16]
웹사이트
外蕃書翰安南国元帥瑞国公上書
M2010021521374446991
[17]
논문
[18]
논문
[19]
논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