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차드 내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차드 내전은 1960년 차드 독립 이후 발생한 일련의 무력 분쟁으로, 종족 및 종교 갈등, 외부 세력의 개입, 다르푸르 분쟁과의 연계 등으로 복잡하게 전개되었다. 프랑스 식민지에서 독립한 차드는 북부 투부족을 중심으로 차드 민족해방전선(FROLINAT)이 결성되어 내전이 시작되었고, 구쿠니 웨데이, 이센 아브레 등 여러 지도자들이 등장하며 다양한 세력 간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리비아, 프랑스 등 외부 세력의 개입과 수단 다르푸르 분쟁과의 연계로 국제 대리전 양상을 보이기도 했다. 2000년대 이후에는 이드리스 데비 대통령의 장기 집권 시도와 헌법 개정 등이 반란을 촉발했고, 여러 차드 반군 세력들이 정부에 대항했다. 2010년 차드와 수단 간 화해 복원 협정으로 5년간의 전쟁이 종식되었으나, 수많은 인명 피해와 난민 발생, 정치, 경제, 사회 전반에 걸친 부정적인 영향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차드 내전 - [전쟁]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분쟁 명칭차드 내전 (2005-2010)
날짜2005년 12월 18일 – 2010년 1월 15일
장소차드
결과차드 정부의 승리
교전 세력
교전 세력 1반군:
FUC
UFDD
RFD
CNT
CDR
UFDP
RDL
UFDD-F
SCUD
CNR
URF
UFCD
FSR
UFR
UMC
FPRN
UDC
MPRD
잔자위드
교전 세력 1 지원 세력(2010년까지)
교전 세력 2차드
프랑스
리비아
NMRD
JEM
교전 세력 2 지원 세력우크라이나
이스라엘
루마니아
병력 규모
교전 세력 1FUC: 5,000–7,000명 (2006년), 3,000–4,000명 (2008년)
UFDD: 2,000–3,000명 (2006년), 4,000–6,000명 (2007–08년)
UFDD-F: 500명 (2007년)
UFCD: 1,500명 (2010년)
UFR: 3,000명 (2010년)
RFC-RAFD: 800명 (2006년), 3,000명 (2007년), 800명 (2010년)
CNT: 1,000–2,000명 (2007년)
FSR: 500명 (2007년)
FRPN: 800명 (2007년)
MPRD: 500명 (2007년)
교전 세력 229,850명 (2002년), 35,000명 (2010년)
950명 (2002년), 1,200명 (2008년)
2,500명 (2008년)
지휘관
교전 세력 1 지휘관모하메드 누르 (RDL)
마하마트 누리 (UFDP, UFDD)
아체이크 이븐 우마르 (CDR)
티만 에르디미 (RFD)
하산 살레 알지네디 (CNT)
하산 살레 알 가담 (CNT)
압델와히드 아부드 마카예 (UFDD-F)
야야 딜로 제루 (SCUD)
칼릴 압달라 (NMRD)
알마도 아와드 마르도 (CNR)
아두마 하사발라 (UFCD)
아담 야쿠브 (FPRN)
오마르 알바시르
교전 세력 2 지휘관이드리스 데비
자크 시라크 (2005–07년)
니콜라 사르코지 (2007–10년)
무아마르 카다피
사상자 및 난민
사망자7,000명
난민200,000명

2. 배경

이드리스 데비는 헌법 개정을 통해 2006년 재선에 출마하고 대통령에게 헌법 개정 권한을 부여하려 했다. 이에 많은 반군 지도자들이 데비의 전 동맹이었으나 등을 돌리고 반란을 일으켰다.[33]

2005년 12월 초 차드 수도 엔자메나에서 전투가 발생했다. 분쟁 이전부터 수단 정부는 차드 반군을 이용하여 이드리스 데비 대통령을 전복하려고 시도했다. 2008년 공격에 연루된 세 개의 무장 단체는 데비가 다르푸르 반군, 특히 정의평등운동(JEM)에게 제공하는 지원을 차단하려는 수단 보안군에 의해 무장되었다. 차드 전쟁은 다음 네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34]


  • 다르푸르 분쟁과 차드의 갈등: 권력과 토지 경쟁이 지속되었다.
  • 차드 내부 갈등: 데비는 1990년대 후반 정권 기반을 확장하고 엔자메나의 시민 정치를 성장시키는 대신 일인 군사 통치로 되돌아갔다.[34] 그는 혈연 관계에 있는 소규모 집단에 의존하여 정부 자금을 자신의 목표에 사용하고, 시민의 충성심에 대한 대가로 원조를 배분했다.
  • 수단 정부의 국경 관리 전략: 주변의 약한 국가들을 내부 한계의 연장으로 취급했다. 수단 보안군은 1990년 데비를 집권시키는 데 도움을 주었으며, 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 우간다, 콩고민주공화국(DRC), 중앙아프리카 공화국(CAR)에서 군사적으로 개입했다.[34]
  • 중앙 아프리카 광대한 지역에 대한 지배력 경쟁: 차드, CAR, 북부 DRC뿐만 아니라 트리폴리와 수단 지역도 포함되며, 킨샤사, 키갈리, 캄팔라, 아스마라, 카르툼 등이 이 지역에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 경쟁했다.[34]

2. 1. 독립 초기 혼란과 남북 갈등

1960년 프랑스 식민지에서 독립한 차드는 11개 주요 종족과 192개의 소수종족이라는 국민 구성에 종교적 갈등까지 겹쳐 남부 수단계 사라·차리족 정권에 불만을 가진 북부의 회교계 투부족을 중심으로 차드 민족해방전선(FROLINAT)이 결성되어 내전에 돌입했다.[44] FROLINAT는 식민주의 타도, 민주연합정부 수립, 모든 외국군 기지 폐쇄를 표방하며 분리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44]

초기에는 남부 정부군과 북부 반정부군 간의 전쟁이 전개되어 프랑스는 남부를, 리비아는 북부를 지원했다. 1979년 정전협약인 카노 협정을 체결하고 주변에 근접한 리비아, 수단,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나이지리아, 카메룬 등 5개국의 조정으로 잠정국민연합정부(GUNT)가 설립되었다. 그러나 FROLINAT는 구쿠니 웨데이의 인민 구쿠니파(FAP)와 이센 아브레의 북부 아브레파(FAN)으로 분열되어 갈등과 대립이 심해졌고, 구쿠니 웨데이가 GUNT의 대통령으로 취임하면서 국방장관 이센 아브레와의 대립이 더욱 심해져 1980년 3월 FAP와 FAN의 내전이 재발하였다.

2. 2. 외부 세력 개입과 국제 대리전

초기에는 남부 정부군과 북부 반정부군 간의 전쟁이 전개되었으며, 프랑스는 남부를, 리비아는 북부를 지원했다.[44] 1979년 카노 협정을 통해 정전 협약이 체결되었고, 주변국인 리비아, 수단,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나이지리아, 카메룬의 조정으로 잠정국민연합정부(GUNT)가 설립되었다.[44] 그러나 FROLINAT는 구쿠니 웨데이의 인민군(FAP)과 이센 아브레의 북부군(FAN)으로 분열되어 갈등과 대립이 심화되었다.[44] 구쿠니 웨데이가 GUNT의 대통령으로 취임하면서 국방장관 이센 아브레와의 대립이 더욱 심해져 1980년 3월 FAP와 FAN 간의 내전이 재발하였다.[44]

3. 전개 과정

1980년대 초, 리비아구쿠니 웨데이의 FAP을 지원하며 차드에 군대를 주둔시켰고, 1981년에는 양국 간 합병을 선언했으나 아프리카 통일 기구의 반발로 철수했다. 1982년 이센 아브레FAN이 수도를 점령하고 대통령에 취임했다.[1] 1983년 리비아의 지원을 받은 FAP가 파야를 함락시켰고, 1984년 프랑스리비아는 군대 철수에 합의했으나 리비아는 이를 지키지 않았다.[1] 1986년 미국의 지원을 받은 차드 정부군은 파다를 점령했다.[1]

1989년 이드리스 데비는 인민구제운동(MPS)을 결성, 1990년 은자메나를 점령했다.[33] 1993년 이후 민주화 조치가 이루어졌고, 1996년 이드리스 데비가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1998년 남부 반군 FARF와 평화협정을 체결했다.[33] 1999년 MDJT 반군이 북부 티베치 지역을 공격하며 새로운 분쟁이 시작되었고, 2001년 데비는 재선 후 반군과 협상을 제의했으나 결렬되었다.[33]

이드리스 데비의 헌법 개정 시도는[33] 많은 반군 지도자들의 반발을 불러왔다. 2000년대 차드 내전은 수단 다르푸르 분쟁과 연계되어 국경 지역의 안보 불안을 심화시켰다.[33] 수단 정부는 다르푸르 반군 지원을 차단하기 위해 차드 반군을 지원했다는 의혹을 받았다.[34]

우크라이나[41][42] 이스라엘 차드 정부의 주요 무기 지원국이었다. 루마니아는 평화유지군 파병 의사를 밝혔다.[43]

2005년 이후 주요 전투는 다음과 같다.

전투명날짜내용
게레다 기습2005년 12월 7일차드 반군이 게레다를 공격, 10명 사망, 5명 부상. 차드 정부는 수단 정부를 배후로 지목.[36]
아드레 전투2005년 12월 18일민주와 자유를 위한 집회(RDL) 반군이 아드레(Adré)를 공격.
제1차 은자메나 전투2006년 4월 13일변혁을 위한 통합전선(FUC) 반군이 은자메나 공격. 프랑스군 지원을 받은 차드 정부군이 격퇴.
제2차 은자메나 전투2008년 2월 2일 ~ 3일마하마트 누리가 이끄는 반군이 은자메나 공격 후 탄약 부족 등으로 철수.
암담 전투2009년 5월 7일 ~ 8일차드군이 저항을 위한 연합군(UFR) 반군 공격.


3. 1. 1980년대 내전 격화

1980년 12월, 리비아는 구쿠니 웨데이의 FAP을 지원하며 7,000명의 군대를 차드에 주둔시켰다. 1981년 1월, 리비아는 구쿠니 정권과 함께 리비아와 차드의 합병을 선언했다. 그러나 이는 아프리카 통일 기구(OAU)의 비난을 초래했고, 리비아군은 철수했다. 1982년 6월, 수단으로 피신해 있던 이센 아브레의 FAN이 공세를 재개하여 수도를 점령했고, 10월 이센 아브레는 대통령에 취임했다.[1]

1983년, FAP는 리비아의 지원을 받아 전략 요충지 파야를 함락시켰다. 1984년 9월, 프랑스리비아는 양국 군대의 철수에 합의했으나, 리비아는 이를 이행하지 않았다.[1] 같은 해 6월, 아브레파는 FAN에서 독립혁명민족운동(UNIR)으로 개편하여 정치 공세를 펼쳤다. 한편, 구쿠니파는 구쿠니파와 우마르파로 분열되었다.[1]

1986년 11월, 차드 정부군은 미국의 지원을 받아 공세를 펼쳐 구쿠니파의 거점인 사라와 리비아군 주둔지 파다를 점령했다.[1]

3. 2. 이드리스 데비 집권과 내전 재발

1989년 이드리스 데비리비아의 지원을 받아 인민구제운동(MPS)을 결성했다. 그해 12월 신헌법 채택과 선거로 하브레가 다시 대통령으로 재집권했으나, 데비는 게릴라전을 벌여 1990년 12월 2일 수도 은자메나를 점령했다.[33] 1993년 최고국민회의를 개최하고 신헌법을 채택하는 등 민주화 조치가 이루어졌다. 1996년 신헌법에 의해 이드리스 데비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고, 1998년 5월 남부 반군 FARF와 평화협정을 체결하고 FARF를 합법 정당화하여 남부 지역의 내전을 종결시켰다.[33]

1999년 11월 토고미가 이끄는 MDJT 반군이 새롭게 일어나 북부 티베치 지역을 공격하고 2000년 3월과 7월에 대규모 교전을 벌였다.[33] 남부 지역에서도 소규모 반군 활동이 있었고, 2001년 5월 이드리스 데비가 총선거에서 재선되어 그해 9월 반군과 협상을 제의했으나 반군은 거절했다.[33]

많은 반군 지도자들은 이드리스 데비의 전 동맹이었는데, 데비가 헌법을 개정하려 하자 그에게 등을 돌렸다. 헌법 개정은 데비가 2006년 재선에 출마할 수 있도록 허용했을 뿐만 아니라 대통령에게 헌법 개정 권한을 부여했고, 이러한 조치는 데비의 여러 동맹국들이 그에 대한 반란을 일으키도록 만들었다.[33]

2005년 12월 초 차드 수도 엔자메나에서 발생한 전투는 놀라운 일이 아니었다. 분쟁이 터지기 몇 년 전부터 수단 정부는 차드 반군을 중간자로 이용하여 차드 대통령 이드리스 데비를 전복하려고 시도했다. 2008년 공격에 연루된 세 개의 무장 단체는 데비가 다르푸르 반군, 특히 다르푸르에서 공세를 펼치고 있던 정의평등운동(JEM)에게 제공하는 지원을 차단하려는 수단 보안군에 의해 무장되었다.[34]

3. 3. 2000년대 다르푸르 분쟁 연계 및 국제 관계

2000년대 차드 내전은 수단 다르푸르 분쟁과 연계되어 국경 지역의 안보 불안을 심화시켰다. 이드리스 데비는 헌법 개정을 통해 장기 집권을 시도했고, 이는 반군 세력의 저항을 불러일으켰다.[33] 수단 정부는 다르푸르 반군 지원을 차단하기 위해 차드 반군을 지원했다는 의혹을 받았다.[34]

우크라이나는 차드 정부에 상당량의 무기를 제공한 주요 지원국 중 하나였다.[41][42] 이스라엘 역시 차드 정부에 "대규모" 무기를 판매하며 지원했고, 2019년에는 차드와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 루마니아는 반군을 규탄하며 휴전 협상을 지원하기 위해 120명의 평화유지군 파병 의사를 밝혔다.[43]

3. 3. 1. 주요 전투


  • 게레다 기습 (2005년)


2005년 12월 7일, 차드 반군이 아드레 북쪽 120km 지점에 위치한 게레다를 공격하여 10명이 사망하고 5명이 부상을 입었다. 이 공격은 다르푸르에서 시작된 반군 침입의 시작이었다. 차드 정부는 이 공격의 배후로 수단 정부를 지목했다.[36]

  • 아드레 전투 (2005년)


2005년 12월 18일, 다르푸르에 기반을 둔 차드 반군 단체인 민주와 자유를 위한 집회(RDL)가 차드의 국경 도시 아드레(Adré)를 공격했다. 아드레는 수단에서 시작된 공격에 대한 차드 방어의 전략적 요충지였다. 이드리스 데비(Idriss Déby)는 2005년 10월부터 12월 사이에 차드군에서 차드 반군으로 이탈하는 병사들이 발생하자, 아드레와 동부 와다이 주의 주도인 아베셰(Abéché)의 방어를 강화했다.[36]

  • 제1차 은자메나 전투 (2006년)


2006년 4월, 차드 반군 지도자 마하마트 누르 아브델카림(Mohammed Nour Abdelkerim)은 여러 반군 세력을 통합하여 변혁을 위한 통합전선(FUC)을 결성하고 수도 엔자메나를 공격했다. 4월 13일, FUC 반군은 다르푸르와 중앙아프리카공화국 기지에서 출발하여 수도 거리에서 차드 보안군과 치열한 총격전을 벌였다. 전투는 장갑차, 테크니컬(중화기를 장착한 4륜구동 차량), 탱크가 동원된 가운데 남동부 교외와 차드 의회인 퀸즈 궁전(Palais des Quinze)을 중심으로 벌어졌다. 반군은 수도 지리를 잘 알지 못해 퀸즈 궁전을 대통령궁으로 오인하기도 했다. 프랑스군의 지원을 받은 차드 정부군은 반군을 격퇴했지만, 수백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 제2차 은자메나 전투 (2008년)


2008년 2월 2일 아침, 마하마트 누리(Mahamat Nouri)가 이끄는 차드 반군이 엔자메나에서 정부군과 치열한 시가전을 벌였다. 그러나 다음 날 오후, 반군은 탄약 부족과 연합군 구성원 중 한 명인 티만 에르디미(Timan Erdimi)가 정부와 별도의 협상을 시도했을 가능성 때문에 혼란에 빠져 수도에서 철수했다.

  • 암담 전투 (2009년)


2009년 5월 7일과 8일, 차드 동부 도시 암담과 그 주변에서 차드군이 저항을 위한 연합군(UFR) 반군의 진격 대열을 공격했다.

4. 평화 노력과 종전

2010년 1월 15일 차드와 수단 간의 화해 복원 협정이 체결되면서 5년간의 전쟁이 끝났다.[35] 양국 관계 개선으로 수단에서 온 차드 반군들이 고향으로 돌아왔고, 7년 만에 양국 국경이 다시 열렸으며, 국경 안전을 위한 합동군이 배치되었다. 이드리스 데비 대통령은 6년 만에 처음으로 2월에 수단 카르툼을 방문했고, 7월에는 국제형사재판소(ICC) 가입국인 차드가 수단의 오마르 알 바시르 대통령을 맞이하여 국제형사재판소 가입국이 처음으로 재판소의 피의자를 보호했다는 논란이 일었다.[35]

4. 1. 유엔 평화유지군 철수

2009년 1월, 차드 정부는 유엔에 차드 동부의 평화유지군 철수 절차를 시작할 것을 요청했다. 차드 정부는 유엔 임무의 느린 배치, 불균등한 성공 실적, 안보 상황 개선을 그 이유로 들었다.[35] 2009년 5월, 유엔은 임무 권한을 수정하고 연말까지 점진적인 감축과 종결을 승인했으며, 다르푸르 난민과 이재민을 포함한 민간인 보호 책임을 차드 보안군에 완전히 이양했다.[35]

4. 2. 차드-수단 관계 개선

2010년 1월 15일 차드와 수단 간의 화해 복원 협정이 체결되면서 5년간의 전쟁이 끝났다.[35] 양국 관계 개선으로 수단에서 온 차드 반군들이 고향으로 돌아왔고, 7년 만에 양국 국경이 다시 열렸으며, 국경 안전을 위한 합동군이 배치되었다. 이드리스 데비 대통령은 6년 만에 처음으로 2월에 수단의 수도 카르툼을 방문했고, 7월에는 국제형사재판소(ICC) 가입국인 차드가 수단의 오마르 알 바시르 대통령을 맞이하여 국제형사재판소 가입국이 처음으로 재판소의 피의자를 보호했다는 논란이 일었다.[35]

5. 결과 및 영향

2007년 8월 야당과의 합의에서 약속된 개혁 이행은 느리고 불균형적이었다.[35] 정부군은 전국적으로 민간인과 반군으로 의심되는 사람들을 임의로 체포하고 구금했으며, 종종 민족을 근거로 하여 잔혹하고 비정상적인 처벌을 가했다. 차드의 교도소 상황은 아프리카 대륙에서 가장 열악한 것 중 하나이며, 취약한 사법 기관은 면책 문화에 기여했다. 정부는 2009년 5월 암담(Am Dam)에서의 충돌 이후 정부 보안군과 반군이 저지른 살인과 강간과 같은 민간인에 대한 심각한 학대에 대해 조사하거나 기소하지 않았다.[35] 25만 명이 넘는 수단 난민과 16만 8천 명의 차드 국내 실향민이 동부 차드의 캠프와 다른 곳에 거주하고 있다. 2010년 4월, 수단 반군 단체인 정의평등운동(JEM)과 수단 정부군 사이의 싸움이 재개됨에 따라 약 5,000명의 새로운 수단 난민이 서다르푸르에서 도착했다.[35]

참조

[1] 문서 Front uni pour le changement
[2] 문서 Union des forces pour la démocratie et le développement
[3] 문서 Rassemblement des forces pour le changement
[4] 문서 Concorde Nationale Tchadienne
[5] 문서 Conseil démocratique révolutionnaire
[6] 문서 Union des Forces Démocratiques pour le Progrès
[7] 문서 Rassemblement pour la démocratie et la liberté
[8] 문서 Union des Forces pour la démocratie et le développement-Fondamentale
[9] 문서 Socle pour le changement, l'unité et la démocratie
[10] 문서 Conseil National du Redressement
[11] 문서 Union des forces de la résistance
[12] 문서 Union des forces pour le changement et la démocratie
[13] 문서 Front pour le salut de la République
[14] 문서 Union des Forces de Résistance
[15] 문서 Alianza formada en 2008 por el UFDD, el UFDD-F y el RFC
[16] 문서 Front populaire pour la renaissance nationale
[17] 문서 Union démocratique pour le changement
[18] 문서 Mouvement Populaire pour la Renaissance et le Developpement
[19] 뉴스 Chad profile https://www.bbc.co.u[...] 2014-01-15
[20] 문서 National Movement for Reform and Development
[21] 문서 Inglés ''Justice and Equality Movement''
[22] 웹사이트 В Европе разобрались куда Украина поставляет оружие https://kp.ua/politi[...] 2008-10-01
[23] 웹사이트 Chad said to condition resumed ties with Israel on 'extensive' weapons sales https://www.timesofi[...]
[24] 서적 The Military Balance 2010 Routledge 2010
[25] 웹사이트 Chad: caught in the Darfur crossfire https://mondediplo.c[...] 2008-03-00
[26] 서적 Anuario 2009 de procesos de paz http://escolapau.uab[...] Icaria Editorial
[27] 간행물 Chadian rebel groups and coalitions http://www.ecoi.net/[...] Small Arms Survey 2008-02-08
[28] 서적 Anuario 2008 de procesos de paz http://escolapau.uab[...] Icaria Editorial
[29] 간행물 Armed groups of Darfur and Chad http://www.smallarms[...] Small Arms Survey 2011-03-00
[30] 간행물 Armed Movements in Sudan, Chad, CAR, Somalia, Eritrea and Ethiopia http://www.operation[...] ZIF Analysis 2008-02-00
[31] 뉴스 France faces tough choices over Chad http://news.bbc.co.u[...] 2008-02-04
[32] 간행물 Chad http://connection.eb[...] 2010-09-01
[33] 논문 Chad and the West: Shifting Security Burden? https://www.jstor.or[...] 2015-01-01
[34] 웹사이트 Chad: Civil war, power struggle and imperialist interference http://www.greenleft[...] Green Left
[35] 웹사이트 World Report 2011: Chad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11-01-24
[36] 간행물 Darfur Bleeds: Recent Cross-Border Violence in Chad Human Rights Watch 2006-02-01
[37] 간행물 They Came Here to Kill US: Militia Attacks and Ethnic Targeting of Civilians in Eastern Chad Human Rights Watch 2007-01-01
[38] 뉴스 Israel and Chad revive diplomatic relations, call for closer security ties https://www.reuters.[...] 2019-01-20
[39] 뉴스 Chad president to make first Israel visit on Sunday, focus on security https://www.reuters.[...] 2018-11-25
[40] 웹사이트 Chad said to condition resumed ties with Israel on 'extensive' weapons sales https://www.timesofi[...]
[41] 웹사이트 Chad (1965–2013) https://ploughshares[...] 2021-06-27
[42] 웹사이트 Combatting the Political-Military Rebellion in Chad (2005–2010) https://publications[...] 2021-07-15
[43] 웹사이트 Romanian prime minister approves mission to Chad – EUbusiness.com – business, legal and financial news and information from the European Union http://www.eubusines[...] 2021-06-27
[44] 글로벌 차드 내전 https://ko.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