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참당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참당귀(Angelica gigas)는 키가 1~2미터까지 자라는 두해살이풀로, 짙은 자줏빛 산형화서의 꽃을 피우며 씨앗으로 번식한다. 뿌리는 주요 성분인 데쿠르신과 데쿠르시놀 안겔레이트를 함유하며, 한국에서는 월경통 완화 및 빈혈 치료를 위한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 왔다. 참당귀는 습한 토양과 햇볕 또는 반음지를 선호하며, 고려시대에는 단귀풀, 조선시대에는 승엄초불휘 등으로 불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당귀속 - 구릿대
    구릿대는 동시베리아, 중국 북동부, 한반도, 일본 등지에 자생하는 키 1~2m의 여러해살이풀로, 깃털 모양 겹잎과 흰색 작은 꽃이 특징이나, 푸로쿠마린과 안젤리코톡신 성분으로 인해 섭취 시 주의가 필요하다.
  • 당귀속 - 바디나물
    바디나물은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자줏빛 줄기, 깃털 모양 겹잎, 붉은색 겹산형 꽃이 특징이며 뿌리는 약재, 꽃과 잎은 관상용으로 쓰이고 열매는 카레 향이 난다.
  • 1917년 기재된 식물 -
    콩은 동북아시아가 원산지인 콩과의 한해살이 식물로, 고대 동아시아에서 중요한 식량 작물이었으며 다양한 가공식품의 원료로 사용되었고,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며 식품, 사료, 공업 원료 등으로 널리 활용되지만 유전자변형, 환경 문제,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 등에 대한 우려도 있다.
  • 1917년 기재된 식물 - 제비꽃
    제비꽃은 동아시아 원산의 다년생 초본으로, 4~5월에 보라색 꽃을 피우며 제비와 관련된 이름과 '오랑캐꽃'이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고, 식용 및 약용으로 쓰이지만 독성이 있어 주의해야 하는 식물이다.
  • 나카이 다케노신이 명명한 분류군 - 개나리
    개나리는 한반도 특산종으로 이른 봄에 노란색 꽃이 피고 열매는 약재로 사용되는 낙엽 활엽 관목이다.
  • 나카이 다케노신이 명명한 분류군 - 능금나무
    능금나무는 한국과 중국 원산의 낙엽 활엽 과수로, 사과와 혼용되었으나 별개 종으로 분류되었으며, 독특한 열매 모양과 신맛, 떫은맛을 가진 열매를 맺고 관상용, 약재, 식용으로 이용되어 왔으나, 서양 사과 도입 후 재배가 감소하여 유전자원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참당귀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참당귀
학명Angelica gigas
명명자Nakai, 1917

2. 식물학적 특징

참당귀는 지리강활(개당귀), 바디나물뿐만 아니라 묏미나리, 참나물 등과 구별되는 특징들도 있지만 한편 비슷하게 보이는 유사한 점들도 공존한다.

''참당귀''(학명: ''Angelica gigas'')는 키가 1~2미터에 달하며, 굵고 짙은 뿌리와 자주색의 굵은 줄기를 가진 튼튼한 식물이다. 잎은 깊게 갈라지며, 매우 크고 넓으며, 뾰족하다. 7월에서 8월 사이에 짙은 자줏빛 산형화서로 꽃을 피우며, 씨앗이 익으면 풍성하게 스스로 씨앗을 퍼뜨린다.

당귀의 꽃과 봉우리

2. 1. 형태

''참당귀''(학명: ''Angelica gigas'')는 1~2미터 높이까지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굵고 짙은 뿌리와 자주색의 굵은 줄기를 가지고 있으며, 잎은 깊게 갈라지고 매우 크고 넓으며 뾰족하다. 7월에서 8월 사이에 짙은 자줏빛 산형화서로 꽃을 피우며, 씨앗이 익으면 스스로 씨앗을 퍼뜨린다.

2. 2. 생장 주기

''참당귀''는 두해살이풀로, 7월에서 8월 사이에 짙은 자줏빛 산형화서로 꽃을 피우며, 씨앗이 익으면 풍성하게 스스로 씨앗을 퍼뜨린다.

2. 3. 번식

참당귀는 습한 토양과 햇볕 또는 반음지를 선호한다. 이 식물은 봄에 씨앗으로 번식하거나 자연적으로 씨가 뿌려진 묘목을 이식하는 것이 가장 좋다.[2]

3. 성분

한국응용생명화학회는 참당귀의 주요 성분으로 데쿠르신과 데쿠르시놀 안겔레이트를 주목했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데쿠르시놀 안겔레이트 함량은 뿌리, 잎, 꽃 순으로 높으며, 데쿠르신 함량은 뿌리, 꽃, 잎 순으로 높다.[7]

2007년 연구에서는 참당귀 뿌리에서 쿠마린 유도체인 데커신을 분리했는데, 이 물질은 ''생체 외''에서 항안드로겐 성질을 가질 수 있다.[3] 2013년에는 데커신, 데커시놀 안젤레이트(이성질체), JH714(에테르 형태), 에폭사이드 데커신(에폭사이드 형태)을 생체 외 및 생체 내에서 분석했다. CYP 동형 효소는 50% 이상 억제되었다. 에폭사이드를 제외한 모든 물질은 쥐에게 경구 투여 시 혈액뇌관문 투과성이 좋았다. 10mg/1kg 경구 및 정맥 투여 후 약동학 연구에서 8시간 후 모든 시험 화합물이 투여량의 1.5% 이상으로 위장관에 남아 있었고, 0.5% 미만이 소변으로 배설되었다.[4]

3. 1. 데쿠르신 및 데쿠르시놀 안겔레이트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은 한국응용생명화학회 제52권 제4호에서 참당귀의 주요 성분으로 데쿠르신과 데쿠르시놀 안겔레이트를 주목하고, 데쿠르시놀 안겔레이트의 함량은 뿌리, 잎, 꽃 순으로 높으며, 데쿠르신의 함량은 뿌리, 꽃, 잎 순으로 높다고 발표하였다.[7] 2007년 연구에서는 참당귀 뿌리에서 분리한 쿠마린 유도체인 데커신이 ''생체 외''에서 항안드로겐 성질을 가질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3]

3. 2. 기타 성분

2007년 연구에서 참당귀 뿌리에서 쿠마린 유도체인 데커신이라는 화학 물질을 분리했는데, 이 물질은 ''생체 외''에서 항안드로겐 성질을 가질 수 있다.[3] 2013년에는 주성분인 데커신, 데커시놀 안젤레이트(그 이성질체), JH714(에테르 형태) 및 에폭사이드 데커신(에폭사이드 형태)을 생체 외 및 생체 내에서 분석했다. CYP 동형 효소는 50% 이상 억제되었다. 에폭사이드를 제외한 모든 물질의 경구 투여 후 쥐에서 혈액뇌관문 투과성이 좋았다. 10mg/1kg의 경구 및 정맥 투여 후 약동학 연구에서 8시간 후 모든 시험 화합물이 투여량의 1.5% 이상으로 위장관에 남아 있었고 0.5% 미만이 소변으로 배설되었다.[4]

3. 3. 약동학 연구

2013년, 참당귀의 주성분인 데쿠르신, 데쿠르시놀 안젤레이트(그 이성질체), JH714(에테르 형태), 에폭사이드 데쿠르신(에폭사이드 형태)을 생체 외(in vitro) 및 생체 내(in vivo)에서 분석했다. 그 결과, CYP 동형 효소가 50% 이상 억제되었다. 에폭사이드를 제외한 모든 물질은 쥐에게 경구 투여했을 때 혈액뇌관문 투과성이 좋았다. 10mg/kg을 경구 및 정맥 투여한 후 약동학 연구를 진행했는데, 8시간 후 모든 시험 화합물이 투여량의 1.5% 이상으로 위장관에 남아 있었고, 0.5% 미만이 소변으로 배설되었다.[4]

4. 이름 및 역사

참당귀는 고려 때 단귀풀(旦貴草)로 불렸으며, 향명(鄕名)은 승암초(僧庵草)였다. 조선시대에는 승엄초불휘, 승검초불휘, 승검초 등으로 불렸다. 그 외 당귀의 별칭으로는 문귀(文歸), 건귀(乾歸)가 있다. 우리나라에서 전통적으로 쓰여온 것은 참당귀(토당귀, ''A. gigas NAKAI'')이다.[8] 그러나 흔히 당귀라고 하면 우리나라에서 재배도 되고 비교적 시장성도 높은 일당귀(일본당귀, ''A. cutiloba KITAKAWA'')를 가리킬 수 있으며, 중국에도 당귀(''A. sinensis'')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8]

5. 재배

참당귀는 습한 토양과 햇볕 또는 반음지를 선호한다. 이 식물은 봄에 씨앗으로 번식하거나 자연적으로 씨가 뿌려진 묘목을 이식하는 것이 가장 좋다.[2]

6. 용도

참당귀는 여러 용도로 쓰인다.

6. 1. 민간요법 (한국)

한국에서는 참당귀 뿌리가 월경통 완화 및 빈혈 치료를 위한 민간요법으로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왔다.[5]

참조

[1] 서적 English Names for Korean Native Plants http://www.forest.go[...]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12-24
[2] 웹사이트 Angelica gigas - Nakai. http://www.pfaf.org/[...] Plants for a Future 2011-10-04
[3] 간행물 Oriental herbs as a source of novel anti-androgen and prostate cancer chemopreventive agents
[4] 간행물 Biopharmaceutical characterization of decursin and their derivatives for drug discovery 2013-10
[5] 문서 당귀 (當歸) Angelica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9-24
[6] 참고 사이언스온-국제특허분류(IPC8판) A61K-036/237, DOI http://doi.org/10.8080/1020050085542 ,항암 활성을 갖는 지리강활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조성물 https://scienceon.ki[...]
[7] 참고 참당귀(Angelica gigas)에서 분리한 pyranocurmarin 성분의 ACAT 저해활성 및 참당귀 부위별 pyranocurmarin 성분의 함량 분석- ACAT (Acyl-CoA:cholesterol Acyltransferase) Inhibitory Effect and Quantification of Pyranocurmarin in Different Parts of Angelica gigas Nakai
[8] 참고 생명자원정보서비스-자원백과검색,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http://www.bris.go.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