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널 용량은 통신 시스템에서 오류 없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최대 전송률을 의미한다. 섀넌의 관계식을 통해 채널 용량을 계산할 수 있으며, 이는 신호 대 잡음비(SNR)와 대역폭에 따라 결정된다. 채널 용량은 디지털 통신뿐만 아니라 아날로그 통신에도 적용되며, MIMO, 협력 다이버시티 등의 통신 기술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또한, 채널 용량은 주파수 선택적 채널, 페이딩 채널 등 다양한 환경에서 연구되며, 5G/6G 기술 개발 및 정부 지원 정책과도 연관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전기통신 이론 - 신호 처리 신호 처리는 정보를 담은 신호를 조작하고 분석하는 기술로, 통신, 멀티미디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필터, 변환 등의 기술 요소와 미분 방정식, 선형 대수학 등의 수학적 개념이 사용된다.
전기통신 이론 - 대역폭 (신호 처리) 대역폭은 주파수 영역에서 함수의 퍼짐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통신 분야에서는 변조된 반송파 신호가 차지하는 주파수 범위, 다른 분야에서는 시스템 성능을 유지하거나 저하가 발생하는 주파수 범위를 의미하며, 다양한 측정 방식과 함께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인간공학 - 신뢰성 공학 신뢰성 공학은 제품이나 시스템이 정해진 기간 동안 지정된 조건에서 의도된 기능을 수행할 확률을 다루는 공학 분야이며, 확률, 의도된 기능, 기간, 조건을 고려하여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이고, 신뢰성 시험 및 다양한 기법을 활용하여 안전 공학 및 제조업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인간공학 - 스트레스 볼 스트레스 볼은 손으로 쥐었다 놓는 행위를 통해 스트레스 해소를 돕는 완구로, 다양한 재질과 형태로 제작되며 물리 치료에서는 재활 훈련 및 통증 완화에 사용된다.
정보 이론 - 양자 컴퓨터 양자 컴퓨터는 양자역학적 현상을 이용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컴퓨터로, 큐비트를 통해 0과 1을 동시에 표현하여 특정 연산에서 기존 컴퓨터보다 빠른 속도를 보이며 암호 해독, 신약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정보 이론 - 정보 엔트로피 정보 엔트로피는 확률 변수의 불확실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사건 발생 가능성이 낮을수록 정보량이 커진다는 원리에 기반하며, 데이터 압축, 생물다양성 측정, 암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채널 용량
채널 정보
정의
통신 채널을 통해 신뢰성 있게 전송할 수 있는 최대 정보 전송률
단위
초당 비트 (bit/s 또는 bps)
수학적 표현
공식
C = max p(x) I(X;Y)
설명
C: 채널 용량 (bits per channel use) p(x): 입력 분포 I(X;Y): 입력 X와 출력 Y 사이의 상호 정보량
잡음이 있는 채널
가우시안 잡음 채널
C = B log2(1 + S/N)
변수
C: 채널 용량 (bps) B: 대역폭 (Hz) S: 신호 전력 (W) N: 잡음 전력 (W) S/N: 신호 대 잡음비
임의의 시간 동안 전송되는 신호를 ''X'', 같은 시간에 통신로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Y''라 하고, 이들을 확률 변수로 나타낸다. 통신로의 노이즈 특성 등을 고려하여 ''X''가 주어졌을 때 ''Y''의 조건부 확률 분포 함수는 다음과 같다.
:
''X''와 ''Y''의 결합 확률은 통신로 와, 그 통신로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의 주변 분포 에 의해 결정된다.
:
이 조건에서, 통신로를 통해 전송할 수 있는 정보량을 가능한 크게 하기 위해 상호 정보량 를 사용한다. 상호 정보량의 상한이 '''채널 용량'''이며,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통신로 부호화 정리에 따르면, 임의의 ε > 0과 통신로 용량 ''C''보다 작은 임의의 속도 ''R''에 대해, 부호 길이를 충분히 크게 하면 블록 오류율을 ε 미만으로 하는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이 존재한다. 또한, 속도가 통신로 용량보다 큰 경우, 블록 길이가 무한대에 가까워짐에 따라 수신 측의 블록 오류율은 1에 가까워진다. 단, 통신로 용량에는 다른 정의도 있다.
2. 1. 기본 개념
통신은 매체를 통해 정보를 전달한다. 통신 시스템은 송신기, 채널, 수신기로 구성된다. 매체는 통신 채널의 특성을 결정한다. 무선은 공기 중을 전파로 통신하고, 유선은 전화선 등을 통해 전자계로 통신한다. 송신 신호를 매체에 통과시켜 수신해 보고,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채널 특성을 결정한다. 이렇게 구해진 채널 특성을 이용하면 샤논이 만든 관계식을 이용하여 채널 용량을 구할 수 있다. 샤논은 채널 용량은 수신한 신호의 신호대잡음비로 결정된다고 하였다. 이는 수신한 신호에 노이즈가 많이 낄수록 보낼 수 있는 용량이 줄어든다는 이론이다. 노이즈가 있다고 보내는 신호에 항상 오류가 수반되는 것이 아니라, 오류 없이 보낼 수 있는 최대 용량이 줄어든다는 의미이다. 오류가 없다는 것은 아니고 한 번에 보내는 데이터 패킷의 길이가 끝없이 길어지면 극한소의 오류만 남게 된다.
샤논의 채널 용량 관계식은 디지털 송신에 대한 것이고 아날로그 송신에 대한 것은 아니다. 송신의 디지털과 아날로그 방식은 매체의 디지털과 아날로그 구분과는 구별되어야 한다. 아날로그 매체도 디지털 전송이 가능하다. 아날로그 매체는 샘플링 및 부호화 과정을 통해 디지털로 전송되고 복호화 및 합성 과정을 통해 아날로그 매체로 복원된다. 아날로그 송신의 채널 용량은 최근에 연구 결과가 나오고 있다. 지금까지 경쟁적으로 발전되어 오던 통신 이론과 부호화 이론 등의 연구의 협력을 통해 아날로그 송신 기술에 대한 분석이 가능해진 것이다.
정리하면,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용량은 수신단에서 본 신호대잡음비에 따라 결정된다. 해당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
여기서 W는 대역폭이고 은 신호대잡음비이다. 와 은 각각 신호의 전력과 노이즈의 전력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