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널 (통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통신 채널은 정보를 전달하는 매체로, 유선과 무선으로 구분되며 통신 방식, 주파수 대역, 다중화 방식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유선 채널에는 구리선, 광섬유 케이블, 인쇄 회로 기판 등이 있으며, 무선 채널은 전파를 이용하며 이동 통신, 무선 랜, 위성 통신 등에 활용된다. 통신 채널의 특성을 수학적으로 모델링하여 통신 시스템을 설계하고 분석하며, 다양한 채널 성능 측정 지표를 통해 채널의 효율성을 평가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기통신 이론 - 신호 처리
신호 처리는 정보를 담은 신호를 조작하고 분석하는 기술로, 통신, 멀티미디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필터, 변환 등의 기술 요소와 미분 방정식, 선형 대수학 등의 수학적 개념이 사용된다. - 전기통신 이론 - 대역폭 (신호 처리)
대역폭은 주파수 영역에서 함수의 퍼짐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통신 분야에서는 변조된 반송파 신호가 차지하는 주파수 범위, 다른 분야에서는 시스템 성능을 유지하거나 저하가 발생하는 주파수 범위를 의미하며, 다양한 측정 방식과 함께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 정보 이론 - 양자 컴퓨터
양자 컴퓨터는 양자역학적 현상을 이용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컴퓨터로, 큐비트를 통해 0과 1을 동시에 표현하여 특정 연산에서 기존 컴퓨터보다 빠른 속도를 보이며 암호 해독, 신약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 정보 이론 - 정보 엔트로피
정보 엔트로피는 확률 변수의 불확실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사건 발생 가능성이 낮을수록 정보량이 커진다는 원리에 기반하며, 데이터 압축, 생물다양성 측정, 암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텔레비전 용어 - 페이퍼뷰
페이퍼뷰는 케이블 TV, 위성방송, IPTV 등에서 특정 콘텐츠 시청 횟수에 따라 요금을 부과하는 방식이며, 스포츠, 영화 등 다양한 프로그램에 적용되고, 1972년 케이블 TV 시스템 도입을 통해 현재와 같은 형태가 시작되었다. - 텔레비전 용어 - 방송법
방송법은 방송의 공익성 확보와 시장 경쟁 촉진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각국의 법률 및 규정으로, 주파수 할당, 콘텐츠 심의, 공정성 확보, 공영방송 운영 등 다양한 내용을 포함하며, 디지털 전환과 새로운 플랫폼의 등장으로 인한 새로운 과제에 직면하여 각국은 방송법 개정을 통해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적응하고 있다.
채널 (통신) | |
---|---|
통신 채널 | |
정의 | 통신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물리적 또는 논리적 연결 |
유형 | 물리적 채널 (예: 전선, 광섬유) 논리적 채널 (예: 무선 주파수 채널, 시분할 다중화 채널) |
역할 | 정보를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전송 |
기술적 측면 | |
대역폭 | 채널이 전송할 수 있는 주파수 범위 |
신호 대 잡음비 (SNR) | 신호 강도와 잡음 강도의 비율 |
채널 용량 | 채널을 통해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최대 데이터 전송률 |
디지털 통신 | |
채널 코딩 | 오류 감지 및 수정을 위한 추가 비트 추가 |
변조 |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
다중화 | 여러 채널을 하나의 물리적 채널로 결합 |
정보 이론 | |
채널 모델 | 채널의 수학적 표현 |
채널 용량 | 샤논의 채널 코딩 정리에서 정의 |
고려 사항 | |
채널 손실 | 신호 강도의 감소 |
채널 간섭 | 다른 신호로부터의 원치 않는 신호 |
채널 페이딩 | 시간 경과에 따른 신호 강도의 변화 |
채널 (전기 통신) | |
정의 | 통신 경로 또는 회로 |
관련 기술 | 통신 전기 통신 |
전송로 (伝送路) | |
정의 |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경로 |
예시 | 전선 광섬유 무선 채널 |
2. 통신 채널의 종류
통신 채널은 크게 유선 채널과 무선 채널로 나눌 수 있으며, 통신 방식, 사용 주파수 대역, 다중화 방식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분류된다.
== 유선 채널 ==
유선 채널은 구리선에 의해 전기 신호가 전달되면서 생기는 특성을 나타낸다. 유선 채널에서 는 일반적으로 시간에 따라 크게 변하지 않아 결정된 한 값으로 표현한다.[1]
전송 매체의 한 예로 광섬유 케이블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길이 및 경로 방향에 대해 형상 및 전기적 특성이 균일하다.
- 전선、케이블
- 평면형 전송로 : 인쇄회로기판에 구리 등의 금속박으로 배선 패턴을 형성한 것. 고주파 신호를 통과시킬 경우 스트립라인, 마이크로스트립라인, 슬롯라인, 코플래너 도파관 등이 사용된다.
- 도파관 : 관 내부를 공동으로 한 금속관이며, 마이크로파의 전송에 사용된다.
=== 구리선 ===
구리선은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전통적인 유선 채널이다.
=== 광섬유 케이블 ===
광섬유 케이블은 빛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며, 넓은 대역폭과 낮은 손실률을 제공한다.
=== 인쇄 회로 기판 ===
인쇄 회로 기판(PCB)은 전자기기 내부에서 부품 간 신호를 전달하는 통신 채널의 역할을 한다. 고주파 신호를 안정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스트립라인, 마이크로스트립라인 등의 기술이 적용된다.
== 무선 채널 ==
무선 채널은 공기 전파를 통해 신호가 전달되면서 생기는 특성을 나타낸다. 무선 채널에서 h는 일반적으로 시간에 따라 변하는 임의의 값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무선 채널에서 받은 신호의 신호대잡음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동한다.
이동 통신, 무선 랜, 위성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파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이 활용된다.
=== 전파 채널 ===
전파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은 이동 통신, 무선 랜, 위성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통신 채널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해상 VHF 무선은 양방향 FM 음성 통신을 위해 VHF 대역에서 약 88개의 채널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16채널은 156.800 MHz이다. 미국에서는 WX1-WX7의 7개 채널이 기상 방송에 할당된다.[1]
- 텔레비전 채널 예: 북미 TV 2채널(55.25 MHz), 13채널(211.25 MHz). 각 채널은 6 MHz의 대역폭을 가진다. 이는 아날로그 텔레비전 신호에 필요한 대역폭을 기반으로 했다. 2006년 이후 텔레비전 방송은 디지털 변조로 전환되어 영상 압축을 사용하여 훨씬 작은 대역폭으로 텔레비전 신호를 전송하므로, 이러한 각각의 ''물리적 채널''은 각각 DTV 채널을 전달하는 여러 개의 ''가상 채널''로 분할되었다.[1]
- 원래 Wi-Fi는 5 MHz 단위로 2412 MHz~2484 MHz의 ISM 대역에서 13개의 채널을 사용한다.[1]
- 아마추어 무선 중계기와 아마추어 무선 운영자 간의 무선 채널은 종종 600 kHz(0.6 MHz) 간격을 두고 두 개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146.94 MHz에서 송신하는 중계기는 일반적으로 146.34 MHz에서 송신하는 아마추어 무선 운영자의 신호를 수신한다.[1]
이러한 모든 통신 채널은 정보를 전달한다는 공통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정보는 신호를 통해 채널을 통해 전달된다.[1]
=== 자유 공간 ===
2. 1. 유선 채널
유선 채널은 구리선에 의해 전기 신호가 전달되면서 생기는 특성을 나타낸다. 유선 채널에서 는 일반적으로 시간에 따라 크게 변하지 않아 결정된 한 값으로 표현한다.[1]전송 매체의 한 예로 광섬유 케이블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길이 및 경로 방향에 대해 형상 및 전기적 특성이 균일하다.
- 전선、케이블
- 평면형 전송로 : 인쇄회로기판에 구리 등의 금속박으로 배선 패턴을 형성한 것. 고주파 신호를 통과시킬 경우 스트립라인, 마이크로스트립라인, 슬롯라인, 코플래너 도파관 등이 사용된다.
- 도파관 : 관 내부를 공동으로 한 금속관이며, 마이크로파의 전송에 사용된다.
; 구리선
구리선은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전통적인 유선 채널이다.
; 광섬유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은 빛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며, 넓은 대역폭과 낮은 손실률을 제공한다.
; 인쇄 회로 기판
인쇄 회로 기판(PCB)은 전자기기 내부에서 부품 간 신호를 전달하는 통신 채널의 역할을 한다. 고주파 신호를 안정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스트립라인, 마이크로스트립라인 등의 기술이 적용된다.
2. 1. 1. 구리선
구리선은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전통적인 유선 채널이다.2. 1. 2. 광섬유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은 빛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며, 넓은 대역폭과 낮은 손실률을 제공한다.2. 1. 3. 인쇄 회로 기판
인쇄 회로 기판(PCB)은 전자기기 내부에서 부품 간 신호를 전달하는 통신 채널의 역할을 한다. 고주파 신호를 안정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스트립라인, 마이크로스트립라인 등의 기술이 적용된다.2. 2. 무선 채널
무선 채널은 공기 전파를 통해 신호가 전달되면서 생기는 특성을 나타낸다. 무선 채널에서 h는 일반적으로 시간에 따라 변하는 임의의 값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무선 채널에서 받은 신호의 신호대잡음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동한다.이동 통신, 무선 랜, 위성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파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이 활용된다.
통신 채널의 예는 다음과 같다:
- 해상 VHF 무선은 양방향 FM 음성 통신을 위해 VHF 대역에서 약 88개의 채널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16채널은 156.800 MHz이다. 미국에서는 WX1-WX7의 7개 채널이 기상 방송에 할당된다.[1]
- 텔레비전 채널 예: 북미 TV 2채널(55.25 MHz), 13채널(211.25 MHz). 각 채널은 6 MHz의 대역폭을 가진다. 이는 아날로그 텔레비전 신호에 필요한 대역폭을 기반으로 했다. 2006년 이후 텔레비전 방송은 디지털 변조로 전환되어 영상 압축을 사용하여 훨씬 작은 대역폭으로 텔레비전 신호를 전송하므로, 이러한 각각의 ''물리적 채널''은 각각 DTV 채널을 전달하는 여러 개의 ''가상 채널''로 분할되었다.[1]
- 원래 Wi-Fi는 5 MHz 단위로 2412 MHz~2484 MHz의 ISM 대역에서 13개의 채널을 사용한다.[1]
- 아마추어 무선 중계기와 아마추어 무선 운영자 간의 무선 채널은 종종 600 kHz(0.6 MHz) 간격을 두고 두 개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146.94 MHz에서 송신하는 중계기는 일반적으로 146.34 MHz에서 송신하는 아마추어 무선 운영자의 신호를 수신한다.[1]
이러한 모든 통신 채널은 정보를 전달한다는 공통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정보는 신호를 통해 채널을 통해 전달된다.[1]
2. 2. 1. 전파 채널
전파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은 이동 통신, 무선 랜, 위성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통신 채널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해상 VHF 무선은 양방향 FM 음성 통신을 위해 VHF 대역에서 약 88개의 채널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16채널은 156.800 MHz이다. 미국에서는 WX1-WX7의 7개 채널이 기상 방송에 할당된다.[1]
- 텔레비전 채널 예: 북미 TV 2채널(55.25 MHz), 13채널(211.25 MHz). 각 채널은 6 MHz의 대역폭을 가진다. 이는 아날로그 텔레비전 신호에 필요한 대역폭을 기반으로 했다. 2006년 이후 텔레비전 방송은 디지털 변조로 전환되어 영상 압축을 사용하여 훨씬 작은 대역폭으로 텔레비전 신호를 전송하므로, 이러한 각각의 ''물리적 채널''은 각각 DTV 채널을 전달하는 여러 개의 ''가상 채널''로 분할되었다.[1]
- 원래 Wi-Fi는 5 MHz 단위로 2412 MHz~2484 MHz의 ISM 대역에서 13개의 채널을 사용한다.[1]
- 아마추어 무선 중계기와 아마추어 무선 운영자 간의 무선 채널은 종종 600 kHz(0.6 MHz) 간격을 두고 두 개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146.94 MHz에서 송신하는 중계기는 일반적으로 146.34 MHz에서 송신하는 아마추어 무선 운영자의 신호를 수신한다.[1]
이러한 모든 통신 채널은 정보를 전달한다는 공통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정보는 신호를 통해 채널을 통해 전달된다.[1]
2. 2. 2. 자유 공간
위 소스에는 '자유 공간'에 대한 내용이 전혀 없으므로, 요약에 해당하는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빈 텍스트를 출력합니다.3. 통신 채널 모델
통신 채널의 특성을 수학적, 통계적으로 표현하여 통신 시스템 설계 및 분석에 활용한다.
== 수학적 모델 ==
채널(통신)을 수학적으로 모델링하면 입력(전송 신호)이 출력(수신 신호)에 어떻게 매핑되는지 설명할 수 있다. 통신 분야에는 채널 모델의 종류와 용도가 매우 다양하며, 특히 통신 시스템의 각 계층을 설명하기 위해 별도의 모델이 공식화된다.
간단한 수학적 채널 모델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여기서 는 송신 신호, 는 채널, 은 가산 잡음, 는 수신 신호이다.
이 경우 채널의 특성을 나타내는 신호 대 잡음비(SNR)는 다음과 같다.
:
여기서 는 송신 신호인 의 평균 크기이며 는 가산 잡음인 의 스펙트럴 덴시티이다. 이 채널의 최대 용량 (capacity)를 구해보면 다음과 같다.
:
4. 다중 단말 채널
여러 송신기와 수신기가 통신 채널을 공유하는 환경을 위한 모델이다. 네트워크에서, 점대점 통신과는 달리, 통신 매체는 여러 통신 끝점(단말기) 간에 공유될 수 있다. 통신 유형에 따라 다른 단말기는 서로 협력하거나 간섭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복잡한 다단말 네트워크는 단순화된 다단말 채널의 조합으로 간주될 수 있다.
- 점대다점 채널: 방송 매체로도 알려져 있다. 하나의 송신기가 여러 수신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다운링크는 점대다점 채널로 간주될 수 있지만, 전화 통화의 통신 서비스는 유니캐스트이다. 방향성 링크를 제외한 모든 무선 채널은 방송 매체로 간주될 수 있지만, 항상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 다중 접속 채널: 여러 송신기는 공유 물리적 매체를 통해 하나 이상의 대상 노드로 여러 개의 서로 다른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는 채널 접속 방식이 필요하며, 매체 접근 제어(MAC) 프로토콜과 다중화 방식이 결합되어 있다. 이 채널 모델은 셀룰러 네트워크의 업링크에 적용된다.
- 릴레이 채널: 하나 이상의 중간 노드(중계기)는 송신기와 협력하여 메시지를 최종 대상 노드로 전송한다.
- 간섭 채널: 두 개의 다른 송신기는 서로 다른 대상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따라서 서로 다른 송신기는 서로의 신호에 상호 간섭 또는 공채널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셀룰러 무선 통신에서 셀 간 간섭은 간섭 채널의 예이다. 3G와 같은 확산 스펙트럼 시스템에서 직교하지 않는 코드를 사용하는 경우 셀 내부에서도 간섭이 발생한다.
4. 1. 점대다점 채널
점대다점 채널은 점대다점 통신에서 사용되는 방식으로, 방송 매체라고도 불린다. 하나의 송신기가 여러 수신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다운링크는 점대다점 채널로 간주될 수 있지만, 전화 통화의 통신 서비스는 유니캐스트이다. 방향성 링크를 제외한 모든 무선 채널은 방송 매체로 간주될 수 있지만, 항상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4. 2. 다중 접속 채널
네트워크에서, 점대점 통신과는 달리, 통신 매체는 여러 통신 끝점(단말기) 간에 공유될 수 있다. 통신 유형에 따라 다른 단말기는 서로 협력하거나 간섭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복잡한 다단말 네트워크는 단순화된 다단말 채널의 조합으로 간주될 수 있다.다중 접속 채널에서 여러 송신기는 공유 물리적 매체를 통해 하나 이상의 대상 노드로 여러 개의 서로 다른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는 채널 접속 방식이 필요하며, 매체 접근 제어(MAC) 프로토콜과 다중화 방식이 결합되어 있다. 이 채널 모델은 셀룰러 네트워크의 업링크에 적용된다.
4. 3. 릴레이 채널
릴레이 채널에서 하나 이상의 중간 노드(중계기)는 송신기와 협력하여 메시지를 최종 대상 노드로 전송한다.4. 4. 간섭 채널
점대점 통신과는 달리, 네트워크에서 통신 매체는 여러 통신 끝점(단말기) 간에 공유될 수 있다. 통신 유형에 따라 다른 단말기는 서로 협력하거나 간섭할 수 있다. 간섭 채널에서 두 개의 다른 송신기는 서로 다른 대상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따라서 서로 다른 송신기는 서로의 신호에 상호 간섭 또는 공채널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셀룰러 무선 통신에서 셀 간 간섭은 간섭 채널의 예이다. 3G와 같은 확산 스펙트럼 시스템에서 직교하지 않는 코드를 사용하는 경우 셀 내부에서도 간섭이 발생한다.5. 채널 성능 측정 지표
채널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지표들이 사용된다.
- 주파수 대역폭 (Hz)
- 심볼 레이트 (보드(baud), 심볼/초)
- 비트/초 단위의 디지털 대역폭 측정: 총 비트 레이트(신호 레이트), 순 비트 레이트(정보 레이트), 채널 용량, 최대 처리량
- 채널 이용률
- 스펙트럼 효율
- 신호대잡음비 (데시벨(dB) 단위): 신호대간섭비, Eb/N0
- 비트 오류율(BER), 패킷 오류율(PER)
- 지연 (초 단위): 전파 시간, 전송 시간, 왕복 지연 시간, 종단 간 지연 시간
- 패킷 지연 변동
- 아이 패턴
5. 1. 주파수 대역폭
채널이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의 범위는 헤르츠(Hz) 단위로 측정되는 주파수 대역폭이다.관련 항목 |
---|
심볼 레이트 (보드(baud), 심볼/초) |
총 비트 레이트(신호 레이트), 순 비트 레이트(정보 레이트), 채널 용량, 최대 처리량 |
채널 이용률 |
스펙트럼 효율 |
신호대잡음비 (데시벨(dB) 단위): 신호대간섭비, Eb/N0 |
비트 오류율(BER), 패킷 오류율(PER) |
지연 (초 단위): 전파 시간, 전송 시간, 왕복 지연 시간, 종단 간 지연 시간 |
패킷 지연 변동 |
아이 패턴 |
5. 2. 심볼 레이트
심볼 레이트는 초당 전송되는 심볼의 수로, 보드(baud) 단위로 측정된다. 심볼 레이트는 채널 용량 및 성능 측정 지표 중 하나이다.분류:통신
5. 3. 디지털 대역폭
디지털 대역폭은 초당 전송되는 비트 수(bps)로 측정된다. 여기에는 총 비트 레이트(신호 레이트), 순 비트 레이트(정보 레이트), 채널 용량 등이 포함된다.5. 4. 채널 이용률
채널 이용률은 채널 용량 대비 실제 사용되는 데이터 전송률을 의미한다.5. 5. 스펙트럼 효율
스펙트럼 효율은 단위 주파수 대역폭 당 전송되는 데이터 비트 수 (bps/Hz)를 의미한다.5. 6. 신호 대 잡음비 (SNR)
신호대잡음비는 신호 전력과 잡음 전력의 비율을 나타내며, 데시벨(dB) 단위로 측정된다. 이 비율은 신호대간섭비로도 표현될 수 있다.5. 7. 비트 오류율 (BER) / 패킷 오류율 (PER)
비트 오류율(BER)은 전송된 비트 중 오류가 발생한 비트의 비율이다. 패킷 오류율(PER)은 전송된 패킷 중 오류가 발생한 패킷의 비율이다.5. 8. 지연
데이터가 송신기에서 수신기까지 전달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지연이라고 하며, 초 단위로 측정한다. 지연에는 전파 시간, 전송 시간, 왕복 지연 시간, 종단 간 지연 시간 등이 있다.6. 한국의 통신 채널 관련 현황 및 정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