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천리안 (포털 사이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리안은 1985년 10월 시범 서비스를 시작하여 1986년 9월 본격적으로 개시된 대한민국의 PC통신 서비스이다. 해외 이메일 서비스와 같은 독점적인 서비스를 제공했으며, 1991년에는 국내 최초로 컴퓨터 통신 기반 온라인 학습 서비스인 'A플러스 교육정보'를 제공하며 PC통신 시대를 열었다. 1994년 인터넷 연결 서비스를 시작하고 월간지를 창간하는 등 서비스를 확장했으나, 1999년 이후 초고속 인터넷의 보급과 경쟁 심화로 이용자가 감소했다. 2007년 텔넷 서비스를 중단하고 인터넷 서비스로 전환했으며, 2024년 10월 31일 서비스를 종료했다.

2. 역사

1985년 10월, '생활정보 DB'를 구축하고 시범 서비스를 시작하다 그 다음 해인 1986년 9월에 본격적으로 천리안 서비스를 개시한다. PC통신에 접속해서 해외로 메일을 작성해서 발송하고 메일을 읽게 되는 상용 이메일 서비스를 PC통신 업계에서는 유일하게 제공하는데, 이메일 주소 1개의 년간 사용료가 1992년 당시에는 2백만원으로 책정되었다. 이메일 편지함은 천리안 편지함과는 완전히 분리되어 있었으며, PC통신 천리안 메인 메뉴들과는 완전히 구분되어 있었던 해당 메뉴로 접속을 하게 되면 서버 프롬프트가 새롭게 나타나며 텍스트 기반 이메일 응용프로그램을 직접 실행시켜야 해서 UNIX 텍스트 콘솔 같았다.

1991년에는 국내 최초로 컴퓨터 통신을 기반으로 중앙교육진흥연구소에서 컴퓨터에서 가정학습이 가능하도록 학습지 기업인 아이템풀(현재의 아이템풀에듀)과 함께 새롭게 재작한 A플러스 교육정보를 제공하기 시작한다. PC통신으로 DOS 실행 프로그램 형태의 교재를 다운로드 받아서 학습자가 오프라인으로 학습하는 형태였다. 학습지를 기반으로 제작되어서 객관식 4지선다 문제 풀이가 대부분이었지만, 본고사를 대학 입시로 치르는 시절이었으나 수학능력시험 과학탐구 영역 문제지에서 자주 접하게 되는 비커, 알코올램프 등에 실험 기구들이 VGA 컬러 모니터에 나타나서 물이 끓거나 온도계의 온도가 올라가고 액체의 색상이 바뀌는 실험 장면을 누르면 움직이기 시작하는 간단한 애니메이션으로 간접 체험 시키는 풍부한 학습 경험도 제공하였다. 온라인을 활용한 교재이다 보니 추가로 제작한 교제가 전자 게시판을 통해서 보완 즉시 서비스 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었다.

1994년 1월, 천리안 가족지 《월간 천리안》이 창간되고, 같은 해 10월에는 인터넷 연결 서비스를 시작했으나 서비스 초기에는 WWW는 지원하지 않았다. 1995년 4월부터 WWW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1996년 11월에는 PPP 프로토콜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또한, 90년대 초반까지는 통신 요금을 사용 시간에 따라 부과하는 종량제만 도입하였으나, 19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월 일정 요금을 내면 무제한으로 접속할 수 있는 정액제를 새로 도입하였다.

한때 2000년 8월 유료 가입자 350만 명을 돌파하기도 했으나, 1999년부터 초고속 인터넷의 엄청나게 빠른 보급과 2003년 7월부터 CHOL이 출범하면서 천리안의 이용자는 2000년보다 훨씬 줄어들었다. 이후 텔넷을 통해 서비스의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가, 2007년 12월 27일 텔넷 서비스를 중단하여 이후 모든 서비스는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게 된다.

또한, 천리안의 이메일 주소는 @chollian.net이었으나 사용자들이 많은 혼란을 겪게 되자 2004년부터 @chol.com으로 바꾸었다.

이후에는 포털 사이트로 전환하여 운영되었으나 2024년 10월 31일에 영업을 종료하게 되었다.

2. 1. 서비스 개시와 초기 발전 (1985년 ~ 1990년대 초)

1985년 10월, '생활정보 DB'를 구축하고 시범 서비스를 시작하였고, 1986년 9월에 천리안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개시하였다.[1] PC통신 업계에서는 유일하게 해외 이메일 서비스를 제공하였는데, 1992년 당시 이메일 주소 1개의 연간 사용료는 200만원으로 책정되었다.[1] 이메일 편지함은 천리안 편지함과 분리되어 있었으며, 별도의 메뉴를 통해 UNIX 텍스트 콘솔과 유사한 환경에서 텍스트 기반 이메일 프로그램을 직접 실행시켜야 했다.[1]

1991년에는 중앙교육진흥연구소와 협력하여 국내 최초로 컴퓨터 통신 기반 온라인 학습 서비스인 'A플러스 교육정보'를 제공하기 시작하였다.[1] 이 서비스는 학습지 기업인 아이템풀(현재의 아이템풀에듀)과 함께 제작하였으며, PC통신을 통해 DOS 실행 프로그램 형태의 교재를 다운로드 받아 오프라인에서 학습하는 방식이었다.[1] 객관식 4지선다 문제 풀이가 대부분이었지만, VGA 컬러 모니터를 통해 비커, 알코올램프 등 실험 기구를 활용한 간단한 애니메이션을 제공하여 학습 효과를 높였다.[1]

2. 2. 인터넷 연결과 서비스 확장 (1990년대 중반 ~ 2000년대 초)

1994년 1월, 천리안의 소식을 전하는 월간지인 《월간 천리안》을 창간하였다.[1] 같은 해 10월에는 인터넷 연결 서비스를 시작하였는데, 초기에는 월드 와이드 웹(WWW)은 지원하지 않았다.[1] 1995년 4월부터 월드 와이드 웹(WWW) 서비스를 시작하였고,[1] 1996년 11월에는 점대점 프로토콜(PPP)을 지원하기 시작했다.[1]

1990년대 초반까지는 통신 요금을 사용 시간에 따라 부과하는 종량제만 도입하였으나, 19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월 일정 요금을 내면 무제한으로 접속할 수 있는 정액제를 새로 도입하였다.

2000년 8월, 유료 가입자가 350만 명을 돌파하기도 했다.[2]

2. 3. 이용자 감소와 서비스 전환 (2000년대 초 ~ 2024년)

1999년부터 초고속 인터넷의 보급이 빨라지고, 2003년 7월 CHOL 출범으로 경쟁이 심화되면서 천리안의 이용자가 감소하기 시작하였다.[2] 2000년 8월 유료 가입자 350만 명을 돌파하기도 했으나, 초고속 인터넷 확산의 영향으로 이용자 수가 감소하였다. 텔넷을 통해 서비스의 명맥을 유지하다가, 2007년 12월 27일 텔넷 서비스를 중단하고[2] 이후 모든 서비스는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게 되었다. 2004년부터는 이용자들의 혼란을 줄이기 위해 이메일 주소를 @chollian.net에서 @chol.com으로 변경하였다. 이후 포털 사이트로 전환하여 운영되었으나, 2024년 10월 31일 서비스를 종료하였다.

3. 기술적 특징

3. 1. 초기 기술

3. 2. 인터넷 기술 도입

4. 사회문화적 영향

4. 1. PC통신 시대의 개막

4. 2. 온라인 교육의 가능성 제시

4. 3. 인터넷 대중화의 기여

참조

[1] 서적 렛츠고 인터네트 도서출판 혜지원
[2] 웹사이트 천리안 홈페이지의 공지사항 http://plazabbs.cho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