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수하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수하천은 모래와 고령토를 주 퇴적물로 운반하며, 아마존 강 유역을 비롯한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아시아, 호주 등 다양한 지역에서 발견되는 하천 유형이다. 브라질 고원과 가이아나 순상지에서 발원하며, 흑수와 유사하게 낮은 전기 전도도와 총 용존 고형물 농도, 맑은 색상을 특징으로 한다. pH는 일반적으로 4.5에서 8 사이의 중성 또는 약산성을 띠며, 흑수와 유사하게 흑수하천과 백수하천의 중간 정도의 영양 수준을 보이기도 한다. 청수하천은 특유의 생태계를 형성하며, 멸종 위기에 처한 물고기를 포함하여 다양한 생물이 서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육수학 - 심해
심해는 수심 200m 이상의 깊은 바다로, 태양광이 희박하고 높은 수압, 낮은 수온, 부족한 영양분 등 극한 환경을 가지며, 독특한 심해 생물과 생태계가 존재하지만 최근 인간 활동으로 위협받고 있고, 탐사를 통해 새로운 종과 자원이 발견되고 있다. - 육수학 - 물웅덩이
물웅덩이는 빗물 등으로 인해 지표면에 일시적으로 고인 물로, 자연적으로 사라지기도 하지만 도로 등 인공적인 요인으로 발생하기도 하며, 야생동물에게 수분 공급원이 되거나 질병 매개체가 되기도 하고, 교통사고나 아이들의 놀이 공간이 되기도 한다. - 수생생태학 - 삼각주
삼각주는 강이 운반한 침전물이 하구나 하천 끝에서 쌓여 형성되는 지형으로, 그리스 문자 델타(Δ)와 유사한 형태를 띠며, 하천, 파랑, 조석 등의 요인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고, 비옥한 토지와 풍부한 수자원, 독특한 생태계로 인간과 생물에게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수생생태학 - 부영양화
부영양화는 과도한 영양소 공급으로 수질이 악화되어 식물 성장이 과해지는 현상으로, 인간 활동으로 인해 심화되었으며 조류 대발생, 산소 고갈, 생물 다양성 감소 등을 초래하므로 영양염류 유입 감소와 농업 및 하수 관리 개선 등 다각적인 방지 노력이 필요하다.
청수하천 | |
---|---|
특징 | |
정의 | 퇴적물 농도가 낮은 하천 |
특징 | 바닥에 침전된 퇴적물이 적음 투명한 물 낮은 영양분 함량 산성 |
분포 | |
예시 | 네그루 강 타파조스 강 싱구 강 리우 브랑쿠 마데이라 강 상류 |
설명 | 남아메리카 열대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음 |
생태 | |
어류 | 제한된 어종만이 서식 가능 |
담바키 | 씨앗과 과일을 먹는 어종, 씨앗을 분산시키는 역할 |
2. 지리적 분포
청수하천은 주로 남아메리카 대륙에 분포하며, 특히 아마존 강 유역 동부의 지류들에서 흔히 발견된다.[4][5][6] 이 강들은 대부분 브라질 고원이나 가이아나 순상지에서 발원한다.[4][5][6][11][13] 남아메리카 외 지역에서는 이 분류가 널리 쓰이지는 않지만, 아프리카의 잠베지 강 상류, 아시아의 일부 고지대 하천, 호주 북부 등에서도 청수하천의 특징을 보이는 강들을 찾아볼 수 있다.[7]
2. 1. 남아메리카

주요 청수하천은 남아메리카에 있으며 브라질 고원 또는 가이아나 순상지에서 발원한다. 브라질 고원에서 발원하는 청수하천의 예로는 타파조스 강, 싱구 강, 토칸틴스 강, 마데이라 강의 여러 대규모 우안 지류(특히 과포레 강, 지파라나 강 및 아리푸아나 강) 및 파라과이 강(비록 백수하천 지류의 영향을 많이 받지만) 등이 있다.[4][5][6][11] 이 중 타파조스 강과 싱구 강만으로도 아마존 강 유역 전체 수량의 각각 6%와 5%를 차지할 정도로 규모가 크다.[12]
가이아나 순상지에서 발원하는 청수하천의 예로는 오리노코 강 상류(흑수하천인 아타바포 강과 백수하천인 이니리다 강–과비아레 강 유입부 상류), 벤투아리 강, 냐문다 강, 트롬베타스 강, 파루 강, 아라과리 강 및 수리남 강이 있다.[4][5][6][13]
2. 2. 기타 지역
남아메리카 밖에서는 청수하천이라는 분류를 일반적으로 사용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청수하천의 특징을 가진 강들은 다른 지역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잠베지 강 상류, 남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주요 강 유역의 특정 고지대 하천, 그리고 호주 북부의 많은 하천들이 이에 해당한다.[7]3. 화학적 특성과 퇴적물
청수하천은 낮은 전기 전도도와 비교적 낮은 총 용존 고형물 농도를 특징으로 하며, 이로 인해 물이 맑게 보인다.[2] 주요 운반 퇴적물은 모래와 고령토이다.[8] 이는 흑수와 유사한 점이지만, 높은 수준의 일라이트와 몬모릴로나이트를 함께 운반하여 주변 지역의 토양 비옥도를 높이는 백수와는 구별되는 특징이다.[8]
전반적으로 청수하천은 영양 수준이 낮지만, 일부 강은 흑수와 백수의 중간 정도 수준을 보이기도 한다.[8] 물의 pH는 일반적으로 중성이거나 약한 산성을 띠며,[4][14] 그 범위는 4.5에서 8 사이로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8][2] 이름처럼 물의 투명도가 높아 보통 1.5m에서 4m 사이의 가시성을 가진다.[15]
3. 1. 화학적 특성
청수하천은 낮은 전기 전도도와 비교적 낮은 총 용존 고형물 농도를 특징으로 한다.[2] 이는 주로 사질 토양과 결정암이 있는 지역을 수원으로 삼아 흐르며, 이들 지역은 대부분 심하게 풍화된 고대 선캄브리아기 지층으로 이루어져 있어 물에 녹아드는 퇴적물의 양이 적기 때문이다.[2][4] 청수하천이 주로 운반하는 퇴적물은 모래와 고령토이다.[8]청수하천은 흑수와 유사하게 영양 수준이 극도로 낮을 수 있지만, 타파조스강, 싱구강, 토칸틴스강과 같은 일부 강은 흑수와 백수의 중간 정도의 영양 수준을 보이기도 한다.[8] 정확한 화학적 조성은 강에 따라 다양하지만,[8] 전반적으로 빗물과 매우 유사한 특성을 보인다. 즉, 주요 영양소가 부족하고 상대적으로 나트륨(Na)이 우세한 화학적 특징을 가진다.[14]
물의 pH는 일반적으로 중성이거나 약한 산성을 띠며,[4][14] 그 범위는 4.5[8]에서 8[2] 사이로 다양하다. 아마존 분지 내에서 제3기 연령의 퇴적물이 있는 지역을 흐르는 청수하천은 일반적으로 매우 산성이며, 석탄기 연령의 퇴적물이 있는 지역을 흐르는 강은 중성에 가깝거나 약한 염기성을 띠는 경향이 있다.[8]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맑은 물 강은 투명도가 높아 일반적으로 1.5m에서 4m 사이의 가시성을 가진다.[15] 다만 계절이나 폭우에 따라 강 내에서도 투명도 변동이 클 수 있다.[8]
아래 표는 대표적인 청수하천인 타파조스강의 평균 물리화학적 특성을 백수(주루아강) 및 흑수(테페강)와 비교하여 보여준다.
주루아강 (전형적인 백수) | 타파조스강 (전형적인 맑은 물) | 테페강 (전형적인 흑수) | |
---|---|---|---|
pH | 7.27 | 6.56 | 5.03 |
전기 전도도 (μS/cm) | 191.14 | 14.33 | 7.36 |
총 부유 물질 (mg/L) | 51.42 | 10.56 | 7.90 |
Ca (mg/L) | 32.55 | 0.52 | 0.71 |
Mg (mg/L) | 4.42 | 0.26 | 0.22 |
Na (mg/L) | 10.19 | 1.50 | 0.40 |
K (mg/L) | 1.98 | 0.93 | 1.41 |
총 P (mg/L) | 0.080 | 0.010 | 0.033 |
CO3 (mg/L) | 106.14 | 8.80 | 6.86 |
NO3 (mg/L) | 0.031 | 0.040 | 0.014 |
NH4 (mg/L) | 0.062 | 0.19 | 0.13 |
총 N (mg/L) | 0.39 | 0.35 | 0.24 |
SO4 (mg/L) | 2.56 | 0.30 | 4.20 |
색상 (mg/Pt/L) | 41.61 | 4.02 | 54.90 |
Si (mg/L) | 5.78 | 5.25 | 0.33 |
Cl (mg/L) | 4.75 | 0.53 | 0.85 |
3. 2. 퇴적물
청수하천은 주로 선캄브리아기의 오래되고 심하게 풍화된 결정암 지대를 수원으로 하여 흐르기 때문에, 물에 녹아드는 퇴적물의 양이 비교적 적다.[2][4] 이로 인해 총 용존 고형물 농도와 전기 전도도가 낮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2]청수하천이 운반하는 주요 퇴적물은 모래와 고령토이다.[8] 이는 흑수와 유사한 점이지만, 백수와는 다른 특징을 보인다. 백수는 높은 수준의 일라이트와 몬모릴로나이트를 함께 운반하여 주변 지역의 토양 비옥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는 반면, 청수하천은 이러한 성분의 함량이 높지 않아 토양 비옥도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다.[8]
따라서 청수하천은 흑수와 마찬가지로 영양 수준이 매우 낮을 수 있다. 다만, 타파조스강, 싱구강, 토칸틴스강과 같이 일부 청수하천은 흑수와 백수의 중간 정도 영양 수준을 가지기도 한다.[8] 전형적인 청수하천인 타파조스강의 경우, 평균 총 부유 물질(퇴적물 농도와 관련됨)은 10.56 mg/L로, 백수인 주루아강(51.42 mg/L)보다는 낮고 흑수인 테페강(7.90 mg/L)과 비슷한 수준을 보인다.[9]
3. 3. 수질

남아메리카의 청수하천은 일반적으로 사질 토양과 결정암 지역에서 발원한다. 이 지역은 주로 고대의 선캄브리아기 지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심하게 풍화되어 물에 용해되는 퇴적물의 양이 비교적 적다.[2][4] 이로 인해 청수하천은 낮은 전기 전도도와 상대적으로 낮은 총 용존 고형물 농도를 보이며, 특징적인 맑은 색을 띤다.[2]
청수하천에서 운반되는 주요 퇴적물은 모래와 고령토이다. 이는 흑수하천과 유사하지만, 높은 수준의 일라이트와 몬모릴로나이트를 함께 운반하여 주변 지역의 토양 비옥도를 높이는 백수하천과는 다르다.[8]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수하천은 흑수하천처럼 영양 수준이 극도로 낮을 수 있다. 하지만 타파조스강, 싱구강, 토칸틴스강과 같은 일부 강은 흑수와 백수의 중간 정도 영양 수준을 가진다.[8] 청수하천의 정확한 화학적 특성은 다양하지만,[8] 대체로 빗물과 매우 유사하며, 주요 영양소가 적고 나트륨이 상대적으로 우세한 화학적 특징을 보인다.[14]
물의 pH는 일반적으로 중성이거나 약한 산성을 띠지만,[4][14] 4.5[8]에서 8[2]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아마존 분지에서 제3기 퇴적물 지역을 흐르는 청수하천은 일반적으로 매우 산성이며, 석탄기 퇴적물 지역을 흐르는 강은 중성에 가깝거나 약한 염기성을 띤다.[8]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청수하천은 투명도가 높으며, 일반적으로 1.5m에서 4m의 가시성을 가진다.[15] 그러나 계절이나 폭우에 따라 같은 강 내에서도 수질에 큰 변동이 있을 수 있다.[8]
항목 | 주루아강 (전형적인 백수) | 타파조스강 (전형적인 청수) | 테페강 (전형적인 흑수) |
---|---|---|---|
pH | 7.27 | 6.56 | 5.03 |
전기 전도도 (μS/cm) | 191.14 | 14.33 | 7.36 |
총 부유 물질 (mg/L) | 51.42 | 10.56 | 7.90 |
Ca (mg/L) | 32.55 | 0.52 | 0.71 |
Mg (mg/L) | 4.42 | 0.26 | 0.22 |
Na (mg/L) | 10.19 | 1.50 | 0.40 |
K (mg/L) | 1.98 | 0.93 | 1.41 |
총 P (mg/L) | 0.080 | 0.010 | 0.033 |
CO3 (mg/L) | 106.14 | 8.80 | 6.86 |
NO3 (mg/L) | 0.031 | 0.040 | 0.014 |
NH4 (mg/L) | 0.062 | 0.19 | 0.13 |
총 N (mg/L) | 0.39 | 0.35 | 0.24 |
SO4 (mg/L) | 2.56 | 0.30 | 4.20 |
색도 (mg/Pt/L) | 41.61 | 4.02 | 54.90 |
Si (mg/L) | 5.78 | 5.25 | 0.33 |
Cl (mg/L) | 4.75 | 0.53 | 0.85 |
4. 생태
청수하천은 흑수하천, 백수하천과 구별되는 맑은 물과 독특한 화학적 특성을 지녀, 그에 맞는 고유한 동식물군이 서식하는 생태계를 이룬다.[2] 서로 다른 유형의 강 사이에 서식지가 겹치는 종들도 있지만, 청수하천과 같은 특정 환경에서만 발견되는 종들도 많으며, 이는 특히 아마존 유역과 같이 지리적으로 격리된 환경에서 이소성 종분화를 촉진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2][18][19][20]
급류가 발달한 지역은 물살에 적응한 유수성 어류나 특정 물 속 식물(예: Podostemaceae)의 중요한 서식지가 되며,[1][17][8][22] 수생 거대 식물의 분포는 빛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8] 그러나 청수하천은 백수하천에 비해 생산성이 상대적으로 낮으며,[4] 댐 건설과 같은 개발 사업으로 인해 서식지가 위협받아 멸종 위기 종으로 분류되는 생물들도 존재한다.[1][2][16][17]
4. 1. 생물 다양성

흑수하천, 백수하천, 청수하천은 화학적 특성과 물의 투명도에서 차이를 보이며, 이는 각 하천에 서식하는 동식물군에도 뚜렷한 차이를 만들어낸다.[2] 서로 다른 유형의 하천 사이에 서식하는 동물군이 일부 겹치기도 하지만, 특정 유형의 하천에서만 발견되는 종들도 많다.[18][19][20] 특히 아마존 유역에서는 많은 흑수하천 및 청수하천 서식 종들이 비교적 좁은 지역에 국한되어 분포한다. 이는 서로 다른 흑수 및 청수 수계가 거대한 백수하천 구역에 의해 지리적으로 분리되고 격리되기 때문이다.[2][19] 이러한 지리적 장벽은 아마존 유역에서 이소성 종분화가 일어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여겨진다.[2]

청수하천에서만 발견되는 어류 종이 많으며, 이들 중 일부는 댐 건설 등으로 서식지가 위협받아 멸종 위기 종으로 분류되기도 한다.[1][2] 대표적인 예로 제브라 플레코(Hypancistrus zebra)와 같은 메기 종류를 들 수 있다.[16][17] 또한 브라질의 청수하천에서는 독특한 무늬를 가진 ''Potamotrygon leopoldi''(스폿강가오리)와 같은 종 복합체에 속하는 가오리도 발견된다.[21]
청수하천 중 급류가 발달한 넓은 구역은 물살에 적응한 유수성 어류[1][17]뿐만 아니라 포도스테뭄과(Podostemaceae)와 같은 특정 물 속 식물의 중요한 서식지가 된다.[8][22] 수생 거대 식물의 양은 빛의 양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주변이 숲으로 우거져 그늘이 짙은 청수하천에는 거대 식물이 거의 없지만, 햇빛이 잘 드는 개방된 지역을 흐르는 청수하천에는 많은 거대 식물이 자라기도 한다.[8] 청수하천은 백수하천에 비해 영양분이 적어 상대적으로 생산성이 낮으며, 이로 인해 수생 곤충의 수도 적은 경향이 있다.[4]
4. 2. 멸종 위기종
청수하천과 같은 맑은 물 강에는 댐 건설 등으로 인해 멸종 위기 종으로 분류되는 물고기들이 다수 서식한다.[1][2] 대표적인 예로 제브라 플레코를 들 수 있는데, 이 종은 다른 여러 메기과 어류와 마찬가지로 오직 맑은 물 강에만 서식하며 댐 건설로 인해 생존에 큰 위협을 받고 있다.[16][17]
맑은 물 강 중에서도 급류가 흐르는 넓은 지역은 유수성 물고기[1][17]나 특정 물 속 식물(예: Podostemaceae)[8][22]과 같이 특수한 환경에 적응한 생물들의 중요한 서식지가 된다. 또한 ''Potamotrygon leopoldi''(스폿강가오리)와 같이 특정 맑은 물 강 유역에서만 발견되는 종 복합체도 존재한다.[21]
맑은 물 강은 다른 유형의 강(검은 물, 흰 물 강)과 화학적 특성 및 가시성에서 차이를 보여, 서식하는 동식물 군집에도 뚜렷한 차이가 나타난다.[2] 특히 맑은 물 강은 다른 수계와 지리적으로 분리되어 고유한 생태계를 형성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이소성 종분화를 촉진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2][19] 이러한 환경적 특수성 때문에 맑은 물 강에 서식하는 많은 종들이 환경 변화, 특히 댐 건설과 같은 인위적인 개발 사업에 취약하다.[1][2]
4. 3. 급류와 수생 식물
급류가 있는 넓은 구역은 전문화된 유수성 물고기[1][17]와 특정 물 속 식물 (예: Podostemaceae)의 중요한 서식지가 된다.[8][22] 이러한 강에 서식하는 거대 식물의 양은 빛의 양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늘이 짙게 드리워진 곳에서는 거대 식물이 거의 자라지 못하는 반면, 햇빛이 잘 드는 개방된 구간에서는 풍부하게 발견되기도 한다.[8] 한편, 맑은 물 강에서만 발견되는 다수의 물고기 종들은 댐 건설과 같은 개발 행위로 인해 서식지가 위협받아 멸종 위기 종으로 지정되는 경우가 많다.[1][2]4. 4. 생산성
맑은 물 강은 흰 물 강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생산성을 보이며, 결과적으로 곤충의 풍부함도 낮다.[4]참조
[1]
논문
Redescription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he Endangered Fish Ossubtus xinguense Jégu 1992 (Characiformes, Serrasalmidae) with Comments on Conservation of the Rheophilic Fauna of the Xingu River
[2]
논문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the white, black, and clearwater rivers of the Amazon Basin and its implications on the distribution of freshwater stingrays (Chondrichthyes, Potamotrygonidae)
[3]
서적
Discus Fish
https://archive.org/[...]
[4]
서적
Field Guide to the Fishes of the Amazon, Orinoco, and Guianas
Princeton University Press
[5]
논문
Classification of Major Naturally-Occurring Amazonian Lowland Wetlands
[6]
논문
An explicit GIS-based river basin framework for aquatic ecosystem conservation in the Amazon
[7]
서적
Tropical Stream Ecology
https://archive.org/[...]
Academic Press
[8]
서적
The Amazon: Limnology and landscape ecology of a mighty tropical river and its basin
Springer
[9]
웹사이트
Chemistry of different Amazonian water types for river classification: A preliminary review
https://www.research[...]
[10]
논문
Life history and management of the tambaqui (Colossoma macropomum, Characidae): an important Amazonian food fish
[11]
논문
The impact of significant input of fine sediment on benthic fauna at tributary junctions: A case study of the Bermejo-Paraguay River confluence, Argentina
https://hull-reposit[...]
[12]
웹사이트
Waters
http://amazonwaters.[...]
Amazon Waters
2014-05-28
[13]
논문
The fish fauna of Brokopondo Reservoir, Suriname, during 40 years of impoundment
[14]
웹사이트
Clearwater Rivers
http://amazonwaters.[...]
Amazon Waters
2014-05-28
[15]
서적
Man and Fisheries on an Amazon Frontier
Springer
[16]
웹사이트
Habitat
https://www.zebraple[...]
zebrapleco.com
[17]
웹사이트
Race against time
http://exelmagazine.[...]
Exel Magazine
[18]
논문
Fish communities in Central Amazonian white and blackwater floodplains
[19]
서적
Cichlid fishes of the Amazon River drainage of Peru
Swedish Museum of Natural History
[20]
논문
A comparison of fish diversity and abundance between nutrient-rich and nutrient-poor lakes in the Upper Amazon
[21]
논문
Description of two extraordinary new species of freshwater stingrays of the genus Potamotrygon endemic to the rio Tapajós basin, Brazil (Chondrichthyes: Potamotrygonidae), with notes on other Tapajós stingrays
[22]
서적
Introduction to World Vegetation
https://archive.org/[...]
Unwin Hyman
[23]
저널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the white, black, and clearwater rivers of the Amazon Basin and its implications on the distribution of freshwater stingrays (Chondrichthyes, Potamotrygonidae)
[24]
서적
Discus Fish
https://archive.org/[...]
[25]
서적
Field Guide to the Fishes of the Amazon, Orinoco, and Guiana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6]
서적
The Amazon: Limnology and landscape ecology of a mighty tropical river and its basin
[27]
웹인용
Chemistry of different Amazonian water types for river classification: A preliminary review
https://www.research[...]
[28]
저널
Life history and management of the tambaqui (Colossoma macropomum, Characidae): an important Amazonian food fish
[29]
저널
Classification of Major Naturally-Occurring Amazonian Lowland Wetlands
[30]
저널
An explicit GIS-based river basin framework for aquatic ecosystem conservation in the Amazon
[31]
서적
Tropical Stream Ecology
https://archive.org/[...]
Academic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