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계적 둔감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체계적 둔감화는 공포나 불안을 극복하기 위한 심리 치료 기법으로, 점진적인 노출을 통해 불안 반응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1947년 조셉 울프가 고양이 실험을 통해 이 기법의 효과를 발견했으며, 불안 자극 계층 설정, 대처 메커니즘 학습, 자극과 상반 반응 연결의 세 단계를 거쳐 진행된다. 특정 공포증, 시험 불안 등 다양한 불안 장애 치료에 적용되며, 1970년대 이후 연구는 감소했지만, 여전히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행동 요법 - 노출 요법
노출 요법은 공포증, 강박장애, PTSD 등 다양한 정신 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인지행동치료 기법으로, 환자를 불안 유발 자극에 노출시켜 회피 행동 감소 및 불안 반응 완화를 목표로 하며, 생체 내 노출, 심상적 노출, 가상현실 노출, 체내수용기 노출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되지만, 심리학자들의 이해 부족 및 부정적 인식 등의 과제가 남아있다. - 행동 요법 - 지속노출치료
지속노출치료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치료법으로, 트라우마적 기억에 안전하게 직면하여 회피 행동을 줄이고 인지적 재구성을 촉진하지만, 중단율이 존재하며 효과는 환자와 치료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 행동주의 - 이반 파블로프
이반 파블로프는 조건반사 연구로 유명한 러시아의 생리학자, 심리학자, 의사이며, 1904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고, 개의 타액 분비 실험을 통해 고전적 조건화 개념을 정립했다. - 행동주의 - 행동 수정
행동 수정은 학습 원리를 활용하여 부적절한 행동을 감소시키고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키는 심리 치료 기법으로,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에 기반하여 발전했으며 인지 행동 치료를 거쳐 개인의 경험과 가치에 대한 수용을 강조하는 3세대 행동 치료로 발전하여 다양한 정신 건강 문제와 행동 장애 치료에 활용된다.
체계적 둔감화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유형 | 행동 치료의 한 종류 |
개발자 | 조셉 월피 |
개발 연도 | 1950년대 |
관련 심리 이론 | 고전적 조건형성 조작적 조건형성 |
치료 대상 | 불안 장애 공포증 |
핵심 원리 | |
작동 원리 | 상호 제지 원리 역조건 형성 원리 |
불안 위계 | 불안을 유발하는 자극을 강도에 따라 목록화 |
이완 훈련 | 근육 이완 또는 명상과 같은 기법을 사용 |
노출 | 불안 위계에 따라 점진적으로 불안 자극에 노출 |
치료 단계 | |
첫 번째 단계 | 내담자의 불안 위계 설정 불안을 유발하는 상황과 그 상황에서 느끼는 불안의 정도를 파악 |
두 번째 단계 | 이완 훈련 점진적 근육 이완 훈련과 같은 방법 |
세 번째 단계 | 실제적인 노출 가장 낮은 수준의 불안 자극부터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노출 강도를 높임 |
관련 치료법 | |
관련 치료법 | 노출 치료 인지 행동 치료 |
기타 | |
효과 | 공포증 및 불안 장애 치료에 효과적인 치료법 |
장점 | 안전하고 비침습적 다른 치료법과 병행 가능 |
단점 | 치료 시간이 길 수 있음 내담자의 협조가 중요 |
2. 역사
조셉 울프는 1947년 비트스 대학교의 고양이들이 점진적이고 체계적인 노출을 통해 공포를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9] 이후 실제 불안을 유발하는 자극에 이완 기법이 효과가 없음을 알고, 자극을 상상하거나 사진을 보게 하는 방법을 사용했는데, 이는 오늘날과 매우 유사하다.[1]
2. 1. 조셉 울프의 공헌
1947년, 울프는 비트스 대학교의 고양이들이 점진적이고 체계적인 노출을 통해 공포를 극복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9] 울프는 이반 파블로프의 인위적 신경증에 대한 연구와 왓슨과 존스가 아동의 공포를 제거하는 데 대해 수행한 연구를 조사했다. 1958년, 울프는 고양이를 대상으로 신경증 장애를 인위적으로 유발하는 일련의 실험을 수행했다. 그는 신경증적인 동물들을 점진적으로 탈조건화하는 것이 신경증 장애를 치료하는 가장 좋은 방법임을 발견했다. 울프는 다양한 먹이 환경을 통해 신경증을 겪는 고양이들을 탈조건화했다. 이후 울프는 이러한 먹이 치료법이 인간에게는 일반화되기 어렵다는 것을 인지하고, 불안 증상을 완화하는 치료법으로 이완 요법을 대신 사용했다.[10]울프는 환자에게 실제 불안을 유발하는 자극을 제시하면 이완 기법이 효과가 없다는 것을 알았다. 모든 불안 유발 자극이 물리적 대상이 아니고 개념이기 때문에 모든 물건을 그의 사무실로 가져오는 것은 어려웠다. 대신 울프는 환자들이 불안을 유발하는 자극을 상상하거나, 그 자극의 사진을 보도록 했다. 이는 오늘날 수행되는 과정과 매우 유사하다.[1]
3. 치료 원리 및 단계
볼프는 탈감작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세 가지 주요 단계를 제시했다.[1][2]
1. 불안 자극 계층화 설정: 불안을 일으키는 요소를 파악하고 불안 유발 정도에 따라 순위를 매긴다.
2. 반응 메커니즘 숙지: 명상과 같은 이완 훈련을 통해 불안에 대처하는 방법을 배운다. 볼프는 환자들이 몸의 여러 부분을 긴장, 이완시키는 연습을 반복하여 평온한 상태에 도달하도록 가르쳤다.
3. 반대 조건화를 통해 자극을 상반되는 반응이나 대처 방법과 연결: 완전히 이완된 상태에서 불안을 가장 적게 유발하는 자극부터 시작하여 점차 강도를 높여가며 제시한다.
치료사는 환자의 뱀 공포증을 치료하기 위해 위와 같은 체계적 둔감화 단계를 활용할 수 있다. 먼저 환자에게 뱀에 대한 다양한 노출 상황에 따른 불쾌감 정도를 나열하는 공포 계층을 파악하도록 요청한다. 그 다음, 환자와 함께 명상 및 이완 기술을 익히도록 돕는다. 마지막으로 환자에게는 가장 낮은 수준에서 가장 높은 수준으로 점차 불쾌감이 증가하는 공포 자극이 제시되며, 이 때 이전에 배운 이완 기술을 활용한다.
만약 훈련 중 대처 메커니즘이 실패하거나, 심한 불안으로 인해 대처하지 못하는 경우, 훈련은 중단된다. 환자가 진정되면, 불안을 유발하지 않았던 마지막 자극이 다시 제시되고, 환자의 반응에 따라 훈련이 계속된다.
3. 1. 불안 위계 목록 작성
먼저, 환자는 불안을 일으키는 요소를 파악하고 각 요소가 유발하는 불안의 정도에 따라 순위를 매겨야 한다. 여러 자극에 대해 불안을 느낀다면, 각 자극을 별도로 처리한다. 각 자극에 대해 불안을 가장 적게 유발하는 것부터 가장 많이 유발하는 것까지 순서대로 목록을 작성한다.[1]뱀 공포증이 있는 경우, 다음과 같은 불안 위계 목록을 작성할 수 있다.
1. 뱀 그림[2]
2. 근처 방에 있는 작은 살아있는 뱀[2]
3. 입을 벌리고 혀를 내미는 살아있는 커다란 뱀[2]
4. 뱀이 자신의 주위에서 우글대고 자신을 기어오를 수 있는 상황[2]
이 목록은 뱀에 대한 다양한 수준의 노출에 대한 상대적 불쾌감을 나타낸다. 뱀 사진을 보는 것은 낮은 공포 등급을, 뱀이 몸을 기어 다니는 상황은 높은 공포 등급을 유발할 수 있다.[2]
3. 2. 이완 훈련
이완 훈련은 근육이나 신경의 긴장을 이완시키기 위한 치료법으로 행동 수정 이론에서 도입되었다. 특히 조셉 볼프(Joseph Wolpe)는 행동주의적 접근의 입장에서 신경증, 심신증의 증상을 잘못 학습된 부적응 상태로 보고 이러한 불안 상태를 해소시킬 목적으로 이 훈련을 채택하였다.[13] 제이컵슨(Jacobson)은 체계적 근육 이완을 창안하였고, 이는 심리 치료에서 광범위하게 도입되었다.[13]점진 이완 훈련은 심리 치료에서 광범위하게 쓰이는 것으로, 근육 이완 과정을 체계적으로 활용한 이완법이다. 근육의 긴장을 풀면 긴장감이 사라질 수 있다는 전제하에 시작한 것으로, 짧은 시간 안에 이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4] 심상 훈련이 관련되기도 한다.
볼프는 환자들에게 이완 반응을 가르쳤는데, 이는 동시에 이완되고 불안해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방법에서 환자들은 몸의 여러 부분을 긴장시키고 이완시키는 연습을 하여 평온한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한다.[1] 이는 환자가 불안감이 감당할 수 없는 수준으로 증가하도록 내버려 두는 대신, 공포를 조절하는 수단을 제공하기 때문에 필요하다. 환자가 적절한 대처 메커니즘을 배우는 데에는 몇 차례의 세션만 필요하다. 추가적인 대처 전략으로는 항불안제와 호흡법 운동이 있다.
호흡법은 복식 호흡 따위의 호흡 조정으로 호흡 운동의 기능을 향상하는 방법으로 이완 훈련의 하나이다. 이 경우 복식 호흡은 복근을 한 번 폈다 다시 오므렸다 하는 이완과 긴장을 행할 때 가로막의 신축에 의존하는 호흡을 가리킨다.[15]
전문가들은 근육의 예에서처럼 근육의 긴장과 이완의 시간적, 양적 양립의 대비는 이러한 심리학적, 결과적으로 효과를 효율적이게 하며 따라서 이완을 통해 차분해지는 느낌만큼이나 실질적인 긴장감의 강도 역시 중요하다는 점을 언급한다.
3. 3. 둔감화
체계적 둔감화에서 둔감화는 내담자가 특정 자극이나 상황에 대한 불안이나 공포 반응을 점진적으로 줄여나가는 과정을 의미한다.볼프(Wolpe)는 탈감작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주요 단계를 제시했다.
# 불안 자극 계층화 설정.
# 반응 메커니즘 숙지.
# 반대 조건화를 통해 자극을 상반되는 반응이나 대처 방법과 연결.
뱀 공포증을 가진 클라이언트를 예로 들어, 둔감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불안 자극 계층화 설정상담자는 클라이언트에게 뱀에 대한 다양한 수준의 노출에 대한 불쾌감을 나열하는 두려움 계층을 식별하도록 요청한다. 예를 들어, 뱀 그림을 보는 것은 낮은 두려움 등급을, 살아있는 뱀이 주위를 기어 다니는 것은 높은 두려움 등급을 유발할 수 있다.
2. 대처 메커니즘 또는 양립 응답 습득상담자는 클라이언트와 협력하여 명상이나 심근 이완 반응과 같은 적절한 대처 및 양립 응답 기법을 배우도록 돕는다.
3. 자극을 호환되지 않는 양립하는 응답 또는 대처 방법에 연결클라이언트는 이전 단계에서 제시된 깊은 이완 기술(점진적 근육 이완)을 활용하면서, 불쾌한 수준의 두려움 자극을 최저에서 최고로 제시받는다.
뱀 공포증을 돕는 심상 자극의 상상 및 심상 진행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 불안 위계 목록
순서 | 내용 |
---|---|
1 | 뱀 그림 |
2 | 근처 방에 있는 작은 살아있는 뱀 |
3 | 입을 벌리고 혀를 내미는 살아있는 커다란 뱀 |
4 | 뱀이 자신의 주위에서 우글대고 자신을 기어 오를 수 있는 상황 |
상상되는 진행의 각 단계에서, 환자는 이완 상태에서 자극에 노출되어 공포나 불안에 점차 둔감해진다. 두려움의 계층 단계가 점차 진행되면서 클라이언트는 불안이 점차 강도가 높아지지 않도록 다룰 수 있게 된다.[1][2]
4. 적용 분야
체계적 둔감화는 특정 공포증 치료에 효과적인 정신 질환 치료법 중 하나이다. 고소공포증, 개 공포증, 뱀 공포증, 폐쇄 공포증 등 다양한 공포증을 겪는 사람들은 공포 대상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일시적으로 불안감을 줄일 수는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적응적인 대처 방식이 아니다. 체계적 둔감화는 환자를 공포 자극에 점진적으로 노출시켜 회피 행동을 극복하도록 돕는다.[3] 울프(Wolpe)는 공포증 치료에 체계적 둔감화를 적용했을 때 90%의 성공률을 보였다고 보고했다.[4]
시험 불안 또한 체계적 둔감화로 효과를 볼 수 있는 분야이다. 학생의 25%에서 40%가량이 시험 불안을 경험하며,[5] 이로 인해 낮은 자존감과 스트레스 유발 증상을 겪을 수 있다.[6] 체계적 둔감화는 어린이들이 시험 불안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근육 이완 기법 연습, 불안 유발 위계 목록 작성 등을 통해 시험 불안을 극복하도록 돕는다.[7]
4. 1. 특정 공포증
상담자는 뱀 공포증을 가진 클라이언트를 돕기 위해 다음 세 단계의 체계적 둔감화를 사용한다.- 불안 자극 계층 구조 설정: 상담자는 환자에게 두려움 계층을 식별하도록 요청한다. 이 계층은 뱀에 대한 다양한 수준의 노출에 대한 상대적 불쾌감을 나열한다. 예를 들어 뱀 그림을 보는 것은 살아있는 뱀이 주위에 우글거리고 자신을 기어오르는 것과 비교하여 낮은 두려움 등급을 유발할 수 있다.
- 대처 메커니즘 또는 양립 응답 습득: 상담자는 클라이언트와 협력하여 명상 또는 심근 이완 반응과 같은 적절한 대처 및 양립 응답 기법을 배운다.
- 자극을 호환되지 않는 양립 응답 또는 대처 방법에 연결: 클라이언트는 이전 단계에서 제시된 깊은 이완 기술(점진적 근육 이완 등)을 활용하면서 불쾌한 수준의 두려움 자극을 최저에서 최고로 제시받는다.
뱀 공포증을 돕는 심상 자극의 상상 및 심상 진행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불안 위계 목록 - 1. 뱀 그림, 2. 근처 방에 있는 작은 살아있는 뱀, 3. 입을 벌리고 혀를 내미는 살아있는 커다란 뱀, 4. 뱀이 자신의 주위에서 우글대고 자신을 기어오를 수 있는 상황
상상되는 진행의 각 단계에서 환자는 이완 상태에서 자극에 노출되어 공포나 불안에 덜 민감해진다. 두려움 계층 단계가 점차 진행되면서 클라이언트는 불안 강도가 높아지지 않도록 다룰 수 있게 된다.
전문가들은 근육 긴장과 이완의 시간적, 양적 대비가 이러한 심리학적 효과를 효율적으로 만들며, 이완을 통해 차분해지는 느낌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긴장감의 강도 역시 중요하다고 언급한다.[3] 울프(Wolpe)는 공포증 치료 시 체계적 둔감화가 90%의 성공률을 보였다고 밝혔다.[4]
4. 2. 시험 불안
학생의 25%에서 40%가량이 시험 불안을 경험한다.[5] 시험 불안으로 인해 어린이는 낮은 자존감과 스트레스 유발 증상을 겪을 수 있다.[6] 체계적 둔감화의 원리는 어린이들이 시험 불안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어린이는 서로 다른 근육 그룹을 긴장시키고 이완시켜 근육 이완 기법을 연습할 수 있다. 나이가 많은 어린이와 대학생의 경우, 둔감화에 대한 설명은 과정의 효과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학생들이 이완 기법을 익힌 후에는 불안을 유발하는 위계를 만들 수 있다. 시험 불안의 경우, 이러한 항목에는 지시 사항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 시간 내에 마치는 것, 답을 제대로 표시하는 것, 과제에 너무 적은 시간을 할애하는 것 또는 저조한 성적을 거두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교사, 상담사 또는 심리학자는 어린이에게 체계적 둔감화 방법을 지도할 수 있다.[7]5. 현대적 활용 및 비판
둔감화는 효과적인 치료 기법 중 하나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 수십 년 동안 체계적 둔감화는 불안 장애 치료의 주요 선택 방법으로 사용되는 빈도가 줄었으며, 1970년대 이후 관련 학술 연구도 감소하여 현재는 다른 치료법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8] 1980년대 이후 체계적 둔감화를 사용하는 임상의 수도 감소했다.[8]
5. 1. 비판
체계적 둔감화는 가장 효과적인 치료 기법 중 하나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최근 수십 년 동안 불안 장애 치료의 주요 선택 방법으로 사용되는 빈도가 줄었다.[8] 1970년대 이후 체계적 둔감화에 대한 학술 연구는 감소했고, 현재는 다른 치료법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8] 체계적 둔감화를 사용하는 임상의 수도 1980년대 이후 감소했는데, 1986년 이전에 훈련받은 사람들이 주로 체계적 둔감화를 계속해서 정기적으로 사용한다.[8] 실무 심리학자들이 체계적 둔감화를 덜 사용하는 이유는 홍수 기법, 몰입 치료, 참여 모델링과 같은 다른 기법들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8]참조
[1]
서적
Psychotherapy by reciprocal inhibi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1958
[2]
서적
Introduction to Personality
John Wiley & Sons, Inc.
2008
[3]
서적
Evaluation of behavior therapy: Issues, evidence and research strategies
Ballinger
1978
[4]
서적
The practice of behavior therapy
Pergamon Press
1969
[5]
서적
Test anxiety: Contemporary theories and implications for learning
Peter Lang
2010
[6]
논문
Cognitive, emotional, and physiological components of Test Anxiety
1985
[7]
논문
Prevent School Failure: Treat Test Anxiety
1995
[8]
논문
Comment on the status of systematic desensitization
2004
[9]
간행물
Part 12. Systematic desensitization
2011
[10]
논문
Systematic desensitization
1967
[11]
서적
The practice of behavior therapy
Pergamon Press
1969
[12]
서적
Psychotherapy by reciprocal inhibi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1958
[13]
웹사이트
이완훈련 등
[14]
웹사이트
점진 이완훈련 등
[15]
웹사이트
호흡법 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