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초대형 방사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초대형 방사포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개발한 다연장 로켓 시스템으로, 2019년 7월부터 시험 발사를 시작했다. 600mm 구경에 8.2m 길이, 3,000kg의 무게로 추정되며, 최대 480km의 사거리를 가질 수 있다. 북한은 이 무기를 전술 핵무기 탑재가 가능한 공격형 무기로 주장하며, 2023년 1월 열병식에서 전술 핵무기 운용 부대에 배치하기도 했다. 미국은 이를 단거리 탄도 미사일로 분류하며, 한국은 이에 대응하기 위해 천무 다연장 로켓을 증강 배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켓 - 파즈르-5
    파즈르-5는 이란에서 개발 및 생산하는 파즈르 로켓 제품군의 최신 하이브리드 로켓으로, 중국 WS-1 다연장 로켓 시스템의 영향을 받아 개발되었으며, 파편 고폭탄두를 탑재하고 이란군 외 여러 단체에서 운용되어 분쟁 지역에서 사용된 역사를 가진다.
  • 로켓 - 역추진 로켓
    역추진 로켓은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추력을 생성하여 속도를 감소시키는 로켓 엔진으로, 우주선 착륙, 발사체 단 분리, 항공기 제동 등에 사용되며 재사용 발사 시스템 개발로 중요성이 증가하고,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에서 처음 개발되어 우주 개발의 핵심 기술이 되었다.
초대형 방사포
KN-25
유형
종류단거리 탄도 미사일/다연장 로켓포
발사 플랫폼차륜형 또는 궤도형 차량
제원
사거리380km
길이8.2m
직경600mm (KN24 450mm, KN25 다연장 로켓포)
무게3000kg
탄두 중량300kg
기술 정보
유도 방식위성 유도를 병용한 관성 유도 (가능성)
정확도80-90m
생산 및 운용
설계 시기2019년
사용 국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명칭
영어KN-25
종류초대형 방사포

2. 역사

wikitext

=== 개발 ===

INF 조약 폐기로 인해 중국을 압박하는 미국의 미사일들이 한국에 대량 배치될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중국도 북한에 대한 첨단 무기 판매나 기술 제공을 더욱 적극적으로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은 중국이 일대일로, 화웨이, 달러화의 기축통화 등 세 가지 핵심 분야에서 미국에 경제적으로 도전하고 있는 상황과 맞물려, 동북아에서 미중 간 군비 경쟁을 심화시킬 수 있다.

미국은 자유롭고 열린 인도 태평양 전략으로 중국의 일대일로에 대응하며 한국의 참여를 요구하고 있지만, 문재인 정부는 이에 반대하고 있다. 그러나 미중 간 경제 전쟁과 군비 증강 대결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개인의 정책이 아니라 여야가 합의한 견해이므로, 앞으로 중국은 북한에 대한 최첨단 무기와 경제 지원을 강화하고, 한미일은 이에 맞서 대규모 군비 증강을 추진할 가능성이 크다.

=== 시험 발사 ===

2019년 7월 31일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초대형 방사포 시험 발사를 지속적으로 실시해왔다.[5][3] 2019년 8월 24일 시험 발사에서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직접 참관했으며,[35] 발사체는 함경남도 선덕 일대에서 동해 상으로 2발이 발사되었다. 합동참모본부는 최고 고도 97 km, 비행거리 약 380 km로 탐지했다.[35] 북한이 공개한 사진에는 원통형 발사관 4개가 트럭에 장착되었고, 로켓 탄두 부분에는 카나드가 달려 있어 유도 방식임을 시사했다.[35]

2020년 3월 2일에는 초대형 방사포 2발이 20초 간격으로 동해상으로 발사되었으며, 고도 35 km, 사거리 240 km를 기록했다.[35] 이는 캠프 험프리스를 겨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35]

초대형 방사포의 연속 발사 능력은 시험 발사를 거듭하며 향상되었다. 초기 시험 발사에서는 연발 사격 간격이 17분, 19분이었으나, 점차 단축되어 2020년 3월 2일에는 20초까지 줄어들었다.[35] 이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연속 발사 능력 향상을 보여주며, 대한민국 군과 주한미군의 요격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35]

2020년 3월 2일 시험 발사에서는 포병 부대가 처음으로 초대형 방사포를 운용하여, 초기 작전 능력을 획득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35]

날짜[5][3]발사 수사거리최고점비고
2019년 7월 31일221분 간격으로 발사, 의심스러운 탄두[33]
2019년 8월 2일224분 간격으로 발사, 궤도 섀시[33]
2019년 8월 24일2380 km97 km17분 간격으로 발사
2019년 9월 10일2330 km50-60 km19분 간격으로 발사, 다른 로켓이 제대로 발사되지 않았을 가능성
2019년 10월 31일2370 km90 km3분 간격으로 발사
2019년 11월 28일2380 km97 km30초 간격으로 발사
2020년 3월 2일2240 km35 km20초 간격으로 발사, 포병 병력에 의해 처음으로 운용, 잠재적으로 초기 작전 능력에 도달
2020년 3월 29일[17]2 또는 3230 km30 km발사 간격 미상, 아마도 약 1분, 다른 로켓이 제대로 발사되지 않았을 가능성
2022년 12월 31일3[18]
2023년 1월 1일1[18]
2024년 3월 18일6[19]



일부 시험 발사에서는 로켓이 제대로 발사되지 않았을 가능성도 제기되었다.[35]

2. 1. 개발

INF 조약 폐기로 인해 중국을 압박하는 미국의 미사일들이 한국에 대량 배치될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중국도 북한에 대한 첨단 무기 판매나 기술 제공을 더욱 적극적으로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은 중국이 일대일로, 화웨이, 달러화의 기축통화 등 세 가지 핵심 분야에서 미국에 경제적으로 도전하고 있는 상황과 맞물려, 동북아에서 미중 간 군비 경쟁을 심화시킬 수 있다.

미국은 자유롭고 열린 인도 태평양 전략으로 중국의 일대일로에 대응하며 한국의 참여를 요구하고 있지만, 문재인 정부는 이에 반대하고 있다. 그러나 미중 간 경제 전쟁과 군비 증강 대결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개인의 정책이 아니라 여야가 합의한 견해이므로, 앞으로 중국은 북한에 대한 최첨단 무기와 경제 지원을 강화하고, 한미일은 이에 맞서 대규모 군비 증강을 추진할 가능성이 크다.

2. 2. 시험 발사

2019년 7월 31일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초대형 방사포 시험 발사를 지속적으로 실시해왔다.[5][3] 2019년 8월 24일 시험 발사에서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직접 참관했으며,[35] 발사체는 함경남도 선덕 일대에서 동해 상으로 2발이 발사되었다. 합동참모본부는 최고 고도 97 km, 비행거리 약 380 km로 탐지했다.[35] 북한이 공개한 사진에는 원통형 발사관 4개가 트럭에 장착되었고, 로켓 탄두 부분에는 카나드가 달려 있어 유도 방식임을 시사했다.[35]

2020년 3월 2일에는 초대형 방사포 2발이 20초 간격으로 동해상으로 발사되었으며, 고도 35 km, 사거리 240 km를 기록했다.[35] 이는 캠프 험프리스를 겨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35]

초대형 방사포의 연속 발사 능력은 시험 발사를 거듭하며 향상되었다. 초기 시험 발사에서는 연발 사격 간격이 17분, 19분이었으나, 점차 단축되어 2020년 3월 2일에는 20초까지 줄어들었다.[35] 이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연속 발사 능력 향상을 보여주며, 대한민국 군과 주한미군의 요격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35]

2020년 3월 2일 시험 발사에서는 포병 부대가 처음으로 초대형 방사포를 운용하여, 초기 작전 능력을 획득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35]

날짜[5][3]발사 수사거리최고점비고
2019년 7월 31일221분 간격으로 발사, 의심스러운 탄두[33]
2019년 8월 2일224분 간격으로 발사, 궤도 섀시[33]
2019년 8월 24일2380 km97 km17분 간격으로 발사
2019년 9월 10일2330 km50-60 km19분 간격으로 발사, 다른 로켓이 제대로 발사되지 않았을 가능성
2019년 10월 31일2370 km90 km3분 간격으로 발사
2019년 11월 28일2380 km97 km30초 간격으로 발사
2020년 3월 2일2240 km35 km20초 간격으로 발사, 포병 병력에 의해 처음으로 운용, 잠재적으로 초기 작전 능력에 도달
2020년 3월 29일[17]2 또는 3230 km30 km발사 간격 미상, 아마도 약 1분, 다른 로켓이 제대로 발사되지 않았을 가능성
2022년 12월 31일3[18]
2023년 1월 1일1[18]
2024년 3월 18일6[19]



일부 시험 발사에서는 로켓이 제대로 발사되지 않았을 가능성도 제기되었다.[35]

3. 제원

KN-25는 공식적으로 "초대형" 다연장로켓시스템으로 묘사된다. 기존 로켓포에 비해 미사일의 크기가 크고 사거리가 더 길어 주한 미군(USFK)은 이를 단거리 탄도 미사일(SRBM)로 분류했다.[21] 통제된 탄도 궤적을 따라 비행한다. 미사일의 직경은 약 600 mm, 길이는 8.2미터, 무게는 3,000 kg으로 추정된다.[21] 구체적인 유도 시스템은 알려지지 않았으며, 6개의 회전식 후방 핀과 4개의 전방 이동 핀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로켓의 자세 제어를 제공할 가능성이 높다. 4연장 타트라 813 8×8 바퀴형 이동식 발사대(TEL) 또는 각 측면에 10개의 로드 휠이 있는 궤도 섀시에 장착되어 있으며, 6개의 발사관을 탑재한다.

이것은 대대급에서 배치되어 최대 380 km 떨어진 적 후방 목표물을 공격할 수 있는 전장 무기이며, 재래식 폭발-파편 탄두를 사용한다. 2022년 10월, KN-25는 북한이 전술 핵무기를 투사할 수 있는 능력의 일부라고 주장하는 다른 미사일들과 함께 성명에 포함되었다. 2023년 2월 열린 열병식에서 KN-25는 북한 언론이 통칭하여 "전술 핵무기 운용 부대"라고 부르는 다른 미사일들과 함께 등장했다.

6개의 회전식 후방 핀은 로켓 포병에게는 드문 특징으로, 북한의 상당한 혁신이다. 이들의 목적은 비행 중 로켓의 안정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전체 본체를 회전시켜 회전 안정화되는 다른 로켓 포병탄에 비해 유리하다. 이러한 안정화 방법은 미사일의 나머지 부분이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유도 시스템에 더 유리한 환경을 조성한다. 더 작은 제어 핀이 최적으로 작동할 수 없는 상층 대기에 진입할 때 미사일을 회전시켜 안정화시킨 다음, 더 밀도가 높은 공기로 재진입하면서 회전을 멈출 가능성이 있다.

이 미사일은 직경이 62 cm로 비슷한 크기의 모터를 가진 OTR-21 토치카/KN-02 톡사에서 파생되었을 가능성이 있다.[25] 이러한 모터 세그먼트 3개를 연결하면 KN-25 로켓과 비슷한 길이가 된다. 300 kg의 중탄두와 원형 공산 오차가 80~90미터의 정확도를 갖는다. KN-25는 KN-23과 달리 이 미사일에 대한 언론 보도가 '주체 발사체'와 같은 단어를 사용하여 연구를 강조하기 때문에 자체 개발 프로젝트일 가능성이 높다.[26][33]

2023년 1월 1일, 김정은이 참석하여 연설을 한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6차 전원회의에 30개의 TEL이 선물로 전달되었다.[29] 이 시스템은 탄약 산업에서 유례가 없고, 당 중앙위원회 잔디밭에 전시된 것도 전례가 없는 "전례 없는" 것으로 묘사되었다. 북한이 공개적으로 선보인 30개의 6연장 궤도 발사대와 최소 9개의 4연장 바퀴형 발사대는 최대 216발의 발사체를 발사할 수 있게 해주며, 한국의 탄도 미사일 방어를 무력화하기 위해 이와 비슷한 수의 재래식 탄도 미사일을 발사하는 데 필요한 발사 차량보다 훨씬 적은 차량이 필요하다.

앞서 언급했듯이 북한은 KN-25를 "초대형 방사포"라고 주장하며, 탄도 미사일에 부여하는 화성 넘버도 부여하지 않았다[21]。그러나 일반적인 로켓포보다 크고 장사정이기 때문에, 주한 미군이나 일본 방위성 등은 KN-25를 단거리 탄도 미사일(SRBM)로 분류하고 있다[21]

KN-25는 직경 600mm, 전장 8.2m, 전중량 3000kg, 사정거리 380km로 추정되며, 이는 이란의 SRBM인 파테 110에 필적하는 크기·사정거리이다[21]。유도 시스템은 불명확한 점이 많지만, 후부에 6개의 회전식 안정익이, 탄두부에 4개의 조타익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러한 안정익·조타익이 자세 제어를 담당하는 것으로 추측된다(덧붙여, 기체 자체는 회전하지 않는다.[22]。또한, 탄두 중량은 300kg, 탄착 정밀도를 나타내는 평균 오차 반경(CEP)은 80m에서 90m로 추정된다. 발사에는 수송 발사 차량(TEL)이 사용되지만, 8×8륜 타트라 813(체코제 트럭)에 탑재된 4연장과[23], 궤도식 차량에 탑재된 6연장 외에도 타트라 813과 다른 트럭에 탑재된 5연장도 있다[24]

KN-25의 고체 로켓 모터는, 비슷한 직경(620mm)을 가진 전술 탄도 미사일인 9K79 "토치카" 및 그 북한판인 KN-02(화성 11)의 모터 세그먼트를 3개 연결한 것과 비슷한 전장인 것으로 보아, 이 미사일들이 기반이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25]。다만, 북한의 보도에서 KN-25에 대해 "우리식"[33]이나 "[주체사상|주체]탄" 등 자체 개발을 강조하는 호칭이 사용되고 있어, 개발 과정에서 어떠한 형태로든 외국 세력이 관여한 의혹이 있는 KN-23와 달리, 자체 기술로 개발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지고 있다[26]

용도로는 전술 목적 사용이 상정되어 있으며, 대대 레벨에 배치되어, 통상 탄두를 탑재한 버전은 적 후방 병참에 타격을 가하는 데 사용될 것으로 보인다.

덧붙여, 북한은 KN-25에 전술 핵무기 탑재 능력이 있다고 주장하며, 2023년 2월에 열린 군사 퍼레이드에서 KN-25를 포함한 여러 미사일이 "전술 핵무기 운용 유닛"으로 소개되었다. 같은 해 4월에는, KN-25를 포함한 여러 탄도 미사일·순항 미사일·핵어뢰에, 새롭게 개발하여 양산 중이라고 주장하는 "화산 31" 전술 핵탄두를 탑재한다고 일러스트를 공개했다[27]。전술 핵탄두 탑재 능력이 사실일 경우, 다연장 로켓포이기 때문에 핵탄두를 탑재한 미사일과 통상 탄두를 탑재한 미사일을 TEL에 혼재하여, 적에게 극도의 경계를 강요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지적되고 있다[28]

2023년 1월 1일,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청사 앞에서 열린 식전에서 KN-25의 TEL 30기가 기증되었고, 김정은 총비서가 연설을 했다[29]。6연장 TEL 30기와, 지금까지 보유가 확인된 4연장 TEL 9기(최소한의 추정)를 합하면, 최대 216발의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이는 한국의 미사일 방어 시스템에 대해 포화 공격을 가해 돌파하기에 충분한 발사 수이며, 종전보다 적은 대수의 TEL로 포화 공격이 가능해진다.

3. 1. 설계

초대형 방사포는 직경 600mm, 길이 8.2m, 무게 3,000kg으로 추정된다.[21] 이는 이란파테-110과 유사한 크기이다.[21] 로켓의 직경에 대해서는 400mm, 500mm, 600mm 등 다양한 분석이 존재한다. 제프리 루이스 소장은 탄두 지름이 600mm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마커스 쉴러 박사는 로켓의 크기와 형태로 볼 때 이란의 젤잘 또는 파테-110 미사일과 성능이 유사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언급했다. 젤잘 로켓은 직경 610mm이며, 파테-110은 젤잘에 유도기능을 추가한 미사일이다.

미국의 직경 533mm 그리폰 미사일. 토마호크 미사일의 지상발사 버전이다. 트럭에 원형 발사관 4개인 점이 북한 초대형 방사포와 같다.


KN-25는 6개의 회전식 후방 안정 날개와 4개의 전방 조타 날개를 가지고 있어, 비행 중 안정성을 확보하고 유도 시스템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한다.[22] 이는 로켓 포병탄에서 드문 특징으로, 북한의 독자적인 기술 혁신으로 평가된다.[22] 이러한 설계는 OTR-21 토치카/KN-02 톡사에서 파생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25] 300kg의 중탄두와 80~90m의 원형 공산 오차를 갖는 것으로 추정된다.

북한은 KN-25를 자체 기술로 개발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하며, '주체 발사체'와 같은 단어를 사용하며 연구를 강조한다.[26][33]

발사에는 수송 발사 차량(TEL)이 사용되며, 8×8륜 타트라 813(체코제 트럭)에 탑재된 4연장과[23], 궤도식 차량에 탑재된 6연장, 타트라 813과 다른 트럭에 탑재된 5연장[24] 등이 존재한다. 2023년 1월 1일,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청사 앞에서 열린 식전에서 KN-25의 TEL 30기가 기증되었다.[29]

3. 2. 유도 시스템

초대형 방사포의 구체적인 유도 시스템은 불명확하지만, 기체 후부에 장착된 6장의 회전식 안정 날개를 통해 자세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추정된다.[30] 일반적으로 로켓탄은 안정 날개로 기체 전체를 회전시켜 자세 제어를 하는 '스핀 안정 방식'을 채택하지만, 초대형 방사포는 회전식 안정 날개만 회전하고 기체 본체는 회전하지 않아 유도 시스템이 더 유리하게 작동한다.[31]

탄두부 조타 날개가 기능하기 어려운 대기권 상층 비행 시에는 회전 안정 날개를 통해 스핀을 걸어 안정성을 확보하고, 대기가 짙어져 탄두부 조타 날개가 기능하기 쉬워지면 스핀을 멈추는 방식으로 높은 안정성을 실현하는 것으로 추정된다.[32] 탄두부 조타 날개는 비행 중 미세 조정을 수행하지만, KN-23이나 KN-24와 같은 복잡한 기동은 불가능하다.[33]

3. 3. 발사대

KN-25는 4연장 타트라 813 8×8 차륜형 이동식 발사대(TEL) 또는 6개의 발사관을 탑재한 궤도형 TEL에 장착된다. 2023년 1월 1일, 김정은이 참석한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6차 전원회의에 30개의 TEL이 증정되었다. 북한이 공개한 30개의 6연장 궤도 발사대와 최소 9개의 4연장 차륜형 발사대는 최대 216발의 발사체를 발사할 수 있다. 이는 한국의 탄도 미사일 방어를 무력화하는 데 필요한 발사 차량보다 훨씬 적은 수이다. 5연장 발사대 또한 존재한다.[34]

3. 4. 파생형

KN-25는 구경 600mm, 사거리 400km의 초대형 방사포이다. 2019년 9월 4일, 북한이 2019년 8월 24일 함경남도 선덕에서 동해로 발사한 후 ‘초대형 방사포’라고 주장한 발사체에 주한미군이 KN-25라는 코드명을 붙였다. 주한 미군(USFK)은 이를 단거리 탄도 미사일(SRBM)로 분류했다.

KN-25는 공식적으로 "초대형" 다연장로켓시스템으로 묘사되지만, 로켓포에 비해 미사일의 크기가 크고 사거리가 더 길다. 통제된 탄도 궤적을 따라 비행하며, 직경은 약 600 mm, 길이는 8.2미터, 무게는 3,000 kg으로 추정된다. 6개의 회전식 후방 핀과 4개의 전방 이동 핀을 가지고 있어 로켓의 자세 제어를 제공할 가능성이 높다.

2020년 10월 열병식에서는 4·5·6연장 등 3종의 KN-25 발사대가 공개됐다. 2023년 1월 1일, 김정은이 참석한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6차 전원회의에 30개의 TEL이 선물로 전달되었다. 북한이 공개적으로 선보인 30개의 6연장 궤도 발사대와 최소 9개의 4연장 바퀴형 발사대는 최대 216발의 발사체를 발사할 수 있게 해준다.

2021년 9월 13일, 북한은 순항 미사일 발사 실험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는데,이 실험에 사용된 발사기에 KN-25의 5연장 TEL과 동일한 차량이 사용된 것으로 지적되었다.[34]

신형 KN-25는 구경 600mm, 사거리 500km이다.

4. 군사적 함의

4. 1. 전술적 위협

군사 전문가들은 직경 600mm 초대형 방사포가 최대 480km 떨어진 목표를 타격할 수 있다고 분석한다. 이는 강원도 원산에서 발사하면 부산까지 사정권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신승기 한국국방연구원 연구위원은 2022년 5월 7일 보고서에서 "기존 KN-25 대비 전장이 소폭 확대된 신형 KN-25는 추진제 추가 탑재로 사거리가 500km 전후로 증가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그 결과 제주도를 포함한 한반도 전역이 신형 KN-25 사정권에 포함될 것으로 전망된다.

2023년 1월 1일,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평양 용성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단거리 탄도 미사일 1발을 발사했으며, 이 미사일은 400km를 비행 후 동해상에 탄착했다고 밝혔다.

4. 2. 핵 탑재 가능성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2022년 12월 31일 조선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6차전원회의 연설에서 초대형 방사포(600mm)에 대해 "남조선전역을 사정권에 두고 전술핵탑재까지 가능한 공격형 무기"라고 주장했다. 미들버리 국제학연구소의 제프리 루이스 동아시아 비확산 프로그램 소장은 북한의 대형 방사포가 핵탄두 탑재가 가능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차두현 아산정책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초대형 방사포가 한반도와 그 인근에 대한 확실한 위협이며 핵 탑재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미국 토마호크 미사일에 탑재되는 직경 300 mm W80 핵탄두


600mm급 초대형 방사포에 핵탄두를 장착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가능하다. 미국은 냉전 시대에 155mmㆍ203mm 곡사포 포탄, 핵지뢰, 핵배낭 등 다양한 소형 전술핵을 개발했다. 가장 작은 W54 핵탄두는 직경 270mm, 무게 23kg으로, 데이비 크로켓 핵대포에 사용되었다. 현재 미국 토마호크 미사일에 탑재되는 W80 핵탄두는 직경 30cm, 무게 130kg, 폭발력 150kt의 수소폭탄이다. 북한의 초대형 방사포는 직경이 600mm이므로, W80 핵탄두를 장착할 수 있다는 평가도 가능하다.

대한민국 정부는 북한이 이미 무게 400∼500kg가량의 1~2kt급 경량 핵탄두 제작을 완료한 정황을 포착했으며, 소형 핵탄두의 직경은 60cm 미만 수준으로 알려졌다. 이는 초대형 방사포 탄두 중량 및 직경과 유사하다.

서균렬 서울대 교수는 100kt 수소폭탄에는 플루토늄 5kg이 들어가고 핵실험도 필요 없다고 주장한다. 미국의 핵탄두 직경과 폭발력을 고려하면, 서 교수의 100kt 핵탄두가 직경 600mm 미만이라는 추정이 가능하다. 미국은 B83 핵폭탄 외에도 다양한 직경 600mm 미만의 핵폭탄을 생산했다.

정부 당국자는 북한이 2016년 3월 공개한 핵탄두 모형이 직경 600mm 정도이며, 초대형 방사포에 핵탄두를 탑재하려면 직경이 더 작아져야 하므로 7차 핵실험을 통해 직경 600mm 미만 크기의 핵무기를 개발하려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따라서 북한이 풍계리 핵실험장 3번 갱도에서 7차 핵실험을 감행한다면, 초대형 방사포 등에 탑재할 소형화된 핵무기 개발이 목적일 수 있다고 분석된다.

4. 3. 요격의 어려움

초대형 방사포는 빠른 속도와 짧은 비행 시간, 동시 다발 발사 능력으로 인해 요격이 매우 어렵다. 한꺼번에 여러 발을 발사할 경우, 성능이 뛰어난 요격 체계로도 방어하기 어렵다는 것이 문제이다. 장영근 교수는 사거리 230km, 고도 30km의 초대형 방사포는 3분 이내에 한국에 도달하며, 마하 6~7의 속도로 하강하는 초대형 방사포탄은 마하 4~4.5 속도의 패트리어트-3나 탄도탄요격미사일 철매로는 요격하기 어렵다고 분석했다.

장영근 교수는 대한민국 국군이 사용하는 그린파인(탄도탄조기경보레이더)이나 이지스함 레이더는 북한 발사체가 발사된 후 20초 이상 지나야 탐지할 수 있으며, 운이 나쁘면 40~50초가 걸리기 때문에 비행시간이 3분인 초대형 방사포를 요격하기 어렵다고 지적하며, 조기경보 위성이 있다면 요격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초대형 방사포는 직경이 60cm로 작고, 동시다발로 수백, 수천 발이 날아오기 때문에 방어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비행고도가 약 35km여서 주한미군의 패트리어트 최고 요격 고도보단 높게 날고, 사드의 최저 요격고도보다 낮게 날아 우리 방공망의 사각지대를 파고들 수 있다. 신종우 한국국방안보포럼 사무국장은 군사분계선과 40여km 떨어진 수도권에 동시다발적으로 방사포가 날아올 경우 현실적으로 요격이 어렵다고 말했다.

패트리어트 레이더는 전방으로 고정되어 있어, 초대형 방사포가 고고도에서 패트리어트 레이더 후방을 지나 선회비행하여 공격할 수 있다. 후방에 사드가 있지만, 사드 요격미사일의 수량은 매우 제한적이다. 360도 회전하며 후방까지 탐지하는 국산 천궁과 달리, 패트리어트의 이러한 한계 때문에 일본은 최신형 패트리어트 레이더를 구매했다.

2022년 7월 22일, 국방부 당국자는 북한이 섞어 쏘기를 할 경우, 미사일과 유사한 궤도를 그리며 날아오는 북한 장사정포(대구경 방사포, 초대형 방사포)를 패트리어트가 미사일로 오인하여 요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북한 방사포는 탄약이 많은 반면, 패트리어트는 비싸기 때문에 중요한 미사일 방어 자산이 낭비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5. 국제 관계

5. 1. 미중 관계

INF 조약 폐기로 인해 중국을 압박하는 미국의 미사일들이 한국에 대량 배치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중국도 북한에 대한 첨단무기 판매나 기술 제공을 더욱 적극적으로 할 것으로 예상된다. INF 조약 폐기의 주요 이유 중 하나는, 중국군과 북한군이 노동급 중거리 탄도 미사일을 대량 배치하고 있는 반면, 주한미군과 주일미군은 미소간의 INF 조약 때문에 노동 미사일 배치를 전혀 못하고 있다는 불만이었다. 따라서 향후 한국과 일본에 대규모 미사일 배치를 추진하는 것이 미국의 의도이다.

현재 중국은 군사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미국에 도전하고 있으며, 물류혁신 일대일로, 최첨단 IT 산업 화웨이, 달러화의 기축통화 등 세 가지 측면에서 미국 경제를 공격하고 있다. 중국이 이 세 가지 핵심 분야에서 미국에 큰 위협이 되면서, 이러한 경제 전쟁과 맞물려 동북아 주한미군과 주일미군의 전력을 대폭 강화하려는 미국의 의도가 자주 보도되고 있다.

미국은 자유롭고 열린 인도 태평양 전략으로 일대일로에 맞대응하며 한국을 참여시키려 하고 있으나, 문재인 정부는 이에 반대하고 있다. 그러나 미중 간의 경제 전쟁과 군비 증강 대결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개인의 정책이 아니라 여야가 합의한 견해이므로, 앞으로 중국은 더욱 북한에 최첨단 무기와 경제 지원을 할 것이며, 한미일은 이에 맞서 대규모 군비 증강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5. 2. 북중 관계

미국과 중국 간의 갈등이 심화됨에 따라, 중국이 북한에 대한 군사적 지원을 강화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는 북한의 핵 및 미사일 개발 가속화와 연관되어 있다.

INF 조약 폐기로 인해, 미국이 중국을 압박하기 위해 대한민국에 미사일을 대량 배치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중국은 북한에 첨단 무기 판매나 기술 제공을 더욱 적극적으로 추진할 수 있다. INF 조약 폐기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중국군과 북한군이 노동급 중거리 탄도 미사일을 대량 배치하고 있는 반면, 주한미군과 주일미군은 INF 조약으로 인해 노동 미사일 배치를 전혀 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었다.

현재 중국은 군사적 측면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미국에 도전하고 있으며, 일대일로, 화웨이, 달러화의 기축통화 등 세 가지 측면에서 미국 경제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경제 전쟁과 맞물려 동북아 지역에서 주한미군과 주일미군의 전력을 대폭 강화하려는 미국의 의도가 자주 보도되고 있다.

미국은 자유롭고 열린 인도 태평양 전략으로 일대일로에 대응하며 대한민국을 참여시키려 하고 있으나, 문재인 정부는 이에 반대하고 있다. 그러나 미중 간 경제 전쟁과 군비 경쟁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개인의 정책이 아니라 미국 여야의 합의된 견해이므로, 중국은 북한에 대한 최첨단 무기 및 경제 지원을 강화하고, 한미일은 이에 맞서 대규모 군비 증강을 추진할 가능성이 있다.

5. 3. 우크라이나 전쟁

2022년 9월 6일, 미국 시사주간지 뉴스위크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고속기동포병로켓시스템(HIMARS·하이마스) 공격에 대응해 북한의 초대형 방사포 'KN-25' 구입을 추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하이마스는 구경 227mm 다연장 로켓이며, 초대형 방사포는 구경 600mm 다연장 로켓이다.

6. 한국의 대응

6. 1. 천무 증강 배치

2022년 전방 7개 사단에 국산 다연장 로켓 K239 천무를 획기적으로 증강배치하였다. 북한 포병부대가 운영하는 300㎜ 방사포 신형대구경조종방사포와 구경 600㎜ 초대형 방사포는 휴전선 인근에 전진 배치되어 수도권 및 계룡대 등 주요 군사기지에 가장 위협적인 포병 전력으로, 이에 대한 대응 전력으로 보인다.

6. 2. 기타 대응

7. 관련 기술 및 무기체계

7. 1. 유사 무기체계

이란의 파테-110 SRBM은 직경 610mm로, 초대형 방사포와 유사하다. 파테-110은 사거리 200-300km, 탄두중량 450-650kg, 속도 마하 3-5이며, 탄두부에 카나드 날개가 달려있다. 2018년에는 파테 모빈이라는 업그레이드 키트가 공개되었는데, 이는 적외선 카메라 유도장치를 통해 종말유도를 가능하게 한다.

이란의 파테-110 미사일은 2발을 한 트럭에 탑재한다.


북한은 1990년대까지 프로그-7과 스커드 미사일로 남한을 위협했다. 프로그-7은 무유도 로켓이고, 스커드는 유도 미사일이다. 2022년 북한은 프로그와 매우 유사한 초대형 방사포로 남한을 위협하고 있다.

프로그-7 로켓

  • 프로그-7: 직경 550mm, 탄두중량 550kg, 사거리 70km, 속도 마하 3
  • 초대형 방사포: 직경 600mm, 탄두중량 500kg, 사거리 500km, 속도 마하 6


전 세계적으로 직경 600mm 단거리 탄도 미사일은 다음과 같다:

  • FROG-3: 루나/Лунаru, 무유도, 사거리 30km, 소련 최초의 전술유도탄
  • FROG-7: 루나-M/Луна-Мru, 직경 550mm, 길이 9m, 무게 2.5톤, 무유도, 사거리 70km
  • 에이태킴스 미사일: 미국, 직경 610mm, 길이 4m, 정밀유도, 무게 1.5톤, 2연장 발사대
  • KTSSM: 대한민국, 직경 610mm, 길이 4m, 무게 1.5톤, 정밀유도, 2연장 발사대, 에이태킴스 국산화, 차기전술유도탄
  • 파테-110: 이란, 직경 610mm, 길이 10m, 정밀유도, 2연장 발사대
  • 젤잘-2: 이란, 직경 610mm, 길이 10m, 무유도, 2연장 발사대
  • 초대형 방사포: 북한, 직경 600mm, 길이 10m, 정밀유도, 4연장 발사대


에이태킴스는 육군전술유도탄의 영어 약자이다. 직경 600mm 미사일들을 전술유도탄이라고 부른다.

7. 2. 핵탄두

미국의 W70 핵탄두(직경 460mm, 폭발력 100kt), W85 핵탄두(직경 330mm, 폭발력 80kt), W50 핵탄두(직경 390mm, 폭발력 400kt), W80 핵탄두(직경 300mm, 폭발력 150kt), B83 핵폭탄(직경 460mm, 폭발력 1.2메가톤), B61 핵탄두(직경 330mm, 폭발력 340kt) 등 다양한 핵탄두 제원을 통해 초대형 방사포에 탑재 가능한 핵탄두 크기를 추정할 수 있다.

2022년 12월 31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초대형 방사포(600㎜)에 대해 "남조선전역을 사정권에 두고 전술핵탑재까지 가능한 공격형 무기"라고 주장했다. 미들버리 국제학연구소의 제프리 루이스 동아시아 비확산 프로그램 소장은 북한의 대형 방사포가 핵탄두 탑재가 가능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차두현 아산정책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초대형 방사포가 한반도와 그 인근에 대한 확실한 위협이며 핵 탑재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600mm급 초대형 방사포에 핵탄두를 장착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어렵지 않다. 미국은 냉전 시대에 155mm, 203mm 곡사포 포탄, 핵지뢰, 핵배낭 등 다양한 소형 핵무기를 개발했다. 가장 작은 W54 핵탄두는 직경 270mm, 길이 400mm, 무게 23kg이며, TNT 10톤에서 1kt의 폭발력을 가졌다.

현재 미국 토마호크 미사일에 탑재되는 W80 핵탄두는 직경 30cm, 무게 130kg, 폭발력 150kt의 수소폭탄이다. 북한의 초대형 방사포 직경이 600mm이므로, W80 핵탄두를 장착할 수 있다는 평가가 가능하다.

2022년 5월 5일, 한국 정부는 북한이 무게 400∼500㎏, 직경 60㎝ 미만의 1~2kt급 경량 핵탄두 제작을 완성한 정황을 포착했다. 서균렬 서울대 교수에 따르면, 100kt 수소폭탄에는 플루토늄 5kg이 들어가고 핵실험이 필요없다.

B83 핵폭탄은 직경은 작지만 무게가 1톤이 넘어 초대형 방사포 탑재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7. 3. 북한 핵물질 보유량

한국국방연구원은 2022년 12월 16일에 개최한 '2022 하반기 북한군사포럼'에서 북한이 생산한 고농축 우라늄은 최대 약 2044 kg, 플루토늄은 최대 78 kg으로 추정되며, 핵무기 보유 규모는 88-89발 정도라고 설명했다. NRDC 토머스 코크란 박사의 1995년 보고서에 따르면, 고농축우라늄 4 kg, 플루토늄 2 kg이면 10 kt 핵폭탄을 만들 수 있다. 이 보고서 대로 계산하면, 북한은 10 kt 핵폭탄 550발을 만들 수 있는 핵물질을 보유하고 있다. 폭발력을 높이면 핵폭탄 수량은 줄어든다.

2011년부터 한국의 독자 핵무장을 주장한 서균렬 서울대 교수에 따르면, 100 kt 수소폭탄에는 플루토늄 5 kg이 들어간다. 이를 근거로 계산하면, 북한은 100 kt 수소폭탄 220발을 만들 수 있는 핵물질을 보유하고 있다.

2016년 러시아 국영언론은 RS-28 사르마트 한 발로 프랑스 전체(551,695km²) 혹은 미국 텍사스주(695,662km²) 정도의 지역을 초토화 한다고 주장하며, 탄두중량은 10톤이다. 미국 LGM-118 피스키퍼 ICBM은 300 kt W87 수소폭탄 10발을 탑재하고, 탄두중량 3.6톤이다. 대한민국의 면적은 100,210km²이다. 이를 단순히 계산하면, 탄두중량 1.44톤, 100 kt 핵폭탄 12발이면 대한민국이 초토화 된다. 북한의 핵물질 보유량은 이미 대한민국을 초토화하는 수량을 훨씬 넘어섰다. 2022년 12월 31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핵탄두 보유량을 기하급수적으로 늘리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참조

[1] PDF https://www.nonproli[...] 2024-08
[2] PDF https://www.nonproli[...] 2024-08
[3] 웹사이트 Analysis of the KN-25 Multiple Rocket Launcher System after the 9 March 2020 DPRK Test https://datayo.org/p[...] 2021-10-26
[4] 간행물 Update on the DPRK's 600 mm Multiple Launch Rocket System https://opennuclear.[...] Open Nuclear Network 2023-02-13
[5] 웹사이트 KN-25 https://missilethrea[...]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6] 웹사이트 North Korea's Recent KN-25 Launches https://www.38north.[...] 38 North 2020-03-06
[7] 웹사이트 “A Strong Military Warning:” Four Key Implications of North Korea's October 10 Missile Statement https://www.38north.[...] 38 North 2022-10-14
[8] 웹사이트 North Korea's Feb. 8 Parade Highlights ICBMs and Tactical Nukes https://www.38north.[...] 38 North 2023-02-15
[9] 웹사이트 Brief on the Defence Development Exhibition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ttps://oneearthfutu[...] 2021-10-26
[10] 웹사이트 Pukguksong MLRS http://www.b14643.de[...] 2021-10-26
[11] PDF https://www.nonproli[...] 2024-08
[12] 웹사이트 a tale of two missiles: analysis of kcna reports on north koreas kn-23 and kn-24 short range ballistic missiles https://datayo.org/p[...]
[13] 웹사이트 KCNA Article Respected Comrade Kim Jong Un Makes Reply Speech at Ceremony of Donating 600mm Super-large Multiple Launch Rocket System http://kcna.kp/en/ar[...] 2023-01-03
[14] 웹사이트 KCNA Article Gift of Loyalty to Plenary Meeting of Great WPK from Munitions Industrial Workers http://kcna.kp/en/ar[...] 2023-01-03
[15] 웹사이트 Initial Analysis of North Korea's “New Type Long-Range Cruise Missile” https://www.38north.[...] 38 North 2021-09-15
[16] 웹사이트 North Korea Launches Four “Hwasal-2” LACMs to Show Strong Deterrence and Rapid Response https://www.38north.[...] 38 North 2023-03-01
[17] 웹사이트 North Korea Fine Tunes its Precision Strike Capabilities Amidst Pandemic https://beyondparall[...] 2021-03-12
[18] 웹사이트 KCNA Article Latest News Test-fire of Super-large Multiple Rocket Launchers Held http://kcna.kp/en/ar[...] 2023-01-03
[19] 웹사이트 North Korea: Kim Jong Un Supervised Tests of Artillery Systems Targeting Seoul https://www.voanews.[...] 2024-03-19
[20] URL https://www.nonproli[...]
[21] 뉴스 北朝鮮ミサイル名称:火星と火星砲(JSF)- 個人 https://news.yahoo.c[...] Yahooニュース 2024-04-07
[22] 웹사이트 Brief on the Defence Development Exhibition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ttps://oneearthfutu[...] 2021-10-26
[23] 웹사이트 Analysis of the KN-25 Multiple Rocket Launcher System after the 9 March 2020 DPRK Test https://datayo.org/p[...] 2021-10-26
[24] 뉴스 北朝鮮2020年10月10日軍事パレード新兵器10種類の解説(JSF)- 個人 https://news.yahoo.c[...] Yahooニュース 2024-04-23
[25] 웹사이트 Pukguksong MLRS http://www.b14643.de[...] 2021-10-26
[26] 웹사이트 a tale of two missiles: analysis of kcna reports on north koreas kn-23 and kn-24 short range ballistic missiles https://datayo.org/p[...]
[27] 뉴스 北朝鮮のファサン31戦術核弾頭の量産とその影響(JSF)- 個人 https://news.yahoo.c[...] Yahooニュース 2024-04-23
[28] 뉴스 北朝鮮ミサイルの「分析中」「可能性」とは何を意味するのか?(JSF)- 個人 https://news.yahoo.c[...] Yahooニュース 2024-04-23
[29] 웹사이트 KCNA Article Respected Comrade Kim Jong Un Makes Reply Speech at Ceremony of Donating 600mm Super-large Multiple Launch Rocket System http://kcna.kp/en/ar[...] 2023-01-03
[30] 뉴스 北朝鮮KN-25超大型ロケット弾はお尻だけ回転する(JSF)- 個人 https://news.yahoo.c[...] Yahooニュース 2024-04-23
[31] 웹사이트 Brief on the Defence Development Exhibition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ttps://oneearthfutu[...] 2021-10-26
[32] 웹사이트 Analysis of the KN-25 Multiple Rocket Launcher System after the 9 March 2020 DPRK Test https://datayo.org/p[...] 2021-10-26
[33] 뉴스 北朝鮮が新型の超大型ロケット弾を試射(JSF)- 個人 https://news.yahoo.c[...] Yahooニュース 2024-04-23
[34] 뉴스 北朝鮮が地対地型の巡航ミサイル試験発射に初めて成功(JSF)- 個人 https://news.yahoo.c[...] Yahooニュース 2024-04-23
[35] 웹사이트 Analysis of the KN-25 Multiple Rocket Launcher System after the 9 March 2020 DPRK Test https://datayo.org/p[...] 2021-10-26
[36] 웹사이트 North Korea Fine Tunes its Precision Strike Capabilities Amidst Pandemic https://beyondparall[...] 2020-03-30
[37] 웹사이트 KCNA {{!}} Article {{!}} Latest News {{!}} Test-fire of Super-large Multiple Rocket Launchers Held http://kcna.kp/en/ar[...] 2023-01-03
[38] 웹사이트 North Korea: Kim Jong Un Supervised Tests of Artillery Systems Targeting Seoul https://www.voanews.[...] 2024-03-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