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23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N-23은 북한이 개발한 단거리 탄도 미사일로, 러시아의 이스칸데르, 한국의 현무-2와 유사한 외형을 갖는다. 2017년부터 시험 발사를 시작하여 다양한 형태로 개량되었으며, 잠수함 발사형, 철도 발사형, 소형, 대형 등 여러 파생형이 존재한다. KN-23은 고체 연료를 사용하고, 회피 기동이 가능하여 한국의 미사일 방어 체계를 무력화할 수 있으며, 높은 정확도로 인해 주요 시설에 대한 위협이 될 수 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서 실전 배치되었으며, 우크라이나에서 사용된 KN-23의 부품 중 일부가 미국산으로 확인되기도 했다. KN-23의 개발과 배치는 한반도의 안보 위협을 증가시키고, 한국군의 대응 전략에 한계를 가져오며, 핵무장 논쟁을 촉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술 탄도 미사일 - 화성-11나형
화성-11나형은 KN-24라고도 불리는 북한의 단거리 탄도 미사일로, 에이태큼스와 유사한 외형과 정밀 유도 능력을 갖춰 한국 공군 기지에 위협이 되며, 2024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실전 사용 가능성이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탄도 미사일 - KN-10 미사일
KN-10은 북한이 개발한 단거리 지대지 미사일로, SS-21 스캐럽 미사일 개량형으로 추정되며, 120~300km 사거리에 1단 고체연료를 사용하고 이동식 발사대를 통해 발사되어 기동성을 확보했으며, KN-08 핵탄두 탑재 가능성이 제기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탄도 미사일 - 북극성 5호
북극성 5호는 북한이 개발 중인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로 2021년 열병식에서 공개되었으며, 북극성 4호의 개량형으로 추정되나 모형일 가능성도 있으며, 베링해에서 발사 시 미국 동부까지 타격 가능한 잠재력을 가진 것으로 평가된다.
| KN-23 | |
|---|---|
| 기본 정보 | |
![]() | |
| 명칭 | 화성-11가 |
| 형식 | 단거리 탄도 미사일 |
| 원산지 | 북한 |
| 제원 | |
| 탄두 중량 | , 핵탄두 및 통상탄두 |
| 엔진 | 고체 복합 추진제 |
| 유도 방식 | 관성 항법 장치(INS), 위성 항법 가능성 있음 |
| 정확도 | 35 m |
| 길이 | (초기형) (후기형) |
| 개발 및 생산 | |
| 설계 시기 | 2018년 |
| 제조사 | 2월 11일 공장 |
| 운용 정보 | |
| 운용 국가 | 북한 러시아 |
| 사용된 전쟁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 발사 플랫폼 | 8×8륜 TEL 10×10륜 TEL 궤도식 발사대 철도 차량 |
2. 역사
KN-23은 2018년 2월 8일 군사 퍼레이드에서 처음 공개되었다. 이후 북한은 지속적인 시험 발사를 통해 KN-23의 성능을 개량해왔다.
2019년 5월 4일 원산 부근에서 첫 시험 발사가 이루어졌고[10], 5일 뒤 구성에서 두 발의 미사일이 추가로 발사되었다.[7][8] 2019년에만 여러 차례 시험 발사가 진행되었으며, '김스칸데르'라는 별칭을 얻기도 했다.
KN-23 발사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정부는 단거리 탄도 미사일(SRBM) 여부를 두고 논란을 빚었다. 주한미군은 KN-23을 단거리 탄도 미사일(SRBM)로 판정했으나[10], 한국 정부는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을 우려하여 '단거리 발사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2022년 1월에는 저고도 탄도탄 궤적 시험에 성공하며 미사일 방어 시스템에 대한 대응 능력을 강화했다.[27]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과정에서 KN-23이 실전에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2023년 10월, 미국 정보에 따르면 북한이 러시아에 탄도 미사일을 이전했으며[37], 2023년 12월 우크라이나 공격 잔해에서 KN-23의 특징이 확인되었다.[37][38] 2024년 4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공격에 사용된 무기가 KN-23임을 공식 확인했다.[41][42] 그러나 우크라이나 정보 당국은 KN-23의 고장률이 높다고 보고했다.[43]
2. 1. 초기 개발 및 시험 발사 (2017-2019)
KN-23은 2018년 2월 8일 군사 퍼레이드에서 처음 공개되었다.[10] 외형은 러시아의 9K720 이스칸데르, 한국의 현무-2와 유사하다.2017년 8월 26일, 강원도 깃대령 미사일 기지에서 탄도미사일 3발이 발사되었다. 이 중 1발은 폭발했고, 2발은 250km를 비행했다. 당시에는 미사일 종류가 확인되지 않았으나, 2019년 전문가들은 이를 KN-23으로 추정했다.[10]
2019년에는 여러 차례 시험 발사가 이루어졌다.
- 5월 4일, 원산 근처에서 최초 발사 실험이 이루어져 240km를 비행하고 고도 60km에 도달했다. 그러나 북한이 공개한 영상에는 조작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미사일은 두 대의 다른 발사대에서 발사된 것으로 추정된다.[10]
- 5월 9일, 구성에서 두 발의 미사일이 추가로 발사되었다. 하나는 420km, 다른 하나는 270km를 비행했으며, 모두 고도 50km였다.[7][8] 당초 한국군은 발사 장소를 신오리 미사일 기지로 지목했으나, 2시간 후 구성으로 수정했다. 이는 한국군 레이다가 북한 미사일이 고도 30km 이상 떠올라야 탐지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 7월 25일, 원산 미사일 기지에서 두 발의 단거리 탄도 미사일이 발사되었다. 첫 번째 미사일은 430km, 두 번째 미사일은 690km를 비행했다. 5월 9일 KN-23 발사 이후 78일 만이었다. 첫 번째는 KN-23으로 추정되었지만, 두 번째는 사거리가 길어 다른 종류로 추정되었다. 다른 보도에서는 사거리 690km 비행이 KN-23의 최대 사거리 시험 발사일 수 있다는 분석도 있었다. 26일, 합참은 두 발 모두 600km를 비행했다고 수정 발표했다.
- 7월 31일, 원산 미사일 기지에서 KN-23 두 발이 새벽 5시에 발사되어 동해로 250km 비행했다. 한국군은 KN-23으로 추정했지만, 당일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신형대구경조종방사포라고 보도했다.
- 8월 10일, 함경남도 함흥에서 두 차례 미사일이 발사되었다. 고도 48km, 비행거리 400km, 최대 속도 마하 6.1로 탐지되었다.
- 8월 16일, 북한은 동해로 전술지대지미사일을 발사했다.
LA타임스는 북한이 5월 4일과 9일 발사한 미사일이 러시아의 이스칸데르와 유사하여 일부 전문가들 사이에서 '''김스칸데르'''라고 불린다고 보도했다.
2. 2. 대한민국 정부의 탄도 미사일 논란 (2019)
일각에서는 한국 정부가 논란을 만들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주한미군은 김스칸데르 미사일을 단거리 탄도 미사일(SRBM)이라고 판정했다.[10]유엔 안보리 결의는 북한의 모든 탄도 미사일 발사를 금지한다. 한국 정부는 이번 김스칸데르 3회 발사가 단거리 탄도 미사일(SRBM)이어서 국제법인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면, 당연히 제재 결의를 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따라서 북한의 이번 3회 발사는 단거리 탄도 미사일(SRBM)이 아니라 단거리 발사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유엔 안보리 결의는 북한의 모든 석탄 수출을 금지하지만, 여전히 북한은 석탄을 밀수출하고 있다. 그렇다고 그것을 적발했다고 추가로 유엔 안보리가 제재 결의를 하지는 않는다. 제재 결의를 추가로 새로 하려면 중국, 러시아가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아야 하는데, 이들이 국제 여론에 밀려 찬성하지 않을 수 없게 만드는 중대한 위반이 있어야 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산 석탄 대한민국 반입 사건, 와이즈 어니스트 압류 사건을 참고할 수 있다.
북한이 단거리 탄도 미사일(SRBM)을 3회나 발사했지만, 트럼프 대통령 조차 이것으로 유엔 안보리가 제재 결의를 추가로 새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지 않고 있다. 그런데 한국 정부는 단거리 탄도 미사일(SRBM)은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어서 국제법 위반이고 그러면 안되니까, 단거리 탄도 미사일(SRBM)이라고 부르면 안되고 단거리 발사체라고 불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북한 조차도 단거리 탄도 미사일(SRBM)이라며 자랑스럽게 사진을 보도했다. 단거리 탄도 미사일(SRBM)인지 아닌지는 유엔 안보리 추가 제재 결의와 아무 상관도 없다. 한국 정부는 독자적인 국제법 해석을 하여, 단거리 발사체, 단거리 미사일 등의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2019년 5월 21일, 문재인 대통령이 청와대 본관 1층 인왕실에서 로버트 B. 에이브럼스 주한미군사령관과의 오찬 간담회에서 탄도 미사일이라고 말했는데, 고민정 대변인이 "대통령님, ‘탄도미사일’이라고 말씀하셨는데 그게 맞나요?"라고 묻자, 문 대통령은 “제가 그랬나요? 단거리 미사일이죠”라고 정정했다.
5월 26일,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이 작은 무기들을 발사했는데 이것이 일부 사람들을 불안하게 만들지 모르지만 나는 아니다"라고 트위터에 글을 올렸다. 유엔 안보리 결의는 북한의 모든 탄도 미사일 발사를 금지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트위터 글로, 미국은 어느 정도의 작은 무기 발사는 해도 문제가 안 된다는 입장인 것으로 보인다. 유엔 안보리 결의는 국제법인데, 국제법 위반 행위를 확인하는 판결도 유엔 안보리 결의로 하며, 상임이사국 5개국이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아야 한다. 트럼프 대통령이 문제가 안 된다고 발언하여, 북한의 단거리 탄도 미사일 발사를 사거리 420km 까지는 허용한다는 취지로 해석할 수 있다.[7][8]
2. 3. 추가 시험 발사 및 개량 (2020-현재)
2020년 3월 21일, 북한은 평안북도 선천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두 발의 전술지대지미사일을 발사하였다. 발사 간격은 5분이었으며, 비행거리는 약 410km, 고도는 약 50km로 탐지되었다.[10]2021년 3월 25일, KN-23의 변종으로 추정되는 더 큰 크기의 미사일 두 발이 발사되었다. 북한은 이 미사일이 약 600km를 비행했고 2,500kg의 탄두를 장착했다고 주장했지만, 한국과 일본은 초기 분석에서 420~450km, 고도 60km로 발표하였다.[28] 이후 한국 국방부는 600km 사거리 주장에 동의하며, 이는 지구 곡률로 인한 레이더 탐지 범위의 사각지대 때문이라고 밝혔다.[30]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원국들은 2.5톤의 질량이 탄두 중량이 아니라 연소 후 미사일 전체 무게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고 추정했다.[31]
2021년 9월 15일, 양덕에서 발사된 두 발의 미사일은 최대 800km를 비행하여 최고 고도 60km에 도달하였다. 이 미사일들은 기본형 KN-23으로 보이며, 개조된 철도 차량에서 발사되었다. 이는 철도 기반 미사일 발사 시스템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이다.[32][33] 북한은 철도 발사대를 추가하여 단거리 탄도 미사일 전력을 다양화하고,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에도 적용하기 위한 시험을 진행했을 가능성이 있다.[34][35]
2022년 1월 14일, 북한은 의주에서 철도 발사 KN-23 두 발을 다시 시험했으며, 430km를 비행하였다.[36] 1월 27일에는 도로 이동식 KN-23 두 발의 시험 발사가 공중폭발 방식 재래식 탄두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 발사는 20km의 저고도 궤적으로 190km를 비행하였다.[27]
2024년 7월에는 4.5톤급 변종의 계속된 시험 발사가 있었고, 이는 2024년 9월 19일 조선중앙통신(KCNA)에 의해 발표되었다.[24][25]
2. 4.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의 사용 (2023-현재)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서 KN-23이 처음으로 실전 배치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2023년 10월, 기밀 해제된 미국 정보에 따르면, 북한은 러시아에 알려지지 않은 수의 탄도 미사일을 이전했다.[37]2023년 12월 30일,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 목표물을 공격한 후 남은 잔해를 분석한 결과, 제어 날개를 수납하는 링이 KN-23과 KN-24 미사일에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37][38] 미사일 고도계에는 한글 글자가 있었고, 여러 부품에는 공장 이름으로 추정되는 표식이 있었다.[4]
2024년 1월 2일 하르키우 공격 중 우크라이나 당국은 사용된 미사일이 북한산임을 확인하고, 그 형태와 설계가 이스칸데르 미사일과 다르다고 언급했다. 2024년 4월 29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공격에 사용된 무기가 KN-23임을 확인했다.[41][42]
영국에 본부를 둔 분쟁 무기 연구소(Conflict Armament Research)는 하르키우에 발사된 KN-23의 유도 제어 시스템 부품 중 75%가 미국 부품을 기반으로 한다고 밝혔다.[39] 또한 일부 미사일은 새로 생산된 것이라고 밝혔다.[40]
2024년 5월 7일, 우크라이나 정보 당국은 KN-23의 고장률이 높다고 보고했다. 북한산 미사일의 절반이 예정된 궤도를 이탈하여 공중에서 폭발했다.[43] 2024년 2월 16일, 우크라이나 측 데이터에 따르면, 러시아군은 북한에서 제공받은 KN-23 및 KN-24를 총 24발 사용했지만, 모두 정확도가 낮았다.[71]
3. 설계 및 특징
KN-23은 러시아의 9K720 이스칸데르와 한국의 현무-2와 외형이 유사한 단거리 탄도 미사일이다. 2019년 5월 4일 첫 발사 이후, 여러 차례 시험 발사가 이루어졌다.
KN-23은 이스칸데르-M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고 추정되지만,[51] 케이블 레이스웨이가 가늘고, 제트 베인 액추에이터의 형상이 다르며, 이스칸데르-M에 설치되어 있는 9B899 기만탄 사출구가 없고, 저면이 매끄럽다는 점에서 외관상 구별된다.[52][53]
준탄도 궤적으로 비행하며, 고도 약 50km에서 풀업 기동을 통해 비행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레이더 탐지를 어렵게 만들어 생존성을 높인다.
장영근 항공대 교수는 비행 거리 차이가 탄두 중량에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78] LA타임스는 KN-23을 "김스칸데르"라고 부르기도 한다.[78]
KN-23의 정확도는 35m의 CEP를 가진다.[81] DSMAC 유도가 가능하다면 5m CEP의 정밀 유도가 가능하며, 이는 재래식 폭탄으로도 핵폭탄에 준하는 파괴력을 낼 수 있음을 의미한다.
KN-23은 액체 연료를 사용하는 북한의 구형 단거리 탄도 미사일인 화성-5와 화성-6을 대체할 가능성이 높다. 고체 연료를 사용하고 이동성이 뛰어나 발사 전 탐지가 어렵고, 낮은 고도와 풀업 기동으로 요격이 어렵다. 또한, 부품 공급 등 외국과의 기술 협력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9K720 이스칸데르와는 상당한 차이점을 보인다.
| 제원 | KN-23 | 이스칸데르 | 현무-2B |
|---|---|---|---|
| 무게 | 불명 | 3800kg | 7300kg |
| 길이 | 불명 | 7.3m | 6m |
| 직경 | 0.92m | 0.92m | 0.92m |
| 사거리 | 500km | 500km | 550km |
| 탄두 중량 | 500kg | 700kg | 300kg |
| 연료 | 1단 고체 연료 | 1단 고체 연료 | 1단 고체 연료 |
3. 1. 기본형 (화성-11A)
KN-23의 기본형은 러시아의 이스칸데르-M과 대한민국의 현무-2B 단거리 탄도 미사일과 외형이 유사하다.[51] 그러나 KN-23은 더 가늘어진 케이블 레이스웨이, 다른 형태의 제트 베인 액추에이터, 그리고 매끄러운 기저부 등을 통해 이스칸데르-M과 구별된다.[52][53]KN-23은 이스칸데르-M처럼 준탄도 궤적으로 비행하며, 고도 약 50km 이하에서 미사일의 날개를 작동시켜 비행 경로를 변경하는 풀업(pull-up) 기동을 할 수 있다.[7][8][9] 이러한 비행 특성은 레이더 탐지를 어렵게 만든다.
KN-23의 탄두 중량은 500kg, 사거리는 약 450km로 추정되며, 이는 대한민국 전체를 사정권에 넣는다. 탄두 중량을 줄이면 사거리를 690km까지 늘릴 수 있다.[7][8][9] 탄두는 재래식(단일 또는 소형탄두) 또는 핵탄두일 수 있으며, 로켓 모터와 탄두가 일체로 된 채 목표물에 돌입한다.[54]
KN-23의 CEP는 위성 유도를 사용하면 100m 이내, 관성항법장치(INS)만 사용하면 200m 이내로 알려져 있다.[7][8][9] 발사에는 바퀴 달린 이동식 발사대(TEL)가 사용된다.
KN-23은 북극성-1과 동일한 직경 1.1m의 고체 로켓 모터를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이스칸데르-M보다 크다.[10]
KN-23은 액체 연료를 사용하는 북한의 구형 단거리 탄도 미사일인 화성-5와 화성-6을 대체할 가능성이 높다. 고체 연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더 빠르게 이동하고 발사할 수 있으며, 낮은 고도와 풀업 기동 능력으로 인해 기존의 미사일 방어 시스템으로 탐지 및 요격하기가 더 어렵다.[7][8][9]
KN-23은 부품 등 외국과의 연관성이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며, 9K720 이스칸데르와 상당한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11][12] KN-23 탄두 부분은 최대 1500kg의 고폭탄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고 있다.[13]
3. 2. 대형 (화성-11C/Da)
2021년 1월 14일 군사 퍼레이드에서 더 큰 버전의 KN-23이 공개되었다. 이 미사일은 추정 길이 9.8m로, 로켓 모터에 추가 구간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14] 더 긴 TEL(이동식 발사대)에 장착되며, 탄두는 KN-24와 모양이 비슷하다.[15]
2021년 3월 25일, 이 대형 미사일 두 발이 처음 발사되었다. 북한은 이 미사일이 600km를 비행했고 2,500kg의 탄두를 장착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한국과 일본의 초기 분석에서는 비행 거리가 420~450km, 고도는 60km로, 탄두 중량 주장은 과장되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았다.[28] 이러한 주장은 북한이 한국의 현무-4(탄두 중량 2,000kg)에 대응하여 "세계에서 가장 무거운 탄두 중량"을 가진 미사일을 개발했다는 인상을 주기 위한 선전일 수 있다.[29]
이후 서욱 한국 국방부 장관은 북한의 600km 비행 주장에 동의하며, 초기 분석의 차이는 지구 곡률로 인한 레이더 탐지 범위의 사각지대 때문이라고 설명했다.[30] 이 미사일은 발사 지점에서 한국 전역을 거의 완전히 타격할 수 있으며, 북한의 주장대로라면 강력한 지하 벙커버스터가 될 수 있다.[15]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원국들은 2.5톤의 탄두 중량 주장이 사실은 연소 후 미사일 전체 무게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고 의심한다.[31]
2024년 9월 19일, 조선중앙통신(KCNA)은 4.5톤 탄두를 탑재한 화성-11Da-4.5를 공식 발표했다.[24][25] 2024년 7월 1일, 사거리 250km로 시험 발사되었으나, 이후 미사일 당국은 공식 사거리 320km를 주장했다.[25] 한국 군 당국에 따르면, 7월 1일 발사는 두 발의 미사일로 구성되었으며, 한 발은 120km 비행 후 폭발하여 실패했고, 다른 한 발은 600km의 사거리를 기록했다.[26]
3. 3. 소형 (화성-11Ra/D)
2022년 4월 16일, 북한은 신형 단거리 탄도미사일(SRBM) 시험 발사를 진행했다. 이 미사일은 KN-23의 소형화된 버전으로, 바퀴 달린 이동식 발사대(TEL)에 4개의 직사각형 발사관을 장착한 형태였다. 시험 발사에서는 두 발의 미사일이 발사되었으며, 고도는 약 25km, 사거리는 약 110km, 최고 속도는 마하 4.0을 기록했다.[22]이 미사일은 KN-02와 유사한 사거리를 가지며, 한국의 KTSSM에 대응하는 무기로 평가된다. 북한은 발사 성명을 통해 전술핵무기 개발과의 연관성을 시사했다.[22] 소형 경량 전술핵탄두를 탑재하고 KN-23의 기동성을 유지할 경우, 미사일 방어 시스템에 대한 생존성을 높여 단거리 표적에 대한 위협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22]
2024년 5월 17일, 북한은 화성-11D를 300km 사거리로 시험 발사했다.[23]
3. 4. 잠수함 발사형 (화성-11S)
2021년 10월 1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신포급 잠수함에서 KN-23을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로 발사하는 실험을 실시했다. 발사된 미사일은 590km를 비행했고, 고도는 60km에 달했다. 수중 발사에는 콜드 런치 방식이 채택되었으며, 가스 발생기가 추가되었다.[16][17]KN-23 잠수함 발사형은 북극성 1호 등 기존 북한이 개발해 온 SLBM과 달리, 기본형 KN-23과 마찬가지로 변칙적인 궤적을 비행하기 때문에 미사일 방어 시스템에 대한 회피 능력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북극성 1호 등에 비해 사정거리가 짧기 때문에, KN-23 잠수함 발사형을 탑재한 모함은 발사 시 공격 목표에 접근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모함이 발사 전에 탐지·파괴될 위험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KN-23 잠수함 발사형의 발사 실험이 이루어진 시기가 대한민국이 이스칸데르-M과 외관이 유사한 현무 미사일의 잠수함 발사형인 현무-4-4의 발사 실험을 실시한 수 주 후라는 점에서, KN-23 잠수함 발사형은 실용 병기라기보다는 정치적 선전을 위해 개발되었을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다.[18][19]
2022년 5월 7일, KN-23 잠수함 발사형으로 추정되는 SLBM 발사 실험이 실시되었다. 이 미사일은 600km를 비행했고, 고도는 60km에 달했다.[20]
2022년 9월 25일에는, 내륙에 있는 저수지에 설치된 발사 사일로에서 KN-23을 발사하는 실험이 실시되었다. 공개된 사진을 볼 때, 기존에 확인된 잠수함 발사형과 마찬가지로 수중에서 발사된 것으로 보인다. 발사 사일로는 폰툰에 설치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이러한 발사 방식을 실전 사용 목적으로 개발했는지, 아니면 모든 방법으로 발사할 수 있다는 것을 과시하여 한국의 선제 공격 전략을 억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한 데모인지는 확실하지 않다.[21]
3. 5. 철도 발사형
2021년 9월 15일, 양덕군에서 발사된 두 발의 미사일은 최대 800km를 비행하여 최고 고도 60km에 도달했다. 이 미사일들은 기본형 KN-23으로 추정된다. 이 미사일들은 이전의 어떤 발사보다 훨씬 더 먼 거리를 비행했으며, 2021년 초에 시험 발사된 더 큰 변종보다도 더 먼 거리를 날아갔다. 이러한 과도한 사거리는 이전에 최대 사거리까지 시험되지 않았거나, 탑재량 감소 또는 비행 프로필 개선과 같은 설계 변경이 있었음을 시사할 수 있다. 발사는 일반적인 도로 이동식 발사대가 아닌 개조된 철도 차량에서 이루어졌으며, 사용된 발사용 철도 차량은 TEL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나란히 배치된 두 개의 발사기구를 가지고 있었다.[32][33]단거리탄도미사일(SRBM)에 철도 이동식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은 드문 일이다. 도로 이동식 발사대는 비교적 작은 미사일을 배치하고 은폐하기가 더 쉽기 때문이다. 반면 철도 미사일은 철도망에 제한된다. 철도 발사대를 추가하는 것은 국가의 SRBM 미사일 전력을 더욱 증가시키고 다양화하려는 노력일 수 있다. 기존 철도 차량을 개조하여 미사일을 발사하는 것은 제한된 수의 발사 트럭을 보완하는 방법이거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에 적용하기 전에 개념을 시험하는 방법일 수 있다. 철도 기반 ICBM은 바퀴 달린 TEL에 의해 운반되는 ICBM보다 장점이 있는데, 철도 차량에 실린 이러한 대형 액체 연료 미사일은 더 많은 장소로 이동할 수 있고 더 높은 대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34][35]
2022년 1월 14일, 북한은 다시 철도 발사 KN-23을 시험했다. 의주군에서 발사된 두 발의 미사일은 430km를 비행했다. 1월 15일, 조선중앙통신은 미사일 발사 시험 사진을 공개했다.[36]
4. 제원
| 제원 | KN-23 | 이스칸데르 | 현무-2B |
|---|---|---|---|
| 무게 | 3800 kg | 7300 kg | |
| 길이 | 7.3 m | 6 m | |
| 직경 | 0.92 m[77] | 0.92 m | 0.92 m |
| 사거리 | 500 km[78] | 500 km | 550 km |
| 탄두 중량 | 500 kg[78] | 700 kg | 300 kg |
| 연료 | 1단 고체연료 | 1단 고체연료 | 1단 고체연료 |
KN-23은 이스칸데르-M과 현무-2B와 외형적으로 유사하지만, 케이블 레이스웨이가 가늘고, 제트 베인 액추에이터의 형상이 다르며, 저면이 매끄럽다는 점에서 구별된다.[52][53]
러시아 이스칸데르의 제원은 다음과 같다.
KN-23의 정확도는 35m의 원형공산오차(CEP)이다.[81]
5. 군사적 의의 및 영향
KN-23은 북한이 개발한 단거리 탄도 미사일로, 대한민국의 안보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한국군의 기존 대응 전략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KN-23은 고체 연료를 사용하고 이동발사대(TEL)에서 발사되어 발사 징후를 포착하기 어렵다. 이는 한국군의 킬 체인 전략을 무력화할 수 있다. 또한, 9K720 이스칸데르와 유사한 회피 기동 능력을 갖추고 있어 패트리어트 미사일, 천궁 미사일, 사드 등 한국군의 KAMD 미사일 방어 시스템으로 요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3축 체계 중 대량응징보복만이 유일한 대응 전략으로 남지만, 그 실효성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1]
KN-23은 CEP 35m 수준의 정밀도를 가지며, DSMAC 유도 방식을 사용하면 5m CEP까지 향상될 수 있다.[81] 이는 재래식 탄두로도 원자력 발전소와 같은 주요 시설에 정밀 타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한편, 유엔 안보리 결의는 북한의 모든 탄도 미사일 발사를 금지하고 있다.[1] 그러나 주한미군은 KN-23을 단거리 탄도 미사일(SRBM)로 판정했음에도 불구하고,[1] 트럼프 대통령은 "작은 무기" 발사가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혀[1] 유엔 안보리 추가 제재 결의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5. 1. 한반도 안보 위협
KN-23은 러시아의 9K720 이스칸데르와 한국의 현무-2를 닮은 외형을 가지고 있으며, 그 성능 또한 유사하여 대한민국에 상당한 안보 위협이 되고 있다.[7] 북한은 2019년 5월부터 KN-23 시험 발사를 여러 차례 진행했는데, 특히 2019년 7월 25일에는 원산 미사일 기지에서 발사된 KN-23이 690km를 비행하여[8] 대한민국 전역을 사정권 안에 두게 되었다.[9] 원산에서 서울까지의 거리는 190km, 부산까지는 460km에 불과하다.KN-23은 탄두 중량을 조절하여 사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데, 탄두 중량을 줄이면 사거리가 늘어나는 방식이다.[78] 장영근 항공대 교수는 비행 거리의 차이가 탄두 중량에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77]
KN-23은 이동발사대(TEL)에서 발사되며, 고체 연료를 사용하여 신속한 발사가 가능하다.[7] 또한, 낮은 고도와 "상승" 기동 능력으로 인해 레이더에 잘 포착되지 않고,[7] 기존 미사일 방어 시스템으로 요격하기 어렵다.[8]
KN-23의 정확도는 CEP 35m 수준으로 매우 정밀하며,[81] DSMAC 유도 방식을 사용할 경우 5m CEP까지 향상될 수 있다. 이는 재래식 탄두로도 핵무기에 버금가는 파괴력을 낼 수 있음을 의미하며, 특히 원자력 발전소와 같은 주요 시설에 대한 정밀 타격 능력을 갖추게 되어 위협적이다.
5. 2. 한국군 대응 전략의 한계
KN-23은 1단 고체연료를 사용하여 즉시 발사가 가능해, 한국군의 킬 체인을 무력화할 수 있다.[1] 이 미사일은 9K720 이스칸데르처럼 회피 기동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스칸데르는 한국의 패트리어트 미사일, 천궁 미사일, 사드를 모두 회피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1] 따라서 KN-23 때문에 KAMD가 무력화될 수 있으며, 이 경우 3축 체계 중 대량응징보복만이 유일한 대응 전략으로 남지만, 그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된다.[1]5. 3. 핵무장 논쟁 촉발
일각에서는 한국 정부가 논란을 만들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주한미군은 KN-23을 단거리 탄도 미사일(SRBM)이라고 판정했다.[1]유엔 안보리 결의는 북한의 모든 탄도 미사일 발사를 금지한다.[1] 그래서 KN-23 3회 발사가 SRBM이어서 국제법인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면, 당연히 제재 결의를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북한의 이번 3회 발사는 SRBM이 아니라 단거리 발사체라고 한국 정부는 주장했다.[1]
그러나 유엔 안보리 결의는 북한의 모든 석탄 수출을 금지하지만, 여전히 북한은 석탄을 밀수출하고 있다.[1] 그렇다고 그것을 적발했다는 이유만으로 추가로 유엔 안보리가 제재 결의를 하지는 않는다.[1] 제재 결의를 추가로 새로 하려면 중국, 러시아가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아야 하는데, 중국, 러시아가 국제여론에 밀려 찬성하지 않을 수 없게 만드는 중대한 위반이 있어야 한다.[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산 석탄 대한민국 반입 사건, 와이즈 어니스트 압류 사건을 참고하라.[1]
즉, 북한이 SRBM을 3회나 발사했지만, 트럼프 대통령 조차 이것으로 유엔 안보리가 제재 결의를 추가로 새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지 않고 있다.[1] 그런데 한국 정부는 SRBM은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어서 국제법 위반이고 그러면 안되니까, SRBM이라고 부르면 안되고 단거리 발사체라고 불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1] 북한 조차도 SRBM이라며 자랑스럽게 사진을 보도했다.[1] SRBM인지 아닌지는 유엔 안보리 추가 제재 결의와 아무 상관도 없다.[1] 한국 정부는 국제법 해석을 하여, 단거리 발사체, 단거리 미사일 등으로 표현하고 있다.[1]
2019년 5월 21일, 문재인 대통령이 청와대 본관 1층 인왕실에서 로버트 B. 에이브럼스 주한미군사령관과의 오찬 간담회에서 탄도 미사일이라고 말했는데, 고민정 대변인이 "대통령님, ‘탄도미사일’이라고 말씀하셨는데 그게 맞나요?"라고 묻자, 문 대통령은 “제가 그랬나요? 단거리 미사일이죠”라고 정정했다.[1]
5월 26일,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이 작은 무기들을 발사했는데 이것이 일부 사람들을 불안하게 만들지 모르지만 나는 아니다"라고 트위터에 글을 올렸다.[1] 유엔 안보리 결의는 북한의 모든 탄도 미사일 발사를 금지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트위터 글로, 미국은 어느 정도의 작은 무기들의 발사는 해도 문제가 안된다는 입장인 것으로 보인다.[1] 유엔 안보리 결의는 국제법인데, 국제법 위반 행위를 확인하는 판결도 유엔 안보리 결의로 하며, 상임이사국 5개국이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아야 한다.[1] 트럼프 대통령이 문제가 안된다고 발언하여, 북한의 단거리 탄도 미사일 발사를 사거리 420 km 까지는 허용한다는 취지로 해석할 수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https://www.mod.go.j[...]
2024-08-01
[2]
웹사이트
Report to Congress on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and Missile Programs
https://news.usni.or[...]
2023-01-26
[3]
PDF
https://www.nonproli[...]
2024-08-01
[4]
웹사이트
Documenting a North Korean missile in Ukraine
https://storymaps.ar[...]
2024-01-21
[5]
웹사이트
Twitter1
https://twitter.com/[...]
2023-07-26
[6]
웹사이트
Twitter2
https://twitter.com/[...]
2023-04-09
[7]
웹사이트
KN-23
https://missilethrea[...]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8]
웹사이트
KN-23
https://missiledefen[...]
[9]
웹사이트
North Korea’s New Short-Range Missiles: A Technical Evaluation
https://www.38north.[...]
2019-10-09
[10]
웹사이트
Pukguksong GLBM-2 and GLBM-3
http://www.b14643.de[...]
2021-10-25
[11]
웹사이트
A Tale of Two Missiles: Analysis of KCNA Reports on North Korea's KN-23 and KN-24 Short-Range Ballistic Missiles
https://web.archive.[...]
2021-10-13
[12]
웹사이트
Preliminary Analysis: KN-23 SRBM
https://nonprolifera[...]
2021-10-13
[13]
PDF
https://www.nonproli[...]
2024-08-01
[14]
웹사이트
Pukguksong GLBM-3
http://www.b14643.de[...]
2021-10-25
[15]
웹사이트
ONN Korean Peninsula Risk Assessment March 2021
https://web.archive.[...]
2021-10-25
[16]
웹사이트
North Korea’s “New Type Submarine-Launched Ballistic Missile”: More Political Than Military Significance
https://www.38north.[...]
2021-10-22
[17]
웹사이트
Brief on the 19 October 2021 Submarine-Launched Ballistic Missile Test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ttps://oneearthfutu[...]
2021-10-20
[18]
웹사이트
North Korea’s “New Type Submarine-Launched Ballistic Missile”: More Political Than Military Significance
https://www.38north.[...]
2021-10-22
[19]
웹사이트
Brief on the 19 October 2021 Submarine-Launched Ballistic Missile Test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ttps://oneearthfutu[...]
2021-10-20
[20]
웹사이트
North Korea fires apparent submarine-launched ballistic missile
https://english.kyod[...]
2022-05-07
[21]
웹사이트
“A Strong Military Warning:” Four Key Implications of North Korea’s October 10 Missile Statement
https://www.38north.[...]
2022-10-14
[22]
웹사이트
North Korea’s New Short-Range Ballistic Missile
https://www.38north.[...]
2022-04-25
[23]
웹사이트
https://news.usni.or[...]
2024-08-01
[24]
웹사이트
Newstream
https://kcnawatch.or[...]
2024-09-20
[25]
웹사이트
North Korea tests ‘explosive power’ of new ballistic missile NK News
https://www.nknews.o[...]
2024-09-20
[26]
웹사이트
N. Korea tests new ballistic missile with super-large 4.5-ton warhead
https://www.chosun.c[...]
2024-09-20
[27]
뉴스
North Korea's Fifth and Sixth Rounds of January Missile Launches
https://www.38north.[...]
The Henry L. Stimson Center
2022-01-31
[28]
웹사이트
Initial Analysis of North Korea’s March 25 SRBM Launches
https://www.38north.[...]
2021-03-30
[29]
웹사이트
Missile Deployments on the Korean Peninsula: An Accelerating Arms Race
https://www.38north.[...]
2021-05-07
[30]
웹사이트
Seoul says North Korean SRBMs test-launched on 25 March travelled 600 km
https://www.janes.co[...]
2021-05-02
[31]
웹사이트
DPRK Military Parade Viewbook 2022
https://opennuclear.[...]
2022-04-21
[32]
웹사이트
It’s the Launcher, Not the Missile: Initial Evaluation of North Korea’s Rail-Mobile Missile Launches
https://www.38north.[...]
2021-09-17
[33]
웹사이트
The First DPRK Missile Launch from a Rail-Mobile Launcher
https://oneearthfutu[...]
2021-09-17
[34]
웹사이트
It’s the Launcher, Not the Missile: Initial Evaluation of North Korea’s Rail-Mobile Missile Launches
https://www.38north.[...]
2021-09-17
[35]
웹사이트
The First DPRK Missile Launch from a Rail-Mobile Launcher
https://oneearthfutu[...]
2021-09-17
[36]
뉴스
North Korea tests railway-borne missile in latest launch amid rising tension with U.S.
https://www.reuters.[...]
Reuters
[37]
뉴스
White House says Russia used missiles from North Korea to strike Ukraine
https://www.reuters.[...]
2024-01-05
[38]
웹사이트
US DoD accuses Russia firing North Korean KN-23 ballistic missiles against Ukraine
https://www.armyreco[...]
Army Recognition
2024-01-05
[39]
웹사이트
North Korea used US parts in ballistic missile Russia fired at Ukraine: Report
https://www.nknews.o[...]
NK News
2024-02-21
[40]
웹사이트
https://archive.toda[...]
[41]
웹사이트
Ukraine shows evidence Russia fired North Korea missile at Kharkiv
https://www.reuters.[...]
2024-01-06
[42]
웹사이트
Exclusive: UN experts say North Korea missile landed in Ukraine's Kharkiv
https://www.reuters.[...]
2024-04-29
[43]
웹사이트
Exclusive: Ukraine examines N.Korean missile debris amid fears of Moscow-Pyongyang axis
https://www.reuters.[...]
2024-05-07
[44]
웹사이트
Brief on 27 July 2023 Parade of the DPRK
https://opennuclear.[...]
Open Nuclear Network
2023-08-08
[45]
웹사이트
https://www.mod.go.j[...]
[46]
간행물
Report to Congress on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and Missile Programs
https://news.usni.or[...]
2023-01-26
[47]
웹사이트
https://www.nonproli[...]
[48]
웹사이트
Documenting a North Korean missile in Ukraine
https://storymaps.ar[...]
Conflict Armament Research
2024-01-19
[49]
웹사이트
Twitter1
https://twitter.com/[...]
2023-07-26
[50]
웹사이트
Twitter2
https://twitter.com/[...]
[51]
뉴스
North Korea’s Army Day Military Parade: One New Missile System Unveiled
https://www.38north.[...]
38 NORTH
2018-02-08
[52]
웹사이트
Preliminary Analysis: KN-23 SRBM
https://nonprolifera[...]
ジェームズ・マーティン不拡散研究センター
2019-06-05
[53]
뉴스
【画像検証】ロシア軍が北朝鮮製KN-23弾道ミサイルをウクライナで使用、ハルキウで残骸を回収
https://news.yahoo.c[...]
Yahoo!ニュース
2024-01-06
[54]
뉴스
北朝鮮の機動式弾道ミサイルの系譜
https://news.yahoo.c[...]
Yahooニュース
2022-01-09
[55]
웹사이트
Pukguksong GLBM-2 and GLBM-3
http://www.b14643.de[...]
[56]
웹사이트
A Tale of Two Missiles: Analysis of KCNA Reports on North Korea's KN-23 and KN-24 Short-Range Ballistic Missiles
https://datayo.org/p[...]
[57]
웹사이트
Preliminary Analysis: KN-23 SRBM
https://nonprolifera[...]
2019-06-05
[58]
웹사이트
Pukguksong GLBM-3
http://www.b14643.de[...]
[59]
웹사이트
ONN Korean Peninsula Risk Assessment March 2021
https://oneearthfutu[...]
[60]
뉴스
北朝鮮が250台もの「火星11ラ」短距離弾道ミサイル発射車両を一挙に引き渡し
https://news.yahoo.c[...]
Yahooニュース
2024-08-05
[61]
뉴스
North Korea's Fifth and Sixth Rounds of January Missile Launches
https://www.38north.[...]
The Henry L. Stimson Center
2022-01-31
[62]
웹사이트
Seoul says North Korean SRBMs test-launched on 25 March travelled 600 km
https://www.janes.co[...]
2021-04-29
[63]
웹사이트
ONN Korean Peninsula Risk Assessment March 2021
https://oneearthfutu[...]
[64]
웹사이트
DPRK Military Parade Viewbook 2022
https://oneearthfutu[...]
Open Nuclear Network
2024-03-10
[65]
웹사이트
北朝鮮、鉄道から弾道ミサイル発射 写真公開
https://www.afpbb.co[...]
AFP
2021-09-16
[66]
뉴스
North Korea tests railway-borne missile in latest launch amid rising tension with U.S.
https://www.reuters.[...]
Reuters
[67]
뉴스
White House says Russia used missiles from North Korea to strike Ukraine
https://www.reuters.[...]
2024-01-05
[68]
웹사이트
North Korea used US parts in ballistic missile Russia fired at Ukraine: Report
https://www.nknews.o[...]
NK News
[69]
웹사이트
Схожі на ракети з парадів у КНДР: прокуратура показала, чим росіяни вдарили по Харкову 2 січня
https://www.ukrinfor[...]
ウクルインフォルム
2024-01-06
[70]
뉴스
ロシアがウクライナに投入の北朝鮮ミサイル、日米欧の部品利用
https://www.cnn.co.j[...]
CNN
2024-02-22
[71]
웹사이트
Ukrainian data casts doubt on precision of N.Korea missiles fired by Russia
https://www.reuters.[...]
2024-02-16
[72]
뉴스
北朝鮮製ミサイルに刻まれた「JAPAN」 メーカーに尋ねると
https://www.asahi.co[...]
朝日新聞デジタル
2024-04-25
[73]
웹사이트
РФ під час удару 31 липня використала балістичну ракету КN-23 з КНДР, яка не долетіла до цілі
https://defence-ua.c[...]
Defence Express
2024-08-05
[74]
뉴스
北朝鮮製KN-23再投入、S-300排除、シャヘド迷走急増:ウクライナ迎撃戦闘2024年8月分の傾向
https://news.yahoo.c[...]
Yahooニュース
2024-09-01
[75]
뉴스
ロシア軍が北朝鮮製KN-23弾道ミサイルでキーウ攻撃、撃墜に成功
https://news.yahoo.c[...]
Yahooニュース
2024-08-18
[76]
웹사이트
Микола Олещукによる2024年8月11日18時11分の投稿
https://www.facebook[...]
Facebook
2024-09-03
[77]
웹사이트
http://www.b14643.de[...]
[78]
웹사이트
https://www.nonproli[...]
[79]
웹사이트
https://www.upi.com/[...]
[80]
웹사이트
https://undocs.org/e[...]
[81]
웹사이트
https://www.nonprol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