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유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유경은 전주 최씨이며 자는 경지, 호는 죽정, 시호는 평도이다. 공민왕 때 사헌부장령으로 환관 윤충좌를 탄핵하고, 우왕 때 요동 정벌 시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을 보고했다. 조선 개국 후 개국원종공신에 책록되었으며,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고 한성부판사를 역임했다. 태종 때 청백리에 녹선되었으며 송천서원에 배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43년 출생 - 제프리 초서
제프리 초서는 《캔터베리 이야기》로 유명한 중세 영국의 시인이자 작가이며 영국 문학의 아버지로 불리고, 다양한 직책을 역임하며 프랑스어와 이탈리아 문학의 영향을 받아 독창적인 문학 스타일을 구축하여 중세 영어 문학의 황금기를 이끌었으며 현대 영어 발전에도 기여했다. - 1343년 출생 - 조케이 천황
조케이 천황은 남북조 시대에 즉위하여 북조와의 전쟁을 겪었으며, 동생에게 양위하기 전까지 남조의 세력을 유지하려 노력했고, 다이쇼 천황의 조서로 정식으로 제98대 천황으로 인정받았다. - 1413년 사망 - 헨리 4세
헨리 4세는 잉글랜드 왕이자 아일랜드 영주(재위 1399년~1413년)이며 랭커스터 왕가의 시조로, 리처드 2세 폐위 후 즉위하여 반란 진압, 마누엘 2세 환대, 제임스 1세 포획 등 대외 관계를 겪고 병으로 사망했다. - 1413년 사망 - 심귀령
심귀령은 조선 초 태종 즉위 공을 세워 좌명공신 4등에 책록되고 풍천군에 봉해진 무신으로, 그의 딸의 혼인과 후손들의 활약으로 명문가 기반을 다졌다. - 전주 최씨 - 최순주
최순주는 일제강점기에 연희전문학교와 미국 뉴욕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연희전문학교 교수, 조선은행 총재, 재무부 장관 등을 역임했으며, 국회부의장으로서 사사오입 개헌안 가결을 선포했으나 신장병으로 사망했다. - 전주 최씨 - 최희섭
최희섭은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출신으로, 메이저 리그에서 활동 후 KBO 리그 KIA 타이거즈에서 뛰었으며, 현재 MBC 스포츠플러스의 야구 해설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최유경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 1987년 12월 24일 (36세)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모델, 배우 |
활동 시기 | 2013년 ~ 현재 |
소속사 | 가족액터스 |
학력 | 동덕여자대학교 방송연예과 학사 |
경력 | |
수상 | 2013년 미스 인터콘티넨탈 한국 대회 1위 2015년 월드 미스 유니버시티 한국 대회 1위 2015년 월드 미스 유니버시티 세계 대회 3위 |
방송 | KBS 사랑은 뷰티풀 인생은 원더풀 MBC 미쓰리는 알고 있다 SBS 굿캐스팅 |
영화 | 《어부바》 《용루각2: 신들의 밤》 《인싸》 |
뮤직비디오 | 김종국 - '남자가 다 그렇지 뭐' 더 크로스 - 'Don't Cry' 먼데이 키즈 - '나가자' |
광고 | 맥심 모카골드 삼성 갤럭시 S9 KT Y24 요금제 SK텔레콤 LG전자 카스 현대자동차 KB국민카드 신한금융투자 동아오츠카 오로나민C 동국제약 센텔리안24 삼진제약 위시헬씨 에이블씨엔씨 미샤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
기타 경력 | 코리아 레이싱 모델 어워즈 신인모델상 서울모터쇼 모델 오토모티브위크 레이싱모델 넥센타이어 레이싱모델 금호타이어 레이싱모델 한국타이어 레이싱모델 |
2. 생애
자는 경지(慶之), 호는 죽정(竹亭), 시호는 평도(平度)이다. 고려 말과 조선 초에 걸쳐 관직 생활을 했으며,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2. 1. 고려 말 활동
1372년(공민왕 21)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이 되어 방자한 환관(宦官) 윤충좌(尹忠佐)를 탄핵했다. 1388년(우왕 14) 요동정벌 때 서북면전운사 겸 찰방(西北面轉運使兼察訪)으로서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을 신속히 보고하고, 최영이 실각되자 밀직부사(密直副使)에 올랐다. 조선 개국 후에는 회군 고변 사실을 들어 반대하는 자가 있었으나, 이성계가 충의(忠義)에서 나온 행동이라 하여 개국원종공신에 책록되었다.2. 2. 조선 개국 이후 활동
최유경은 조선 개국 후 위화도 회군을 신속히 보고한 공을 인정받아 개국원종공신에 책록되었다. 이성계는 그의 회군 고변을 충의에서 나온 행동이라고 칭찬하였다.그 후 최유경은 중추원부지사, 개성유후사유후 등을 역임하였다. 1401년(태종 1)에는 참찬의정부사로서 정조사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1404년 한성부판사를 끝으로 관직에서 물러났다.
최유경은 태종 때 청백리로 선정되었으며, 청주의 송천서원에 배향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