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위화도 회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화도 회군은 1388년, 고려 우왕 때 이성계가 요동 정벌을 위해 출병했다가 압록강 하류 위화도에서 군사를 돌려 개경으로 회군한 사건이다. 명나라의 철령 이북 영토 반환 요구에 반발하여 시작된 요동 정벌은, 이성계가 4불가론을 내세우며 반대했음에도 강행되었다. 회군 과정에서 최영과 우왕이 제거되었으며, 이성계는 신진사대부 세력과 손잡고 고려의 핵심 인물들을 차례로 제거하며 조선 건국의 기반을 다졌다. 위화도 회군은 이성계의 계획적인 행동이었는지, 우발적인 사건이었는지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신·구 세력 교체의 중요한 분기점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의 쿠데타 - 무신정변
    무신정변은 1170년 이의방, 이고, 정중부 등 무신들이 의종의 실정과 무신 차별에 반발하여 일으킨 군사 정변으로, 무신들이 정권을 장악하고 문신을 숙청하며 약 100년간 무신정권이 시작되었다.
  • 1388년 한국 - 요동 정벌
    요동 정벌은 1388년 고려 우왕이 명나라의 철령위 설치 문제와 요동에 대한 역사적 영유권 주장을 배경으로 추진한 군사 작전이었으나, 우군도통사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으로 실패하며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는 계기가 되었다.
  • 1388년 한국 - 무진피화
    무진피화는 고려 우왕 14년에 염흥방, 임견미 일당이 처형된 대규모 숙청 사건으로, 정월지주라고도 불리며 권문세족 정치 폐단의 대표적 사례로 고려 말 정치사의 어두운 단면을 드러낸다.
  • 고려-명나라 관계 - 요동 정벌
    요동 정벌은 1388년 고려 우왕이 명나라의 철령위 설치 문제와 요동에 대한 역사적 영유권 주장을 배경으로 추진한 군사 작전이었으나, 우군도통사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으로 실패하며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는 계기가 되었다.
  • 고려-명나라 관계 - 철령위
    철령위는 1388년 명나라가 철령 이북 지역에 설치하려 했던 기구로, 고려의 외교적 자주성 침해 시도였으며, 이로 인해 요동 정벌 논의와 위화도 회군 등 여말선초 정치적 격변의 배경이 되었고, 그 위치에 대해서는 학계에서 논쟁 중이다.
위화도 회군 - [전쟁]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분쟁위화도 회군
전체제2차 요동 정벌
날짜1388년 음력 5월 22일 ~ 음력 6월 3일
장소위화도 및 개경
결과쿠데타 세력의 결정적 승리
결과 상세신진사대부의 집권
고려 우왕의 퇴위
왕자 창이 왕위에 올랐으나 1년 후 공양왕으로 대체됨
최영 장군이 고양시로 유배를 감
이성계가 실질적인 고려의 권력자가 됨
조선 건국
교전 세력
교전국 1고려
교전국 2요동 정벌군
지휘관
지휘관 1우왕
지휘관 1 추가최영
안소
정승가
지휘관 2조민수 (좌군도통사, 서열 1위)
지휘관 2 추가이성계 (우군도통사, 서열 2위)
심덕부 (서경도원수, 서열 3위)
정지 (안주도도원수, 서열 4위)
왕안덕 (양광도도원수)
박위 (경상도상원수)
최단 (안동도원수)
지용기 (안주도상원수)
최공철 (조전원수)
변안열
김백흥
배극렴 (조전원수)
이지란 (조전원수)
남은
조인옥
병력
병력 1약 5천
병력 25만 이상
사상자
사상자 1불명
사상자 2불명
관련 정보
관련 사건요동 정벌
기타 정보
한글 표기위화도 회군
한자 표기威化島 回軍
추가 정보
원인요동 정벌 강행에 반대
주요 인물이성계, 최영
결과고려 멸망, 조선 건국
기타이성계의 정치적 입지 강화

2. 원인

1388년 명나라 홍무제 주원장은 철령 이북의 고려 영토를 원나라 영토였다는 이유로 반환하라고 요구했다. 이는 고려 조정을 자극하여 명과의 실력 대결을 준비하게 만들었다.[1] 고려는 공민왕 때부터 명나라와 외교관계를 맺어왔으나, 우왕 때의 친원정책 이후 명나라는 무리한 세공(歲貢)을 요구하고 고려 사신의 입국을 거절하는 등 고압적인 태도를 보였다.[2] 요동은 남만주 요하(遼河)의 동쪽 지방으로, 1360~70년대 초에 고려는 이 지역의 원나라 세력을 몰아내고 이곳에 살고 있던 고려인들에게까지 통치 영역을 넓히고자 세 차례 출정해 일정한 성과를 거둔 적이 있었다.[2]

1388년 2월, 원을 무너뜨리고 정권을 수립한 의 홍무제는 고려에 대해 원나라 시대에 얻었던 옛 영토를 반환하라고 요구했다.[3] 이에 친원파가 주류였던 고려 조정은 논의 끝에 최영을 총사령관으로 하는 공격군을 요동에 파병하기로 결정하고, 조민수와 이성계를 좌우 도통사로 임명했다.[3] 이 파병에 대해 이성계는 “사불가론(四不可論)”을 내세워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3]

『고려사』에 따르면, “사불가론”의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4]

사불가론(四不可論)


3. 과정

1388년, 우왕의 심복 최영이성계를 끌어들여 친위 혁명을 일으켰다. 이로써 이인임 등 집권 세력이 제거되고, 최영과 이성계의 연합 정권이 수립되었다. 그러나 이 무리하게 철령위를 요구하자, 우왕과 최영은 요동 정벌을 결정했다.

우왕은 평양에 머무르며 전국에서 5만여 명의 군사를 징발했다. 최영은 팔도 도통사, 조민수는 좌군 도통사, 이성계는 우군 도통사로 임명되어 요동 정벌군이 구성되었다. 이성계 휘하에는 정지, 지용기, 배극렴, 이지란(이두란), 이화 등이, 조민수 휘하에는 심덕부, 왕안덕, 박위, 최단, 최공철 등이 소속되었다.

본래 이성계는 요동 출정에 반대했지만, 결국 출정군은 5월 24일(음력 4월 18일) 평양을 출발하여 6월 11일(음력 5월 7일) 압록강 하류 위화도에 도착했다. 그러나 때마침 큰 비로 강물이 범람하고 병사들 중에 환자가 발생하자, 이성계는 조민수와 상의하여 4불가론을 내세우며 회군을 요청했다. 4불가론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17]


  • 작은 나라(고려)가 큰 나라(명)에 거스르는 것은 불가능하다.
  • 여름에 군사를 동원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 온 나라를 동원하여 원정하면 (일본)가 그 빈틈을 탈 수 있다.
  • 장마철이라 활시위의 접착제가 녹고, 대군은 전염병에 걸릴 위험이 있다.


이성계는 가을에 출병하자는 대안을 제시했으나, 우왕과 최영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성계와 조민수는 다시 회군을 요청했지만, 우왕과 최영은 속히 진군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결국 이성계는 6월 26일(음력 5월 22일) 회군을 결심했다.

갑작스러운 회군에 우왕과 최영은 평양에서 개경으로 급히 돌아와 이성계군에 반격했으나, 전력의 열세를 극복하지 못하고 이성계와 조민수 군에게 체포되었다.

3. 1. 최영, 우왕의 유배와 처형

최영은 회군 9일 만인 7월 4일(음력 6월 1일)에 개경에 당도한 이성계와 조민수에게 잡혀 고양으로 귀양 갔으며,[18] 그 해 12월에 개경으로 압송되어 처형되었다. 우왕은 강화도로 추방됐다가 1년 뒤 아들 창왕과 함께 처형되었다.

4. 4불가론

이성계는 우왕과 최영이 요동 정벌을 결정하자, 다음과 같은 4가지 근거(四不可)를 들어 반대하였다.[19]


  • 첫째, 작은 나라가 큰 나라를 공격하는 것은 옳지 않다.
  • 둘째, 여름철에 군사를 동원하는 것은 옳지 않다.
  • 셋째, 온 나라의 군사를 동원하여 멀리 정벌을 떠나면 왜적이 그 틈을 타 침입할 수 있다.
  • 넷째, 장마철에는 활의 어교가 풀어져 못 쓰게 되고, 많은 군사들이 역병에 걸릴 수 있다.


현대 학계에서는 이성계의 견해를 합리적인 것으로 평가한다.[20] 4불가론은 이성계 개인의 견해라기보다는 그와 뜻을 함께한 신진사대부 세력 및 요동 출정에 반대한 이들의 정치적 주장을 담은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21]

5. 논란

이성계위화도에서 회군할 때, 평양에서 위화도까지는 19일, 위화도에서 14일간 머물렀으나, 회군에는 9일밖에 걸리지 않았다. 또한, 회군 시에는 "사냥을 하면서 속도를 늦췄다"고 전해지지만, 실제로는 2배 이상 빠르게 도착했다. 이러한 점들 때문에 이성계가 출병 때부터 고의로 병력을 느리게 진군시켰다는 논란이 있다. 더불어, 위화도 회군이 우발적인 사건이었는지, 아니면 계획된 사건이었는지에 대해서도 논란이 분분하다.

5. 1. 느린 진군 속도

평양에서 위화도까지 가는 데 19일이 걸렸고, 위화도에서 14일 동안 머물렀지만, 회군에는 9일밖에 걸리지 않았다. 이를 두고 이성계가 처음부터 군대를 일부러 느리게 움직였다는 논란이 있다.[1]

특히 회군할 때는 "사냥을 하면서 속도를 늦췄다"고 하는데, 알려진 것보다 2배 이상 빠르게 도착했다는 사실이 논란이 되었다. 위급한 상황에서 사냥을 했다는 점도 의문이지만, 과연 고의적이었는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 그러나 회군을 정당화하기 위해 비와 식량 문제로 진군이 늦어졌다고 했을 가능성이 높다. 회군할 때는 비와 식량 문제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고 매우 빠른 속도로 돌아온 것을 보면, 회군의 명분을 만들기 위해 일부러 진군 속도를 늦췄다는 주장에 더 무게가 실린다.[1]

5. 2. 회군의 계획성

현재도 위화도 회군이 우발적인지 계획적인지를 두고 주장이 나뉘어 있다. 태조실록 총서 133번째 기사[1]와 14권 태조 7년 8월 26일 기사[2], 고려사 남은 전[3]을 보면, 남은조인옥 등이 위화도 회군 당시부터 이성계에게 군사를 되돌리자는 의견을 올렸고, 이성계가 왕위에 앉도록 계획을 세웠다는 것을 보면 계획적인 행동이었다는 것이 더욱 유력하다.

고려 말, 민중들의 생각과 사회 정서를 반영한 것이 위화도 회군이었다는 견해와, 위화도 회군이 이성계 측의 권력 장악을 위한 계획적인 행보였다는 견해가 대립한다.

일본어 위키백과 문서에서는 위화도 회군이 계획된 쿠데타였는지에 대해, 이성계와 조민수의 공동 행동 방식과 조민수 주도로 새로운 왕을 추대하는 경위를 고려할 때, 출병 초기부터 계획된 행동이라기보다는 현장에서의 실리적인 상황 판단에 따른 행동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는 견해를 제시한다.[4] 결론적으로, 양측의 주장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지만, 현재로서는 계획적인 행동이었다는 주장이 더 설득력이 있다고 판단된다.

6. 결과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은 신흥 무인 세력과 신진사대부 중 급진 개혁 세력이 조선 왕조를 창건하는 기반을 다지는 계기가 되었다. 공민왕 후반부터 등장한 신진사대부들은 신흥 무인 세력과 손잡고 세력을 키웠지만, 고려의 충신인 최영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 모두와 갈등을 빚었다.

우왕 즉위 초, 신진사대부들은 이인임·최영 정권과 대립했으나, 홍건적, 왜구를 물리치는 과정에서 최영, 이성계 등이 공을 세워 연합하면서 이인임 일파를 제거했다.

이성계는 1388년 위화도 회군을 한 후 1392년까지 약 4년 동안 정도전, 조준 등 급진 신진사대부 세력과 손을 잡고 최영 축출, 우왕 폐위, 조민수 축출, 창왕 폐위, 공양왕 옹립 등 고려의 핵심 인물들을 차례로 제거했다.[22] 이후 과전법을 실시하여 훗날 조선 개국공신이 되는 급진 신진사대부들의 경제적 기반을 튼튼하게 했다. 1392년 공양왕에게 강제로 왕위를 물려주도록 요구하여 조선이 개국하게 되었다.[23]

대한민국에서는 최전선에 배치된 군대가 수도를 향해 진군하는 것을 종종 이 사건에 비유한다.[24]

6. 1. 이인임의 제거와 이성계의 부상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은 신·구 세력의 교체를 의미하는 동시에, 신흥 무인 세력과 신진사대부 중에서 급진 개혁 세력이 조선 왕조를 창건하는 기초를 확립하는 계기가 되었다. 공민왕 후반부터 등장한 신진사대부들은 신흥 무인 세력과 동맹 관계를 통해 세력을 확장했지만, 고려의 충신으로 대표되는 최영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의 입장을 모두 수용하지 않아 갈등이 발생했다.

우왕 즉위 초, 신진사대부들은 이인임·최영 정권과 대립하였으나, 홍건적, 왜구의 침입을 격퇴하는 과정에서 최영, 이성계 등이 공을 세우고 연합하여 이인임 일파를 제거하였다.

6. 2. 4년 간에 고려의 핵심 인물들의 제거

이성계는 위화도 회군을 한 1388년부터 1392년까지 약 4년 간 고려의 핵심 인물들을 차례차례 제거한다.[22] 정도전조준이 이끄는 급진 신진사대부 세력들은 이성계와 손을 잡고 최영 축출, 우왕 폐위, 조민수 축출, 창왕 폐위, 공양왕 옹립 등의 수순을 밟았다.

6. 3. 신진사대부 세력의 국가 권력과 경제력 장악

정도전, 조준 등의 급진 신진사대부들은 기반을 공고히 한 이후에, 과전법을 실시하여 후에 조선 개국공신이 되는 급진 신진사대부들의 경제적인 기반을 공고히 하였다. 이후 1392년 공양왕에게 강제로 선위(임금의 자리를 물려줌)를 요구하여 조선이 개국하게 되는 대사건을 맞이하게 되었다.[23]

대한민국에서는 최전선에 배치된 군대가 수도를 향해 진군하는 것을 종종 이 사건에 비유한다.[24]

7. 기타

위화도 회군 직전 이성계, 심덕부, 이지란이 의형제를 맺고 회군을 결의했다는 내용이 담긴 기록화 '장수군도'가 새로 발견되었다.[25]

7. 1. 장수군도

이성계, 심덕부, 이지란이 위화도 회군 직전 서로 의형제를 맺고 회군을 결의한 기록화인 '''장수군도'''가 새로 발견되었다.[25]

8. 대중매체에서

위화도 회군은 여러 대중 매체에서 다뤄졌다.

8. 1. 교양 프로그램

8. 2. 드라마

8. 3. 영화

참조

[1] 뉴스 [Herald Interview] 'Hunminjeongeum' oratorio sings of how Hangeul was created https://www.koreaher[...] 2022-05-30
[2] 뉴스 조선군을 약화 시키려는 명나라의 압박외교 https://n.news.naver[...] 2007-03-22
[3] 뉴스 EP.46 조선 건국의 기초가 된 사건 '위화도 회군' [키워드 한국사] https://www.sisunnew[...] 2015-10-04
[4] 논문 고려말(高麗末)-조선초(朝鮮初) 국내정치지배세력(國內政治支配勢力)의 대중인식(對中認識) 2007
[5] 서적 A History of Korea Palgrave 2017
[6] 뉴스 '러시아 쿠데타' 바그너의 행진, 위화도 회군보다 3배 멀어 https://news.g-enews[...] 2023-06-24
[7] 뉴스 바그너그룹, 러시아로 회군... '푸틴의 요리사'는 왜 푸틴에게 이빨을 드러냈나 https://www.mhns.co.[...] 2023-06-24
[8] 뉴스 '해적:바다로 간 산적' 오프닝 시퀀스 5분 영상 공개 http://news.heraldco[...] 2014-08-04
[9] 뉴스 '봉이 김선달'서 북한의 대동강은 어떻게 구현됐나 https://entertain.na[...] 2016-07-09
[10] 뉴스 '역사저널 그날' 위화도 회군, 그날의 긴박했던 이야기 https://www.cbci.co.[...] 2021-12-11
[11] 뉴스 드라마 '정도전' 위화도 회군, '역성혁명' 시작인가 https://www.wowtv.co[...] 2014-03-30
[12] 뉴스 '나의 나라' 위화도 회군→'이방원' 장혁 등장...혁명 휘몰아친다 [어저께TV] http://osen.mt.co.kr[...] 2019-10-12
[13] 뉴스 '육룡이 나르샤' 천호진 굳은 결심, '위화도회군' 폭우 속 수만 병사 환호성 http://www.newsinsid[...] 2015-12-14
[14] 뉴스 [스타 그때 이런 일이] KBS '용의 눈물' 한국방송대상 받다 https://sports.donga[...] 2015-08-07
[15] 뉴스 드라마 '태종 이방원' 위화도 회군과 이성계 일가 위기...분당 최고 시청률 10.4% https://www.cbci.co.[...] 2021-12-12
[16] 서적 한국사 사전 지경사 2011
[17] 일반
[18] 웹인용 내가 니 “시다바리”가 http://www.koya-cult[...] 우리문화신문 2010-10-09
[19]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 태조실록 - 총서 83번째 기사 http://sillok.histor[...]
[20] 서적 한국사 22 국사편찬위원회 2003
[21] 웹사이트 http://contents.hist[...]
[22] 논문 이성계의 위화도회군에 나타난 리더십 모멘트 연구 http://ikps.or.kr/jo[...]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2
[23] 뉴스 '러시아 쿠데타' 바그너의 행진, 위화도 회군보다 3배 멀어 https://news.g-enews[...] 2023-06-24
[24] 뉴스 바그너그룹, 러시아로 회군... '푸틴의 요리사'는 왜 푸틴에게 이빨을 드러냈나 https://www.mhns.co.[...] 2023-06-24
[25] 뉴스 이성계 ‘위화도 회군’ 결의 현장, 14세기 그림 나왔다 https://news.naver.c[...]
[26] 뉴스 '역사저널 그날' 위화도 회군, 그날의 긴박했던 이야기 https://www.cbci.co.[...] 2021-12-11
[27] 뉴스 '나의 나라' 위화도 회군→'이방원' 장혁 등장...혁명 휘몰아친다 [어저께TV] http://osen.mt.co.kr[...] 2019-10-12
[28] 뉴스 [스타 그때 이런 일이] KBS '용의 눈물' 한국방송대상 받다 https://sports.donga[...] 2015-08-07
[29] 뉴스 '육룡이 나르샤' 천호진 굳은 결심, '위화도회군' 폭우 속 수만 병사 환호성 http://www.newsinsid[...] 2015-12-14
[30] 뉴스 드라마 '정도전' 위화도 회군, '역성혁명' 시작인가 https://www.wowtv.co[...] 2014-03-30
[31] 뉴스 드라마 '태종 이방원' 위화도 회군과 이성계 일가 위기...분당 최고 시청률 10.4% https://www.cbci.co.[...] 2021-12-12
[32] 뉴스 '봉이 김선달'서 북한의 대동강은 어떻게 구현됐나 https://entertain.na[...] 2016-07-09
[33] 뉴스 '해적:바다로 간 산적' 오프닝 시퀀스 5분 영상 공개 http://news.heraldco[...] 2014-08-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