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추송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추송웅은 대한민국의 연극 배우, 영화 배우, 텔레비전 드라마 배우였다. 경상남도 고성군 출신으로 부산공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중앙대학교 연극영화학과를 졸업했다. 1963년 극단 '민중극장'에서 연극 《달걀》로 데뷔하여 80여 편의 작품에 출연했으며, 극단 '가교'와 '광장'의 창립 동인이었다. 1977년 모노드라마 《빨간 피터의 고백》을 제작, 연출, 연기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고, 1980년에는 소극장 "살롱 극장 추"를 개관했다. 동아연극상 연기상을 두 차례, 한국 연극 영화상 연극 배우상을 수상했으며, 영화와 드라마에도 출연했다. 1985년 사망했으며, 배우 추상미, 뮤지컬 배우 추상록, 극장주 추상욱이 유족으로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극 - 김동훈 (배우)
    김동훈은 서울 출신으로 경기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하고 '실험극장' 창립 멤버로 활동하며 배우로서 주목받았으며, 연극 「아들을 위하여」, 「포기와 베스」, 「다리에서의 조망」, 「안도라」, 「무익조」, 「세일즈맨의 죽음」, 「롤러스케이트를 타는 오뚝이」, 「심판」, 「에쿠우스」, 「햄릿」, 「피가로의 결혼」 등에 출연하고 「오셀로」와 「피가로의 결혼」 등을 연출한 다재다능한 배우이자 연출가이다.
  • 신극 - 박정자 (배우)
    박정자는 1942년 일제강점기 경성부에서 태어났으며, 1962년 연극 배우로 활동을 시작하여 다양한 연극 작품에 출연했고, 영화 《육체의 약속》으로 대종상 여우조연상을 수상하는 등 다수의 연극 관련 상을 받았으며, 극단 사람들 복지 재단 이사장과 보관문화훈장을 받았다.
  • 백상예술대상 연극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수상자 - 권성덕
    권성덕은 대한민국의 배우로, 드라마, 영화, 연극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한국예술평론가협의회 최우수 예술인상 등을 수상했다.
  • 백상예술대상 연극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수상자 - 김동훈 (배우)
    김동훈은 서울 출신으로 경기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하고 '실험극장' 창립 멤버로 활동하며 배우로서 주목받았으며, 연극 「아들을 위하여」, 「포기와 베스」, 「다리에서의 조망」, 「안도라」, 「무익조」, 「세일즈맨의 죽음」, 「롤러스케이트를 타는 오뚝이」, 「심판」, 「에쿠우스」, 「햄릿」, 「피가로의 결혼」 등에 출연하고 「오셀로」와 「피가로의 결혼」 등을 연출한 다재다능한 배우이자 연출가이다.
  • 추계 추씨 - 추미애
    추미애는 대한민국의 판사 출신 정치인으로, 김대중 전 대통령의 권유로 정계에 입문하여 다선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대표, 법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 추계 추씨 - 추경호
    추경호는 경상북도 달성군 출생으로 고려대학교와 미국 오리건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으며, 행정고시 합격 후 경제 관료로 활동하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국무조정실장 등을 역임하고 제20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으며 현재 국민의힘 원내대표이다.
추송웅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추송웅
출생일1941년 9월 4일
출생지일제 강점기 경상남도 고성군
사망일1985년 12월 29일 (향년 44세)
사망지서울특별시
국적대한민국
직업배우
활동 기간1963년 ~ 1985년
종교개신교 (침례회)
친척이석준 (사위)
자녀추상욱 (첫째 아들), 추상록 (둘째 아들), 추상미 (딸)

2. 생애

추송웅은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고성군에서 태어나 부산공업고등학교중앙대학교 연극영화학과를 졸업했다. 1963년 극단 ‘민중극장’ 창립공연 《달걀》로 데뷔하여 80여 편의 작품에서 주·조연을 맡았다. 극단 '가교(架橋)'와 '광장(廣場)'의 창립 동인이었으며, '자유극장' 소속으로 활동했다.[3]

1971년 ''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와 1973년 ''세비야의 이발사''로 동아연극상 남우주연상을 두 차례 수상했고,[3] 1979년에는 ''빨간 피터의 고백''으로 한국 연극 영화상 연극 배우상을 받았다. 1980년에는 소극장 "살롱 극장 추"를 개관하기도 했다.

1985년 갑작스럽게 사망했으며, 유족으로는 배우 추상미, 뮤지컬 배우 추상록, 극장주 추상욱이 있다.

2. 1. 어린 시절과 학창 시절

추송웅은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고성군에서 태어났다. 부산공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중앙대학교 연극영화학과를 졸업하였다.

2. 2. 배우 활동

경상남도 고성군에서 출생하였다. 부산공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중앙대학교 연극영화학과를 졸업하였다. 1963년 극단 ‘민중극장’ 창립공연 때 《달걀》로 데뷔한 이래 80여 편의 작품에서 주·조연을 하였다. 극단 '가교(架橋)'와 '광장(廣場)' 창립동인이기도 한 그는 '자유극장' 소속이었다. 1971년 ''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와 1973년 ''세비야의 이발사''로 동아연극상 남우주연상을 두 차례 수상하였다.[3]

1977년 프란츠 카프카의 단편 소설 ''어느 학술원에 드리는 보고''를 각색하여 모노드라마 ''빨간 피터의 고백''을 제작했다. 추송웅은 기획, 제작, 연출, 연기, 분장까지 모든 것을 혼자 도맡았다. 이 연극은 1977년 8월 20일 "3.1로 창고극장"에서 첫 공연을 시작하여, 4개월 동안 6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역대 최다 관객 기록을 세웠다. 이 작품은 대한민국에서 모노드라마 붐을 일으키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1979년에는 ''빨간 피터의 고백''으로 한국 연극 영화상 연극 배우상을 수상했다. 1980년, 추송웅은 서양식 레스토랑을 겸한 소극장 "살롱 극장 추"를 개관했다. 그는 텔레비전 드라마에도 출연하였다.

2. 3. 사망

추송웅은 텔레비전 드라마에도 출연했으나, 1985년에 갑작스럽게 사망했다. 유족으로는 배우 추상미, 뮤지컬 배우 추상록, 극장주 추상욱이 있다.

3. 출연작

추송웅은 1963년 자유극장에 입단하여 연극 '달걀'로 데뷔했다. 1971년 '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와 1973년 '세비야의 이발사'로 동아연극상 연기상을 2회 수상했고, 1979년에는 프란츠 카프카의 소설 '어느 학술원에 드리는 보고'를 각색한 모노드라마 '빨간 피터의 고백'으로 한국 연극 영화상 연극 배우상을 받았다. '빨간 피터의 고백'은 기획, 제작, 연출, 연기, 분장을 모두 추송웅 혼자 맡아 큰 성공을 거둔 작품이다.

3. 1. 영화

3. 2. 드라마

연도방송사제목
1980년TBC→KBS1달동네
1983년MBC당신의 초상
1984년KBS1사랑하는 사람들


4. 작품 및 평가

경상남도 고성군에서 태어났다. 부산공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중앙대학교 연극영화학과를 졸업하였다. 1963년 극단 ‘민중극장’ 창립공연 때 《달걀》로 데뷔한 후 80여 편의 작품에서 주·조연을 맡았다. 극단 '가교(架橋)'와 '광장(廣場)' 창립동인이기도 한 그는 '자유극장' 소속이었다. 1971년 《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 1973년 《세빌리아의 이발사》로 두 번에 걸쳐 동아연극상 남우주연상을 받았다.[3]

그는 독특한 외모와 발성 등 타고난 재능으로 어떤 역할이든 자신만의 방식으로 표현했다는 평가를 받지만, 과장된 연기로 비판을 받기도 하였다. 1977년에는 모노드라마 《빨간 피터의 고백》으로 전국을 순회하며 6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기도 했다. 그가 출연한 주요 작품으로는 《토끼와 포수》, 《꿀맛》, 《흑인 창녀를 위한 고백》, 《타이피스트》, 《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 《슬픈 카페의 노래》 등이 있다.[3]

1963년, 추송웅은 자유극장에 입단하여 연극 ''달걀''로 데뷔했다. 1977년 프란츠 카프카의 단편 소설 ''어느 학술원에 드리는 보고''를 각색하여 모노드라마 ''빨간 피터의 고백''을 제작했다. 추송웅은 기획, 제작, 연출, 연기, 분장까지 모두 혼자 맡았다. 이 연극은 1977년 8월 20일 "3.1로 창고극장"에서 첫 공연을 시작하여 큰 인기를 얻으며 4개월 동안 6만 명의 관객을 동원, 역대 최다 관객 기록을 세웠다. 이 작품은 대한민국에서 모노드라마 붐을 일으키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1971년 ''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와 1973년 ''세비야의 이발사''에서의 연기로 동아연극상 연기상을 두 차례 수상했다. 1979년에는 ''빨간 피터의 고백''으로 한국 연극 영화상 연극 배우상을 수상했다.

5. 수상

연도상 이름작품비고
1971년동아연극상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남자연기상[1]
1973년동아연극상세빌리아의 이발사남자연기상[1]
1979년한국연극영화예술상붉은 피터의 고백연극 부문 남자연기상[1]


참조

[1] 웹사이트 추송웅 秋松雄 a( 1941.9.4 ~ 1985.12.29 ) http://www.encyber.c[...] Doosan Encyclopedia 2010-02-10
[2] 웹사이트 '빨간 피터 추송웅' 은 갔어도 광대들, 광기의 불길 살리다 https://www.hani.co.[...] 2023-10-05
[3] 간행물 추송웅 글로벌 세계 대백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