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충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충샨은 청나라 추존 황제 순제의 이름이다. 아이신기오로 먼터무의 아들이며, 1433년부터 1467년까지 건주좌위지휘사를 역임했다. 톨로, 토이모, 시버오치피양구를 아들로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16년 출생 - 윤자운
    윤자운은 조선 초 문신으로 세종의 총애를 받은 윤회의 손자이자 신숙주의 처남이며, 여러 관직을 거쳐 수양대군 즉위 후 좌익공신에 책록, 영의정까지 올랐으나 성격이 편협하고 뚜렷한 업적을 남기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 1416년 출생 - 크리스토페르 3세
    크리스토페르 3세는 1440년부터 덴마크, 1441년부터 스웨덴, 1442년부터 노르웨이의 국왕을 겸하며 칼마르 동맹을 통치했으나 귀족 세력과의 권력 균형 속에서 제한적인 권력을 행사했고 후사 없이 사망하여 칼마르 동맹의 불안정을 심화시켰다.
  • 건주여진 - 후금
    후금은 17세기 초 누르하치가 만주 지역의 여러 부족을 통합하여 세운 국가로, 광대한 영토를 지배하며 팔기제를 기반으로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었으나, 1636년 홍타이지가 국호를 대청으로 바꾸면서 청나라로 계승되었다.
  • 건주여진 - 이지란
    이지란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으로, 건주여진 출신으로 고려에 귀화하여 이성계와 의형제를 맺고 왜구 토벌과 조선 건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 1등에 책록되고 청해군에 봉해졌으며 태조 묘정에 배향되었다.
  • 1467년 사망 - 함녕군
    함녕군 이인은 조선 태종의 아들이자 외교적 업적을 남겼으며 세종의 신임을 받았고, 단종과 세조 시대에도 활동하다 1467년에 사망한 인물이다.
  • 1467년 사망 - 황수신
    황수신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음서 출신임에도 세조의 측근으로 발탁되어 도승지, 우의정을 거쳐 영의정에까지 올랐으며, 세조 반정에 참여하여 공신이 되고 『경국대전』 편찬 및 불경 언해에도 기여했다.
충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원래 이름}}
원래 이름(만주어)Cungšan
충샨(充善)
작위
작위건주여진 오돌리 아이만 만호
작위건주좌위지휘사
재위 기간
재위 시작1433년
재위 종료1467년
주요 인물
전임자먼터무
후임자톨로
후임자(건주우위지휘사)판차
생애
출생1419년
사망1467년
가족 관계
아버지먼터무
자녀톨로
토이모
시버오치피양구
친인척숙부 판차
기타 정보
왕조건주여진
가문기오로 할라

2. 가족 관계

충샨의 아들은 다음과 같다.


  • 톨로(Tolo, 妥羅, 脫羅)
  • 토이모(Toimo, 妥義謨)
  • 시버오치피양구(Sibeoci Fiyanggū, 錫寶齊篇古)
  • 비구아크 디구구 (筆古阿克地骨)

2. 1. 자녀

시버오치피양구는 여러 명의 아들을 두었다. 그 중 주요 인물은 톨로(Tolo, 妥羅, 脫羅), 토이모(Toimo, 妥義謨), 시버오치피양구(Sibeoci Fiyanggū, 錫寶齊篇古) 등이다.

3. 청나라 황자 목록

3. 1. 추존 황제 조조(肇祖) 먼터무(孟特穆) 소생

3. 2. 추존 황제 순제(順帝) 충샨(充善) 소생

아이신기오로 먼터무(Mentemu, 孟特穆)의 아들이다. 1433년부터 1467년까지 건주좌위지휘사(建州左衛指揮使)를 역임했다.

  • 장남 : 톨로(Tolo, 妥羅, 脫羅)
  • 차남 : 토이모(Toimo, 妥義謨)
  • 삼남 : 시버오치피양구(Sibeoci Fiyanggū, 錫寶齊篇古)

3. 3. 추존 황제 흥제(興帝) 톨로(妥羅) 소생

3. 4. 추존 황제 정제(正帝) 시버오치피양구(錫寶齊篇古) 소생

3. 5. 추존 황제 흥조(興祖) 푸만(福滿) 소생

3. 6. 추존 황제 경조(景祖) 기오창가(覺昌安) 소생

3. 7. 추존 황제 현조(顯祖) 탁시(塔克世) 소생

3. 8. 천명제(天命帝) 누르하치 소생

3. 9. 숭덕제(崇德帝) 홍타이지 소생

3. 10. 순치제(順治帝) 푸린 소생

3. 11. 강희제(康熙帝) 현엽 소생

3. 12. 옹정제(雍正帝) 윤진 소생

3. 13. 건륭제(乾隆帝) 홍력 소생

3. 14. 가경제(嘉慶帝) 옹염 소생

3. 15. 도광제(道光帝) 민녕 소생

3. 16. 함풍제(咸豐帝) 혁저 소생

3. 17. 동치제(同治帝) 재순 소생

3. 18. 광서제(光緖帝) 재첨(載湉) 소생

3. 19. 선통제(宣統帝) 푸이(溥儀) 소생

참조

[1] 서적 清實錄 中華書局 2008
[2] 서적 滿洲實錄·上函(卷一) 遼寧省檔案館, 遼寧教育出版社 2012
[3] 간행물 《清史稿》八年,上世祖尊諡,追尊肇祖之子孫曰順皇,正皇,前期齋戒,遣官祭告天地、宗廟、社稷。
[4] 웹사이트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The Qing Empire To 1800 http://assets.cambr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