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지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지란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으로, 본래 여진족 출신이며 몽골식 이름은 두란테무르이다. 고려에 귀화하여 이성계와 의형제를 맺고, 왜구 토벌과 위화도 회군 등에서 활약하며 조선 개국에 기여했다. 개국공신으로 청해군에 봉해졌으며, 말년에는 불교에 귀의했다. 태조 묘정에 배향되었으며, 청해 이씨의 시조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진계 한국인 - 고열 (고려)
    고열은 고려 시대 변방 성곽 축조에 기여한 공로로 포상을 받고 수사공, 상서좌복야를 역임했으며 사망 후 충정이라는 시호를 받은 인물로, 문종이 그의 죽음을 애도하며 특별한 예우를 베풀었다.
  • 청해 이씨 - 이적 (가수)
    이적은 패닉과 카니발 멤버로 대중적 인지도를 얻은 후 솔로 데뷔하여 다양한 장르의 음악과 섬세한 감성으로 독보적인 입지를 다진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 청해 이씨 - 이장호 (영화 감독)
    이장호는 1974년 《별들의 고향》으로 데뷔하여 1970년대와 80년대 한국 영화계를 대표하는 작품들을 연출하며 사회 비판적인 시각과 인간에 대한 따뜻한 시선을 담은 영화들을 통해 한국 영화의 지평을 넓혔다는 평가를 받는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다.
  • 북청군 출신 - 전세권 (연출가)
    전세권은 대한민국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예술가이자 드라마 PD이며, 극단 신협 활동과 강단, 그리고 자유민주연합과 국민의당 당무위원을 역임하기도 했다.
  • 북청군 출신 - 리호준
    죄송합니다. 본문 내용이 제공되지 않아 리호준에 대한 한 문장 요약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이지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지란 초상화 (용인 경기도박물관 소장)
이지란
한글이지란
한자李之蘭
일본어리 시란
로마자 표기Yi Ji-ran
다른 이름퉁두란(佟豆蘭), 쿠룬투란티무르(古倫豆蘭帖木兒)
자(字)식형(式馨)
시호양렬공(襄烈公)
본관청해(靑海)
종교불교
출생원 간섭기 고려 함경도 북청주 건주여진족 거촌(現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 북청군)
사망조선 동북면 함주군 함흥목(現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남도 함흥시)
사당서울 종묘 공신당(功臣堂), 북청 청해사, 오산 가수동 청해백사, 남양주 독정사당, 포천 청해사, 북청 삼의사
신상 정보
출생일 지순 2년/고려 충혜왕 원년(1331년)
사망일조선 태종 2년(1402년) 4월 9일
향년72세
가족 관계
아버지아라부카(阿羅不花)
배우자초배 군부인 곡산 강씨(君夫人 谷山 康氏)
자녀장남 이화상(李和尙)
차남 이화영(李和英)
삼남 이화미(李和美)
사남 이화수(李和秀)
경력
주군조선 태조 → 태종
관직작위: 청해백(靑海伯), 청해군(靑海君)
직책: 금패천호(金牌千戶), 참찬문하부사 의흥친군위 절제사, 동북면도안무사, 도병마사, 문하시랑찬성사
정당무소속
주요 참전 전투/전쟁황산대첩
기타 이력조선 개국공신 1등
조선 정사공신 2등

2. 생애

고려사》(高麗史)에는 여진 출신으로 원(元), 몽고제국의 금패천호인 아라부카(阿羅不花)[5]의 아들로 아버지의 벼슬을 이어받아 천호(千戶)가 되었다고 적고 있다. 아라부카가 일찍이 서쪽을 정벌할 때 큰 별이 우물 지붕 위에 드리웠는데, 천기를 관장하는 자가 이를 보고 "이는 계명성(샛별)이라 그 아래에서 반드시 위인이 태어날 것이다"라고 예언하였고, 이후 이지란이 태어났다고 한다(《이지란신도비》).

공민왕(恭愍王) 20년(1371년)에 휘하의 백호(百戶) 부카(甫介)를 보내 1백 호를 거느리고 고려 조정에 내투하였고[6] 청해(靑海, 지금의 북청)에 있다가 이성계(李成桂) 휘하로 들어갔다.

우왕(禑王) 6년(1380년)에 의형 이성계를 따라 왜구(倭寇) 토벌에 종군해, 지리산 근교 운봉(雲峯)에서 적장 아지발도를 죽이고 왜구를 대파한 공을 세웠다(황산대첩). 이성계 군단의 강력함은 이지란이 이끄는 여진족 기마군단에 힘입은 바가 컸다. 동왕 9년(1383년) 7월에 요심(遼瀋)의 초적 40여 기가 단주(端州)로 쳐들어왔는데, 이두란은 북청의 천호로써 단주상만호(端州上萬戶) 육려(陸麗), 청주상만호(靑州上萬戶) 황희석(黃希碩) 등과 함께 이들을 쫓아 서주위(西州衛), 해양(海陽) 등 이르러 우두머리 6인을 베었다. 8월에는 호바투(胡拔都)가 단주로 쳐들어왔는데, 부만호(副萬戶) 김토부카(金同不花)가 내응하는 바람에 고려군이 패하였다. 당시 이두란은 어머니가 사망하여 이두란은 고향 북청에서 상을 치르고 있었는데, 이성계의 부름으로 상복을 벗고 종군하였다고 한다(《고려사》). 그러나 길주(吉州) 벌판에서 선봉으로 나섰다가 호바투에게 패하였다.

우왕 11년(1385년)에는 함흥(咸興) 토아동(兎兒洞)에 쳐들어온 왜구를 이성계와 함께 나아가 격퇴하였다. 이 공으로 선력좌명공신(宣力佐命功臣)의 칭호를 받고 밀직부사(密直副使)가 되었다.

위화도 회군 이후 상의동지밀직사사(商議同知密直司事) 회의도감사(會議都監事)가 되었고, 창왕(昌王) 때에는 지밀직사사를 맡았다.

공양왕(恭讓王) 4년(1392년) 지문하부사 판도평의사사가 되었고 이어 (明)으로부터 청해백(靑海伯)에 봉해졌다가 그 해 이성계가 역성혁명을 일으켜 새로운 왕으로 즉위하자 개국공신 1등에 책록되고, 청해군(靑海君)에 봉해졌으며 참찬문하부사(參贊門下府使)가 되었다. 이듬해 경상도절제사(慶尙道節制使)가 되어 왜구를 막는 데 힘썼으며, 태조 8년(1398년)에는 명의 건주위 정벌에 공을 세워 문하시랑찬성사(門下侍郞贊成事)에 제수되었고 이어 판형조사 의흥삼군부사 중군절제사에 보직 변경 임명되었다.

태조가 물러난 후에도 정종(定宗) 원년(1399년)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에 보임되었으며, 태종(太宗)이 즉위한지 얼마 안 되어 관직을 사퇴하고 고향으로 내려갔으며, 과거 군관 시절에 여러 전쟁터에서 많은 인명을 죽인 것을 속죄하기 위해 불문에 귀의하였다고 한다.[7]

태종 2년(1402년) 4월 9일에 죽었으며, 죽기 전에 태종에게 "신은 본토(本土)의 사람으로 타국(他國)에서 죽게 되었으니 내 시신을 태워 본토에 장사지내어 본토의 풍속을 따르게 해달라"는 부탁과 함께 태종에게 "조심조심 덕(德)을 닦아 영원히 조선을 보전하시라"는 신하로써의 당부를 남겼다. 태종은 이지란이 죽자 사흘 간 조회를 정지하였고, 그의 청대로 장사지냈으며 시호(諡號)를 양렬(襄烈)이라 하였다. 향년 72세.

《태종실록》에는 또, 이때 명의 사신 축맹헌(祝孟獻)이 태평관(太平館)에 머무르고 있었는데, 이지란이 사망하자 태종은 왕이 직접 태평관에 행차해 사신을 위한 연회를 베풀려던 계획을 취소하고 대신 지신사 박석명을 보내면서 자신의 불참 사유를 이지란의 죽음이 아닌 왕 자신의 병 때문이라고 전하게 하였다고 한다(사관은 이 일에 대해 나라의 대신(이지란)이 죽은 것을 사신이 알지 못하게 해서 사신이 마음 편안하게 연회를 즐기도록 하려는 배려였다고 평가하고 있다).

태종 10년(1410년) 조선 태조의 다른 공신인 조준, 조인옥(趙仁沃), 태조의 왕자인 이화와 함께 태조의 묘정에 배향되었다.[4] 후손들이 그의 글을 모아 《청해백집》(靑海伯集)을 지었다.

2. 1. 출생과 가계

이지란의 본래 성은 퉁씨(佟氏)이며, 몽골식 이름은 두란테무르(豆蘭帖木児)이다. 동두란(童豆蘭), 이두란(李豆蘭)이라고도 한다. 아버지는 여진족 호족 출신으로 원나라에서 금패천호 벼슬을 지낸 아라불화(阿羅不花)였다. 함경도는 고려 영토였던 적이 없었고 여진족 거주지였으나, 이 시대부터 고려의 영향권 아래 들어갔다. 이지란은 부하들을 이끌고 귀화하여 북청에 거주하였다.

이지란은 이성계를 만나 궁술 실력을 겨루다가 의형제를 맺었고, 이후 이씨 성을 사용하게 되었다. 1380년 8월, 왜구가 진포구에 상륙한 뒤 전라북도 남원군 운봉면에 주둔하였다. 이지란은 왜구 수령의 목을 화살로 쏘아 죽였고, 이로 인해 왜구는 와해되었다. 이성계 군대는 예상 밖의 승리를 거두었다.

이후 이지란은 이성계의 측근으로서 여러 전투에서 그를 보좌하였고, 조선 건국에 기여하여 개국공신 칭호를 받았다. 말년에 이성계가 퇴위하자 그를 따라 은거하였으며, 많은 목숨을 앗아간 것을 후회하며 불교에 귀의하였다. 이성계 사후, 태조 종묘에 공신으로 배향되었다. 청해 이씨의 시조이다.

2. 2. 고려 귀화와 이성계와의 만남

이지란은 본래 성은 퉁씨(佟氏)이며, 몽골식 이름은 두란테무르(豆蘭帖木児)이다. 동두란(童豆蘭), 이두란(李豆蘭)이라고도 한다. 그의 아버지 아랍카(阿羅不花)는 여진족 호족 출신으로 원나라에서 금패천호(金牌千戶) 벼슬을 지냈다.[1] 함경도는 고려 영토였던 적이 없었고 여진족 거주지였으나, 이 시대부터 고려의 영향권 아래 들어갔다. 이지란은 부하들을 이끌고 고려에 귀화하여 북청에 거주하였다.[1]

이지란은 이성계를 만나 궁술 실력을 겨룬 끝에 의형제를 맺고 이씨 성을 사용하게 되었다.[1] 1380년 8월, 왜구가 진포구에 상륙한 후 전라북도 남원군 운봉면에 틀어박혔는데, 이때 금빛 갑옷을 입고 백마를 탄 왜구 수령의 목을 화살로 쏘아 죽인 것이 이지란이었다.[1] 수령을 잃은 왜구는 와해되었고, 이성계 군대는 예상치 못한 승리를 거두었다. 이후 이지란은 이성계의 측근으로서 여러 전투에서 그를 보좌하였고, 조선 건국에 큰 공을 세워 개국공신 칭호를 받았다.[1]

말년에 이지란은 이성계가 퇴위한 후 은거 생활을 할 때 그를 따랐으며, 많은 목숨을 앗아간 것을 후회하여 불교에 귀의하였다.[1] 이성계 사후, 이지란은 태조 종묘에 공신으로 배향되었다. 그는 청해 이씨의 시조이다.[1]

2. 3. 왜구 토벌과 무공

이지란은 본래 퉁씨(佟씨)이며, 몽골식 이름은 두란테무르(豆蘭帖木児)이다. 동두란(童豆蘭), 이두란(李豆蘭)이라고도 불린다. 아버지는 여진족 호족으로 원나라 금패천호 벼슬에 있던 아랍카(阿羅不花)였다.[1] 함경도는 고려 영토가 된 적이 없고 여진족 거주지였으나, 이 시대부터 고려의 영향 아래 들어갔으며, 이지란은 부하들을 이끌고 귀화하여 북청에 거주하였다.[1]

이지란은 이성계를 만나 궁술 실력을 겨룬 끝에 의형제를 맺고 이씨 성을 사용하게 되었다.[1] 1380년 8월, 왜구가 진포구에 상륙한 후 전라북도 남원군 운봉면에 틀어박혔는데, 이때 금빛 갑옷을 입고 백마를 타고 창을 휘두르는 왜구 수령의 목을 화살로 쏘아 죽인 것이 이지란이었다.[1] 수령을 잃은 왜구는 와해되었고, 이성계 군대는 예상치 못한 승리를 거두었다.[1] 이후 이지란은 이성계의 측근으로서 여러 전투에서 보좌하였고, 조선 건국에는 개국공신 칭호를 받았다.[1]

말년에 이지란은 이성계가 퇴위한 후 은거 생활에 따랐으며, 많은 목숨을 앗아간 것을 후회하여 불문에 귀의하였다.[1] 이성계 사후, 태조 종묘에 공신으로 배향되었다.[1] 청해 이씨의 시조이다.[1]

2. 4. 위화도 회군과 조선 건국

이지란은 본래 성은 퉁씨(佟씨)이며, 이름(몽골식 이름)은 두란테무르(豆蘭帖木児)이다. 동두란(童豆蘭), 이두란(李豆蘭)이라고도 한다. 아버지는 여진족 호족으로 의 금패천호 지위에 있던 아랍카(阿羅不花)였다. 함경도는 고려 영토가 된 적이 없고 여진족 거주지였으나, 이 시대부터 고려의 영향 아래 들어갔으며, 이지란은 부하들을 이끌고 귀화하여 북청에 거주하였다.[1]

이성계를 만나 궁술 실력을 겨룬 끝에 의형제를 맺고 이씨 성을 사용하게 되었다. 1380년8월, 왜구가 진포구에 상륙한 후 전라북도 남원군 운봉면에 틀어박혔다. 왜구 중에 금빛 갑옷을 입고 백마를 타고 창을 휘두르는 수령이 있었는데, 그 목을 화살로 쏘아 죽인 것이 이지란이었다. 수령을 잃은 왜구는 와해되었고, 이성계 군대는 예상치 못한 승리를 거두었다.[1]

이후 이성계의 측근으로서 여러 전투에서 보좌하였고, 조선 건국에는 개국공신의 칭호를 받았다. 말년에는 이성계의 퇴위 후 은거 생활에 따랐으며, 많은 목숨을 앗아간 것을 후회하여 불문에 귀의하였다. 이성계 사후, 태조 종묘에 공신으로 배향되었다. 청해 이씨의 시조이다.[1]

2. 5. 조선 개국 이후

이지란은 본래 성은 퉁씨(佟씨)이며, 이름(몽골식 이름)은 두란테무르(豆蘭帖木児)이다. 동두란(童豆蘭), 이두란(李豆蘭)이라고도 한다. 아버지는 여진족의 호족으로 원나라의 금패천호의 지위에 있던 아랍카(阿羅不花)였다. 함경도는 고려의 영토가 된 적이 없고 여진족의 거주지였으나, 이 시대부터 고려의 영향 아래 들어갔으며, 이지란은 부하들을 이끌고 귀화하여 북청에 거주하였다.

이지란은 이성계를 만나 궁술 실력을 겨룬 끝에 의형제를 맺고 이씨 성을 사용하게 되었다. 1380년 8월, 왜구가 진포구에 상륙한 후 전라북도 남원군 운봉면에 틀어박혔는데, 이때 금빛 갑옷을 입고 백마를 타고 창을 휘두르는 왜구 수령의 목을 화살로 쏘아 죽였다. 수령을 잃은 왜구는 와해되었고, 이성계 군대는 예상치 못한 승리를 거두었다. 이후 이성계의 측근으로서 여러 전투에서 보좌하였고, 조선 건국에는 개국공신의 칭호를 받았다. 말년에는 이성계의 퇴위 후 은거 생활에 따랐으며, 많은 목숨을 앗아간 것을 후회하여 불문에 귀의하였다.

이성계 사후, 태조 종묘에 공신으로 배향되었다. 청해 이씨의 시조이다.

3. 이지란과 이성계의 관계

이성계는 '''이지란'''의 처고모부(妻姑母夫)이자 의형(義兄)이며, 이지란은 이성계의 처조카사위이자 의제(義弟)이다.[1] 이지란은 이성계보다 4살 위이다. 이지란의 본래 성은 퉁씨(佟씨)이며, 몽골식 이름은 두란테무르(豆蘭帖木児)이다. 동두란(童豆蘭), 이두란(李豆蘭)이라고도 한다. 그의 아버지는 여진족 호족 출신으로 원나라에서 금패천호 벼슬을 지낸 아랍불화(阿羅不花)였다.[1]

이지란은 함경도 북청에서 부하들을 이끌고 고려에 귀화하였다.[1] 이지란은 이성계와 궁술 실력을 겨루어 의형제를 맺었고, 이후 이성계에게 이씨 성을 받아 사용하게 되었다.[1] 1380년8월 왜구가 진포구에 상륙하여 전라북도 남원군 운봉면에 주둔하였을 때, 이지란은 금빛 갑옷을 입고 백마를 탄 왜구 수령의 목을 화살로 쏘아 죽였다.[1] 왜구는 수령을 잃고 와해되었으며, 이성계 군대는 승리하였다. 이지란은 이성계의 측근으로서 여러 전투에서 활약하였고, 조선 건국 후 개국공신에 책봉되었다.[1] 이지란은 이성계가 퇴위한 뒤 함께 은거하였고, 불문에 귀의하여 여생을 보냈다.[1]

이성계 사후, 이지란은 종묘에 공신으로 배향되었다. 청해 이씨의 시조이다.[1]

4. 일화

이지란과 이성계 사이에 있었던 일화는 다음과 같다.


  • 이성계가 말에서 떨어져 부상을 당했을 때, 정몽주(鄭夢周)를 암살하라는 이방원의 명을 "우리 공(이성계)께서 알지 못하는 일"이라며 거절했다. 그러나 훗날 무인정사(1차 왕자의 난)에서는 이방원 측에 가담하여 정사공신(定社功臣)이 되었다.
  • 이성계와 의형제를 맺고 그를 형으로 모셨으며, 황산대첩 등 여러 전투에 종군하여 공을 세웠다.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에는 이성계가 이지란을 "싸움에 임해 적군을 무찌르는 데는 두란보다 나은 사람이 없다."라고 평가했다.
  • 이성계와 함께 사슴 사냥을 할 때, 이지란은 말을 채찍질하여 나무를 돌아갔지만, 이성계는 몸만 뛰어 나무 위를 넘어 사슴을 잡았다. 이에 이지란은 "공은 천재이니, 인력으로 따를 수 없소."라고 말했다.
  • 홍만종(洪萬宗)의 《순오지》(旬五志)에는 이성계가 물동이를 이고 가는 아낙에게 철환(鐵丸)을 던져 구멍을 뚫자, 이지란이 진흙으로 그 구멍을 막았다는 일화가 있다. 또한, 이지란이 이성계를 해치려고 활을 쏘았지만, 이성계는 태연하게 화살을 돌려주었고, 그 뒤로 이지란은 이성계를 함부로 대하지 못했다.
  • 《고려사》에는 황산대첩 당시 이성계를 찌르려던 왜병을 이지란이 활로 쏘아 죽였고, 이성계가 아지발도의 투구를 벗겨내자 이지란이 활을 쏘아 아지발도를 죽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 영조 50년(1774년)에 세워진 《이지란신도비》에는 이성계가 꿈에서 얻은 계시대로 이지란과 의형제를 맺고, 아내 신덕왕후의 종녀(從女)와 혼인시켰다는 내용이 있다.
  • 《이지란신도비》에는 우왕이 활쏘기 시합에서 이성계가 과녁을 맞히자, 이지란은 "재주의 아름다움을 어찌하여 남에게 많이 보이십니까."라며 꼬집었고, 이성계는 그의 지혜에 탄복하였다는 일화도 있다.
  • (淸) 왕조의 아이신기오로 먼터무와는 6촌 형제 사이였다.
  • 이성계, 심덕부, 이지란이 위화도 회군 직전 서로 의형제를 맺고 회군을 결의한 기록화인 '''장수군도'''가 새로 발견되었다.[9]

5. 후대의 평가

6. 시조

초산(楚山) 우는 호(虎)와 패택(沛澤)에 잠긴 용(龍)이/토운생풍(吐雲生風)하여 기세(氣勢)도 장(壯)할시고/진(秦)나라 외로운 사슴은 갈 곳 몰라 하노라

조선 말기의 시조집 《화원악보(花源樂譜)》에 이지란이 지은 것으로 전하는 시조 한 수가 남아 있다.[4]

7. 가족 관계

이지란은 여진족 출신으로 고려에 귀화하여 조선 개국공신이 되었으며, 그의 자손 역시 대대로 조선 조정에서 중용되었다.[8] 이지란 사후 300년 뒤인 영조 50년(1774년)에 세워진 《이지란신도비》에는 이지란의 선대 가계에 대해, 증조부 부해(浮海)가 원(元)에서 전공을 세워 오천호(五千戶)에 봉해졌고, 아버지 아원(雅遠, 아라부카)은 원의 정서대장군(征西大將軍)에 이르렀으며, 이지란이 조선에서 중용된 뒤 보조공신(補祚功臣) 영의정부사(領議政府事)에 증직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지란에게는 함안군부인(咸安郡夫人) 혜안택주(惠安宅主) 윤씨(尹氏)와 상산군부인(象山郡夫人) 곡산 강씨(谷山康氏) 두 부인이 있었다.[8] 상산군부인 강씨는 예의판서(禮儀判書) 강보대(康普戴)의 딸(이지란신도비)로 신덕왕후(神德王后)의 친정 조카딸이었으며, 이지란은 조선 태조의 처조카사위가 된다.

상산군부인 곡산 강씨는 1349년에 태어났으며, 아버지는 예의판서 강보대이다. 강보대는 신덕왕후의 친정아버지 강윤성의 5촌 종질이었고, 이지란의 부인 강씨는 5촌 고모인 신덕왕후보다 나이가 많았다.

《태종실록》에 실린 이지란의 졸기에는 이지란에게 화영(和英) · 화미(和美) · 화수(和秀) 세 아들이 있었다고 적고 있는데, 《고려사》에는 화상(和尙)이라는 이름의 아들이 한 명 더 있었다고 하며, 《이지란신도비》에 따르면 아들들 모두 상산군부인 소생이다.


  • 아들 : 이화상(李和尙) - 관직은 공조판서(工曹判書)를 지냈다.
  • 아들 : 이화영(李和英) - 여진 이름은 역리불화(亦里不花)이며, 세종 6년(1424년 10월 27일) 사망. 관직은 판우군부사(判右軍府使)를 지냈다. 18세부터 벼슬하기 시작하여 낭장(郞將)이 되고, 여러 번 승진하여 사복 정(司僕正)에 이르고 보공 대장군(保功大將軍)으로 옮겼으며, 태조 7년에 상장군(上將軍)으로 승진하였다. 태종 1년에 특히 예조 전서에 임명되고, 2년에 승추부 동지총제(承樞府同知摠制), 6년에 도총제(都摠制)로 승진하고, 9년에 지의정부사(知議政府事), 15년에 의정부 참찬(議政府參贊), 세종 5년에 판좌군도총제부사(判左軍都摠制府事)가 되었다.
  • 아들 : 이화미 - 태종 14년(1414년 4월 28일) 사망. 관직은 판한성부사(判漢城府使)를 지냈다.
  • 아들 : 이화수 - 관직은 예조참판(禮曹參判)을 지냈다.


이화영은 약관 때부터 태조를 따랐으므로, 개국 당초에 원종 공신(原從功臣)의 녹권(錄券)과 전토를 받았고, 정종 2년에 태종을 한위(捍衛)한 공으로 전토와 노비를 더 받았다.[8] 태종 2년에 외간(外艱)을 당하여 여막(廬幕)에 있을 때 태종의 위급함을 듣고 남보다 먼저 귀부하였다. 태종이 그의 충성을 가상하게 여겨 옷을 벗어 입히고, 이후 계속하여 은사를 내렸다. 세종 5년 가을에 임금을 뵈옵고 고향으로 돌아갈 것을 고하니, 임금이 교외(郊外)에서 전별연을 차려 주었다. 이화영은 마음이 곧고, 행동이 검박하였다. 병으로 자택에서 돌아갔는데, 부고가 이르자 조회를 사흘 동안 정지하고, 관에서 장사를 담당하였다. 시호를 무후(武厚)라 하였는데, 위엄차고 억센 것을 무(武)라 하고, 생각하는 것이 틀림이 없는 것을 후(厚)라 한다. 그 외 아들은 이효량(李孝良)·이효정(李孝貞)·이효온(李孝溫)·이효검(李孝儉)·이효양(李孝讓)·이효강(李孝綱)이었다. 이화미는 무재(武才)는 약간 아비의 풍모가 있었다.

8. 이지란이 등장한 작품

참조

[1] 서적 明帝国と倭寇 人物往来社 1967
[2] 문서 당시 여진어로 두란은 쌍둥이, 테무르는 중세 몽골어로 철을 뜻하는 말인 티무르의 다른 음이다.
[3] 서적 용비어천가
[4] 서적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5] 비석 이지란신도비 1774
[6] 서적 고려사절요 1371-02
[7] 서적 연려실기술
[8]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 2014-02-10
[9] 뉴스 이성계 ‘위화도 회군’ 결의 현장, 14세기 그림 나왔다 https://news.naver.c[...] 뉴시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