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츠쯔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츠쯔젠은 중국의 소설가이자 정치가이다. 1964년 헤이룽장성에서 태어나 하얼빈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으며, 다싱안링 사범학교를 졸업하고 작가로 등단했다. 1990년 베이징 사범대학 대학원 졸업 후 중국 작가 협회 소속 전업 작가로 활동하며 국가 1급 작가 칭호를 받았다. 루쉰 문학상, 마오둔 문학상 등을 수상했으며, 주요 작품으로 《어얼구나강의 오른쪽》, 《온 세상의 밤》 등이 있다. 2020년에는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헤이룽장성 제12기 위원회 부주석으로 선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싱안링 지구 출신 - 천추스
    천추스는 중국의 변호사이자 시민 기자이며, 홍콩 시위와 코로나19 관련 보도 후 소셜 미디어 계정이 삭제되고 실종되었다가 감시를 받으며 부모와 함께 생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 베이징 사범대학 동문 - 모옌
    중국 산둥성 출신의 소설가 모옌은 문화대혁명과 대약진 시대의 고독한 유년기를 거쳐 인민해방군 복무 중 작가가 되어 '붉은 수수밭' 등 환상적 리얼리즘에 기반한 작품으로 2012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으나, 중국 정부와의 관계 및 정치적 태도에 대한 논란도 있다.
  • 베이징 사범대학 동문 - 우얼카이시
    우얼카이시는 1989년 톈안먼 사건 당시 학생운동 지도자 중 한 명으로, 현재 대만에 거주하며 정치 평론가 및 텔레비전 앵커로 활동하면서 중국 귀환 호소, 대만 독립 지지 등 정치 활동을 펼치며 논란에 휘말리기도 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소설가 - 마오둔
    마오둔은 중국 근현대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이자 중국 공산당의 중요 인물로서, 사회주의 리얼리즘 문학을 통해 중국 현대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에는 문화 정책을 이끌고 그의 업적을 기리는 마오둔문학상이 제정되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소설가 - 라오서
    라오서는 20세기 중국의 대표적인 만주족 출신 소설가이자 극작가로, 가난한 유년 시절과 영국 유학 후, 『낙타 샹쯔』, 『사세동당』 등의 작품을 통해 중국 사회의 현실과 하층민의 삶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날카로운 사회 비판과 독특한 문체로 현대 중국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문화대혁명 중 박해로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츠쯔젠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츠쯔젠
원어 이름迟子建
출생일1964년 2월 27일
출생지중국 헤이룽장성 다싱안링 지구 모허시
직업소설가
국적중국
학력
학교다싱안링 사범학교
활동 정보
활동 기간1983년 - 현재
장르소설
대표작알구un 강의 오른쪽 강둑
수상
수상 내역2008년 마오둔 문학상
가족 정보
배우자황스쥔 (1998년 결혼, 2002년 사별)

2. 생애

츠쯔젠은 1998년에 타허현 당서기를 역임한 황스쥔(黃世君)과 결혼했으나, 황스쥔은 2002년 5월에 교통사고로 사망했다.[1] 남편의 사망은 츠쯔젠에게 큰 충격을 주었지만, 그녀는 비통함에서 강인하게 벗어나 글쓰기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자했다. 그 결과 《세계의 모든 밤》(世界上所有的夜晚), 《구름층을 넘는 맑음》(越過雲層的晴朗) 등의 문학 작품을 발표했다.[1]

2020년 1월 5일에는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헤이룽장성 제12기 위원회 부주석으로 선출되었다.[1]

2. 1. 초기 생애 및 등단

츠쯔젠은 1964년 2월 27일 헤이룽장성 다싱안링 지구 모허시에서 소학교 교장으로 근무하던 츠쩌펑(遲澤鳳)의 딸로 태어나 하얼빈시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츠쯔젠이라는 이름은 그의 아버지 츠쩌펑이 좋아했던 조위 시대의 시인 조식인 자건(子建)에서 유래되었다.

츠쯔젠은 1981년 다싱안링 사범 학교에 입학했고 1983년 《북방문학》을 통해 등단했다.[4] 1986년 《인민문학》에 《베이지촌의 동화》(北極村的童話)를 발표하여 이름을 알렸다. 1988년 시베이 대학 작가반에 입학했고 이듬해 베이징 사범대학과 루쉰 문학원이 공동 운영하던 대학원반에 입학했다. 1990년 대학원 과정을 졸업하고 헤이룽장성으로 돌아와 중국 작가 협회 소속 전업 작가로 활동했으며, 국가 1급 작가 칭호를 받았다.

2. 2. 작가로서의 성장

츠쯔젠은 1981년에 다싱안링 사범 학교에 입학했고 1983년에 《북방문학》을 통해 등단했다.[4] 1986년에는 《인민문학》에 《베이지촌의 동화》(北極村的童話)를 발표하여 이름을 알렸다. 1988년에는 시베이 대학 작가반에 입학했고 이듬해에 베이징 사범대학과 루쉰 문학원이 공동 운영하던 대학원반에 입학했다. 1990년에 대학원 과정을 졸업하고 헤이룽장성으로 돌아오면서 중국 작가 협회 소속 전업 작가로 활동했고 나중에 국가 1급 작가 칭호를 받았다.

츠쯔젠은 1996년, 2000년, 2007년에 루쉰 문학상을 수상했다. 그녀의 소설 ''달의 마지막 분기''는 2005년에 출판되었으며, 2008년에 마오둔 문학상을 수상했다.[4]

2. 3. 주요 작품 활동 및 수상

연도상 이름작품
1993제6회 좡중원 문학상(수상작 미상)
1996루쉰 문학상안개, 달, 그리고 축사
2000루쉰 문학상칭수이 시첸
2007루쉰 문학상온 세상의 밤
2008마오둔 문학상어얼구나강의 오른쪽



츠쯔젠은 1983년 《북방문학》을 통해 등단했고, 1986년에는 《인민문학》에 《베이지촌의 동화》(北極村的童話)를 발표하여 이름을 알렸다.[1] 1990년에 대학원 과정을 졸업하고 헤이룽장성으로 돌아와 중국 작가 협회 소속 전업 작가로 활동했으며, 국가 1급 작가 칭호를 받았다.[1]

남편이 사망한 뒤, 츠쯔젠은 큰 충격을 받았지만 비통함에서 강인하게 벗어나 글쓰기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자했다. 그 결과, 《세계의 모든 밤》(世界上所有的夜晚), 《구름층을 넘는 맑음》(越過雲層的晴朗) 등의 문학 작품을 발표했다.[1] 2005년에는 《수확》(收穫)에 중국 북동부 아르군강 우안에 거주하는 에벤크인의 파란만장한 인생을 주제로 한 소설 《어얼구나강의 오른쪽》(額爾古納河右岸)을 연재했다. 이 작품은 문학적 주제의 서사적 품격과 세계적 의미를 담았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2008년에 마오둔 문학상을 수상했다.[1]

2. 4. 정치 활동

츠쯔젠은 2020년 1월 5일에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헤이룽장성 제12기 위원회 부주석으로 선출되었으며, 제12기 및 제13기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5]

3. 작품 세계

츠쯔젠은 소설, 산문, 시 등 다양한 장르에서 작품 활동을 했다. 초기에는 주로 단편 소설을 발표했으며, 이후 장편 소설과 산문집도 출간했다. 그의 작품은 중국 현대 문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특히 소수 민족의 삶과 문화를 다룬 작품들이 높은 평가를 받는다. 대표작으로는 어얼구나강의 오른쪽, 온 세상의 밤 등이 있다.

3. 1. 주요 작품

})

! 출판사

! 출판일

! 비고

|-

| 안개, 달, 외양간

| 雾月牛栏

|

|

|

|-

| 맑은 물로 여행의 피로를 씻어내다

| 清水洗尘

|

|

|

|-

| 세상의 모든 밤

|

|

|

|

|-

| 어얼구나강의 오른쪽

|

|

|

|

|-

| 뭇 산들의 꼭대기

|

|

|

|

|-

| 만주국

|

|

|

|

|-

| 달의 마지막 분기

| 额尔古纳河右岸

|

|

|

|-

| 백설과 까마귀

|

|

|

|

|-

| 온 세상의 밤

|

|

|

|

|-

| 노란 닭과 화이트 와인

|

|

|

|

|-

| 굿 나잇, 로즈

|

|

|

|

|-

| 돼지 비계 한 단지

|

|

|

|

|-

| 만주국 이야기

|

| 쑨슈핑 역, 가와이데 쇼보 신샤

| 2003년

|

|-

| 오늘 저녁 식사를 만들어 드립니다

|

| 타케우치 요시오·츠치야 하츠에 역, 벤세이 출판

| 2012년

| 수록: 「라드의 단지」, 「70년대의 봄, 여름, 가을, 겨울」, 「오늘 저녁 식사를 만들어 드립니다」, 「푸치란 정차장의 12월 8일」, 「문 건너편의 청소원」, 「저, 눈 구경하러 오지 않으실래요?」, 「원풍경」

|-

| 아르군 강의 우안

|

| 타케우치 요시오 역, 하쿠스이샤〈엑스 리브리스〉

| 2014년

|

|-

| 망망전정

|

| 상해문예출판사

| 1991년

|

|-

| 신종향철황혼

|

| 강소문예출판사

| 1997년

|

|-

| 열조

|

| 명천출판사

| 1998년

|

|-

| 위만주국

|

| 작가출판사

| 2000년

| 만주국 이야기

|-

| 수하

|

| 북악문예출판사

| 2001년

|

|-

| 월과운층적청랑

|

| 상해문예출판사

| 2003년

|

|-

| 액얼구나하우안

|

| 북경 10월문예출판사

| 2005년 12월

| 알군 강의 오른쪽 기슭

|-

| 백설오아

|

| 인민문학출판사

| 2010년 8월 1일

|

|-

| 군산지전

|

| 인민문학출판사

| 2015년 1월 8일

|

|-

| 북극촌동화

|

| 『인민문학』

| 1986년 2월

|

|-

| 초춘대천이

|

| 『중국』

| 1986년 9월

|

|-

| 여름은 없다

|

| 『종산』

| 1988년 4월

|

|-

| 해시

|

| 『동북작가』

| 1988년 3월

|

|-

| 왼쪽은 울타리, 오른쪽은 장미

|

| 『중외문학』

| 1988년 5월

|

|-

| 기한

|

| 『소설가』

| 1989년 3월

|

|-

| 작은 호텔 첫사랑

|

| 『망원』

| 1989년 3월

|

|-

| 요도상사

|

| 『수확』

| 1989년 4월

|

|-

| 원사풍경

|

| 『인민문학』

| 1990년 1월

|

|-

| 회상시절

|

| 『종산』

| 1990년 4월

|

|-

| 로화의연

|

| 『수확』

| 1990년 5월

|

|-

| 맥수

|

| 『청년문학』

| 1990년 6월

|

|-

| 구시대의 마방

|

| 『소설가』

| 1991년 4월

|

|-

| 앙가

|

| 『수확』

| 1992년 1월

|

|-

| 무변수색

|

| 『여강』

| 1993년 1월

|

|-

| 동창

|

| 『부용』

| 1993년 2월

|

|-

| 향방

|

| 『종산』

| 1993년 3월

|

|-

| 격국

|

| 『압록』

| 1993년 3월

|

|-

| 백야를 향해 여행

|

| 『수확』

| 1994년 1월

|

|-

| 음악과 화첩 속의 생활

|

| 『화성』

| 1994년 3월

|

|-

| 양철포 딩딩響

|

| 『청년문학』

| 1994년 5월

|

|-

| 언덕 위의 미노

|

| 『종산』

| 1995년 2월

|

|-

| 원야상의 양떼

|

| 『대가』

| 1995년 2월

|

|-

| 백은나

|

| 『대가』

| 1996년 3월

|

|-

| 일락완요

|

| 『중국작가』

| 1996년 3월

|

|-

| 역행정령

|

| 『종산』

| 1997년 3월

|

|-

| 구타접화

|

| 『대가』

| 1997년 6월

|

|-

| 관혜기

|

| 『화성』

| 1998년 1월

|

|-

| 청초여가의 정오

|

| 『십월』

| 1999년 2월

|

|-

| 오장사묘회

|

| 『수확』

| 2000년 3월

|

|-

| 압여화

|

| 『인민문학』

| 2001년 2월

|

|-

| 정신병원의 작은 마방

|

| 『대가』

| 2001년 4월

|

|-

| 방초재조택중

|

| 『종산』

| 2002년 1월

|

|-

| 주귀의 어응

|

| 『천애』

| 2002년 5월

|

|-

| 영작방

|

| 『북경문학』

| 2003년 7월

|

|-

| 상약이소각

|

| 『소설월보』

| 2003년 5월

|

|-

| 답착월광의 행판

|

| 『수확』

| 2003년 6월

|

|-

| 세계상적 모든 밤

|

| 『종산』

| 2005년 3월

|

|-

| 서가혼아

|

| 『수확』

| 2006년 4월

|

|-

| 제3지 만찬

|

| 『소설월보』

| 2006년 5월

| 지금의 식사를 만들겠습니다

|-

| 기무

|

| 『수확』

| 2007년 6월

|

|-

| 포치란 소역의 랍팔야

|

| 『소설월보』

| 2008년 9월

| 푸치란 주차장의 12월 8일

|-

| 귀매단청

|

| 『수확』

| 2009년 4월

|

|-

| 니하지

|

| 『북경문학』

| 2010년 6월

|

|-

| 황계백주

|

| 『수확』

| 2011년

|

|-

| 별아산곡의 부자

|

| 『수확』

| 2012년

|

|-

| 만안장미

|

| 『인민문학』

| 2013년 3월

|

|}

4. 수상 내역

제목원제 ({{lang|zh-Hans-CN|}
수상 연도상 이름작품 이름
1993제6회 좡중원 문학상(수상작 미상)
1996루쉰 문학상안개, 달, 그리고 축사[1]
2000루쉰 문학상칭수이 시첸[2]
2007루쉰 문학상온 세상의 밤[3]
2008마오둔 문학상달의 마지막 분기[4]
(미상)루쉰 문학상안개 낀 달빛 아래의 외양간[5]
(미상)루쉰 문학상맑은 물은 먼지를 씻어낸다[6]
(미상)루쉰 문학상세상의 모든 밤[7]
(미상)마오둔 문학상아르군 강의 오른쪽 강둑[8]
(미상)바이화 문학상 중편 소설상군산지첨


5.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치저펑헤이룽장성 타허현 융안 소학교 학장
어머니리샤오룽1950년대 모허향 방송국의 방송원
남편황스쥔타허현 당서기, 1998년 결혼, 2002년 5월 교통사고로 사망[1]


참조

[1] 웹사이트 http://news.163.com/[...] 2013
[2] 웹사이트 Chi Zijian's "Last Quarter of the Moon": The Author's Afterword http://www.bruce-hum[...]
[3] 웹사이트 Chi Zijian http://paper-republi[...]
[4] 서적 Contemporary Chinese Women Writers https://archive.org/[...] Chinese Literature Press
[5] 뉴스 http://news.ifeng.co[...] 2020-01-15
[6] 뉴스 迟子建:冰和雪就是我的呼吸 http://cul.qq.com/a/[...] 2015-11-09
[7] 문서 『今夜の食事をお作りします』p.419
[8] 뉴스 北極村走出的女作家(当代英杰) http://paper.people.[...] 2015-04-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