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치코무셀텍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치코무셀텍어는 19세기 말 카를 자퍼에 의해 처음 기록된 언어로, 와스텍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1775년 프랑스 국립도서관에서 발견된 문서가 치코무셀텍어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이며, 당시에는 코토케어로 불렸다. 와스텍어와 마찬가지로 테우안테펙 지협 동남쪽에 위치한 다른 마야어족 언어들과는 다른 지리적 분포를 보인다. 20세기 초반에 이미 쇠퇴하여 1926년에는 화자가 극소수만 남아 사멸 위기에 놓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아메리카의 사어 - 온두라스 렝카어
    온두라스 렝카어는 온두라스 렝카족의 언어로, 다양한 자음과 모음 체계를 가진 음운론적 특징과 주어를 나타내는 접미사를 필수로 가지는 유한 동사, 그리고 스페인어의 'ser'와 'estar'에 해당하는 두 동사 존재가 형태론적 특징이다.
  • 북아메리카의 사어 - 이야크어
    알래스카 남부에서 쓰였던 사멸한 언어인 이야크어는 틀링깃어와 함께 나데네어족을 이루며, 언어 보존 및 부활 운동이 진행 중이고, 교착어적, 포합적 특징과 독특한 음운 체계 및 복잡한 형태론을 갖는다.
  • 과테말라의 언어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 과테말라의 언어 - 가리푸나어
    가리푸나어는 가리나구 민족의 언어로, 아라와크어, 카리브어, 프랑스어, 영어 등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남녀 어휘 사용에 차이가 있고 중앙아메리카와 미국 이민 사회에서 사용된다.
  • 멕시코의 언어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 멕시코의 언어 - 유카텍 마야어
    유카텍 마야어는 멕시코 유카탄 반도와 인근 지역에서 사용되는 마야어족 언어로, 약 5,000년의 역사를 지니고 고대 마야 문명과 관련이 깊으며, 현재 멕시코와 벨리즈에 화자가 있고 독특한 음운 체계와 능격 문법을 가진 언어이다.
치코무셀텍어
기본 정보
사멸 시기1970년대–80년대
ISO 639-3cob
Glottologchic1271
Glottolog 참조 이름치코무셀텍어
언어 분류
어족마야어족
어파와스텍어파
사용 지역
국가멕시코(치아파스주)
과테말라(웨웨테낭고주)
지역치아파스 고원 동남부의 프론테리사 및 시에라 인구 통계 지역의 여러 공동체; 과테말라 국경 건너 외딴 마을

2. 역사와 계통

치코무셀텍어는 19세기 말 언어학자 카를 자퍼가 1888년부터 1895년까지 메소아메리카 북부를 여행하며 기록한 내용에 처음으로 별개의 언어로 기록되었다.[10] 1930년대 후반에는 치코무셀텍어와 와스텍어의 관계가 확립되었다.[11]

2. 1. 와스텍어와의 관계

치코무셀텍어와 와스텍어의 관계는 1930년대 후반에 확립되었다. 다른 마야어족 언어와 단어 목록을 비교한 결과 치코무셀텍어는 다른 어떤 어파보다도 와스텍어와 더 가까운 것으로 드러났다.[11]

2. 2. 기록

프랑스 국립도서관에서 발견된 1775년의 두 장짜리 문서가 치코무셀텍어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이다. 이 문서는 로마 가톨릭 교회식 고해의 형식을 하고 있으며 치코무셀텍어로 된 여덟 개의 문장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당시에 치코무셀텍어가 '''코토케어'''(Cotoque)라 불렸다고 적혀 있다.[12][5]

치코무셀텍어는 19세기 말, 언어학자 칼 사퍼가 1888년부터 1895년까지 북부 메소아메리카를 여행하며 기록한 내용에 처음으로 별개의 언어로 기록되었다.[3]

1930년대 후반, 치코무셀텍어와 와스텍어의 관계가 밝혀졌다(Kroeber 1939). 다른 마야어와의 어휘 비교를 통해 치코무셀텍어가 다른 마야어 계열보다 와스텍어와 더 높은 유사성을 보인다는 결론을 내렸다.[4]

3. 지리적 분포

와스텍어는 다른 마야어족 언어들이 테우안테펙 지협 동남쪽에 있는 것과 달리 멕시코만 해안 북부에 외떨어져 있다. 앨프리드 크로버는 이러한 지리적 분포 때문에 와스텍어가 다른 언어들과 멀리 떨어진 멕시코 북부 멕시코만 연안 지역에 위치하고, 나머지 언어들은 테우안테펙 지협의 남쪽과 동쪽에 위치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가설을 제시하였다.[13][6]

3. 1. 이주 가설

마야조어원향에서 와스텍어와 치코무셀텍어가 갈라져 나온 경로에 대한 한 가지 가설.


다른 마야어족 언어들이 테우안테펙 지협 동남쪽에 있는 것과 달리 와스텍어는 멕시코만 해안 북부에 외떨어져 있다. 이 때문에 앨프리드 크로버는 치코무셀텍족은 와스텍족이 북쪽으로 이주하는 과정에서 남겨진 집단이거나, 아니면 와스텍족 중 일부가 마야인의 원래 고향으로 돌아온 것이라고 추측했다.[13][6]

4. 사멸

20세기 초, 치코무셀텍어의 쇠퇴는 분명해졌다. 1926년 프란츠 테르머가 치코무셀로 지역 사회를 방문했을 때, 약 2,500명의 지역 주민 중 치코무셀텍어를 구사할 수 있는 사람은 60세 이상 세 명뿐이라고 보고했다. 이들은 일상 대화에서 스페인어를 사용했다.[7]

4. 1. 20세기 초 상황

1926년에 프란츠 테르머가 치코무셀로 마을을 찾아갔을 때, 주민 2,500명 중 치코무셀텍어를 할 줄 아는 사람은 60세 이상 세 명뿐이었다. 이들조차 일상에서는 스페인어로만 말했다.[14]

참조

[1] 논문 Campbell and Canger (1978); Ethnologue entry on "Chicomuceltec" 2005
[2] 간행물 population estimates 2005
[3] 웹사이트 Data sources listed by author http://maya.hum.sdu.[...] 1897
[4] 서적 précis of Kroeber 1939 1968
[5] 문서 manuscript 1955
[6] 문서 Fernández de Miranda, loc. cit.
[7] 문서 Termer (1930), as annotated in Dienhart, op. cit.
[8] 논문 Campbell and Canger (1978) 참조; 에스놀로그의 "Chicomuceltec" 항목 2005
[9] 간행물 추정 인구에 관해서는 Gordon (2005) 참조
[10] 웹사이트 Data sources listed by author http://maya.hum.sdu.[...] 1897
[11] 서적 Fernández de Miranda (1968), pp.74–75에 나온 Kroeber 1939의 요약 참조
[12] 문서 Dienhart (1997)에서 인용. Zimmermann 1955에 해당 문서가 수록되어 있으며 그 내용에 대한 언어학적 분석도 실려 있다.
[13] 문서 Fernández de Miranda, loc. cit.
[14] 문서 Termer (1930). Dienhart, op. cit.에서 재인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