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리푸나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리푸나어는 중앙 아메리카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특히 온두라스에서 146,000명이 사용한다. 가리푸나는 서/중앙 아프리카, 아라와크족, 카리브족의 혼혈인 가리나구의 언어로, 아라와크어, 카리브어, 프랑스어, 영어, 스페인어 등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았다. 가리푸나어는 성별에 따라 인칭 대명사가 다르며, 동사, 명사, 수사 등 다양한 문법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벨리즈의 언어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 벨리즈의 언어 - 유카텍 마야어
유카텍 마야어는 멕시코 유카탄 반도와 인근 지역에서 사용되는 마야어족 언어로, 약 5,000년의 역사를 지니고 고대 마야 문명과 관련이 깊으며, 현재 멕시코와 벨리즈에 화자가 있고 독특한 음운 체계와 능격 문법을 가진 언어이다. - 온두라스의 언어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 온두라스의 언어 - 미스키토어
미스키토어는 아메리카 원주민, 유럽인, 아프리카인의 혼혈인 미스키토족이 사용하는 언어이며, 스페인어 사용 강제와 학교에서의 사용 금지로 쇠퇴했으나, 이중 언어 학교 장려 등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19개의 문자를 사용하는 언어이다.
가리푸나어 | |
---|---|
개요 | |
언어 이름 | 가리푸나어 |
다른 이름 | 이녜리어 (Island Carib), 가리프나, 중앙 아메리카 카리브어 |
사용 지역 | 온두라스 북부 해안, 과테말라, 벨리즈, 니카라과의 모스키토 해안 |
역사적 사용 지역 | 역사적으로 벨리즈에서 니카라과에 이르는 중앙 아메리카 북부 카리브 해 연안 |
사용자 | 가리푸나 사람들 |
언어 분류 | |
어족 | 아라와크어족 |
하위 어족 | 북부 아라와크어족 |
세부 어족 | 타-아라와크어족 |
관련 언어 | 이녜리어 (Island Carib language) |
언어 현황 | |
사용자 수 | 약 119,400명 (2001-2019년 기준) |
소수 언어 인정 국가 | 벨리즈 과테말라 |
언어 코드 | |
ISO 639-3 | cab |
Glottolog | gari1256 |
Glottolog 명칭 | Garifuna |
유네스코 지정 | |
지정 명칭 | 가리푸나의 언어, 춤, 음악 |
지정 국가 | 벨리즈, 과테말라, 온두라스, 니카라과 |
ID | 00001 |
지역 | LAC (라틴 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
지정 연도 | 2008년 |
세션 | 제3차 회의 |
목록 | 대표 목록 |
2. 사용 지역
가리푸나어는 중앙 아메리카에서 사용되며, 특히 온두라스에서 146,000명이 사용한다. 그 외에 과테말라 (20,000명), 벨리즈 (14,100명), 니카라과 (2,600명)에서도 사용되며, 미국에서는 특히 뉴욕 시의 퀸스, 브루클린, 브롱스에서 사용된다.[3] 휴스턴에도 1980년대부터 중앙 아메리카 출신 커뮤니티가 형성되어 가리푸나어를 사용한다.[4]
가리나구(단수 ''가리푸나'')는 서/중앙 아프리카, 아라와크 및 카리브 조상의 혼혈이다. 비록 고향에서 제거된 포로였지만, 노예로 기록된 적은 없다. 그들이 난파 사고에서 살아남았거나, 타고 온 배를 장악했다는 두 가지 설이 있다. 1796년 영국은 서부 및 중앙 아프리카 외모를 가진 사람들을 세인트 빈센트에서 온두라스만의 섬으로 추방했다.[6]
3. 역사
카리브족은 카리브해에 그 이름을 부여했으며, 한때 소앤틸리스 제도 전체에 살았다. 비록 그들의 언어는 현재 사어가 되었지만, 민족 카리브족은 여전히 도미니카, 트리니다드, 세인트 루시아, 세인트 빈센트에 살고 있다. 카리브족은 섬의 이전 인구인 아라와칸족인 타이노와 팔리쿠르족을 정복했다. 주로 남성에 의해 수행된 정복 동안, 카리브족은 아라와칸 여성을 아내로 삼았다. 아이들은 어머니에게서 아라와크어를 배우며 자랐지만, 소년들은 성장하면서 아버지에게서 카리브어를 배웠다. 이 언어는 여전히 남아메리카 본토에서 사용되고 있다.
17세기 유럽 선교사들은 섬 카리브족에 대한 설명을 통해 남성이 사용하는 카리브어와 여성이 사용하는 아라와크어 두 가지 언어의 사용을 기록했다. 남성은 핵심 카리브어 어휘를 유지했지만, 언어의 문법 구조는 아라와크어와 유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남성이 사용하는 섬 카리브어는 혼성 언어 또는 재어휘화된 언어로 간주된다. 가리푸나의 서아프리카 영향은 소수의 차용어와 억양에 국한된다. "아프리카 음성학"의 영향은 없는데, 서아프리카와 아프리카 전반의 언어가 매우 다양한 음소 목록을 가지고 있어 단일 아프리카 음성 시스템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가리푸나와 칼리나고어의 차이는 가리푸나가 중앙 아메리카로 보내지면서 단순한 진화로 설명할 수 있다.
가리푸나어는 역사적 발전과 변천에 따라 다음 4가지로 분류하는 연구가 있다.3. 1. 원시 가리푸나어 (1492년 ~ 1635년)
세인트빈센트 섬의 원주민들이 사용했던 언어이다.
1492년에서 1635년 사이, 원주민들은 유럽인들과 접촉하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프랑스어와 스페인어 어휘가 원주민 언어에 유입되었다. 또한, 아프리카에서 온 노예들이 사회에 들어오면서, 이를 나타내는 어휘도 등장하기 시작했다.
3. 2. 초기 가리푸나어 (1635년 ~ 1797년)
이 단계에서 아프리카에서 온 노예 집단이 세인트빈센트섬 원주민의 언어를 말할 수 있게 되었고, 어휘의 발음은 자신들의 아프리카인식 발음으로 변경하여 자신들의 언어로 만들기 시작했다. 이 시기(1635년 ~ 1797년)의 가리푸나 사회는 광범위하게 이중 언어 사회였으며, 많은 가리푸나인들은 프랑스어도 구사했다. 그 결과 수백 개의 프랑스어 명사 및 동사 어간이 가리푸나어 어휘로 흡수되는 대량의 어휘 유입이 발생했다.
3. 3. 중기 가리푸나어 (1797년 ~ 1985년)
1796년에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까지 세력을 확장한 영국과의 싸움 끝에 항복한 가리푸나는 추방당해 중앙아메리카의 다른 지역으로 간신히 이주하게 되었다.[1] 이 시기(1797년 - 1985년)에 가리푸나는 온두라스 앞바다의 로아탄 섬을 시작으로 중앙아메리카의 카리브해 연안 일대에 거주 지역을 넓혔다.[1] 그 결과, 이전까지 하나의 묶음으로 묶인 집단 내에서 충분히 통일된 언어였던 가리푸나어가 확장된 각 지역마다 조금씩 상호 이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언어적 차이가 생겨나기 시작했다.[1] 벨리즈, 과테말라, 온두라스, 니카라과 등 각 지역의 가리푸나어는 원주민, 영어권 출신 주민, 스페인어권 출신 주민, 기타 아프리카계 주민 등과 문화적으로 교류하며 상호 작용하여 개별적으로 변화하였다.[1]
3. 4. 현대 가리푸나어 (1985년 ~ 현재)
각지에서 가리푸나어 이외의 언어를 사용하는 주민과의 교류가 오랫동안 지속된 결과, 각 지역마다 발생한 가리푸나어의 언어적 차이가 뚜렷하게 느껴질 정도로 커졌다. 이에 가리푸나어의 언어 체계 유지를 위해 가리푸나인들은 언어 계획 또는 언어 정책을 효과적으로 수립하여 가리푸나어의 소멸을 막아야 할 필요성에 직면해 있다.
4. 사회언어학적 역사
가리나구(단수 ''가리푸나'')는 서/중앙 아프리카, 아라와크 및 카리브 혼혈이다. 비록 그들은 고향에서 추방된 포로였지만, 노예로 기록된 적은 없다. 유력한 두 가지 이론은 그들이 기록된 두 번의 난파 사고에서 살아남았거나, 타고 온 배를 장악했다는 것이다. 1796년 영국은 서부 및 중앙 아프리카 외모를 가진 사람들을 온두라스만의 섬으로 추방했다.[6]
카리브족은 언어적 조상으로 카리브해에 그들의 이름을 부여했으며, 한때 소앤틸리스 제도 전체에 살았다. 비록 그들의 언어는 현재 사어가 되었지만, 민족 카리브족은 여전히 도미니카, 트리니다드, 세인트 루시아, 세인트 빈센트에 살고 있다. 카리브족은 섬의 이전 인구인 아라와칸족인 타이노와 팔리쿠르족을 정복했다. 주로 남성에 의해 수행된 정복 동안, 카리브족은 아라와칸 여성을 아내로 삼았다. 아이들은 어머니에게 아라와크어를 배우며 자랐지만, 소년들이 성장하면서 아버지로부터 남아메리카 본토에서 여전히 사용되는 카리브어를 배웠다.
17세기 유럽 선교사들은 섬 카리브족에 대해 남성이 사용하는 카리브어와 여성이 사용하는 아라와크어 두 가지 언어를 사용했다고 기록했다. 남성은 핵심 카리브어 어휘를 유지했지만, 언어의 문법 구조는 아라와크어와 유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남성이 사용하는 섬 카리브어는 혼성 언어 또는 재어휘화된 언어로 간주된다. 가리푸나의 서아프리카 영향은 소수의 차용어와 억양에 국한된다. 일부 믿음과 달리, "아프리카 음성학"의 영향은 없다. 서아프리카와 아프리카 전반의 언어가 매우 다양한 음소 목록을 가지므로 단일 아프리카 음성 시스템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가리푸나와 칼리나고어의 차이는 가리푸나가 중앙 아메리카로 보내지면서 단순한 진화로 설명할 수 있다. 각지에서 가리푸나어 이외의 언어를 사용하는 주민과의 교류가 오랫동안 지속되면서, 각 지역에서 발생한 가리푸나어의 언어적 차이가 뚜렷하게 느껴질 정도로 커졌다. 이에 가리푸나인들은 언어 계획 또는 언어 정책을 효과적으로 수립하여 가리푸나어의 소멸을 막아야 할 필요성에 직면해 있다.
5. 어휘
가리푸나어의 어휘는 아라와크어(45%), 카리브어(25%), 프랑스어(15%), 영어(10%), 스페인어 및 영어 전문용어(5%)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7][8] 이외에 적은 수의 낱말은 아프리카 언어에서 왔다.
가리푸나어에는 남자만 쓰는 말과 여자만 쓰는 말이 따로 있다는 특징이 있다. 모든 낱말에 남녀 구별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남녀 별칭어가 쓰일 때 남자가 쓰는 말은 카리브어에서, 여자가 쓰는 말은 아라와크어에서 비롯된 것이 많다.
5. 1. 카리브어와의 비교
가리푸나어의 어휘는 아라와크어에서 45%, 카리브어에서 25%, 프랑스어에서 15%, 영어에서 10%, 스페인어 및 영어 전문용어에서 5%가 유래되었으며, 아프리카어에서 온 낱말도 적은 수로 존재한다.[7][8]가리푸나어에는 남자만 쓰는 말과 여자만 쓰는 말이 আলাদা 존재한다. 모든 낱말에 남녀 구별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남녀 별칭어가 쓰일 때 남자가 쓰는 말은 주로 카리브어에서, 여자가 쓰는 말은 아라와크어에서 비롯된 경우가 많다.
의미 | 가리푸나어 | 카리브어 |
---|---|---|
남자 | wügüricab | wokyrycrb |
여자 | würicab | woryicrb |
유럽인 | baranagülecab | paranakyrycrb (바다에서 온 사람, paranacrb) |
좋은 | irufunticab (과거 텍스트에서, f는 p였다) | iru'pacrb |
분노/혐오 | yeregucab | arekucrb |
무기/채찍 | arabaicab | urapacrb |
정원 | mainabucab (과거 텍스트에서, mainacab) | mainacrb |
작은 배 | guriaracab | kurijaracrb |
새 | dunurucab (과거 텍스트에서, tonoloucab) | tonorocrb |
집파리 | were-werecab | werewerecrb |
나무 | wewecab | wewecrb |
도마뱀/이구아나 | wayamagacab | wajamakacrb |
별 | warugumacab | arukumacrb |
태양 | weyucab | wejucrb |
비 | gunubucab (과거 텍스트에서, konoboucab) | konopocrb |
바람 | bebeidicab (과거 텍스트 bebeitécab) | pepeitocrb |
불 | watucab | wa'tocrb |
산 | wübücab | wypycrb |
물, 강 | dunacab (과거 텍스트 tonacab) | tunacrb |
바다 | baranacab | paranacrb |
모래 | sagouncab (과거 텍스트 saccaocab) | sakaucrb |
길 | ümacab | omacrb |
돌 | dübücab | topucrb |
섬 | ubouhucab (과거 텍스트에서, oubaocab) | pa'wucrb |
5. 2. 성별에 따른 차이
가리푸나어의 흥미로운 특징 중 하나는 남성만 사용하는 단어와 여성만 사용하는 단어가 আলাদা 있다는 점이다. 물론 모든 단어에 남녀 구분이 있는 것은 아니다. 남녀가 다르게 사용하는 단어의 경우, 남성이 사용하는 단어는 카리브어에서, 여성이 사용하는 단어는 아라와크어에서 비롯된 경우가 많다.[1]현대 가리푸나어에서 이중 언어 사용의 예는 비교적 드물게 나타난다. 남성과 여성이 같은 개념에 대해 서로 다른 단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예를 들어 "나"를 표현할 때 au ~ nugía|아우 ~ 누기아cab와 같은 차이가 있지만, 이러한 단어는 대부분 희귀하며 남성 화자에 의해 사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남자"와 "여자"를 표현하는 카리브어와 아라와크어 단어가 각각 존재하여 총 4개의 단어가 있지만, 실제로는 일반적인 용어인 mútu|무투cab "사람"이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사용되며, 동사, 형용사 또는 지시사에 문법적 성 일치를 통해 mútu|무투cab가 남자 또는 여자를 지칭하는지 구분한다(mútu lé|무투 레cab "그 남자", mútu tó|무투 토cab "그 여자").[1]
하지만 많은 무생물 명사의 문법적 성에서 이중 언어적 구분이 존재하며, 추상적인 단어는 일반적으로 남성에 의해 문법적으로 여성으로, 여성에 의해 문법적으로 남성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단어 wéyu|웨유cab는 구체적인 "해" 또는 추상적인 "날"을 의미할 수 있으며, "날"의 의미로 사용될 때 대부분의 남성은 보수적인 화법에서 적어도 여성 일치를 사용하고, 여성은 남성 일치를 사용한다. "필요하다"와 같은 구문에서 추상적인 인칭 대명사에 해당하는 표현 또한 여성에게는 남성, 보수적인 남성 화법에서는 여성으로 사용된다.[1]
6. 음운
7. 문법
가리푸나어의 문법은 명사, 동사, 대명사, 수사 등 다양한 요소들로 구성된다.
가리푸나어는 일부 인간 명사에 대해 단수와 복수를 구분하며, 명사의 표시는 접미사를 통해 나타낸다. 예를 들어 '아이'를 뜻하는 isânicab는 복수형으로 isâni-gucab가 된다. '남자', '여자', '여자 형제'의 복수형은 각각 wügüri-ñacab, hiñáru-ñucab, ítu-nucab이다. Garífunacab의 복수는 Garínagucab이다. 복수 생활 명사는 동사 및 기타 문장 요소에 생활 복수 일치를 사용하며, 무생물 명사는 복수 일치를 나타내지 않는다.
명사에 대한 소유는 인칭 접두사로 표현된다. 예를 들어 '삶'을 뜻하는 ibágaricab는 '나의 삶'은 n-ibágaricab, '너의 삶'은 b-ibágaricab, '그/그녀의 삶'은 각각 l-ibágaricab, t-ibágaricab와 같이 표현된다.
가리푸나어 동사는 문법적 시제, 문법적 상, 문법적 법, 부정, 문법적 인칭(주어와 목적어 모두)을 접사(주로 접미사)와 입자(두 번째 위치의 후치사)로 나타내며, 문법적 활용의 패러다임은 다양하다.
가리푸나어의 숫자는 3부터 프랑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20진법 체계를 기반으로 한다. 숫자는 다음과 같다.
가리푸나어 | 프랑스어 | 한국어 |
---|---|---|
아반cab | 1 | |
비냐, 비아마, 비안cab | 2 | |
우류와cab | 트루아프랑스어 | 3 |
가두류cab | 카트르프랑스어 | 4 |
생구cab | 생크프랑스어 | 5 |
시시cab | 시스프랑스어 | 6 |
세두cab | 세트프랑스어 | 7 |
위두cab | 위트프랑스어 | 8 |
네푸cab | 뇌프프랑스어 | 9 |
디시cab | 디스프랑스어 | 10 |
운수cab | 옹즈프랑스어 | 11 |
두수cab | 두즈프랑스어 | 12 |
타레이시cab | 트레즈프랑스어 | 13 |
카토르수cab | 카토르즈프랑스어 | 14 |
케인시cab | 캥즈프랑스어 | 15 |
디시시, 디시시시cab | 디스-시스프랑스어 (→세즈프랑스어) | 16 |
디세두, 디시세두cab | 디스-세트프랑스어 | 17 |
디시위두cab | 디스-위트프랑스어 | 18 |
디시네푸cab | 디스-뇌프프랑스어 | 19 |
웨인cab | 뱅프랑스어 | 20 |
다란디cab | 트롱트프랑스어 | 30 |
비아마 웨인cab | 2 x 뱅프랑스어 (→카랑트프랑스어) | 40 |
디미 산cab | 드미 상프랑스어 (→생캉트프랑스어) | 50 |
우류와 웨인cab | 트루아-뱅프랑스어 (→수아상트프랑스어) | 60 |
우류와 웨인 디시cab | 트루아-뱅-디스프랑스어 (→수아상트-디스프랑스어) | 70 |
가두류 웨인cab | 카트르-뱅프랑스어 | 80 |
가두류 웨인 디시cab | 카트르-뱅-디스프랑스어 | 90 |
산cab | 상프랑스어 | 100 |
밀루cab | 밀프랑스어 | 1,000 |
미뇨누cab | 밀리언영어? | 1,000,000 |
7. 1. 인칭 대명사
가리푸나어의 독립된 인칭 대명사는 화자의 성별을 구분한다.rowspan="2" colspan="2" | | 단수 | 복수 | ||
---|---|---|---|---|
남성 화자 | 여성 화자 | |||
1인칭 | au|아우cab | nugía|누기아cab | wagía|와기아cab | |
2인칭 | amürü|아뮈뤼cab | bugía|부기아cab | hugía|후기아cab | |
3인칭 | 남성 | ligía|리기아cab | hagía|하기아cab | |
여성 | tuguya|투구야cab |
au|아우cab와 amürü|아뮈뤼cab 형태는 카리브어족에서 유래되었으며, 나머지는 아라와크어족에서 유래되었다.
7. 2. 수
가리푸나어는 일부 인간 명사에 대해 단수와 복수를 구분한다. 명사의 표시는 접미사를 통해 나타낸다.- isânicab "아이" – isâni-gucab "아이들"
- wügüricab "남자" – wügüri-ñacab "남자들"
- hiñarucab "여자" – hiñáru-ñucab "여자들"
- itucab "여자 형제" – ítu-nucab "여자 형제들"
Garífunacab의 복수는 Garínagucab이다.
복수 생활 명사는 동사 및 기타 문장 요소에 생활 복수 일치를 사용한다. 무생물 명사는 복수 일치를 나타내지 않는다.
7. 3. 소유
명사에 대한 소유는 인칭 접두사로 표현된다.- ibágari|삶cab
- n-ibágari|나의 삶cab
- b-ibágari|너의 (단수) 삶cab
- l-ibágari|그의 삶cab
- t-ibágari|그녀의 삶cab
- wa-bágari|우리의 삶cab
- h-ibágari|너희의 (복수) 삶cab
- ha-bágari|그들의 삶cab
7. 4. 동사
가리푸나어 동사는 문법적 시제, 문법적 상, 문법적 법, 부정, 문법적 인칭(주어와 목적어 모두)을 접사(주로 접미사)와 입자(두 번째 위치의 후치사)로 나타낸다. 문법적 활용의 패러다임은 다양하다.7. 4. 1. 예시
동사 alîha|가리푸나어|알리하cab "읽다"의 현재 진행형은 다음과 같다.주어 | 형태 |
---|---|
나 | n-alîha-ña|가리푸나어|날리하냐cab "나는 읽고 있다" |
너 (단수) | b-alîha-ña|가리푸나어|발리하냐cab "너는 읽고 있다" |
그 | l-alîha-ña|가리푸나어|랄리하냐cab "그는 읽고 있다" |
그녀 | t-alîha-ña|가리푸나어|탈리하냐cab "그녀는 읽고 있다" |
우리 | wa-lîha-ña|가리푸나어|왈리하냐cab "우리는 읽고 있다" |
너희 (복수) | h-alîha-ña|가리푸나어|할리하냐cab "너희는 읽고 있다" |
그들 | ha-lîha-ña|가리푸나어|할리하냐cab "그들은 읽고 있다" |
동사 alîha|가리푸나어|알리하cab "읽다"의 단순 현재/과거 시제는 다음과 같다.
주어 | 형태 |
---|---|
나 | alîha-tina|가리푸나어|알리하티나cab "나는 읽는다" |
너 (단수) | alîha-tibu|가리푸나어|알리하티부cab "너는 읽는다" |
그 | alîha-ti|가리푸나어|알리하티cab "그는 읽는다" |
그녀 | alîha-tu|가리푸나어|알리하투cab "그녀는 읽는다" |
우리 | alîha-tiwa|가리푸나어|알리하티와cab "우리는 읽는다" |
너희 (복수) | alîha-tiü|가리푸나어|알리하티위cab "너희는 읽는다" |
그들 (남성) | alîha-tiñu|가리푸나어|알리하티뉴cab "그들은 읽는다" |
그들 (여성) | alîha-tiña|가리푸나어|알리하티냐cab "그들은 읽는다" |
불규칙 동사도 존재한다.
7. 5. 수사
3부터 시작하는 가리푸나어의 숫자는 전적으로 프랑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오늘날 프랑스어에서 "80"에서 나타나는 20진법 체계를 기반으로 한다.가리푸나어 | 프랑스어 | 한국어 |
---|---|---|
아반cab | 1 | |
비냐, 비아마, 비안cab | 2 | |
우류와cab | 트루아프랑스어 | 3 |
가두류cab | 카트르프랑스어 | 4 |
생구cab | 생크프랑스어 | 5 |
시시cab | 시스프랑스어 | 6 |
세두cab | 세트프랑스어 | 7 |
위두cab | 위트프랑스어 | 8 |
네푸cab | 뇌프프랑스어 | 9 |
디시cab | 디스프랑스어 | 10 |
운수cab | 옹즈프랑스어 | 11 |
두수cab | 두즈프랑스어 | 12 |
타레이시cab | 트레즈프랑스어 | 13 |
카토르수cab | 카토르즈프랑스어 | 14 |
케인시cab | 캥즈프랑스어 | 15 |
디시시, 디시시시cab | 디스-시스프랑스어 (→세즈프랑스어) | 16 |
디세두, 디시세두cab | 디스-세트프랑스어 | 17 |
디시위두cab | 디스-위트프랑스어 | 18 |
디시네푸cab | 디스-뇌프프랑스어 | 19 |
웨인cab | 뱅프랑스어 | 20 |
다란디cab | 트롱트프랑스어 | 30 |
비아마 웨인cab | 2 x 뱅프랑스어 (→카랑트프랑스어) | 40 |
디미 산cab | 드미 상프랑스어 (→생캉트프랑스어) | 50 |
우류와 웨인cab | 트루아-뱅프랑스어 (→수아상트프랑스어) | 60 |
우류와 웨인 디시cab | 트루아-뱅-디스프랑스어 (→수아상트-디스프랑스어) | 70 |
가두류 웨인cab | 카트르-뱅프랑스어 | 80 |
가두류 웨인 디시cab | 카트르-뱅-디스프랑스어 | 90 |
산cab | 상프랑스어 | 100 |
밀루cab | 밀프랑스어 | 1,000 |
미뇨누cab | 밀리언영어? | 1,000,000 |
카리브어 또는 아라와크어 용어 대신 프랑스어 차용어를 사용하는 이유는 불분명하지만, 10 이상의 숫자가 더 길고 복잡해지는 경향이 있는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의 숫자와 비교했을 때 간결함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8. 통사
단어 순서는 동사-주어-목적어 (VSO, 고정)이다.
참조
[1]
간행물
Et Christophe Colomb vint...
1993
[2]
웹사이트
Language, dance and music of the Garifuna
http://www.unesco.or[...]
2015-01-01
[3]
뉴스
Some NY immigrants cite lack of Spanish as barrier
http://www.utsandieg[...]
2013-02-10
[4]
문서
1987
[5]
뉴스
Independent Honduran-American Film "Garifuna in Peril" Will Premiere in Honduras
http://www.hondurasw[...]
2013-10-17
[6]
간행물
Biocultural adaptation to disease in the Caribbean: Case study of a migrant population
http://www2.ku.edu/~[...]
1997
[7]
웹사이트
A Caribbean Vocabulary Compiled In 1666
http://www.uctp.org/[...]
United Confederation of Taino People
2008-05-20
[8]
웹사이트
Kali'na Vocabulary
http://wold.livingso[...]
Max Planck Digital Library
2012-03-23
[9]
문서
2016
[10]
간행물
Language Shift and the Speech Community: Sociolinguistic Change in a Garifuna Community in Belize
https://repository.u[...]
2022-1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