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위대 제19무장척탄병사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친위대 제19무장척탄병사단은 친위대가 창설한 두 번째 라트비아인 의용병 사단으로, 제2 SS 보병 여단 예하 부대를 중심으로 편성되었다. 1944년 5월에 소련의 여름 대공세에 투입되어 발트 3국에서 6개월간 방어선을 유지했다. 나르바 전투와 쿠를란트 포켓 전투에 참전했으며, 1945년 소련군의 공세로 궤멸된 후 잔존 병력은 베를린 방어전에 투입되어 미국군에게 항복했다. 이 사단은 전투 능력과 나치즘에 대한 높은 충성도로 특징지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장친위대 외인징병부대 - 친위대 제20무장척탄병사단
친위대 제20무장척탄병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 무장 친위대 소속 사단으로, 에스토니아인으로 구성되어 레닌그라드 전선에서 전투를 벌이다 소련군에 포위된 후 미군에 항복하며 해산되었고, 참전 관련 기념 행사 등으로 논란이 있다. - 무장친위대 외인징병부대 - 친위대 제15무장척탄병사단
친위대 제15무장척탄병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라트비아인으로 구성되어 동부 전선에서 전투를 벌이다 1945년 5월 연합군에게 항복한 독일 무장친위대 소속 사단이었다. - 라트비아의 나치 부역자 - 빅토르스 아라이스
빅토르스 아라이스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아라이스 특공대를 지휘하며 홀로코스트에 가담한 라트비아 출신의 나치 협력자로, 리가 회당 방화 사건, 리가 게토, 룸불라 학살 등의 범죄를 저질렀으며, 종전 후 체포되어 종신형을 선고받고 복역 중 사망했다. - 라트비아의 나치 부역자 - 친위대 제15무장척탄병사단
친위대 제15무장척탄병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라트비아인으로 구성되어 동부 전선에서 전투를 벌이다 1945년 5월 연합군에게 항복한 독일 무장친위대 소속 사단이었다. - 동방 국가판무관부 - 오스트란트 국가판무관부
오스트란트 국가판무관부는 나치 독일이 제2차 세계 대전 중 점령한 발트 3국과 벨라루스 지역에 설치한 행정 구역으로, 1941년 설립되어 독일화 계획, 강제 노동, 홀로코스트 등 나치의 정책이 시행되었으며, 1944년 해체되었다. - 동방 국가판무관부 - 벨라루스 중앙 라다
벨라루스 중앙 라다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 점령하 벨라루스에서 설립된 괴뢰 정부로, 라다슬라우 아스트로우스키를 대통령으로 하여 제한적인 역할을 수행하다 독일군 후퇴 후 망명하여 반공 활동을 이어갔으나, 나치 협력으로 비판적 시각도 존재하는 단체이다.
친위대 제19무장척탄병사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명칭 | 제19SS무장척탄병사단 (제2라트비아) |
원어 명칭 | (독일어) (라트비아어) |
군사 정보 | |
복무 기간 | 1944년 – 1945년 |
소속 | 23px 무장친위대 |
병과 | 보병 |
종류 | 척탄병 |
규모 | 사단 |
지휘 구조 | 제6SS의용육군단 (라트비아) |
전투 및 작전 | |
참전 | 제2차 세계 대전 |
주요 전투 | 나르바 전투 베를린 전투 |
해체 | |
해체일 | 1945년 5월 |
지휘관 | |
주요 지휘관 | 하인리히 슐트 |
지휘관 | 프리드리히빌헬름 보크 |
지휘관 | 브루노 슈트레켄바흐 |
기타 | |
별칭 | 제46무장척탄병연대 (라트비아 제6연대) |
2. 편성
(내용 없음 - 하위 섹션 '사단 구성'에서 편성 과정이 상세히 설명되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
2. 1. 사단 구성
제2 SS 보병 여단에 소속된 제46 무장척탄병 연대(라트비아 제6 연대)를 중심으로 3개 연대가 합류하여 편성되었다. 이 과정에서 다른 2개 연대의 번호가 각각 39에서 40으로, 42에서 43으로 변경되었다. 연대 명칭은 각각 Voldemars Veissdeu와 Hinrich Schuldtdeu로 명명되었다.제19SS무장척탄병사단은 친위대가 만든 두 번째 라트비아인 의용병 사단이다. 자매 사단인 제15SS무장척탄병사단처럼 독일군 부대가 핵심적인 역할을 했으며, 제2SS기갑사단으로부터 많은 장교들이 파견되었다. 또한 기존 경찰 대대에 소속되어 있던 라트비아인들이 합류하면서 병력 부족 문제는 겪지 않았다.
사단 편성은 1944년 5월에 실제로 완료되었고, 불과 한 달 뒤인 6월에는 소련의 여름 대공세(클라스노예 세로-롭샤 공세)에 투입되어 실전을 치렀다. 이 사단은 발트 3국으로 진격해오는 적군을 막기 위해 최전선에 섰으며, 수적으로 훨씬 열세인 상황에서도 독일군의 일개 사단으로서 약 6개월 동안 전선을 유지하는 데 기여했다.[2] (나르바 전투)
3. 주요 전투
1944년 5월 편성을 마친 사단은 한 달 뒤 소련군의 여름 대공세(클라스노예 세로-롭샤 공세)가 시작되면서 동부 전선에 투입되었다.[2] 이후 발트 3국 지역에서 벌어진 나르바 전투 등 여러 격전에 참여하며 소련군의 공세에 맞섰다.
3. 1. 나르바 전투 (1944년)
1944년 5월 편성을 마친 제19SS무장척탄병사단은 불과 한 달 뒤 소련의 여름 대공세(클라스노예 세로-롭샤 공세)가 시작되면서 곧바로 실전에 투입되었다.[2] 이 사단은 발트 3국으로 진격해오는 적군을 상대로 나르바 전투 등에서 방어전을 수행했다. 당시 독일군의 일원으로서 병력 수에서 훨씬 열세였음에도 불구하고, 약 6개월 동안 방어선을 유지하는 데 기여했다.[2]3. 2. 쿠를란트 포켓
나르바 전투에 참전하였으나, 이후 소련군의 바그라티온 작전으로 인해 쿠를란트 포켓에 고립되었다.[3] 사단의 전쟁 말기 상황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부족하지만, 1944년 쿠를란트 전투 중 사단 내 일부 부대에서 반란이 일어났다는 소문[4] 혹은 실제 반란이 있었다는 주장[3]이 있다. 2020년 기준으로 이 주장의 진위는 확인되지 않았다.4. 전쟁 말기
1945년, 소련군의 진격으로 사단이 궤멸된 후, 간신히 살아남은 병력은 제15SS 무장척탄병 사단(라트비아 제1)과 함께 빌리스 야눔스 SS 대령의 지휘 아래 베를린 방어를 위해 재집결했다. 최종적으로 엘베강 근처의 귈터글뤼크에서 미국군에게 항복했다.[3]
5. 특징
다른 SS 의용병 사단과는 달리, 전투 능력 면에서 뛰어난 제19SS무장척탄병사단은 동시에 나치즘에 깊이 경도된 것으로도 유명하다.[3]
6. 역대 지휘관
보직 | 면직 | 계급 | 성명 |
---|---|---|---|
1943년 9월 5일 | 1944년 3월 15일 | 친위대 상급대령 | 힌리히 슐트 Hinrich Schuldtdeu |
1944년 3월 15일 | 1944년 4월 13일 | 친위대 대령 | 빌헬름 보크 Wilhelm Bockdeu |
1944년 5월 26일 | 1945년 5월 | 친위대 상급대령 | 브루노 슈트레켄바흐 Bruno Streckenbachdeu |
7. 병력 규모
시기 | 병력 규모 |
---|---|
1943년 12월 | 8,033명 |
1944년 6월 | 10,592명 |
1944년 12월 | 9,396명 |
8. 전투 서열
제2 SS 보병 여단에 소속되었던 제46 무장척탄병 연대(라트비아 제6 연대)를 중심으로 3개 연대가 합류하여 편성되었다. 편성 과정에서 일부 연대의 번호가 변경되었다. 제42SS무장척탄병연대는 Voldemars Veiss|볼데마르 베이스deu, 제43SS무장척탄병연대는 Hinrich Schuldt|힌리히 슐트deu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제42SS무장척탄병연대 "Voldemars Veiss|볼데마르 베이스deu"
- 제43SS무장척탄병연대 "Hinrich Schuldt|힌리히 슐트deu"
- 제44SS무장척탄병연대 (라트비아 제6)
- 제19무장포병연대
- 제19SS경보병대대
- 제19SS전차사냥꾼대대
- 제19SS대공포병대대
- 제19SS공병대대
- 제19SS보급대대
- 제19SS위생병대대
- 제19SS야전우편국
- 제19SS수의대대
- 제19SS총무대대
- 제19SS통신대대
참조
[1]
서적
Tessin
[2]
서적
HITLER'S FOREIGN DIVISIONS 武装親衛隊外国人義勇兵師団
リイド社
2007-06-04
[3]
서적
HITLER'S FOREIGN DIVISIONS 武装親衛隊外国人義勇兵師団
リイド社
2007-06-04
[4]
서적
武装SS興亡史
学研研究所
2005-04-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