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치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치즘은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NSDAP)의 이념으로, 민족주의와 공동체주의를 결합하여 국민을 통합하려는 사상이다. '나치'라는 용어는 NSDAP의 약칭으로 사용되었으며, 아돌프 히틀러의 지도 아래 1933년부터 1945년까지 나치 독일 정권의 공식 이념이었다. 나치즘은 인종주의, 반유대주의, 반공산주의, 전체주의적 성격을 띠며, 아리아인의 우월성을 주장하며 유대인, 집시, 장애인 등을 제거하려는 정책을 펼쳤다. 또한, 개인의 자유를 억압하고 국가에 헌신할 것을 강조하는 등, 다양한 사상과 철학적 배경을 가지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나치즘은 금지되었지만, 네오나치 등 극우 세력에 의해 여전히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수주의 - 중국공산당
    중국공산당은 1921년 창당되어 국공내전과 문화대혁명 등 격변을 거치며 성장, 덩샤오핑 시대 개혁개방을 통해 경제 대국으로 발전했으나 인권 문제와 권력 집중화 비판이 제기되며 현재 시진핑 주석 지도 아래 중국 특색 사회주의를 기반으로 영향력을 확대하는 중화인민공화국 집권 정당이다.
  • 독일 국민주의 - 독일 문제
    독일 문제는 19세기 독일 통일 과정에서 발생한 정치적, 외교적 쟁점으로, 오스트리아와 프로이센의 주도권 경쟁, 종교적 갈등, 대독일주의와 소독일주의의 이념 대립이 주요 원인이 되어 프로이센 주도의 독일 제국 수립과 이후 유럽 역사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 독일 국민주의 - 제4제국
    제4제국은 아르투어 묄러 판 데어 브루크의 '제3제국'에서 파생된 용어로, 네오나치의 나치 독일 부활 염원, 음모론자들의 나치 잔재 지속 주장, 유럽 평론가들의 독일 영향력 비판, 우익 포퓰리즘 경고, 그리고 대중문화 작품 속 나치의 재기 시도 등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된다.
  • 전체주의 - 볼셰비키
    볼셰비키는 1903년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에서 레닌을 중심으로 시작되어 멘셰비키와 대립하며 러시아 혁명을 주도,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실현하고 소비에트 연방을 수립한 정치 세력이다.
  • 전체주의 - 마르크스-레닌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는 마르크스의 사상을 레닌과 후계자들이 재해석하고 발전시킨 이념으로, 생산수단의 공동소유와 계급투쟁을 중시하며 공산당 주도의 사회주의 혁명을 통해 평등 사회를 목표로 했으나, 권위주의 통치, 냉전, 소련 붕괴 등으로 영향력이 감소했고 현재 일부 국가에서만 권력을 유지하며 엇갈린 평가를 받는다.
나치즘
지도
기본 정보
나치당 깃발
나치즘의 주요 상징인 스바스티카는 1935년 이후 나치 독일의 국기에 통합되었다.
명칭나치즘
독일어 명칭Nationalsozialismus
기타 명칭Hitlerfaschismus
Hitlerismus
관련 문서네오나치
이념
주요 이념파시즘
민족주의
인종주의
반유대주의
반공주의
전체주의
우생학
특징보수적, 민족주의적 이념과 사회적으로 급진적인 교리를 조화시키려 시도했다.
사회진화론적 세계관에 바탕을 두었다.
역사
기원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독일의 혼란 속에서 등장한 극우 민족주의 운동에서 기원
Freikorps 등의 극우 단체에서 영향을 받았다.
발전NSDAP를 중심으로 발전
아돌프 히틀러의 지도하에 권력을 장악
나치 독일을 수립
주요 사건뮌헨 봉기
뉘른베르크 법 제정
안슐루스
제2차 세계 대전
홀로코스트
종전 이후탈나치화 과정을 거침
핵심 개념
주요 개념Volksgemeinschaft
Lebensraum
Untermenschen
Führerprinzip
강제적 동일화
혈액과 토양
주요 문서Mein Kampf
조직
주요 조직NSDAP
Sturmabteilung (SA)
Schutzstaffel (SS)
Waffen-SS
Hitler Jugend
지도자Führer (아돌프 히틀러)
관할 구역Reichsgau
관련 용어
관련 용어제3제국
신질서
나치 선전
퇴폐 미술
강제 수용소
반유대주의
나치 독일의 인종 정책
뉘른베르크 전당대회
홀로코스트
반파시즘
네오나치
제4제국
종교적 측면
적극적 기독교
반지성주의
베니토 무솔리니
하켄크로이츠
나치 경례
지크 하일
반공주의
생존권
반유대주의
반파시즘
동맹국
추축국
게슈타포
아리안족
북방인종
투레 협회
카를 하우스호퍼
독일계 미국인 협회
미국 백은 군단
레벤스보른
관련 서적 및 신문
주요 서적Mein Kampf
Der Mythus des 20. Jahrhunderts
주요 신문Völkischer Beobachter
Der Stürmer
파생된 이념
파생 이념스트라세르주의
조직
주요 조직민족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돌격대(SA)
친위대(SS)
비밀국가경찰(게슈타포)
히틀러 청소년단(HJ)
독일소년단(DJ)
독일소녀동맹(BDM)
민족사회주의 독일 학생동맹(NSDStB)
민족사회주의체육국가동맹(NSRL)
민족사회주의여성동맹(NSF)
혁명적 민족사회주의 투쟁동맹(KGRNS)
주요 인물
관련 인물아돌프 히틀러
루돌프 헤스
요제프 괴벨스
하인리히 힘러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율리우스 슈트라이허
헤르만 괴링
휴스턴 스튜어트 체임벌린
그레고어 슈트라서
오토 슈트라서
조지 링컨 록웰

2. 어원

나치당 배지


나치당의 정식 명칭은 Nationalsozialistische Deutsche Arbeiterpartei|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de이며, 약칭으로 NSDAP를 공식적으로 사용했다. "나치"라는 용어는 NSDAP가 부상하기 이전부터 농부나 농민처럼 뒤처진 사람을 가리키는 경멸적인 단어로 사용되었다. 이는 어색하고 서투른 사람, 촌뜨기를 묘사하는 말이었으며, 독일 남성 이름 "Igna(t)z" (이냐시오 이름의 변형)의 애칭이었다. Igna(t)z는 당시 NSDAP가 출현한 바이에른에서 흔한 이름이었다.

1920년대 독일 노동 운동 내에서 NSDAP의 정치적 반대자들은 Sozialist|사회주의자de를 줄여 Sozide라고 부르는 것처럼, NSDAP의 Nationalsozialistischede를 "나치"라고 경멸적으로 불렀다.[11] 1926년 요제프 괴벨스는 Der Nazi-Sozide (나치-소시)라는 출판물에서 "나치"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했지만, 곧 이 용어 사용을 중단했다.[12]

1930년대 NSDAP가 권력을 잡은 후, "나치 독일", "나치 정권" 등의 용어는 독일 망명자들에 의해 독일 외부에서 대중화되었으나, 독일 내부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이 용어는 다른 언어로 퍼져 나갔고, 결국 제2차 세계 대전 후 독일로 다시 들어왔다. NSDAP는 "나치"라는 명칭을 잠시 채택했지만, 곧 포기하고 권력을 잡는 동안에는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았다.

2. 1. 명칭



나치당의 정식 명칭은 Nationalsozialistische Deutsche Arbeiterpartei|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de이며, 약칭으로 NSDAP를 공식적으로 사용했다. "나치"라는 용어는 NSDAP가 등장하기 이전부터 농민과 같이 뒤처진 사람을 가리키는 경멸적인 단어로 사용되었다. 이 단어는 어색하고 서투른 사람, 촌뜨기를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독일 남성 이름 "Igna(t)z"(이냐시오 이름의 변형)의 애칭이었다. Igna(t)z는 당시 NSDAP가 출현한 바이에른 지역에서 흔한 이름이었다.

1920년대 독일 노동 운동 내에서 NSDAP의 정치적 반대자들은 Sozialist|사회주의자de를 줄여 Sozide라고 부르는 것처럼, NSDAP의 Nationalsozialistischede를 "나치"라고 경멸적으로 불렀다.[11] 1926년 요제프 괴벨스는 Der Nazi-Sozide (나치-소시)라는 출판물에서 "나치"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했지만, 곧 이 용어 사용을 중단했다.[12]

1930년대 NSDAP가 권력을 잡은 후, "나치 독일", "나치 정권" 등의 용어에서 "나치"라는 용어는 독일 망명자들에 의해 독일 외부에서 대중화되었지만, 독일 내부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이 용어는 다른 언어로 퍼져 나갔고, 결국 제2차 세계 대전 후 독일로 다시 들어왔다. NSDAP는 "나치"라는 명칭을 잠시 채택했지만, 곧 포기하고 권력을 잡는 동안에는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당원들은 자신을 "국가사회주의자"라고 불렀다. 1941년부터 1944년까지 히틀러의 대화를 모은 ''히틀러의 식탁회화''나 헤르만 괴링의 연설에서도 "나치"라는 용어는 사용되지 않았다.[13][14] 멜리타 마슈만은 자신의 경험을 담은 ''Account Rendered''라는 책을 썼지만, 자신을 "나치"라고 언급하지 않았다.[15] 1933년 컬럼비아 대학교의 시어도어 아벨 교수가 인터뷰한 581명의 국가사회주의당원들도 자신을 "나치"라고 언급하지 않았다.[16]

「나치」나 「나치즘」은 국민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의 멸칭인 나치에서 유래한 것이며, 지지자들은 Nationalsozialismus|국가사회주의de라고 불렀다.

사회주의·공산주의 진영인 스탈린이나 코민테른은 나치즘을 이탈리아의 파시스트당의 이데올로기인 「파시즘」의 일종으로 정의하고 「파시즘」이라고 불렀다(1920년대의 사회파시즘론, 1930년대의 인민전선 전술 등). 이 용법은 제2차 세계 대전 후에도 계속 사용되었다.

하지만, 후대의 네오나치는 위의 범위에 한정되지 않고, 「나치즘」이나 「파시즘」을 자칭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단어로서의 「나치즘」은 국민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의 사상뿐만 아니라, 그 정책[207]이나 나치 독일의 지배 형태 일반을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208]

일본어에서는 “'''국가'''사회주의”, “'''국민'''사회주의”, “'''민족'''사회주의”로 번역되고 있다(국가사회주의독일노동자당#명칭 참조).

나치즘 시대의 미디어 등을 연구하는 사토 타쿠미는 이를 “'''국민'''사회주의”로 번역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사토는 “국가사회주의”는 오역이며, 현대 독일사 전문가 중에 “국가사회주의” 등으로 번역하는 사람은 없다고 말하고 있다. 사토는 더 나아가 “국가사회주의”로 오역되는 배경에는 “‘국가’ 책임만 추궁하고 ‘국민’ 책임을 묻지 않으려는 심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또한 독일 근현대사 전문가인 이시다 유지도 독일어 National|국민de은 “국가적이 아니라 국민적 또는 민족적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시다는 “나치즘은 국가가 아니라 국민·민족을 우선하는 사상”이며, 당명을 “국가사회주의”로 번역하면 나치즘의 본질을 잘못 이해하게 되므로 일본어 번역은 “'''국민'''사회주의”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참고로 이시다는 나치즘을 국민주의와 사회주의의 융합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그 의미에서도 “국민사회주의”라는 번역어가 타당하다고 한다.

경제학자 세토 오카히로는 “파시즘에게 있어 ‘계급’이 아니라 ‘민족’을 의식시키고 ‘민족’ 의식을 테코로 하는 것은 결정적으로 중요했다”는 이유로 “국가사회주의”가 아니라 “'''민족'''사회주의”라는 번역어를 사용하고 있다.

2. 2. 번역어

일본어에서는 나치즘을 "'''국가'''사회주의", "'''국민'''사회주의", "'''민족'''사회주의"로 번역한다(국가사회주의독일노동자당#명칭 참조).

나치즘 시대 미디어 등을 연구하는 사토 타쿠미는 "'''국민'''사회주의"로 번역해야 한다고 주장하며,[209] "국가사회주의"는 오역이라고 비판한다.[209] 그는 현대 독일사 전문가 중에 "국가사회주의" 등으로 번역하는 사람은 없다고 말하며,[210] "국가사회주의"로 오역되는 배경에는 "'국가' 책임만 추궁하고 '국민' 책임을 묻지 않으려는 심성"이 있다고 본다.[209]

독일 근현대사 전문가 이시다 유지도 독일어 "Nationalde"은 "국가적이 아니라 국민적 또는 민족적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고 주장한다.[211] 그는 "나치즘은 국가가 아니라 국민·민족을 우선하는 사상"이며, 당명을 "국가사회주의"로 번역하면 나치즘의 본질을 잘못 이해하게 되므로 일본어 번역은 "'''국민'''사회주의"로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211] 그는 나치즘을 국민주의와 사회주의의 융합으로 설명하며,[212] 그런 의미에서도 "국민사회주의"라는 번역어가 타당하다고 한다.

경제학자 세토 오카히로는 "파시즘에게 있어 '계급'이 아니라 '민족'을 의식시키고 '민족' 의식을 테코로 하는 것은 결정적으로 중요했다"는 이유로 "국가사회주의"가 아니라 "'''민족'''사회주의"라는 번역어를 사용하고 있다.[213]

3. 정의

나치즘은 민족을 중심으로 국민을 통합하려는 민족주의와, 마르크스주의와 계급 의식을 극복하여 국민을 하나로 묶는 공동체주의를 융합한 것이다. 아돌프 히틀러는 민족주의와 공동체주의를 동일시하여, 이를 '국민사회주의'라고 불렀다.[209][210][211] 나치즘은 국가주의적이고 민족주의적인 정권에 의해 사회를 전면적으로 통제하려는 사상운동으로 정의되기도 한다. 나치즘은 결속주의(파시즘)나 전체주의의 일종으로 간주되며, 반공산주의, 반마르크스주의, 반민주주의, 반자유주의, 반개인주의, 반의회주의, 반자본주의, 사회다윈주의 등을 특징으로 한다.

히틀러는 나치즘을 "모든 활동을 구속하고 의무화하는 법칙"이라는 "하나의 세계관"으로 정의했다. 나치즘은 독일 민족만을 위한 사상이며, 인류 보편의 법칙으로 간주되지 않았다.

하지만 나치당이 그 세계관을 체계적으로 보여준 예는 적다. 초기 발표된 25개조 강령은 영구 불변의 강령으로 여겨졌지만, 나치즘의 창시자인 히틀러가 생전에 출판한 것은 「나의 투쟁」 전후편뿐이다. 하지만 나치즘의 사상은 이 책에 모두 제시된 것이 아니며, 히틀러의 연설이나, 지도적 입장에 있는 간부들의 저서·연설 등도 민족이 따라야 할 "나치즘의 견해"로 여겨졌다. 알프레트 로젠베르크의 「20세기의 신화」, 리하르트 발터 다레의 「피와 땅」 이데올로기에 기초한 저서, 당 기관지 「폴키셔 베오바흐터」 등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세부 사항에는 각자의 사상이 나타나 있으며, 나치즘 운동 참가자 전체에서 통일된 인식이 되지 않은 것도 많았다. 또, 「히틀러 제2의 서」나 「히틀러의 테이블 토크」 등 전후에 공개된 자료도 존재한다.

이러한 상황은 요제프 괴벨스가 "나치즘은 개별적인 사항이나 문제를 검토해 온 것이지, 그 의미에서는 하나의 교의를 가진 적이 없다"고 말한 것에 나타나 있다. 또한, 정치적 상황에 따라 때로는 주장도 점차 변화했다. 정권 획득까지는 제3의 위치적 사상을 가진 나치스 좌파도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고, 한편 돌격대에 의한 갈색 혁명을 주창한 에른스트 뢸름과 같은 주장도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간부들도, 당시 유행하던 인종학에 기초한 독일 민족에 의한 민족 공동체() 사상과, 반유대주의, 그리고 유일한 지도자가 지도자 원리에 기초하여 행하는 지도 체제가 나치즘의 근간임을 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많은 간부는 기본적으로 지도자 히틀러의 지도에 따랐다. 이 점에 불만을 가진 오토 슈트라서 등은 당에서 이탈하여, 정당한 국가 사회주의를 표방하는 흑색 전선 등의 조직을 설립했다.

4. 이념

히틀러와 나치 법 이론가들은 미국의 제도적 인종차별에 주목했다. 이들은 미국의 영토 확장, 원주민 제거, 흑인들의 시민권 부정, 인종차별적 이민법 등을 모범 사례로 보았다.[54] 히틀러는 저서 『나의 투쟁』에서 미국을 인종차별적 시민권 법규를 가진 국가로 언급했으며, 나치 변호사들은 미국 법률을 참고하여 나치 독일의 법률을 만들었다.[54] 미국의 시민권 법과 인종혼혈금지법은 뉘른베르크 법률 중 시민권 법과 혈통 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54]

나치즘은 보편적 평등주의를 거부하고, 우수성과 재능에 따른 계층적 경제 시스템을 추구했다. 개인의 재산과 계약의 자유는 인정했지만, 파업과 고용주의 사업장 폐쇄는 금지되었고, 국가는 임금과 급여 수준을 결정했다.[328]

나치는 경제계를 국가 지도에 따르면 잘 운영될 것이라고 보았다.[256] 주식과 투기는 불로소득으로 간주되어 혐오의 대상이었으며, 주식회사는 국유화될 가능성도 있었다.[256] 나치즘의 경제 이념은 반자본주의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었지만, 그 정도와 성격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258] 나치는 사유재산권을 인정하면서도, '아리아화'를 통해 유대인, 비유대인 이민자, 정치적 반대자 등의 재산을 몰수했다. 나치 경제 정책은 국가 통제적 성격이 강했으며, 시장 경제에서 계획 경제로 변화해갔다는 평가를 받는다.[285]

4. 1. 세계관

나치즘은 세계를 인종 간의 투쟁 상태로 보는 생물-지정학적 세계관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59][60] 이 이념은 아리아인(게르만인)이 다른 모든 인종보다 우수하다는 믿음에 기초했다.[320]

나치는 유대인을 '기생 인종'으로 간주하여 아리아인을 위협하는 존재로 여겼다.[322] 그들은 유대인들이 자본주의, 계몽주의, 자유주의, 마르크스주의, 민주주의, 무역 연합주의 등 다양한 이념을 통해 아리아인을 위협한다고 주장했다.[322] 나치는 순수한 아리아 인종을 유지하기 위해 유대인, 집시, 그리고 육체적 및 정신적 장애인을 제거했다.[323]

나치즘은 보편적인 평등주의를 배격하고 우수성과 재능에 기반한 계층 구조를 지지했다.[324][325] 이들은 아리아인에게는 평등한 기회와 공정한 법치가 제공되지만, 아리아인 외의 인종은 지구상에 존재할 자격이 없다고 주장했다.[327]

이러한 세계관은 독일의 영토 확장과 '열등' 민족의 말살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되었다. 아돌프 히틀러나의 투쟁에서 "최고의 인종만이 전 지구상의 모든 수단과 가능성에 지지되어 지배 민족으로서 초대되고 있다"고 언급하며, 세계를 인종들이 주도권을 잡기 위해 다투는 투쟁 상태로 인식했다.[222]

4. 2. 인종 및 민족

나치는 인종을 신체적 외관뿐만 아니라 언어, 습관, 정신적 성향까지 유전되는 것으로 정의했다.[223] 따라서 인종 간에는 우열이 존재한다고 주장했다.[223]

나치는 유럽 민족을 북유럽 인종, 지중해 인종, 디나르 인종, 알프스 인종, 동발트 인종 등으로 분류하고, 이 중 북유럽 인종이 가장 우수하다고 주장했다.[224] 나치는 독일 민족이 북유럽 인종의 구성 요소를 가장 많이 가지고 있어 세계를 지배할 권리를 가진 '지배 인종(en)'이라고 주장했다.[224]

한편, 슬라브족은 '열등 인간(Untermensch)'으로 분류되어 독일 정착민을 위한 '생활 공간'에서 추방되거나 노예화될 대상으로 간주되었다.[61]

유대인은 '인종'으로 정의되었으며,[226] 나치는 유대인을 근동 및 동양 인종 유형의 혼혈 집단으로 묘사하며, 유럽 민족에게 '인종적으로 이질적'이라고 주장했다. 나치는 유대인을 '최악의 인종', '악마의 민족', '반인간' 등으로 규정하고, 마르크스주의, 볼셰비즘, 자본주의, 자유주의 등 '독일적이지 않은 것'의 창조자이자 문화적 파괴자로 간주했다.[322]

4. 3. 민족 공동체

나치는 '민족 공동체'(Volksgemeinschaft)라는 개념을 통해 계급 갈등이나 개인주의가 없는 유기적인 독일 민족 사회를 이상으로 삼았다.[97] 이들은 제1차 세계 대전 패배와 비참한 상황의 근본적인 원인을 "독일 민족의 내면적 타락"으로 보았다. 이러한 타락은 "마르크스주의"와 "민족의 피 오염"에서 비롯되었다.[227] 마르크스주의는 단결했던 독일을 심각하게 분열시켰고, 민주주의는 이러한 분열된 상황에 적합한 정치 원리로서 국제주의, "자기 보존 및 투쟁 본능의 쇠퇴", "인격적 가치의 경시"를 초래하여 "독일적인 것"을 붕괴시켰다고 주장했다.[227]

전권 위임법 성립 다음 날, 나치 당 기관지 「폴키셔 베오바흐터」에는 "히틀러는 독일 구제를 위해 필요한 일이라면 무엇이든 행할 권력을 손에 넣었다. 소극적으로는 민족을 파괴하는 마르크스주의자들의 폭력을 근절하는 것이고, 적극적으로는 새로운 민족 공동체를 건설하는 것이다."라는 논설이 게재되었다.[228] 나치는 권력 장악 후 "강제적 동일화"를 통해 기존 질서를 해체·재편성하고, 사회, 민족, 그리고 독일인 개인의 사상을 국가 사회주의 운동과 동일화하는 "새로운 민족 공동체" 건설을 추진했다.

4. 4. 지도자 원리

나치즘은 '지도자 원리(Führerprinzip)'에 따라, 민족 최고의 인물인 '지도자'(Führer, 총통 참조)가 민족 전체의 힘을 '적절한 방법으로, 적절한 장소에서, 적절한 시기에 투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29] 지도자의 의지는 민족의 의지 그 자체로 여겨졌으며,[230] 지도자의 지도에는 절대적인 복종이 요구되었다. 또한 이 지도자는 민족에 의해 선택되는 것이 아니라, 더 고차원적인 존재로부터 '주어지는' 것이었다.[231]

지도자가 혼자서 민족을 지도하는 것은 불가능했기에, 지도자에게는 최종 목표를 위해 모든 것을 바치는 '운동의 사도'가 필요했고, 그것이 바로 나치당이었다. 나치당은 '정당과 비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세계관'이었다.[232]

나치당은 지도자를 정점으로 하는 계층적인 정치 지도부를 구성했다. 각 계층의 지도자는 상위 지도자에게만 책임을 지고 하위에는 책임지지 않았다. 즉 '책임은 위로, 명령은 위에서'이며, 궁극적이고 무오류의 지도자인 아돌프 히틀러가 모든 지도의 정점에 있었다. 이러한 지도자에 관한 원리를 '지도자 원리'라고 불렀다.

이러한 계층적인 지도부 내의 투쟁 속에서, 새로운 독일은 물론 세계를 지도할 '새로운 귀족 계급이 탄생한다'고 여겨졌다. 그들이 투쟁에서 승리한 것은, '북방 인종'의 성격적인 특징을 가진 자들이기 때문이며, 그 때문에 그들은 민족 지도에 참여할 자격을 얻는다는 것이었다.[233]

4. 5. 국가

나치즘에서 국가는 "하나의 수단"으로 간주되었다. 이는 민족 공동체를 유지하고 지도자가 민족을 지도하기 위한 수단이었다. 마찬가지로 나치당 역시 "하나의 수단"으로 여겨졌으며, 당과 국가는 모두 지도자 아래에서 민족 공동체의 지도 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것이었다.[234] 따라서 국민은 독일 민족과 그와 혈통적으로 가까운 사람들만 해당되었으며, 정권 획득 후에는 유대인과 폴란드인 이민자의 국적이 박탈되었다.

1933년 12월, '국가와 당의 통일을 보장하기 위한 법률'에 의해 "당은 국가와 불가분의 일체"가 되었지만, 완전히 통합되지는 않았다.[234] 지도자는 세계관에 따라 당을 지도하고,[235] 법규범에 따라 국가를 감독[236]하는 지위로 여겨졌다.[237]

1934년 8월, '국가 원수에 관한 법률'에 의해 독일 총리직과 대통령직이 합쳐져, 'Führer und Reichskanzler|총통 겸 국가수상de'인 아돌프 히틀러에게 대통령의 권능이 위임되었다. 이로써 국가 위에 지도자가 서는 민족 지도 체제가 확립되었다.

4. 6. 개인

나치즘 세계관에서 개인은 독립된 인격이 아니라 민족 공동체의 정신과 삶을 함께 짊어지는 "공동체의 일부", "민족의 동포"로서만 존재가 허락되었다.[238] 히틀러는 "민족이 모든 것이며, 개인은 무(無)이다"라고 말하며,[239] 개인의 삶은 민족에 대한 봉사에 헌신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240]

나치 정권은 성인들에게도 '계몽'과 '선전'을 통해 '인격의 전면적 개조'를 시도했다.[228] 국민계몽·선전성은 이 임무를 담당하여, 독일적·민족적이라고 여겨지는 영화·예술을 통해 민족을 '계몽'하고, 신문·라디오 등을 통해 나치즘을 '선전'했다.

4. 7. 노동

나치즘은 보편적인 평등주의를 배격하고 우수성과 재능에 기반하는 계층적 경제 시스템을 추구했다. 개인 재산과 계약의 자유는 유지했지만, 국민 결속을 위해 파업과 고용주에 의한 사무실 폐쇄를 불법화하고 국가가 임금 및 급여 수준을 설정했다.[328]

히틀러와 나치는 미국의 제도적 인종차별을 모범으로 삼았다. 특히 흑인들의 완전한 시민권을 부인하는 법률과 인종차별적인 이민 법률 등을 참고하여 뉘른베르크 법률 제정에 활용했다.[54]

4. 7. 1. 이상적인 노동자상

나치즘에서 노동자상은 시민과 노동자의 대립적인 이미지를 통일적인 '민족 공동체' 안에서 해소한 결과였다. 나치당은 국민 전체를 '노동자'로 표준화하려는 의도를 가졌으며, '직원'(Angestellte)이라는 말 대신 '노동자'라는 말을 확대 해석하여 그 가치를 칭송했다.[246] 독일 노동 전선 전국당 조직 지도자 로베르트 라이스는 "국민사회주의는 노동자와 농민, 수공업자와 직원, 한마디로 모든 창조적인 국민을 국민사회주의적 사고와 행동의 중심, 따라서 국가의 중심에 둔다"고 선언했다.[245]

나치 선전물에는 망치를 든 남성 노동자의 이미지가 자주 등장했으며, 이는 나치즘의 사회주의 리얼리즘적 표현으로 해석될 수 있다. 나치즘은 노동자 내부에 자기 이미지를 찾아 활력 넘치는 노동자의 육체로 운동을 진행하려고 했다. 나치 시대의 노동자 조각상은 남성의 나체 이미지를 사용하여 프롤레타리아 사회주의 운동의 전통과 연속성을 가졌지만, 동시에 그 역동성을 억제하고 규율화된 '노동자상'이어야 했다. 아우토반 기념비는 그 역동적인 강인함에도 불구하고, 도리아식의 간소한 양식에 의해 움직임이 억제되고, 견고한 고전주의적 질서를 유지하고 있다.

나치즘은 남성 원리를 칭송했지만, 동성애는 '근절' 대상으로 간주하고 동성애자였던 에른스트 룀 이하 돌격대 간부를 숙청했다.[248] 이는 나치즘의 질서관이 지닌 근본적인 긴장점을 보여준다.

나치즘은 사실주의적 노동자상을 주변으로 밀려나게 하고, 그리스식 나체상을 사용하여 이를 이상화했다. 이는 노동자의 현실을 지운 추상적인 이미지로서, 노동자의 구체적인 삶은 존재하지 않고, 노동자의 형태만이 남게 되었다.[249]

4. 7. 2. '노동의 아름다움'

'노동의 아름다움'국(局)의 품질 표시


'''노동의 아름다움'''(Schönheit der Arbeit, SdA)국은 노동과 관련된 미적 과제를 구체화한 부서였다. 알베르트 슈페어가 국장을 지내기도 한 이 부서는 기업 시설 개선을 위한 캠페인을 벌여, 휴게실, 스포츠 시설, 사내 식당, 사택 및 회관 건설 등 복리후생 시설 확충을 요구했다.[250] 또한 노동 과학을 활용하여 경영 합리화를 촉진하고, 산업재해 예방 및 작업 환경 개선을 추진하는 등 현대적이고 진보적인 사회 정책을 발전시켰다.

'노동의 아름다움'이라는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이 부서가 추구한 것은 아름다운 노동의 모습이었다. 건강하고 활기찬 노동자가 깨끗한 직장에서 성과를 낼 수 있는 환경 조성을 목표로 했다. 물론 여기에는 인간을 생산성 문제로 환원하는 효율주의가 있었고, 인종적 가치에 기반한 선별을 긍정했다는 점에서 알프레트 로젠베르크의 '북방 인종 이론'과 겹치는 부분도 있었다. 그러나 이는 전근대로의 도피가 아니라, 기술 숭배와 진보 신앙에 기반한 것이었으며, 베르크분트와 바우하우스기능주의모더니즘과도 통하는 이상이었다.[250]

'노동의 아름다움'국은 뛰어난 디자인의 가구나 가전제품을 선정하는 등 현대적인 기술과 디자인을 적극적으로 장려했다. 나치 시대 생산 미학의 전형으로는 '국민 수신기'와 '국민차'를 들 수 있지만, '노동의 아름다움 국의 모델'이라는 칭호를 얻은 제품들 또한 수공업적인 소박함과 모던한 기능미를 갖춘 것들이었다.[251]

이처럼 '노동의 아름다움'국은 인종 사상과 전근대적인 전통주의를 기능적, 물질적인 테크노크라트 미학과 결합하여, 새로운 정치 미학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수행했다.[252]

4. 8. 우생학과 도태

나치즘은 우생학적 사상을 기반으로 '열등'하다고 여겨지는 집단을 사회에서 '도태'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243] 나치는 유전적으로 가장 우수한 자만이 결혼하고 자손을 생산해야 하며, 다산을 장려해야 한다고 생각했다.[241] 이는 당시 독일 인구가 감소하고 있었고, 많은 아이들이 사회에 진출함으로써 그들 중에서 살아남아야 할 우수한 자를 선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히틀러는 “가장 가치 있는 능력의 소유자는 장남이나 차남 사이에는 포함되지 않는다”고 생각했다.[241]

다섯 명 이상 여덟 명 미만의 자녀를 낳은 어머니에게 수여되는 2급 Mutterkreuz(독일어). 나치 독일에서는 다산하는 어머니에게 어머니 십자가 훈장이 수여되어 표창되었다.


나치는 약자, 민족의 배신자, 동성애자, 소년 범죄자, 상습 범죄자, 유전병 환자, 정신병 환자 등을 '변질자'로 규정하고, 이들을 '도태'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243] 이러한 질적 변질자를 '도태'함으로써 종으로서의 공동체를 오염으로부터 구해야 한다고 생각되었다. 나치는 이러한 이념에 따라 동성애자, 유전병 환자 등에게 단종 조치, 낙태를 시행했다.[242] 나치 형법에서는 사형 대상 죄가 바이마르 시대의 3개에서 1944년에는 46개 이상으로 증가했다.[242] 이러한 우생학적 사상은 대량 안락사 정책인 T4 작전으로 이어졌다.

나치는 '휴머니즘'을 약자의 시녀이자 '인간의 잔혹한 파괴자'로 간주하고, 약자에 대한 연민을 해악으로 여겼다.[243]

4. 9. 교육

나치즘은 반지성주의와 반개성주의에 기반한 교육을 이상으로 삼았다. 아돌프 히틀러는 본능과 의지가 필요하다고 생각했고, 교양은 그것을 방해하는 것이라고 여겼다. 이 때문에 나치는 교육에서 우선 "육체적 훈련"과 독일 민족이 최고의 민족이며, 약자에 대한 연민에 사로잡히지 않고 다른 민족을 지배한다는 "투쟁적 세계관"을 주입하고, 그것을 실현하기 위한 "자기 희생"과 "복종의 정신"을 요구했다.[244]

4. 10. 반유대주의

나치즘에서 유대인은 '최악의 인종', '악마의 민족', '반인간' 등으로 규정되며, 아리아 인종과 정반대의 존재로 여겨졌다.[299] 나치는 유대인을 마르크스주의, 볼셰비즘, 자본주의, 자유주의, 평등주의, 민주주의 등 '독일적이지 않은 것'의 창조자이자 문화적 파괴자로 간주했다.[300] 또한, 제1차 세계 대전의 원흉이자 전후 독일 혼란의 배후로 지목하고, 독일의 파괴를 노리는 선동가로 여겼다.[300] 나치는 세계 지배를 둘러싼 민족 간의 투쟁이 결국 독일 민족과 유대인의 싸움이며, '아리아인의 승리 또는 그 멸망과 유대인의 승리'라는 두 가지 가능성만이 존재한다고 주장했다.[301]

나치는 유대인의 전술이 민족의 특성을 혼혈화하여 가장 가치 있는 계급의 인종적 가치를 저하시키는 '혈통 볼셰비키화'라고 주장하며,[302] 유대인에 대한 투쟁의 해결책은 '유대인을 제거하는 것'뿐이라고 생각했다.[303]

훗날 독소전쟁에서 러시아는 국제주의적 유대인의 모국으로 여겨졌고, 전쟁은 '순수한 세계관 전쟁'으로 정의되었다.[304]

4. 11. 경제

히틀러는 경제에 큰 관심이 없었고, 관련 담화도 거의 없었다. 나치즘의 경제에 대한 사상은 단순하여, 경제계를 국가 지도에 따르면 잘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256] 나치는 주식과 투기를 불로소득으로 혐오하여, 주식회사를 장래에 국유화할 것을 고려했다.[256]

나치즘의 경제 이데올로기 특징에 대해서는 자본주의적이었는지, 사회주의적이었는지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258] 나치즘에는 반유대주의의 영향을 받은 반자본주의적 요소가 존재했지만, 그 정도와 성격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있다. 나치는 사유재산권을 인정했지만, '아리아화' 과정에서 유대인뿐 아니라 비유대인 이민자, 정치적 적대자 등의 사유재산을 몰수하기도 했다.

나치 경제 정책은 국가 통제적 색채가 강했으며, 시장 경제에서 계획 경제로 변화해갔다는 평가가 있다.[285]

4. 12. 동방 생존권

아돌프 히틀러는 저서 『나의 투쟁』에서부터 동유럽 지역 획득과 독일 민족 이주를 주장했으며,[294] 이는 독소전쟁의 동기 중 하나로 여겨진다. 동방 생존권에 거주하는 폴란드인, 우크라이나인, 벨라루스인, 러시아인, 체코인은 독일 민족과의 인종적 친소에 따라 시베리아로 추방되거나, 동화 또는 부역의 대상이 될 예정이었다.

나치는 지배하에 놓인 '열등 인종'의 인구 감소와 문맹화를 추구했으며, 우수 민족에게는 권장되지 않는 피임을 장려하고, 종두 등의 예방 의학을 유해하다는 미신을 퍼뜨려 인구를 감소시키려 했다.[295] 또한, 수학 등의 고등 교육을 실시하지 않음으로써 그들이 독일인을 대신하는 "지배자"라는 관념을 갖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295]

4. 13. 사법

나치즘에서 사법의 역할은 "반사회적 존재"로부터 "민족을 유지하고 보호하는 데 협력하는 것"으로 정의되었다.[296] 인민재판소 장관 롤란트 프라이슬러는 나치 형법을 "민족의 적의 범죄 의지를 정복하고, 교화하고, 말살하는" "예리한 무기"라고 칭했다.[296]

법학자 프리드리히 샤프슈타인(de)은 법익론을 "계몽의 이데올로기의 독"으로 배척하고, 공동체에 대한 "충성 의무"가 형법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297] 이러한 사상에 따라 죄형법정주의는 부정되었고, 형법은 결과형법에서 범죄자의 "범죄 의지"를 다스리는 "의지형법"으로 변화했다.[298] 공동체에 대한 충성 의무를 저버린 자는 배제해야 할 종적 변질자로 여겨졌다.

5. 역사

나치즘은 1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에서 극우 인종 차별적인 독일민족주의운동과 폭력적인 반공산주의자들이 프랑크푸르트에서 준군사문화를 기초로 하여 공산혁명 봉기들에 반대해 싸우면서 나타났다.[310] 나치즘은 생물학적 인종차별과 반유대주의가 섞인 독특한 전체주의였다.[309]

나치즘의 역사적 뿌리는 당시 유럽 대륙의 지적 중심지들에서 유행하던 다양한 유럽 정치 문화 요소들에서 찾아볼 수 있다.[30] 역사학자 마르틴 브로자트(Martin Broszat)는 나치 이데올로기의 거의 모든 필수 요소가 1914년 이전 독일의 급진적인 이데올로기 저항 운동들의 극단적인 입장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고 지적한다. 이들은 맹렬한 반유대주의, 피와 토 이데올로기, 마스터레이스(master race) 개념, 동쪽으로의 영토 획득과 정착이라는 생각 등이었다. 이러한 사상들은 강력한 반근대주의적, 반인본주의적, 유사종교적인 대중적 민족주의에 뿌리를 두고 있었다.

나치즘은 독일의 전통적인 우익·보수 사상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국가주의·관료주의·군국주의·반서구주의 풍조는 독일 제국 시대부터 지배 계층과 일반 시민 계층 사이에 널리 퍼져 있었다. 바이마르 공화국이 독일의 전통에 기반하지 않는 임시 국가이며, 민주주의를 서구의 사상으로 배척하는 생각은 우익을 중심으로 한 독일 국민에게 깊이 뿌리내리고 있었다. 이 때문에 나치가 주장하는 반민주주의·반의회주의·반국제주의·반평화주의·반사회주의·반합리주의에 기반한 주장은 일반 민중, 특히 중산층 사이에 널리 퍼질 수 있었다.[213]

아서 묄러 판 덴 브루크는 1923년 저서 『제3제국』에서 자유주의를 파괴하는 민족 공동체에 대한 혐오, 그리고 정치 지도자에 의한 독재 "지도자 원리"에 의한 독일 제국의 정통성을 계승하는 "제3제국"의 창설을 주장했으며, 이러한 용어는 나치즘에서 크게 이용되었다. 동방 생존권 등의 사상에서는 전독일 연맹의 게오르크 폰 셰네러와 하인리히 클라스의 영향도 컸다.

1919년 아돌프 히틀러가 입당한 독일 노동자당(나치당의 전신)은 소규모 정치 모임이었다. 1920년 2월 21일, 당명은 Nationalsozialistische Deutsche Arbeiterpartei|국가사회주의 독일노동자당de으로 결정되었는데, 이는 오스트리아에 존재했던 독일 국민사회주의 노동자당을 본뜬 것이었다. 25개조 강령 작성에는 히틀러와 드렉슬러가 참여한 것으로 여겨지며, 일부에는 에카르트와 페더의 주장도 반영되었다.[217]

1923년 뮌헨 폭동 실패 후, 히틀러는 란츠베르크 요새 감옥에 수감되어 옥중에서 구술 필기로 『나의 투쟁』을 완성하여 1925년에 출판했다. 1928년경에는 "히틀러의 두 번째 책"으로 불리는 저술에 착수했으나 출판되지 않았다.

1933년 1월 30일, 히틀러가 총리가 되면서 나치는 '강제적 동일화'를 통해 국가의 나치화를 추진했다.[309] 1934년에는 '긴 칼의 밤' 사건을 통해 돌격대 간부들을 숙청했고, 이후 당 노선에 대한 공개적인 비판은 사라졌다.[318]

1941년 독소전쟁이 시작되면서 나치즘 이념에 기반한 '동방 생존권' 건설이 추진되었고,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전쟁이 악화되자 이러한 시도는 중단되었고, 독일의 항복과 함께 공식 이데올로기로서의 나치즘 역사는 끝났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직후인 1945년 9월 10일, 나치당은 독일을 점령한 연합국 통제위원회에 의해 금지되었다. 뉘른베르크 재판에서는 나치당 지도부, 친위대, 게슈타포 3개 조직이 “범죄 조직”으로 규정되었다.[220] 현재 독일 국내에서는 나치즘이 불법화되었으며, 나치즘 지지자들은 네오나치라고 불리며 독일 국내 및 외국에서 활동하고 있다.

5. 1. 전사(前史)

나치즘은 1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에서 극우 인종 차별적인 독일민족주의운동과 폭력적인 반공산주의자들이 프랑크푸르트에서 준군사문화를 기초로 하여 공산혁명 봉기들에 반대해 싸우면서 나타났다.[310] 나치즘은 생물학적 인종차별과 반유대주의가 섞인 독특한 전체주의였다.[309]

나치즘의 역사적 뿌리는 당시 유럽 대륙의 지적 중심지들에서 유행하던 다양한 유럽 정치 문화 요소들에서 찾아볼 수 있다.[30] 역사학자 마르틴 브로자트(Martin Broszat)는 나치 이데올로기의 거의 모든 필수 요소가 1914년 이전 독일의 급진적인 이데올로기 저항 운동들의 극단적인 입장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고 지적한다. 이들은 맹렬한 반유대주의, 피와 토 이데올로기, 마스터레이스(master race) 개념, 동쪽으로의 영토 획득과 정착이라는 생각 등이었다. 이러한 사상들은 강력한 반근대주의적, 반인본주의적, 유사종교적인 대중적 민족주의에 뿌리를 두고 있었다.

나치즘과 파시즘의 선구자로 여겨지는 것에는 프랑스의 악시옹 프랑세즈, 피에르 비에트리의 황색 사회주의, 영국의 헨리 하인드먼의 애국적인 국가 사회주의, 오스트리아의 국가 사회주의 운동, 유럽에 뿌리 깊은 반유대주의 등이 거론된다.

나치즘은 독일의 전통적인 우익·보수 사상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국가주의·관료주의·군국주의·반서구주의 풍조는 독일 제국 시대부터 지배 계층과 일반 시민 계층 사이에 널리 퍼져 있었다. 바이마르 공화국이 독일의 전통에 기반하지 않는 임시 국가이며, 민주주의를 서구의 사상으로 배척하는 생각은 우익을 중심으로 한 독일 국민에게 깊이 뿌리내리고 있었다. 이 때문에 나치가 주장하는 반민주주의·반의회주의·반국제주의·반평화주의·반사회주의·반합리주의에 기반한 주장은 일반 민중, 특히 중산층 사이에 널리 퍼질 수 있었다.[213]

아서 묄러 판 덴 브루크는 1923년 저서 『제3제국』에서 자유주의를 파괴하는 민족 공동체에 대한 혐오, 그리고 정치 지도자에 의한 독재 "지도자 원리"에 의한 독일 제국의 정통성을 계승하는 "제3제국"의 창설을 주장했으며, 이러한 용어는 나치즘에서 크게 이용되었다.

동방 생존권 등의 사상에서는 전독일 연맹의 게오르크 폰 셰네러와 하인리히 클라스의 영향도 컸다.

5. 2. 히틀러의 사상 형성

아돌프 히틀러는 어릴 적부터 독서를 즐겼으며, 아르투르 쇼펜하우어 등의 저서와 당시 유행하던 반유대주의 신문인 「독일 민중 신문」을 읽었다.[214] 히틀러는 반유대주의를 주장했던 카를 뤼거와 게오르크 폰 쇠너러를 운동의 모범으로 삼고, 『나의 투쟁』에서 '인생의 스승'으로 언급했다.[214]

제1차 세계 대전 중 히틀러는 국제주의 타파를 호소하는 편지를 보냈다. 전후에는 군의 불법 정치 조사 활동 업무에 종사하면서 정치학 교수의 강의를 수강했는데, 이때 고트프리트 페더도 강사 중 한 명이었다. 1919년 9월 16일 히틀러는 최초의 정치적 서한을 썼는데, 반유대 사상과 함께 페더의 영향으로 유대 자본에 대한 공격 사상이 나타났다.[215]

5. 3. 초기 나치당

1919년 아돌프 히틀러가 입당한 독일 노동자당(나치당의 전신)은 소규모 정치 모임이었다. 그러나 이 당은 우익 단체 툴레 협회와 전독일 연맹의 지원과 지도를 받았다. 툴레 협회에는 디트리히 에카르트,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같은 이론가들과 루돌프 헤스, 한스 프랑크 같은 인물들이 있었는데, 이들은 독일 노동자당 당원이면서 훗날 나치당 간부가 되었다.[216] 초대 의장 카를 하러 등 보수파는 '적 진영의 음모'를 피하기 위해 당을 폐쇄적인 모임으로 유지하고 간접적인 정치 운동을 하는 것이 더 좋다고 생각했다.[216]

히틀러가 두각을 나타내자, 1920년 2월 21일, 새로운 강령 채택과 당명 변경이 가결되었다. 이때 당명은 Nationalsozialistische Deutsche Arbeiterpartei|국가사회주의 독일노동자당de으로 결정되었는데, 이는 오스트리아에 존재했던 독일 국민사회주의 노동자당을 본뜬 것이었다. 툴레 협회의 지도를 받으려던 초대 의장 하러는 배제되었고, 안톤 드렉슬러가 의장이 되었다. 이자 노예제 폐지, 반유대주의를 내세운 25개조 강령 작성에는 히틀러와 드렉슬러가 참여한 것으로 여겨지며, 일부에는 에카르트와 페더의 주장도 반영되었다.[217]

하지만 이 당시 히틀러와 나치당의 사상과 주장은 전독일 연맹 계열의 사상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218] 1921년 7월, 히틀러는 당의 제1의장이 되어 독재권을 확립했다. 이때부터 에카르트, 헤스 등은 히틀러를 지도자(Führer)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지도자'라는 호칭은 당시 여러 단체에서 카리스마적인 운동의 지도자에게 널리 사용되었지만, 반드시 독재권을 가진 것은 아니었다.[219]

나치당이 세력을 확장하는 가운데, 후에 나치스 좌파의 지도자가 되는 그레고어 슈트라서 등이 가입했다. 또한, 에어하르트 해병여단을 비롯한 프라이코르(자유군단) 대원들이 당의 준군사조직 돌격대로 유입되었다.

5. 4. 정권 탈취까지의 나치즘

1923년 뮌헨 폭동 실패 후, 히틀러는 란츠베르크 요새 감옥에 수감되었다. 옥중에서 히틀러는 많은 책을 읽고 사상을 확고히 했으며, 구술 필기로 『나의 투쟁』을 완성하여 1925년에 출판했다. 이를 통해 나치즘은 독자적인 색채를 강화했다.

한편, 먼저 출옥한 그레고어 슈트라서와 그의 동생 오토는 세력을 확장하며 사회주의적 색채가 강한 새로운 강령을 제정하려 했다. 그러나 이는 당에 기부해 온 우익 부유층의 이탈로 이어질 수 있었다. 1926년 2월 14일, 히틀러는 이러한 움직임을 억누르기 위해 밤베르크 회의에서 25개조 강령을 불변의 강령으로 규정하고, 지도자 원리에 따른 독재권을 인정받았다. 이에 반발한 오토는 7월 4일에 당을 탈퇴하여 혁명적 국가사회주의자 투쟁 활동 공동체 (흑색 전선)를 결성했지만, 추종자는 극소수였다.

1928년경, 히틀러는 새로운 저술에 착수했으나, 이 책은 출판되지 않았다. 이 책은 "히틀러의 두 번째 책"으로 불린다. 한편, 돌격대는 당 간부에 대한 비판을 강화했고, 1930년부터 1931년까지 베를린 돌격대가 친위대와 당 지부를 습격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히틀러는 에른스트 룀을 소환하여 사태를 수습하려 했지만, 룀 휘하의 돌격대는 독자적인 노선을 강화했다.

5. 5. 정권 탈취 후의 나치즘

1933년 1월 30일, 아돌프 히틀러가 총리가 되면서 나치는 '강제적 동일화'를 통해 국가의 나치화를 추진했다.[309] 1934년에는 '긴 칼의 밤' 사건을 통해 당내 거대 세력인 돌격대 간부들을 숙청했고, 이후 당 노선에 대한 공개적인 비판은 사라졌다.[318]

1941년 독소전쟁이 시작되면서 나치즘 이념에 기반한 '동방 생존권' 건설이 추진되었고,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전쟁이 악화되자 이러한 시도는 중단되었고, 독일의 항복과 함께 공식 이데올로기로서의 나치즘 역사는 끝났다.

5. 6. 현재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직후인 1945년 9월 10일, 나치당은 독일을 점령한 연합국 통제위원회(:en:Allied Control Council)에 의해 금지되었다. 연합국은 나치당과 나치즘이 전쟁을 일으켰다고 판단하여 나치당 지도부의 축출과 이념의 척결을 단행하였다. 이러한 움직임은 “탈나치화”라고 불린다. 뉘른베르크 재판에서는 나치당 지도부, 친위대, 게슈타포 3개 조직이 “범죄 조직”으로 규정되었다.[220]

현재 독일 국내에서는 나치즘이 불법화되었으며, 나치즘 지지자들은 네오나치라고 불리며 독일 국내 및 외국에서 활동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중 일부는 본래의 나치즘에서 벗어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하여, 다른 이념에 기반한 활동으로 간주되는 경우도 있다.

6. 다른 사상과의 관련

나치즘은 생물학적 인종차별과 반유대주의가 섞인 독특한 전체주의였다.[309]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에서는 극우 인종 차별적인 독일민족주의 운동과 폭력적인 반공산주의자들이 공산주의 혁명 봉기에 반대해 싸우기 위해 프랑크푸르트에서 준군사 문화를 기초로 하였다.[310]

나치는 아돌프 히틀러와 그를 추종하는 자들에 의해 만들어진 정치 집단이었으며, 나치당의 정치적 성격은 좌익도 우익도 아닌 집단이라는 의견도 있다.[312][313][314][315] 나치는 우수한 인종이 지배하는 동안 사회적 열등 요소를 제거하는 것을 권리이자 목표로 간주하였다.[316]

초기 나치 정치 계획은 반기업주의, 반공주의, 반자본주의 수사학으로 맞추어졌다. 1930년대 산업 소유주들이 나치를 지원하면서 전략 포커스는 반유대주의와 반마르크스주의 주제들로 바뀌었다.[317] 나치즘은 정치적인 폭력, 군국주의, 전쟁을 촉진시켰고 정치는 전투라는 생각을 하였다.

나치는 그들에게 반대하였던 특정 공산주의자들, 유대인들, 사회민주주의자들에게 폭력적인 공격을 하기 위해 그들의 준군사 조직인 돌격대를 활용하였다.[318] 히틀러와 나치는 "중앙유럽은 레벤스라움(생활권)이다. 독일 개척자들을 위해 위대한 게르만인의 영역을 창조하게 될 것이다."라는 독일 영토 팽창주의를 홍보하였다.[319]

역사학자 프리츠 피셔는 독일 제국주의의 팽창 정책이 나치즘의 정책과 유사하다고 주장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직후인 1914년 9월 9일에 제정된 「9월 프로그램」에는 적극적인 영토 확장을 목표 중 하나로 정의하고 있으며, 동방 생존권의 범위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에서 독일 측 세력권으로 정해진 지역과 일치한다. 이러한 동방 영토 확장 사상은 「동방으로의 진출」이라고 불린다.

인종학, 우생학, 반유대주의와 같은 사상은 강도의 차이는 있었지만 당시 전 세계에 퍼져 있었고, 나치즘에서는 그것이 극단적인 형태로 실행되었다.

6. 1. 철학, 인문학, 문화와의 관련

사회철학자 이본느 셰라트에 따르면, 제3제국 나치 독일은 철학자들과 여러 형태로 상호 협력했으며, 아돌프 히틀러 자신도 '철인 총통', '철인 지도자'를 자처했다. '나치 철학자'로는 마르틴 하이데거, 카를 슈미트,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에른스트 크뤼크 등이 있으며, 이들은 학생들에게 나치즘 교육을 시행했다. 하이데거는 나치 군복을 입고 스스로를 '새로운 총통'이라고 선언한 후, 철학 연구에서 "국가사회주의(나치즘)의 내면적 진리와 위대함"을 논하거나, "인종학 및 유전학" 관점에서 "안락사 문제가 진지하게 검토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제3제국'은 물질적인 세계(제1제국), 정신적인 세계(제2제국)를 통합한 이상적인 세계를 의미하며, 이상적인 인간 사회를 가리킨다. 독일 보수파 정치인이나 학자들은 나치 국가를 독일 민족의 뛰어난 성격이 충분히 발휘되고 세계적인 사명이 달성되는 제국으로 생각했다.

일부 학자들은 인문학자들이 나치의 폭력을 옹호한 것을 '인문학의 패배', '교양주의의 좌절'이라고 비판한다.

7. 상징

나치즘의 상징색은 갈색으로 여겨진다. 아돌프 히틀러요제프 괴벨스 등 나치 간부들의 정장은 갈색이었다. 나치의 돌격대(SA)는 갈색 제복을 사용했기 때문에 "갈색 셔츠"라고도 불렸으며, 에른스트 뢸름은 "갈색 혁명"을 주장했다. 일반적으로 나치의 상징으로 인식되는 나치 친위대(SS)의 검은색 제복과 토텐코프(해골 마크) 모자 장식은 원래 프로이센 왕국의 근위병이나 경기병이 채택했던 전통적인 것이다. 또한 갈고리 십자가도 전통적으로 툴레 협회나 에어하르트 해병 여단 등 독일 민족주의자들 사이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8. 각국의 나치즘

나치 독일의 영향을 받아 수데텐 독일인당 등 히틀러를 지지하는 정치 운동이 독일 외에도 생겨났지만, 지도자 원리의 특성상 독자적인 사상을 만들어내지는 못했다.[309] 전간기 및 제2차 세계 대전기에 발생한 각국의 파시즘 또는 파시즘 유사 운동은 흔히 나치즘과 동일시되는 경우가 있다. 전후에도 특정 정치 세력이나 사상을 비판하기 위해 나치즘이라는 표현이 사용되기도 한다.

9. 평가

정치학자 칼 슈미트는 나치즘을 지지하며, 민중의 의지를 실현하는 것이 민주주의이고 국민이 적과 아군을 명확히 해야 하지만, 의회 민주주의는 각 이해 집단의 대표에 불과하므로 독재자의 결단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만년의 저서 「파르티잔의 이론」에서는 인도에 대한 범죄는 절대적인 적이라고 규정했다. 철학자 마르틴 하이데거는 나치즘을 지지했던 것에 대해 만년에 '변명'을 했다. 그와 나치즘의 관계는 하나의 주제가 되고 있으며, 현재에도 여러 연구서가 출판되고 있다.

남원 번은 저서 「국가와 종교」에서 나치즘 사상은 국가나 민족적 요소의 신성화이며, 종교성과 이상주의적 요소가 있으면서도 기독교 이념으로부터의 이탈과 폭력성을 비판했다.

사노 마코토는 저서 「근대 계몽 비판과 나치즘의 병리―칼 슈미트에 있어서 법·국가·유대인」에서 나치즘의 반유대주의안락사 계획과의 관련성을 지적하고, 병리이며 야만이라고 비판했다.

미야타 미쓰오는 저서 「나치 독일의 정치 사상」에서 "나치즘" 측과 "반나치" 측의 사상 양면에서 "나치 독일"의 사상을 종교, 실천 등 폭넓은 시각에서 조명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political parties in the Weimar Republic https://www.bundesta[...] 2023-03-27
[2] 웹사이트 Nazism https://www.britanni[...] 2022-10-15
[3] 서적 Hitler and Nazi Germany: A History Routledge
[4] 서적 The Lure of Fascism in Western Europe: German Nazis, Dutch and French Fascists, 1933–1939 Palgrave Macmillan
[5] 서적 Nazism as Fascism: Violence, Ideology, and the Ground of Consent in Germany 1930–1945 Routledge
[6] 간행물 Why Fascists Took Over the Reichstag but Have Not captured the Kremlin: A Comparison of Weimar Germany and Post-Soviet Russia https://www.research[...]
[7] 서적 The Cambridge World History of Genocide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웹사이트 The Disturbing Resilience of Scientific Racism https://www.smithson[...] 2019-05-20
[9] 서적 Why Hitler?: The Genesis of the Nazi Reich Praeger
[10] 간행물 Les débuts du national-socialisme
[11] 서적 Etymologisches Wörterbuch der deutschen Sprache http://www.etymonlin[...] Walter de Gruyter
[12] 웹사이트 The Nazi-Sozi https://research.cal[...]
[13] 서적 Hitler's Table Talk
[14] 서적 Selected Speeches of Field Marshal Hermann Goring
[15] 서적 Account Rendered: A Dossier On My Former Self Plunkett Lake Press
[16] 서적 Theodore Fred Abel papers https://searchworks.[...]
[17] 웹사이트 1923 Interview with Adolf Hitler https://famous-trial[...]
[18] 서적 German Big Business and the Rise of Hitler Oxford University Press
[19] 서적 European Dictatorships, 1918–1945 Routledge
[20] 서적 The Second World War Back Bay Books
[21] 서적 The Kaiser and his Times Houghton Mifflin
[22] 잡지 The Kaiser on Hitler http://www.oldmagazi[...] 1938-12-15
[23] 서적 The Collusion of Capitalism D. C. Heath and Company
[24] 서적 The Collusion of Capitalism D. C. Heath and Company
[25] 서적 The Collusion of Capitalism D. C. Heath and Company
[26] 서적 The Collusion of Capitalism D. C. Heath and Company
[27] 서적 Hitler: A Biography Constable & Co. Ltd
[28] 서적 The Third Reich and the Palestine Question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Publishers
[29] 서적 Churchill, Hitler, and 'The Unnecessary War': How Britain Lost Its Empire and the West Lost the World https://books.google[...] Crown/Archetype
[30] 서적 Hitler Weidenfeld & Nicolson
[31] 서적 Reenchanted Science: Holism in German Culture from Wilhelm II to Hitler Princeton University Press
[32] 잡지 Science and political ideology: The example of Nazi Germany https://www.redalyc.[...] Universitat de València
[33] 서적 Imperial Ecology: Environmental Order in the British Empire, 1895–1945 Harvard University Press
[34] 서적 The Edinburgh Companion to the Critical Medical Humanities https://www.doabooks[...] Edinburgh University Press
[35] 서적 The Crisis of German Ideology: Intellectual Origins of the Third Reich Grosset & Dunlap
[36] 서적 Introduction: The Landscape of German Environmental History Rutgers University Press
[37] 서적 The Routledge Companion to Nazi Germany Routledge
[38] 서적 The Crisis of German Ideology: Intellectual Origins of the Third Reich Indiana University Press
[39] 서적 Austrian National Socialism before 1918
[40] 서적 Hitler's Vienna: A Portrait of the Tyrant as a Young Man Tauris Parke Paperbacks
[41]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Tacitus
[42] 서적 Nazi Connection: Eugenics, American Racism, and German National Socialism Oxford University Press
[43] 서적 Roots of Hate: Anti-Semitism in Europe Before the Holocaust Cambridge University Press
[44] 서적 Roots of Hate: Anti-Semitism in Europe Before the Holocaust Cambridge University Press
[45] 서적 Roots of Hate: Anti-Semitism in Europe Before the Holocaust Cambridge University Press
[46]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the Extreme Right Since 1890 Simon & Schuster
[47] 웹사이트 Nazism https://www.britanni[...] 2024-02-28
[48] 서적 The War Aims and Strategies of Adolf Hitler McFarland & Company, Inc.
[49] 서적 Europe: A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50] 서적 Hitler: Study of a Revolutionary? Routledge
[51] 서적 The Nazi Conscienc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52] 서적 Hitler's Ethic https://archive.org/[...] Palgrave Macmillan
[53] 서적 Hitler, Germans, and the 'Jewish Question'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54] 서적 Hitler's American Model: The United States and the Making of Nazi Race Law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7
[55] 기타 German Federal Archive image description
[56] 서적 Judaism as a Civilization: Toward a Reconstruction of American-Jewish Life
[57] 서적 Prophet of Decline: Spengler on World History and Politics LSU Press 2001
[58] 서적 Hitler's Table Talk 1941–1944: Secret Conversations Enigma Books
[59] 서적 Hitler's Geographies: The Spatialities of the Third Reich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0] 학술지 The National Socialist Politics of Life https://www.jstor.or[...] 2022-12-09
[61] 서적 The Language of War Routledge
[62] 서적 Nazi Ideology and Ethics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63] 서적 Hitler's Geographies: The Spatialities of the Third Reich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4] 서적 Europe, 1890–1945
[65] 서적 The Shaping of the Nazi State
[66] 서적 A History of Nazi Germany: 1919–1945
[67] 웹사이트 Neumanno-Sasso byla https://www.mle.lt/s[...] 2022-02-12
[68] 서적 Operation Barbarossa: Ideology and Ethics Against Human Dignity Rodopi
[69] 서적 Mein Kampf Hurst & Blackett Ltd. 1939
[70] 서적 Hitler's War in the East, 1941–1945: A Critical Assessment Berghahn Books
[71] 서적 The Second World War: Ambitions to Nemesis Routledge
[72] 웹사이트 The Goebbels Diaries, 1942–1943 https://books.google[...] Greenwood Press 2020-09-15
[73] 서적 Germany, Hitler, and World War II: Essays in modern German and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4] 서적 Nazi Culture: Intellectual, Cultural and Social Life in the Third Reich
[75] 서적 Social Outsiders in Nazi Germany Princeton University Press
[76] 웹사이트 The Racial State: Germany 1933–1945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77] 서적 Operation Barbarossa: Ideology and Ethics Against Human Dignity Rodopi
[78] 서적 The Holocaust: a reader Blackwell Publishing
[79] 간행물 http://www.ifz-muenc[...]
[80] 서적 Hitler's Jewish Soldiers: The Untold Story Of Nazi Racial Laws And Men Of Jewish Descent In The German Military University Press of Kansas
[81]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Third Reich
[82] 서적 Picture Imperfect: Photography and Eugenics, 1870–1940 Sussex Academic Press
[83] 웹사이트 Hitler's Scientists: Science, War, and the Devil's Pact https://books.google[...] Penguin
[84] 서적 Racisms Made in Germany
[85] 서적 Hitler's Professors: The Part of Scholarship in Germany's Crimes Against the Jewish People Yale University Press
[86] 서적 Hitler's war in the East, 1941–1945 Berghahn Books
[86] 저널 Der Untermensch https://digital.keny[...] 1942-01
[86] 서적 The Nietzsche Legacy in Germany, 1890–1990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87] 서적 Operation Barbarossa: Ideology and Ethics Against Human Dignity Rodopi
[88] 서적 The Language of War Routledge
[89] 서적 Eradicating Differences: The Treatment of Minorities in Nazi-Dominated Europ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90] 서적 Nazi Empire-building and the Holocaust In Ukraine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91] 서적 Western Civilization: A Brief History Cengage Learning
[92] 서적 The Nietzsche Legacy in Germany, 1890–1990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93] 서적 Hitler's war in the East, 1941–1945 Berghahn Books
[94] 서적 The Nietzsche Legacy in Germany, 1890-1990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95] 서적 A Concise History of Nazi Germany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96] 서적 Europe at War 1939–1945: No Simple Victory Pan Macmillan
[97] 서적 Frontsoldaten: The German Soldier in World War II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98] 서적 Adolf Hitler: A Biographical Companion ABC-CLIO
[99] 서적 A Social History of the Third Reich Weidenfeld and Nicolson
[100] 서적 The 'Honor of Labor': Industrial Workers and the Power of Symbols under National Socialism Routledge
[101] 서적 The 12-Year Reich
[102] 서적 The rise of national socialism and the working classes in Weimar Germany Berghahn Books
[103] 저널 The sociology of the NSDAP: The question of working-class membership
[104] 서적 Frontsoldaten: The German Soldier in World War II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105] 서적 Hitler and Nazi Germany: A History Routledge
[106] 논문 The Antibourgeois Character of National Socialism https://www.journal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1-10-07
[107] 간행물 The Mystery of Fascism 2001
[108] 서적 Beyond ''Kinder, Küche, Kirche'': Weimar Women in Politics and Work Monthly Review Press 1984
[109] 서적 Mothers in the Fatherland: Women, the Family and Nazi Politics St. Martin's Press 1988
[110] 서적 Hitler: Reden und Proklamationen, 1932–1945 Verlagsdruckerei Schmidt 1962
[111] 서적 Nazi Culture: Intellectual, Cultural and Social Life in the Third Reich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2003
[112] 서적 Mothers in the Fatherland: Women, the Family and Nazi Politics St. Martin's Press 1988
[113] 서적 Women in Nazi Germany Longman 2001
[114] 서적 Women of the Third Reich NDE 2000
[115] 서적 Women of the Third Reich NDE 2000
[116] 서적 Totenkopf und Treue. Aus den Tagebuchblättern des finnischen Medizinalrats Felix Kersten Mölich Verlag 1952
[117] 서적 Mobilizing Women for War: German and American Propaganda, 1939–1945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8
[118] 웹사이트 Nazi policies on German women during the Second World War – Lessons learned from the First World War? https://www.academia[...] 2017-11-02
[119] 서적 Backing Hitler: Consent and Coercion in Nazi German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120] 뉴스 The 'Dishonorable' German Girls: The Forgotten Persecution of Women in World War II http://www.spiegel.d[...] 2010-01-21
[121] 서적 The Gestapo and German Society: Enforcing Racial Policy, 1933–1945 Clarendon Press 1990
[122] 서적 The Third Reich at War: How the Nazis Led Germany from Conquest to Disaster Penguin Books Limited 2012
[123] 서적 Women in Nazi Germany Longman 2001
[124] 서적 Heinrich Himmler: A Lif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125] 웹사이트 The Jewish Question in Education http://www.calvin.ed[...]
[126] 논문 Trans Liminality and the Nazi State 2022
[127] 웹사이트 Paper: Trans Identities and "Cross Dressing" in Nazi Germany: Trans People as a Discrete Target of State Violence (134th Annual Meeting (January 3–6, 2020)) https://aha.confex.c[...] 2023-01-03
[128] 논문 'We Too Deserve a Place in the Sun': The Politics of Transvestite Identity in Weimar Germany https://www.jstor.or[...] 2023-06-16
[129] 웹사이트 Paragraph 175 and the Nazi Campaign against Homosexuality https://encyclopedia[...] 2023-03-12
[130] 웹사이트 Transgender Experiences in Weimar and Nazi Germany https://mjhnyc.org/e[...] 2023-06-19
[131] 웹사이트 Historians are learning more about how the Nazis targeted trans people http://theconversati[...] 2023-06-19
[132] 웹사이트 Homosexuals. A Separate Category of Prisoners http://en.auschwitz.[...] Auschwitz-Birkenau Memorial and Museum 2013-08-10
[133] 서적 Hitler's Millennial Reich: Apocalyptic Belief and the Search for Salvation New York University Press 2005
[134] 웹사이트 DÖW – Erinnern – Biographien – Spurensuche – Maria Restituta (Helene Kafka, 1894–1943) https://www.doew.at/[...] 2021-02-02
[135] 웹사이트 Zur Erinnerung an Dr. Roman Karl Scholz https://roman-karl-s[...] 2021-02-02
[136] 웹사이트 Gedenken an Widerstandskämpfer Roman Scholz https://www.noen.at/[...] 2021-02-02
[137] 웹사이트 DöW – Dokumentationsarchiv des Österreichischen Widerstandes https://ausstellung.[...] 2021-02-02
[138] 뉴스 Die Spione aus dem Pfarrhaus https://www.zeit.de/[...] 2021-02-02
[139] 웹사이트 Im Netz der Verräter https://www.derstand[...] 2021-02-02
[140] 서적 Hecht, Rauch, Rodt: Geköpft für Christus & Österreich 1995
[141] 서적 Suberversion deutscher Herrschaft. Der britische Geheimdienst SOE und Österreich. Zeitgeschichte im Kontext V & R Unipress
[142] 서적 Kirchlicher Widerstand gegen den Nationalsozialismus. In: Themen der Zeitgeschichte und der Gegenwart
[143] 서적 Mahner-Helfer-Patrioten: Porträts aus dem österreichischen Widerstand
[144] 서적 Priester vor Hitlers Tribunalen
[145] 웹사이트 Slouching Towards Utopia?: The Economic History of the Twentieth Century. XV. Nazis and Soviets http://econ161.berke[...]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2013-04-21
[146] 서적 War and Economy in the Third Reich Clarendon Press
[147] 서적 War and Economy in the Third Reich Clarendon Press
[148] 서적 The 12-Year Reich: A Social History of Nazi Germany, 1933–1945 Henry Holt & Co.
[149] 서적 The Fateful Alliance: German Conservatives and Nazis in 1933: The Machtergreifung in a New Light Berghahn Books
[150] 학술지 Against the mainstream: Nazi privatization in 1930s Germany http://www.ub.edu/gr[...] University of Barcelona 2020-09-20
[151] 서적 Why The Allies Won Random House
[152] 뉴스 The myth of Hitler's role in building the German autobahn https://www.dw.com/e[...] Deutsche Welle 2012-08-04
[153] 서적 The Nazi economic recovery 1932–1938 Cambridge Univ. Press
[154]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Third Reich: A History of Nazi Germany Simon & Schuster
[155] 서적 The 12-Year Reich
[156] 서적 Hitler, the Germans, and the Final Solution Yale University Press
[157] 서적 Germany, 1871–1945: A Concise History
[158] 서적 The Primacy of Politics: Social Democracy and the Making of Europe's Twentieth Centu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11-18
[159] 서적 War and Economy in the Third Reich Clarendon Press
[160] 서적 The Third Reich Routledge
[161] 서적 Nazi Germany 1933–1945: Faith and Annihilation Bloomsbury
[162] 서적 Mein Kampf Hurst and Blackett ltd.
[163] 웹사이트 The Nazi-Sozi http://research.calv[...] 2017-08-22
[164] 서적 Adolf Hitler: A Biographical Companion ABC-CLIO
[165] 서적 Communism in Germany under the Weimar Republic St. Martin's Press
[166] 서적 Communism in Germany under the Weimar Republic St. Martin's Press
[167] 서적 Communism in Germany under the Weimar Republic St. Martin's Press
[168] 서적
[169] 학술지 Kritika: explorations in Russian and Eurasian history Slavica Publishers
[170] 웹사이트 The Economic System of Corporatism https://www.sjsu.edu[...] San José University Department of Economics 2021-10-02
[171] 뉴스 The Return of Authoritarian Great Powers https://www.foreigna[...] Foreign Affairs 2019-06-08
[172] 학술지 The Relevance of Franz L. Neumann's Critical Theory in 2017: Anxiety and Politics in the New Age of Authoritarian Capitalism https://westminsterr[...] 2020-07-08
[173] 서적 Italian fascism: Its Origins and Development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74] 서적 IBM and the Holocaust: The Strategic Alliance Between Nazi Germany and America's Most Powerful Corporation Crown Publishers
[175] 서적 The Anatomy of Fascism https://archive.org/[...] Vintage Books
[176] 서적 The Devil's Disciples: Hitler's Inner Circle W.W. Norton & Company
[177] 서적 Nazi Culture: Intellectual, Cultural and Social Life in the Third Reich Univ of Wisconsin Press
[178] 서적 Hitler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Harcourt 2013-11-18
[179] 서적 Revolutions and the Revolutionary Tradition: In the West 1560–1991 Routledge
[180] 서적 Foundations of the Nazi Police State: The Formation of Sipo and SD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04-11-18
[181] 서적 Fascism Oxford University Press
[182] 서적 The Origins of Totalitarianism Harcourt Inc.
[183] 서적 Beyond Totalitarianism: Stalinism and Nazism Compar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4] 서적 Revolutions and the Revolutionary Tradition: In the West 1560–1991 Routledge
[185] 서적 Fascism Oxford University Press
[186] 서적 Fascism Oxford University Press
[187] 서적 Rites of spring: The Great War and the birth of the modern age Houghton Mifflin Harcourt
[188] 서적
[189] 서적 Hitler: Study of a Revolutionary? Routledge
[190] 서적 Women and Nazis: Perpetrators of Genocide and Other Crimes During Hitler's Regime, 1933–1945 https://books.google[...] Academica Press 2021-06-14
[191] 서적 Inside Europe https://openlibrary.[...] Harper & Brothers 2024-02-04
[192] 뉴스 Otto von Habsburg obituary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1-07-04
[193] 웹사이트 Biography https://habsburgotto[...] 2019-08-12
[194] 웹사이트 Monarch http://www.omeidl.co[...]
[195] 뉴스 Habsburgs demand return of estates seized by Nazis in 1938 https://www.telegrap[...] The Daily Telegraph 2004-02-22
[196] 웹사이트 Otto von Habsburg dies at age 98 http://www.newser.co[...] 2024-02-04
[197] 서적 World Fascism: A Historic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20-11-18
[198] 웹사이트 Watch Web of Make Believe: Death, Lies and the Internet Netflix Official Site https://www.netflix.[...]
[199] 웹사이트 Ukraine’s ‘Neo-Nazi’ Battalion Is Greasing Bullets in Pig Fat for Rus… https://archive.ph/5[...] 2022-03-08
[200] 웹사이트 極右過激主義者の脅威の高まりと国際的なつながり 国際テロリズム要覧2021 公安調査庁 https://www.moj.go.j[...]
[201] 뉴스 アマゾンとグーグル、ネオナチや白人至上主義の商品を削除 BBC番組の指摘受け https://www.bbc.com/[...] BBCニュース
[202] 웹사이트 元ネオナチが白人至上主義者の脱会を手助け “排除”ではなく、“かかわり”を :朝日新聞GLOBE+ https://globe.asahi.[...]
[203] 뉴스 私はネオナチだった 黒人女性と恋に落ちるまでは https://www.bbc.com/[...] BBCニュース
[204] 웹사이트 ウクライナ:EUは首脳会談でLGBTの権利について取り上げるべき https://www.hrw.org/[...] 2013-02-21
[205] 웹사이트 極右過激主義者の脅威の高まりと国際的なつながり 国際テロリズム要覧2021 公安調査庁 https://www.moj.go.j[...]
[206] 뉴스 U.S. Considers C14 And National Corps Nationalist Hate Groups https://ukranews.com[...] Ukrainian News Agency 2019-03-14
[207] 사전 大辞林 第三版
[208] 사전 大辞泉
[209] 간행물 1933年党大会でのヒトラー演説
[210] 간행물 ダス・シュヴァルツェ・コーア 1936年5月14日号
[211] 서적 民族共同体と法(1)
[212] 서적
[213] 서적 アドルフ・ヒトラー
[214] 서적 アドルフ・ヒトラー
[215] 서적 アドルフ・ヒトラー
[216] 서적 アドルフ・ヒトラー
[217] 서적 アドルフ・ヒトラー
[218] 서적 アドルフ・ヒトラー
[219] 서적 アドルフ・ヒトラー
[220] 웹사이트 ドイツにおけるナチ犯罪処罰と「罪の個人化」 https://web.archive.[...]
[221] 서적 民族共同体と法(1)
[222] 서적 民族共同体と法(1)
[223] 서적 民族共同体と法(1)
[224] 서적 民族共同体と法(1)
[225] 서적 ナチズム
[226] 서적 民族共同体と法(1)
[227] 서적 民族共同体と法(1)
[228] 서적 民族共同体と法(1)
[229] 서적 民族共同体と指導者―憲法体制
[230] 서적 民族共同体と指導者―憲法体制
[231] 서적 民族共同体と指導者―憲法体制
[232] 서적 民族共同体と指導者―憲法体制
[233] 서적 民族共同体と指導者―憲法体制
[234] 서적 <論説>指導者-国家-憲法体制の構成
[235] 용어 Führung
[236] 용어 Leitung
[237] 서적 <論説>指導者-国家-憲法体制の構成
[238] 서적 民族共同体と法(4)
[239] 서적 民族共同体と法(4)
[240] 서적 民族共同体と法(4)
[241] 서적 民族共同体と法(12)
[242] 서적 民族共同体と法(6)
[243] 서적 民族共同体と法(12)
[244] 서적 民族共同体と法(2)
[245] 서적 Deutsche geschichte 1933-1945 Frankfurt am Main 1993
[246] 서적 ナチスドイツの民衆統括
[247] 서적 ヒットラーの社会革命 而立書房
[248] 서적 Male Fantasie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49] 논문 《労働者》の誕生 https://doi.org/10.1[...] 社会学研究会 2022-06-13
[250] 서적 Der schöne Schein des Dritten Reiches München
[251] 서적 Kunst im Dritten Reich Köln
[252] 서적 Die Ästhetik der Produktion im Dritten Reich Stuttgart
[253] 서적 The Nazi Party in Lower Saxsony 1921-1933 Oxford
[254] 논문 Sozialer Wandel in der NSDAP im zuge der nationalsozialistischen Machtergreifung Hamburg
[255] 서적 The Nazi Party in Lower Saxsony 1921-1933 Oxford
[256] 서적 ナチズム
[257] 서적 ナチズム
[258] 서적 Nationalökonomie und Nationalsozialismus: Die deutsche Wirtschaftslehre in den dreißiger Jahren des 20. Jahrhundert Metropolis-Verlag
[259] 논문 Die Juden und Europa
[260] 서적 Das Firmenschild: Nationaler Sozialismus. Der deutsche Faschismus und seine Partei 1919 bis 1945 PapyRossa Verlag
[261] 웹사이트 "The philosophy of the Nazis..." http://www.econlib.o[...]
[262] 서적 Wer verhalf Hitler zur Macht? Köln
[263] 웹사이트 Großindustrie, Staat und NSDAP 1930–1933. Paul Silverberg und der Reichsverband der Deutschen Industrie in der Krise der Weimarer Republik http://www.zum.de/ps[...] Vandenhoeck & Ruprecht
[264] 서적 Die Großunternehmer und der Aufstieg Hitlers Siedler Verlag
[265] 논문 Zum Verhältnis von Markt und Staat in Hitlers Weltbild Propyläen Verlag
[266] 서적 Die Weimarer Republik Droste Verlag
[267] 논문 Die Nationalsozialismusforschung des Instituts für Sozialforschung – ihre wissenschaftsgeschichtliche Stellung und ihre gegenwärtige Bedeutung Suhrkamp
[268] 서적 Hitlers Tischgespräche im Führerhauptquartier Ullstein
[269] 서적 Ökonomie der Zerstörung. Die Geschichte der Wirtschaft im Nationalsozialismus Bonn
[270] 논문 Rechtsstaatlichkeit und Verfolgungserfahrung Göttingen
[271] 서적 Die Revolution des Nihilismus. Kulisse und Wirklichkeit im Dritten Reich Europa Verlag
[272] 서적 Nationalökonomie und Nationalsozialismus: Die deutsche Wirtschaftslehre in den dreißiger Jahren des 20. Jahrhundert Metropolis-Verlag
[273] 논문 Sozialdarwinismus und Antiliberalismus in Hitlers Wirtschaftskonzept. Zu Henry A. Turners Jr. »Hitlers Einstellung zu Wirtschaft und Gesellschaft vor 1933«
[274] 서적 Hermann Rauschnings »Gespräche mit Hitler« – Eine Geschichtsfälschung Zeitgeschichtlichen Forschungsstelle Ingolstadt
[275] 서적 Hitler 1889–1936 Stuttgart
[276] 서적 Vom Ordoliberalismus zur sozialen Marktwirtschaft VS Verlag
[277] 서적 Nationalökonomie und Nationalsozialismus: Die deutsche Wirtschaftslehre in den dreißiger Jahren des 20. Jahrhundert Metropolis-Verlag
[278] 서적 Der Weg zur Knechtschaft München
[279] 서적 Hitler. Selbstverständnis eines Revolutionärs Darmstadt
[280] 서적 The racial state. Germany 1933–1945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1] 뉴스 War Adolf Hitler ein Linker? http://www.taz.de/1/[...] 2003-09-27
[282] 서적 Hitlers Volksstaat. Raub, Rassenkrieg und nationaler Sozialismus Fischer 2006
[283] 서적 Wirtschaftsordnung im Übergang: Politik, Organisation und Funktion der KPD/SED im Land Brandenburg bei der Etablierung der zentralen Planwirtschaft in der SBZ/DDR 1945–52. Lit Verlag 2002
[284] 서적 Handwörterbuch der Wirtschaftswissenschaft Vandenhoeck & Ruprecht 1981
[285] 서적 Von der Marktwirtschaft zur nationalsozialistischen Kriegswirtschaft. Die Transformation der deutschen Wirtschaftsordnung 1933–1945 Franz Steiner Verlag 2005
[286] 서적
[287] 서적 Das Dritte Reich 1991
[288] 서적
[289] 서적
[290] 서적 Wirtschaftsordnung im Übergang: Politik, Organisation und Funktion der KPD/SED im Land Brandenburg bei der Etablierung der zentralen Planwirtschaft in der SBZ/DDR 1945–52. Lit Verlag 2002
[291] 서적 Das Wirtschaftssystem der Nationalsozialisten 1933–1939. Steuerung durch emergente Organisation und Politische Prozesse. 2003
[292] 서적
[293] 서적 Soziale Marktwirtschaft und administrative Praxis: das Bundeswirtschaftsministerium unter Ludwig Erhard Franz Steiner Verlag 2002
[294] 서적 ナチズム
[295] 서적 ナチズム
[296] 서적 民族共同体と法(5)
[297] 서적 民族共同体と法(5)
[298] 서적 民族共同体と法(5)
[299] 서적 民族共同体と法(16)
[300] 서적 我が闘争
[301] 서적 民族共同体と法(16)
[302] 서적 民族共同体と法(16)
[303] 서적 Hitler's Secret Conversations 1941-1944
[304] 서적 民族共同体と法(19)
[305] 서적 Dictionary of Politics 1992
[306] 서적 Germans into Nazis Harvard University Press 1998
[307] 서적 Nazis and Workers: National Socialist Appeals to German Labor, 1919–1933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972
[308] 서적 A History of Fascism, 1914–45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95
[309] 서적 Fascism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97
[310] 서적 Stormtroopers and Crisis in the Nazi Movement: activism, ideology and dissolution Routledge 2004
[311] 서적 Hitler's stormtroopers and the attack on the German Republic, 1919-1933 McFarland & Company, Inc. 2008
[312] 서적 The essential Hitler: speeches and commentary Bolchazi-Carducci Publishers, Inc. 2007
[313] 서적 Social life, local politics, and Nazism: Marburg, 1880-1935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986
[314] 서적 The Formation of the Nazi constituency, 1919-1933 Barnes & Noble Books 1986
[315] 서적 World Fascism: A Historical Encyclopedia ABC-CLIO 2006
[316] 서적 Explaining Politics: Culture, Institutions, and Political Behavior Routledge
[317] 서적 Hitler and the rise of the Nazi Party Pearson/Longman
[318] 서적 Nazism and War Modern Library
[319] 서적 Education in Nazi Germany Berg
[320] 서적 World fascism: a historical encyclopedia, Volume 1 ABC-CLIO, Inc
[321] 서적 A history of Nazi Germany: 1919-1945 Burnham Publishers
[322] 서적 A history of Nazi Germany: 1919-1945 Burnham Publishers
[323] 서적 The Holocaust: a reader Blackwell Publishing
[324] 서적 A history of Nazi Germany: 1919-1945 Burnham Publishers
[325] 간행물 European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326] 서적 Common destiny: dictatorship, foreign policy, and war in Fascist Italy and Nazi Germa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7] 서적 "Non-Germans" Under the Third Reich: The Nazi Judicial and Administrative System in Germany and Occupied Eastern Europe, with Special Regard to Occupied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328] 서적 The Unmaking of Adolf Hitler Missouri University Press
[329] 서적 L'imprialisme portestant Flammar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