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칭다오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칭다오역은 중화인민공화국 칭다오에 있는 철도역으로, 칭다오 철도 중추의 최대 여객역이자 칭다오 지하철 1호선과 3호선의 지하철역이다. 1900년에 건설되어 1901년에 개업했으며, 독일 양식의 건축물로 지어졌다. 자오지 철로와 자오지 여객 전용선, 칭다오 지하철 1호선과 3호선이 이 역을 지난다. 칭다오역은 여러 차례 개축되었으며, 2022년 10월 승강장 개조를 위해 폐쇄되었다가 2023년 1월에 재개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칭다오 지하철역 - 5·4 광장역
    5·4 광장역은 칭다오 지하철 3호선과 2호선의 환승역으로, 칭다오 시의 주요 시설과 인접하며 다양한 버스 노선이 연결된 교통의 중심지이다.
  • 칭다오 지하철역 - 인민회당역 (칭다오)
    칭다오 지하철 3호선 인민회당역은 2016년 개통된 지하 2층 섬식 승강장 구조의 역으로, "Badaguan" 테마의 벽화가 있으며 버스 및 택시로 환승할 수 있다.
  • 칭다오 지하철 - 칭다오 지하철 3호선
    칭다오 지하철 3호선은 칭다오 역과 칭다오 북역을 잇는 총 길이 24.472km, 22개 역으로 구성된 노선으로, 2016년 12월 완전 개통되어 칭다오 시내 주요 지역을 연결하며 여러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다.
  • 칭다오 지하철 - 칭다오 지하철 1호선
    칭다오 지하철 1호선은 중화인민공화국 칭다오시를 운행하며, 2020년과 2021년에 걸쳐 개통되어 현재 총 41.6km의 노선으로 운영되고, 3호선, 2호선 등 여러 노선과 환승 가능하다.
칭다오역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칭다오 역
칭다오 역
주소산둥성 칭다오시 스난구 타이안루
운영 기관CR 지난,
중국철도공사
개업일1901년
재개업일2008년
연결 버스버스 터미널
등급특등역
TMIS 코드18089
전신 코드QDK
병음 코드QDA
칭다오 지하철 코드 (1호선)115
칭다오 지하철 코드 (3호선)301
노선 정보
노선자오저우-지난 철도
자오저우-지난 고속철도
승강장6
칭다오 지하철 3호선
역 구조지하역
승강장3면 4선
이전 역self
다음 역인민회당

2. 중국철도 칭다오역

중국철도가 운영하는 칭다오역은 특등역이자 자오지 철로, 자오지 여객전용선, 칭타이 여객전용선의 종착역으로, 지상에 자리 잡고 있다. 칭다오 지하철 역과는 지하 연결통로를 통해 환승할 수 있다. 칭다오 철도 교통의 중심지로서 하루 최대 4만 명이 넘는 승객이 이용하는 주요 역이다.

역 건물은 1901년 독일 제국 시기 산둥 철도회사(Shandong Eisenbahn Gesellschaftde)에 의해 처음 건설되었다.[7][1] 초기 계획은 칭다오 잔교 인근이었으나 기술적 문제로 현재 위치에 세워졌다. 독일 건축 양식을 따라 지어졌으며, 특히 종탑이 상징적인 요소이다.

개통 이후 여러 차례 개보수를 거쳤다. 1991년에 한 차례 개축이 있었고,[7] 2008년 베이징 올림픽요트 경기를 앞두고 2006년부터 2008년까지 대대적인 개보수 공사를 진행했다.[8] 이 과정에서 기존 독일 양식 건물의 특징을 보존하면서 현대적인 시설을 갖추게 되었다.[9] 가장 최근에는 2022년 10월부터 2023년 1월까지 승강장 캐노피 개조 공사를 위해 일시적으로 운영을 중단하기도 했다.[2]

2. 1. 역 구조

칭다오역은 현재 칭다오 철도 중추의 최대 철도 여객역으로, 하루 최대 이용객 수는 4만 명을 넘는다.

CRH380CL형 전동차가 칭다오역 10번 승강장에 정차 중인 모습. 허시에호 CRH380C형 전동차


역 건물은 지상 3층과 지하 2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서쪽, 남쪽, 동쪽을 따라 "凹"자 형태의 평면 구조를 가지고 있다. 역 외부에는 서쪽, 남쪽, 동쪽에 세 개의 광장이 "品"자 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이 광장들은 고리 모양으로 연결되어 각각 출구를 가지고 있다. (남쪽 출구는 일반적으로 잠겨 있다.) 주변 도로와 연결되는 지하 통로가 있으며, 출구 통로는 "관광문화 통로"로 불린다.

건축 양식은 종탑을 핵심 요소로 삼아 3면 배열을 통합한 형태로, 전체적으로 독일 양식 건축의 특징을 보여준다. 붉은색 타일과 노란색 벽이 사용되었고, 내부 바닥은 대리석으로 마감되었다. 역 내에는 여러 개의 지상 및 지하 대합실이 있으며, 총 면적은 54000m2에 달한다. 특히 남쪽 지하 대합실은 건축 면적이 약 10000m2로, 중국에서 가장 큰 지하 열차 대합실이다. 승강장 위를 덮는 기둥 없는 차임막(캐노피)은 약 65000m2의 면적을 차지하며, 이는 중국 내 건축물 중 가장 큰 규모의 망목 구조이다.[5]

역의 동쪽과 서쪽 입구 대합실은 철도 노선 위를 가로지르는 고가 통로인 "경관연랑(景观连廊)"으로 연결된다. 동서 대합실 이용객은 계단,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를 통해 이 통로로 이동한 후 중간 승강장으로 갈 수 있다.[6]

칭다오역 북동측 모습


칭다오역 서부 귀빈실 앞


칭다오역 남쪽 지하 대합실 복도


칭다오역 복도의 경관


승강장은 머리식 승강장 6면 10선의 지상역 형태이다. 1901년 개통 당시에는 3면 5선 규모였다.[1] 역사는 과거 독일 제국조차지였던 영향을 받아 독일풍 고전 양식으로 지어졌다. 2008년 하계 올림픽을 앞두고 역사가 개축되었으나, 기존 역사의 모습을 보존하며 조화를 이루는 디자인이 채택되었다.

2008년 개축 이후 칭다오역


2022년 10월 28일, 승강장 캐노피 개조 공사를 위해 역 운영이 일시 중단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 여객 서비스는 칭다오 북역에서 처리되었다. 역은 2023년 1월 16일에 다시 문을 열었다.[2]

2. 2. 운행 노선

중국철도가 운영하는 국철 칭다오역과 칭다오 지하철이 운영하는 지하철 칭다오역이 있으며, 두 역은 연결통로를 통해 환승할 수 있다. 국철 칭다오역은 특등역이자 종착역이다. 지하철 칭다오역은 두 노선의 환승역이다. 칭다오역은 칭다오 철도 중추의 최대 철도 여객역으로, 하루 최대 탑승객은 4만 명을 넘는다.

2. 3. 연혁

칭다오역은 1898년 초기 도시 계획 당시 칭다오 잔교(青岛栈桥) 입구 북서쪽에 건설될 예정이었으나, 기술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현재 위치인 잔교 북서쪽 약 200m 지점으로 조정되었다. 1899년 6월 산둥 철도회사(山东铁路公司)가 설립되었고, 베를린 이사회 멤버 Alfred Gaedertzde의 초기 설계안은 규모가 크고 비용이 높아 기각되었다. 최종적으로 관리자 Heinrich Hildebrandde의 설계가 채택되어 1900년 1월 건설이 시작되었고, 1901년 봄에 완공되어 같은 해 가을에 영업을 시작했다.[7][1]

당시 독일 당국은 역 북쪽에 소위 '화양분치(华洋分治)' 정책에 따라 중국인 전용 역을 건설하고, 칭다오 대항(青岛大港)에 대형 승객 및 화물 보관소를 지을 계획이었으나, 제1차 세계대전 발발과 일본군의 칭다오 전투 계획으로 인해 무산되었다.[7]

1991년 2월 15일, 칭다오역 개축 사업이 시작되어 같은 해 8월 기존 역 건물이 철거되고 재건축되었다. 북쪽에는 2층 규모의 대합실 건물이 새로 지어졌고, 남쪽 건물은 기존 양식을 따라 원래 위치에서 남쪽으로 약 100m 떨어진 곳에 재건되었으나, 건물 비율과 자재는 기존과 차이가 있다.[7]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요트 경기를 앞두고 증가하는 교통량을 수용하기 위해 2006년 11월 20일부터 2008년 7월 27일까지 대대적인 개보수 공사가 진행되었다. 이 기간 동안 칭다오역을 오가는 모든 열차는 임시로 쓰팡역(四方站)에 정차했다. 공사 과정에서 새로운 시계탑과 남쪽 건물은 보존되었으나 북쪽 건물은 철거되었다.[8] 2008년 7월 27일, 개보수를 마친 칭다오역은 공식적으로 시범 운영을 재개했으며, 쓰팡역과 창커우역(沧口站)으로 변경되었던 열차들도 다시 칭다오역 착발로 돌아왔다.[9] 같은 해 8월 2일부터는 새로운 열차 시간표에 따라 EMU 열차 운행도 시작되었다. 새로운 역사는 칭다오의 다른 건축물처럼 독일 건축 양식을 기반으로 중국 디자인 요소를 통합한 모습을 갖추었다.

2011년 8월 14일, 원래 자오지(胶济) 철도박물관의 종루로 사용될 예정이었던 공간이 자동 발권 홀로 변경되어 개장했다.

2022년 10월 28일, 승강장 캐노피 개조 공사를 위해 역이 일시적으로 폐쇄되었으며, 여객 서비스는 칭다오 북역에서 대신 처리했다. 역은 2023년 1월 16일에 재개장할 예정이었다.[2]

지하철 노선과의 연계도 이루어졌다. 칭다오 지하철 3호선 역은 2016년 12월 18일에, 칭다오 지하철 1호선 역은 2021년 12월 30일에 각각 개통되었다.

'''시대별 모습'''

건설 중인 칭다오역 (1900-1901)


독일 조계 시절 엽서 속 칭다오역


1970년대 칭다오역


2. 4. 인접역

'''칭다오 지하철 인접 정차역'''
이전 역노선명다음 역
서진역칭다오 지하철 1호선중산루역
시·종착역칭다오 지하철 3호선인민회당역


2. 4. 1. 자오지 철로

지난 방면다강시·종착역자오지 여객전용선
지난 방면칭다오 북역


2. 4. 2. 자오지 여객전용선

wikitext

노선이전 역 (지난 방면)다음 역
자오지 여객전용선칭다오 북역종착역


3. 칭다오 지하철 칭다오역

칭다오 지하철 칭다오역은 산둥성 칭다오시 스난구 서부의 타이안로/광시로 지하에 위치하며, 연계 목표 제어기가 있는 2급 설비 집중역이다. 지상에 있는 국철 칭다오역과는 지하 연결통로를 통해 환승할 수 있으며, 각 역의 대합실은 비교적 독립적으로 운영된다.

이 역은 칭다오 지하철 1호선칭다오 지하철 3호선의 환승역이다. 칭다오 지하철 3호선은 이 역이 시종착역(역앞 회차)이며, 2016년 12월 18일에 개통되었다.[3][4] 칭다오 지하철 1호선은 중간역 역할을 한다. 두 노선은 지하에서 계층화된 V자 형태로 교차하며, 3호선이 주요 노선으로 설계되었다. 1호선은 남서-북동 방향으로 페이셴로(费县路|페이셴루중국어)와 타이안로(泰安路|타이안루중국어)를 따라가고, 3호선은 동서 방향으로 광시로(广西路|광시루중국어)를 따라간다.

3. 1. 역 구조

칭다오역은 지상역과 지하철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상역'''

머리식 승강장 6면 10선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개업 당시에는 3면 5선 규모였다. 역사는 과거 독일 제국조차지였던 시절의 영향을 받아 독일풍 고전 양식으로 지어졌다. 2008년에 역사가 개축되었으나, 기존 역사의 디자인과 조화를 이루도록 설계되었다.

'''지하철역'''

1호선3호선이 운행되며, 두 노선은 V자 형태로 교차하고 3호선이 주축을 이룬다. 1호선은 남서-북동 방향으로 페이셴로(费县路중국어)와 타이안로(泰安路중국어)를 따라 지나가며, 3호선은 동서 방향으로 광시로(广西路중국어)를 따라간다. 3호선 구간은 2016년 12월 18일에 개통되었고[3][4], 1호선은 2020년 이전에 개통될 예정이었다.

3호선 역은 지하 2층에 섬식 승강장 형태로 지어졌다. 역 표준 단면의 전체 높이는 18.8m이고, 땅속 매립 깊이는 14.4m이다. 대합실의 넓이는 50.5m, 길이는 70.5m로 면적은 3500m2에 달한다. 승강장의 폭은 10m, 유효 길이는 120m이며, 면적은 1130m2이다.

역은 지하 굴착 방식으로 건설되었으며, 출구는 총 5개가 있다. 주변에는 타이안로(泰安路중국어), 광시로(广西路중국어), 란산로(兰山路중국어), 페이셴로(费县路중국어) 등의 도로가 위치한다.

3. 2. 운행 노선

국철 칭다오역은 특등역이자 자오지 철로자오지 여객전용선의 종착역으로, 지상에 위치한다.[3][4]

지하철 칭다오역은 칭다오 지하철 1호선칭다오 지하철 3호선의 환승역으로, 지하에 위치한다.[3][4] 3호선 부분은 2016년 12월 18일에 개통되었다.[3][4] 국철역과 지하철역은 연결통로를 통해 환승할 수 있다.

지하철 1호선은 남서-북동 방향으로, 3호선은 동서 방향으로 운행하며 두 노선은 V자 형태로 교차한다.

3. 3. 연혁

3. 4. 인접역

3. 4. 1. 칭다오 지하철 1호선

시전칭다오역싱궈루역 방면
중산루


3. 4. 2. 칭다오 지하철 3호선

칭다오 지하철 3호선 부분은 2016년 12월 18일에 개통되었다.[3][4] 3호선의 시종착역으로, 열차는 역 앞에서 회차한다. 칭다오 지하철 1호선과는 계층화된 V자형으로 교차하며, 3호선이 주요 노선으로 설계되었다. 3호선 역은 동서 방향으로 广西路|광시로중국어를 따라 위치한다.

3호선 역은 지하 2층에 섬식 승강장 구조로 되어 있다. 역 표준 단면의 전체 높이는 18.8m, 매립 깊이는 14.4m이다. 대합실은 폭 50.5m, 길이 70.5m로 면적은 3500m2이며, 승강장의 폭은 10m, 유효 길이는 120m, 면적은 1130m2이다.

역은 지하 굴착 방식으로 건설되었고, 출구는 5개가 있으며 泰安路|타이안로중국어, 广西路|광시로중국어, 兰山路|란산로중국어, 费县路|페이셴로중국어 주변으로 연결된다. 다음 역은 인민회당역이며, 칭다오 북역 방면이다.

3. 5. 공공 예술

중앙미술학원에서 제작한 "문맥(纹脉)"이라는 테마의 구리 상감 작품 4개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작품들은 인장의 조형 요소와 칭다오 방언 문자를 활용하여 실루엣 형태로 결합한 것이다. 이를 통해 조용하면서도 깊이 있는 칭다오만의 독특한 지리적, 역사적 통합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석재에 구리를 상감한 이 공예품들은 칭다오의 100년 문화를 상징한다.[10]

잔교(栈桥)


칭다오역 구역사(青岛站老站房)


항해(帆船)


카톨릭 교회(天主教堂)

참조

[1] 웹사이트 青岛站 车站概况 https://web.archive.[...]
[2] 웹사이트 青岛火车站风雨棚开始改造施工 http://news.iqilu.co[...] 2022-10-26
[3] 뉴스 李群宣布:青岛地铁3号线全线开通 http://qingdao.dzwww[...] 2020-10-09
[4] 웹사이트 Qingdao Metro Line 3 https://www.travelch[...] 2020-10-09
[5] 인용 青岛火车站全面竣工 2008年8月1日正式启用 http://news.xinhuane[...] 新华网
[6] 인용 青岛火车站搬迁改造工程启动 http://www.sd.xinhua[...] 新华网
[7] 서적 "《青岛影像 1898-1928:明信片中的城市记忆》" 中国海洋大学出版社
[8] 인용 青岛火车站强势复出 http://qd.people.com[...]
[9] 인용 百年青岛站新装迎客 8月2日起迁回动车组 http://unn.people.co[...] 2019-06-20
[10] 인용 走进地铁3号线 感受“海岸节拍” http://epaper.qingda[...] 青岛早报 2019-06-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