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미자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미자르는 1702년부터 1710년까지 프랑스 세벤 지역에서 일어난 위그노(프랑스 개신교도) 농민들의 봉기를 가리킨다. 카미자르는 1685년 퐁텐블로 칙령으로 낭트 칙령이 폐지되어 종교적 자유를 잃고 가톨릭으로 개종을 강요받자, 예언자들의 지도 아래 무장 저항을 시작했다. 이들은 게릴라 전술을 펼치며 왕실 군대에 맞섰으며, 잔혹한 보복과 학살 속에서도 저항을 이어갔다. 1704년 왕실 사령관의 회유책에 장 카발리에는 항복했지만, 다른 지도자들은 저항을 계속했다. 봉기는 1710년까지 이어지다 진압되었지만, 이후 프로테스탄트 신앙의 생존과 저항 정신을 고취하는 유산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세기 개신교 - 제1차 대각성 운동
    제1차 대각성 운동은 18세기 초 영국령 아메리카 13개 식민지에서 일어난 개신교 기독교 부흥 운동으로, 청교도주의, 장로교, 경건주의 영향을 받아 종교적 침체에 대한 반발로 시작되어 조나단 에드워즈, 조지 휫필드와 같은 설교자들을 통해 확산되었으며, 미국 복음주의 형성에 기여하고 사회 전반에 변화를 가져왔다.
  • 18세기 개신교 - 경건주의
    경건주의는 17~18세기 개신교 내에서 일어난 신앙 운동으로, 개인의 신앙과 실천을 강조하며 루터교 정통주의에 대한 반성으로 시작되어 유럽 각 지역으로 확산되었고 다양한 종교 운동과 과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18세기 프랑스 - 상퀼로트
    상퀼로트는 프랑스 혁명 당시 노동자 계급을 지칭하는 용어로, 혁명 과정에 적극 참여하여 급진적인 사회 변혁을 추구했지만 테르미도르의 쿠데타 이후 몰락하며 평민의 열정과 이상을 상징하게 되었다.
  • 18세기 프랑스 - 18세기 프랑스 문학
    18세기 프랑스 문학은 계몽주의 사상의 영향으로 이성이 중시되고 사회 비판적 경향을 보이며, 몽테스키외, 볼테르, 루소 등 철학자들이 사회 개혁을 주장하고, 연극, 소설 등 다양한 장르에서 발전이 이루어졌으며 프랑스어의 영향력 확대에 기여했다.
  • 1702년 프랑스 - 크레모나 전투
    크레모나 전투는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중 외젠 사보이 공자가 프랑스 점령 도시 크레모나를 기습 공격했으나, 프랑스군의 저항과 증원군으로 점령에 실패했지만 빌레루아 원수 포획과 아일랜드 여단의 활약으로 기록된 전투이다.
  • 1702년 프랑스 - 프리들링겐 전투
    프리들링겐 전투는 1702년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중 프랑스군이 신성 로마 제국 군대를 공격하여 소규모 승리를 거두었으나, 전략적 영향은 미미했으며, 빌라르는 이 승리로 프랑스 원수로 승진했다.
카미자르
기본 정보
카미자르 십자가
카미자르 십자가
시기1702년 - 1710년
위치프랑스, 세벤
원인낭트 칙령 철회 후 위그노 박해
결과위그노에 대한 왕실 양보
로마 가톨릭이 우세한 프랑스에 위그노 공동체 유지
교전 세력
카미자르위그노
왕당파프랑스 왕국
주요 인물
카미자르 지도자장 카발리에
롤랑 라포르트
앙리 카스텔네 드 몬트라벨
피에르 라발
왕당파 지도자빌라르 공작 클로드 루이 엑토르 드
몽르벨 백작 르네 드 라 파이
전력
카미자르약 3,000명
왕당파최대 60,000명

2. 어원

"카미자르"라는 이름은 오크어로, 농민들이 제복 대신 입는 ''카미자''(셔츠)로 알려진 린넨 스목 또는 셔츠의 종류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 또는 "길"(chemins)을 의미하는 camus|카뮈oc에서 유래했을 수도 있다. "야습"을 뜻하는 Camisada|카미자다oc는 그들의 전술의 특징에서 파생되었다.[1]

3. 역사적 배경

16세기 프랑스 종교 지도. 위그노 귀족 통제 지역은 보라색, 가톨릭 귀족 통제 지역은 회색, 분쟁 지역은 연보라색, 루터교 다수 지역은 파란색으로 표시되었다.


16세기 말, 프랑스는 종교 전쟁으로 혼란을 겪었다. 1598년 앙리 4세가 낭트 칙령을 발표하면서 개신교 신자(위그노)에게 제한적인 종교 자유가 허용되었지만, 완전한 평화가 오지는 않았다. 앙리 4세와 그의 아들 루이 13세 시대에는 낭트 칙령이 유지되었으나, 루이 14세는 가톨릭 신앙을 강요하며 1685년 퐁텐블로 칙령을 통해 낭트 칙령을 폐지했다.

3. 1. 낭트 칙령 폐지와 종교 탄압

1598년 4월, 앙리 4세는 낭트 칙령에 서명하여 프랑스를 황폐화시켰던 종교 전쟁을 종식시켰다. 프로테스탄트에게는 제한적인 시민권과 예배의 자유가 주어졌으며, 이 법은 앙리의 아들 루이 13세에 의해 유지되었다.[1] 그러나 1685년 10월, 앙리의 손자 루이 14세는 퐁텐블로 칙령을 반포하여 낭트 칙령을 폐지하고, 프랑스에 로마 가톨릭만을 강요하려 했다.[1]

1681년 초, 루이 14세는 "부츠를 신은 선교사"로 불린 용기병을 동원한 강제 개종 정책인 용기병의 약탈을 실시했다.[1] 이들은 프로테스탄트 가정에 머물며 개종이나 이민을 강요했고, 세벤은 저항의 중심지였다.[1]

"용기병 선교사"가 "이단자"를 개종시키는 프로테스탄트 풍자 그림, 1686


퐁텐블로 칙령으로 위그노는 모든 권리와 보호를 박탈당했고, 약 20년간의 박해가 이어졌다.[1] 개신교 예배와 성경 읽기는 금지되었고, 2,000개 이상의 프로테스탄트 교회가 불탔으며, 마을 전체가 학살당하는 만행이 벌어졌다.[1] 목사와 신자들은 체포되어 추방, 고문, 살해당했다.[1] 프랑수아 랑글라드 수도원장의 지휘하에 75명의 선교사 사제가 세벤으로 보내졌고, 군인들은 농부들에게 개종 서명을 강요하고 미사에 참석하게 했다.[1]

이러한 탄압에도 불구하고, 바노제와 세벤의 프로테스탄트 농민들은 "예언자"로 알려진 교사들의 지도하에 저항했다.[1] 프랑수아 비벤트와 클로드 브루송 등이 대표적이며, 비벤트는 추종자들에게 무장을 권고했다.[1] 주요 예언자들은 고문당하고 처형되었지만, 빗질공 아브라함 마젤과 같이 교육 수준이 낮은 설교자들이 비밀리에 활동하며 저항을 이어갔다.[1] 가톨릭 교회는 묵시록의 짐승에 비유되었고, 비밀 예언자들은 예언적인 꿈에서 저항의 계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1] 1700년부터 비밀 예언자와 무장한 추종자들은 산속에 숨어 지냈다.[1]

4. 카미자르 봉기 (1702-1710)

카미자르 봉기(1702년 ~ 1710년)는 프랑스 왕권에 대항하여 일어난 개신교도들의 저항 운동이었다.

양측에서 잔혹 행위가 증가했다. 카미자르는 프레시네-드-푸르크, 발소브, 포텔리에르 등 가톨릭 마을에서 학살을 자행했다. 고문으로 명성이 자자했던 정부 행정관 바스빌은 미알레와 소멘의 모든 주민을 추방했다. 1703년 가을, 국왕의 동의하에 조직적인 "세벤의 불태우기"가 진행되어 466개의 작은 마을이 파괴되고 주민들이 추방되었다.

프레시네-드-로제르 주민들과 같이 마을 엘리트의 영향을 받은 다른 개신교도들은 왕당파적인 태도를 선택하여 카미자르와 싸웠으나, "세벤의 불태우기" 동안 집을 잃는 등 똑같이 피해를 입었다.[5]

"십자가의 생도"(프랑스어: "Cadets de la Croix", 코트에 작은 흰색 십자가를 착용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로도 알려진 백색 카미자르는 생 플로랑, 스네샤스, 루송과 같은 인근 지역 사회의 가톨릭 신자들로, 옛 적들이 도망가는 것을 보고 회사를 조직하여 반군을 약탈하고 사냥했다. 이들은 브레누 마을에서 임신부와 어린이를 포함하여 52명을 살해하는 등 잔혹 행위를 저질렀다.

개신교의 다른 반대자들로는 국왕이 용병으로 고용한 루시용 출신의 600명의 미케레 사수들이 있었다.

4. 1. 봉기의 시작: 퐁 드 몽베르 사건

1702년 7월 24일, 르 퐁 드 몽베르에서 왕의 압제자였던 프랑수아 랑글라드 샤일라 수도원장의 암살로 공개적인 적대 행위가 시작되었다. 랑글라드는 프랑스를 탈출하려 했다는 혐의로 기소된 개신교도 7명을 체포하고 고문했다.[2] 아브라함 마젤이 이끌던 카미자르 반군은 평화롭게 포로 석방을 요구했지만, 거절당하자 살인을 시작했다.[3] 수도원장은 가톨릭 국가에 의해 자신의 신앙의 순교자로 빠르게 칭송되었다.

카미자르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활동했으며, 낮 동안에는 대부분 마을 공동체로 돌아갔다. 그들은 주로 농업 노동자나 장인이었으며 귀족 지도자는 없었다. 그들은 길과 양길을 속속들이 알고 있었다. 그들은 자신들을 하나님의 자녀라고 불렀는데, 후원이나 정치보다는 종교에 의해 영감을 받았다.

4. 2. 주요 지도자 및 전개

르 퐁 드 몽베르에서 왕의 압제자였던 프랑수아 랑글라드 샤일라 수도원장의 암살로 공개적인 적대 행위가 시작되었다. 랑글라드는 최근 프랑스를 탈출하려 했다는 혐의로 기소된 7명의 개신교도들을 체포하고 고문했다.[2] 카미자르 반군은 아브라함 마젤이 이끌었는데, 그는 평화롭게 포로 석방을 요구했지만, 거절당하자 살인을 시작했다.[3]

카미자르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활동했으며, 낮 동안에는 대부분 마을 공동체로 돌아갔다. 그들은 주로 농업 노동자나 장인이었으며 귀족 지도자는 없었다. 그들은 길과 양길을 속속들이 알고 있었다. 그들은 자신들을 하나님의 자녀라고 불렀는데, 후원이나 정치보다는 종교에 의해 영감을 받았다.

젊은 장 카발리에와 피에르 라포르트(롤랑)가 이끈 카미자르는 왕실 군대의 횡포에 게릴라전 방식으로 맞서 싸웠으며, 몇 차례의 정규 전투에서 우세한 병력에도 불구하고 굳건히 저항했다.[4]

1704년, 왕실 사령관 클로드 루이 엑토르 드 빌라르는 개신교도들에게 모호한 양보를 제안했고, 카발리에에게 왕실 군대에서 지휘권을 약속했다. 카발리에가 이 제안을 받아들임으로써 반란은 붕괴되었지만, 낭트 칙령이 복원되지 않는 한 굴복을 거부한 라포르트를 비롯한 다른 이들이 있었다. 산발적인 전투는 1710년까지 계속되었지만, 봉기의 진정한 종말은 개신교 목사 앙투안 코르가 세벤에 도착하고 소규모 개신교 공동체가 재건되면서 이루어졌으며, 특히 루이 14세가 1715년에 사망한 이후에는 대체로 평화롭게 유지되었다.

4. 3. 봉기의 진압과 종결

젊은 장 카발리에와 피에르 라포르트(롤랑)가 이끈 카미자르는 왕실 군대의 횡포에 게릴라전 방식으로 맞서 싸웠으며, 몇 차례의 정규 전투에서 우세한 병력에도 불구하고 굳건히 저항했다.[4]

양측에서 잔혹 행위가 증가했다. 카미자르는 프레시네-드-푸르크, 발소브, 포텔리에르 등 가톨릭 마을에서 학살을 자행했다. 고문으로 명성이 자자했던 정부 행정관 바스빌은 미알레와 소멘의 모든 주민을 추방했다. 그리고 1703년 가을, 국왕의 동의하에 조직적인 "세벤의 불태우기"가 진행되어 466개의 작은 마을이 파괴되고 주민들이 추방되었다.

프레시네-드-로제르의 주민들과 같이 마을 엘리트의 영향을 받은 다른 개신교도들은 왕당파적인 태도를 선택하여 카미자르와 싸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세벤의 불태우기" 동안 집을 잃는 등 똑같이 피해를 입었다.[5]

"십자가의 생도"(프랑스어: "Cadets de la Croix", 코트에 작은 흰색 십자가를 착용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로도 알려진 백색 카미자르는 생 플로랑, 스네샤스, 루송과 같은 인근 지역 사회의 가톨릭 신자들로, 옛 적들이 도망가는 것을 보고 회사를 조직하여 반군을 약탈하고 사냥했다. 그들은 브레누 마을에서 임신부와 어린이를 포함하여 52명을 살해하는 등 잔혹 행위를 저질렀다.

개신교의 다른 반대자들로는 국왕이 용병으로 고용한 루시용 출신의 600명의 미케레 사수들이 있었다.

1704년, 왕실 사령관 클로드 루이 엑토르 드 빌라르는 개신교도들에게 모호한 양보를 제안했고, 카발리에에게 왕실 군대에서 지휘권을 약속했다. 카발리에가 이 제안을 받아들임으로써 반란은 붕괴되었지만, 낭트 칙령이 복원되지 않는 한 굴복을 거부한 라포르트를 비롯한 다른 이들이 있었다. 산발적인 전투는 1710년까지 계속되었지만, 봉기의 진정한 종말은 개신교 목사 앙투안 코르가 세벤에 도착하고 소규모 개신교 공동체가 재건되면서 이루어졌으며, 특히 루이 14세가 1715년에 사망한 이후에는 대체로 평화롭게 유지되었다.

5. 카미자르의 구성원

카미자르는 세벤 지역의 농민 42%, 시골 장인 58%로 구성되었으며, 이들 중 75%는 양모 관련 직업에 종사했다. 이들은 모두 옥시탄어를 사용했으며, 귀족이나 군사 훈련을 받은 사람은 없었다. 단일 군대나 지도자는 없었지만, 각 지역별로 조직자와 병사가 있었다.[1]

주목할 만한 지도자는 다음과 같다.

이름활동 지역
제데옹 라포르트
살로몽 쿠데르, 아브라함 마젤르 부제, 몽 로제르
앙리 카스타네 (1674–1705)몽 아에구알
피에르 라포르트 (롤랑) (1680–1704)바스-세벤, 미알레, 라살
장 카발리에 (1681–1704)위제스와 소브 사이의 바-랑그독 평원[2]



정식 목사들은 체포되었고, 에스프리 세기에, 아브라함 마젤, 엘리에 마리옹, 장 카발리에 등의 예언자들이 비밀리에 활동했다.

예언자들의 환상은 전쟁에 영향을 주었고, 농민들은 스스로를 무적이라고 느꼈다. 이들은 시편을 부르며 행진했는데, 이는 적들을 불안하게 만들었다.[3]

6. 카미자르 봉기의 유산

장 카발리에는 나중에 영국으로 건너가 저지 섬의 총독이 되었다.

천년설을 믿는 카미자르 출신 집단은 엘리 마리옹의 지도 아래 1706년 런던으로 이주했으며, 알룸브라도스와 연관이 있다고 한다.[7] 이들은 "프랑스 예언자"로 불리며 경멸과 탄압을 받았다.[7] 이들의 사례와 저술은 장 자크 루소의 정신적 관점과 셰이커 교도 운동의 창시자인 앤 리에게 영향을 미쳤다.

1707년 런던에서 인쇄된 전단지 삽화. 소위 프랑스 예언자들의 지도자인 엘리 마리옹, 장 도데, 니콜라 파티오 드 뒤에가 선동죄로 형틀에 서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6. 1. 프로테스탄트 신앙의 생존

주요 활동적인 카미자르 집단이 여러 방식으로 진압된 후, 프랑스 당국은 반란을 다시 일으키는 것을 원치 않았고, 반프로테스탄트 탄압에 대해 보다 온건한 접근 방식을 취했다. 많은 전직 카미자르들은 보다 평화로운 접근 방식으로 돌아왔고, 1715년부터는 여전히 불법이었지만 훨씬 더 잘 조직된 프로테스탄트교를 재건하는 데 기여했다. 그들은 앙투안 쿠르와 입국이 허용된 수많은 순회 목사들의 지도하에 있었다.[8]

6. 2. 저항 정신의 고취

필리프 주타르(Philippe Joutard) 역사학 교수는 그의 저서 《카미자르의 전설(La légende des Camisards)》에서 오늘날까지 세벤(Cévennes) 지역에 널리 퍼져 있는 카미자르에 대한 생생한 구전 설화를 기록했다. 그는 또한 이 구전 전통을 통해 많은 관련 없는 에피소드들이 통합된 이 놀라운 역사적 시기의 "매력적인 힘"을 관찰했다. 이러한 구전은 주로 가족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반란의 영웅적인 지도자들보다 그들의 신념에 충실했던 조상들을 더욱 부각시키는 경향이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것은 원래의 종교적 문제에서 벗어나, 전체적인 철학적, 정치적, 인간적 문화와 삶의 방식을 결정하는 저항과 비순응의 일반적인 태도로 발전한다.[9] 필리프 주타르는 또한 이 프로테스탄트 지역에 거주하는 소수의 가톨릭 신자들조차도 그들의 역사를 이전 종교적 반대자들과 같은 방식으로 재구성하는 경향이 있다고 언급했다.[9] 따라서 세벤 지역에 있는 카미자르의 흔적은 특히 깊고 오래 지속된다.

6. 3. 셰이커 교도에 미친 영향

장 카발리에는 나중에 영국으로 건너가 저지 섬의 총독이 되었다.

천년설을 믿는 카미자르 출신 집단이 엘리 마리옹의 지도 아래 1706년 런던으로 이주했으며, 알룸브라도스와 연관이 있다고 한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프랑스 예언자"로 취급받으며 경멸과 약간의 공식적인 탄압을 받았다.[7] 그들의 사례와 저술은 셰이커 교도 운동의 창시자인 앤 리에게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다.

7. 연표


  • 1702년
  • * 6월: 발레라르그 사건 발생. 민중들이 사제들로부터 체포된 예언자들을 탈환함.[2]
  • * 7월 24일: 프랑수아 랑글라드, 듀 샤일라 신부 등 가톨릭교도들이 데베즈에서 암살당함.
  • * 8월 12일: 에스프리 세기에 처형. 카미자르 전쟁의 전통적인 시작.
  • * 9월 11일: 르 콜레-드-데즈 근처 샹도메르그 언덕에서 전투 발생. 뚜렷한 결과는 없었음.
  • * 10월 22일: 생 로랑 드 트레브(테멜락) 전투. 기드옹 라포르트 사망. 그의 머리가 바르데세벤], [앙드즈, 생티폴리트 및 몽펠리에에 전시됨.
  • * 12월 24일: 장 카발리에가 70명의 카미자르를 이끌고 알레 점령.
  • * 12월 28일: 카미자르가 소브, 가르를 점령.[2][6]
  • 1703년
  • * 1월 12일: 장 카발리에가 왕당파 브로이 백작으로부터 발 드 바르(
  • * 2월: 브로이 백작 해임. 몽트레벨 원수로 교체, 병력 증원.
  • * 2월 26일: 카미자르가 카스테네 지휘하에 프레시네-드-푸르크 주민들을 학살.
  • * 3월 6일: 폼피냥 전투. 카미자르 패배.
  • * 4월 1일: 왕당파의 아고 방앗간 학살.
  • * 4월: 미알레와 소멘 주민 루시용페르피냥으로 추방.
  • * 4월 29일: 장 카발리에가 투르 드 빌로 전투(알레)에서 패배.
  • * 5월 18일: 브뤼에 전투.
  • * 9월 12일: 포텔리에르에서 가톨릭 신자 학살.
  • * 9월 20일: 사투라르그(뤼넬)와 생-세리에에서 가톨릭 신자 학살.
  • * 가을: 세벤의 방화 정책. 466개 마을에서 주민 추방 및 마을 방화.
  • * 가을: 가톨릭 십자군(백색 카미자르) 등장. 약탈과 강도 자행.
  • * 12월 20일: 라 마들렌 전투(토르낙).
  • 1704년
  • * 3월 15일: 마르티냐르그의 데베스 전투 (베제노브르). 장 카발리에가 가톨릭 연대 격파.

마르티냐르그의 데베스 기념비

  • * 3월: 몽트르벨 원수 해임. 빌라르 원수로 교체.
  • * 4월 16일: 몽트르벨이 나주 전투에서 카발리에를 격파 (빌라르 도착 전).
  • * 4월 19일: 카발리에의 군수품이 에제의 동굴에서 발견됨.
  • * 4월 20일: 빌라르가 지휘권 인수, 협상 제안.
  • * 5월: 협상 시작. 카발리에, 무조건 항복 및 왕립군 지휘관직 수락.
  • * 8월 13일: 피에르 라포르트(롤랑)가 카스텔노레발랑스에서 사망.
  • * 10월: 다른 지도자들이 프랑스를 떠남.[2][6]

참조

[1] 서적 Histoire des troubles des Cévennes ou de la guerre des camisards sous le règne de Louis le Grand https://archive.org/[...] Editions Lacour-Ollé, Nîmes 2009
[2] 웹사이트 La Guerre des Camisards https://web.archive.[...] Association d'étude et de recherche sur les camisards 2016-08-30
[3] 서적 Le Temple du Rouve: lieu de mémoire des Camisards Editions Lacour-Ollé, Nîmes 2008
[4] 서적 The Revolt of the Protestants of the Cevennes, with some account of the Huguenots in the seven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John Murray, London 1870
[5] 간행물 La dynastie Rouvière de Fraissinet-de-Lozère. Les élites villageoises dans les Cévennes protestantes d'après un fonds d'archives inédit (1403-1908) http://sites.google.[...] Les Nouvelles Presses du Languedoc, Sète 2011
[6] 웹사이트 The progress of the war 1702-1704 http://www.museeprot[...] Fondation pasteur Eugène Bersier 2016-08-30
[7] 서적 French Prophets https://www.oxforddn[...] Oxford University Press 2019-09-06
[8] 서적 Les Camisards Gallimard 1976
[9] 서적 La légende des Camisards NRF Gallimard 1977
[10] 서적 The Huguenots and the revocation of the Edict of Nantes https://archive.org/[...] C. Scribner's sons 2018-09-14
[11] 서적 The revolt of the Protestants of the Cevennes, with some account of the Huguenots in the seventeenth century https://archive.org/[...] J. Murray 2018-09-16
[12] 서적 Memoirs of the wars of the Cevennes, under Col. Cavallier, : in defence of the Protestants persecuted in that country. : And of the peace concluded between him and the Mareschal D. of Villars. : Of his conference with the King of France, after the conclusion of the peace. : With letters relating thereto, from Mareschal Villars, and Chamillard secretary of state: : As also, a map describing the places mentioned in the book https://archive.org/[...] Printed for J. Stephens ... 2018-09-16
[13] 논문 Cavallier and the Camisards https://archive.org/[...] 2018-09-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