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크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크어는 프랑스 남부, 이탈리아 일부 지역, 스페인 아란 계곡 등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예"를 뜻하는 단어 'oc'에서 명칭이 유래되었다. 중세 시대에는 트루바두르들이 사용하며 널리 쓰였으나, 프랑스 왕권 강화와 프랑스 혁명으로 인해 쇠퇴했다. 오크어는 여러 방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스콩어, 프로방스어, 리무쟁어 등이 주요 방언으로 꼽힌다. 현재는 60만 명 이상이 모어로 사용하며, 오크어 보존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오시타니아는 오크어를 사용하는 지역을 총칭하며,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등에 걸쳐 분포한다. 오크어에는 표준안과 미스트랄안 두 가지 정서법이 사용되며, 카탈루냐어, 프랑스어 등과 언어학적 특징을 공유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도라의 언어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 안도라의 언어 - 카탈루냐어
카탈루냐어는 이베리아 반도 동부 등지에서 사용되는 로망스어로, 고전 라틴어에서 유래하여 아라곤 연합 왕국의 확장과 함께 퍼져나갔으며, 스페인 민주화 이후 부흥하였으나 프랑스령 북부 카탈루냐 지역에서는 사용 인구가 적고 오크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 오크어 - 아란 방언
아란 방언은 스페인 발다란 지역에서 사용되는 가스코뉴어의 하위 방언인 오크어의 방언으로, 여러 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카탈루냐의 공용어로서 특별한 지위를 갖고 보존 및 부흥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오크어 - 오베르뉴어
오베르뉴어는 프랑스 오베르뉴 지방에서 사용되는 오크어의 방언으로, 트루바두르들의 활동에서 기원하여 공식 문서에도 사용되었으며, 프랑스어 및 프랑코프로방스어와 구별되는 언어이다.
오크어 | |
---|---|
지도 정보 | |
![]() | |
![]() | |
![]()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옥시탄어 |
자기 이름 | lenga d'òc, 옥시탄, 프로방스어/프로방스어 |
로마자 표기 | oksitan, lenga d'òc |
발음 | , |
다른 이름 | 프랑스어: langue d'oc |
사용 국가 | |
국가 |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 모나코 |
지역 | 옥시타니아 |
소수 언어 | 프랑스 오베르뉴론알프 주 상트르발드루아르 주 누벨아키텐 주 옥시타니 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주 이탈리아 구아르디아 피에몬테세 옥시탄 계곡 (1999년 12월 15일 법률 482호) 모나코 |
공용어 | 스페인 카탈루냐 (아란어 방언) |
사용 민족 | 옥시탄족 |
언어 정보 | |
화자 수 | 약 200,000명 (1990~2012년 추정), 총 화자 수 추정치는 110,000명에서 789,000명 (2007~2012년), 이탈리아 68,000명 (2005년 조사), 스페인 (발다란) 4,000명 |
언어 계통 | 인도유럽어족 이탈리아어파 라틴팔리스카어군 로망스어군 이탈리아서부어군 서부 로망스어군 갈리아로망스어군 옥시타니아로망스어군 |
조상 언어 | 고대 라틴어 통속 라틴어 원시 로망스어 고대 옥시탄어 |
문자 | 라틴 문자 (옥시탄 알파벳) |
언어 기관 | Conselh de la Lenga Occitana, Congrès Permanent de la Lenga Occitana, Institut d'Estudis Aranesi |
ISO 639-1 | oc |
ISO 639-2 | oci |
ISO 639-3 | oci |
글롯로그 | occi1239 |
링구아스피어 | 51-AAA-g & 51-AAA-f |
방언 | |
주요 방언 | 오베르냐어 가스코뉴어 랑그도크어 리무쟁어 프로방스어 비바루알프어 니사르어 |
소멸 방언 | 유대 프로방스어 유대 가스코뉴어 유대 니사르어 |
2. 명칭
프랑스어로 랑그도크(langue d'oc)라고 부르는데, 이는 "예"를 뜻하는 단어가 'oc'이기 때문이다. 북부의 랑그도일(오일어)은 'oïl'(현대 프랑스어 'oui')이라고 발음하는 것과 대조적이다.[18] 중세 이탈리아 시인 단테 알리기에리는 저서 De vulgari eloquentia에서 오크어를 언급하며, "예"를 뜻하는 단어를 기준으로 로망스어군 언어를 세 가지로 분류했다. 즉, 'òcoc 언어'(오크어), 'oïlfro 언어'(프랑스어), 'sìit 언어'(이탈리아어)이다.[18]
오크어는 여러 하위 언어들을 포함하는 언어군으로 보기도 하고, 방언군으로 보기도 한다. 오크어는 공식적인 표준 문어가 없기 때문에 하나의 통일된 언어라기보다는 여러 방언으로 이루어진 언어로 정의된다. 레토로망스어군, 프랑코프로방스어, 아스투리아스레온어, 아라곤어와 같이 주로 구어로 사용되는 다른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오크어도 기술적으로는 각 마을마다 고유한 방언이 존재하며, 오크타니아 전체는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이동하면서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전형적인 방언 연속체를 형성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문가들은 일반적으로 오크어를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 주요 방언으로 나눈다.
'òcoc'라는 단어는 불가르어 라틴어 'hocla'(이것)에서 유래했으며, 'oïlfro'은 라틴어 'hoc illudla'(이것이 그것이다)에서 유래했다.[18] 구 카탈루냐어와 현재 북카탈루냐어 카탈루냐어에도 'hocca'('òcca')가 있다.[18] 다른 로망스어들은 라틴어 'sicla'에서 "예"에 해당하는 단어를 유래했다.[18]
"오크어"라는 명칭은 약 1300년경 'occitanusla'로 증명되었는데, 이는 'ocla'와 'aquitanusla'(아키텐)의 합성어이다.[19]
오크어 방언들은(카탈루냐어와 함께)[20] 리무쟁 또는 프로방스어로 불리기도 했다. 13세기 초 카탈루냐의 트루바두르 라이몽 비달 드 베조당은 그의 Razós de trobarca에서 처음으로 언어를 지칭하는 데 "레모쟁(Lemosin)"이라는 단어를 사용했다.[21] "프로방스어"라는 용어는 프로방스 지역을 가리키지만, 11세기, 12세기, 그리고 때로는 13세기에도 프로방스라는 이름으로 고대 로마 갈리아 나르보넨시스 전역, 심지어 아키텐까지를 포함했기 때문에 역사적으로는 오크어 전체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다.[22] 이 용어는 이탈리아에서 처음 유행하기 시작했다.[23] 현재 언어학자들은 오크어 내의 특정 방언을 가리키는 데 "프로방스어"와 "리무쟁"이라는 용어를 엄격하게 사용하고, 오크어 전체를 가리키는 데는 "오크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3. 언어와 방언
가장 북쪽과 동쪽에 위치한 방언들은 갈로이탈리아어군과 오일어군과 더 많은 형태론적 및 음운론적 특징을 공유하는 반면, 가장 남쪽에 위치한 방언들은 이베로로망스어군과 더 많은 특징을 공유하며, 가스콩어는 다른 방언에서는 볼 수 없는 여러 가지 특이한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프랑스어와 어원이 같은 단어를 사용하는 방언도 있고, 카탈루냐어와 에스파냐어와 어원이 같은 단어를 사용하는 방언도 있어 어휘적인 차이도 상당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수준의 상호 이해력이 존재한다.
가스콩어는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방언이며, 오크어의 주요 특징에 대한 설명은 종종 가스콩어를 별도로 고려한다.[56] Max Wheeler는 "아마도 프랑스 문화권 내에서 공존하고 있기 때문에 [가스콩어]가 별개의 언어로 간주되지 않은 것"이라고 지적하며, 오크어와는 별개의 언어로 간주되지만 "전반적으로 오크어와 가스콩어의 차이보다 크지 않은" 프랑코프로방스어와 비교한다.[56]
이러한 방언들을 더 큰 그룹으로 묶는 데 대한 일반적인 합의는 없다.
Max Wheeler는 방언을 다음 두 그룹으로 나눈다.[56]
Pierre Bec은 방언을 다음 세 그룹으로 나눈다.[57][58]
북부 방언의 특징 (프랑스어와 공통, 카탈루냐어와는 다름):
남부 방언의 특징 (일부 방언 공통, 카탈루냐어와 공통, 프랑스어와는 다름):
가스콩어 특유의 특징 (프랑스어 또는 카탈루냐어와 공통되지 않음):
프랑스어 또는 카탈루냐어와 공통되지 않은 다른 방언 특유의 특징:
오크어에는 유대인 공동체에서 사용되었던 3개의 방언이 있었으나, 현재는 모두 사멸되었다.
이 세 방언은 모두 남부 유대인 프랑스어(Southern Jewish French)에 영향을 미쳤는데, 이는 프랑스 남부 유대인들이 사용하는 프랑스어 방언이다. 남부 유대인 프랑스어 화자는 현재 약 50~100명으로 추산된다.[61]
4. 역사
오크어는 중세 유럽에서 트루바두르들이 구어로 된 운문을 작성하는 데 사용한 언어였다.[27] 그러나 오시타니아에 대한 프랑스 왕가의 영향력이 강해지면서 14세기 무렵부터 오크어 사용은 감소했다.[24] 프랑스 혁명기에 프랑스 민족주의가 언어적 다양성을 위협으로 보면서 오크어는 급격히 쇠퇴했다.[24]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오크어 기록 중 하나는 960년의 것으로, 이탈리아어와 일반 라틴어가 혼용되어 있다.[24] 카롤링거 시대의 찬송가(780년경)는 지도자가 라틴어로 노래하고 백성들은 구 오크어로 응답했다.[25] 1000년에서 1030년 사이에 리무쟁 방언으로 쓰인 258행의 서사시 ''보에티우스'' (보에티우스의 ''철학의 위안''에서 영감을 받음), 왈덴스파의 La nobla leyczonpro (1100년경),[26] (1054년–1076년경), ''플라멩카의 로망'' (13세기), ''알비 십자군의 노래'' (1213–1219년경), Daurel e Betópro (12세기 또는 13세기), Las, qu'i non-sun sparvir, asturpro (11세기), Tomida feminapro (9세기 또는 10세기) 등 유명한 오크어 작품들이 있다.
오크어는 트루바두르(trobadorspro)와 트루바이리츠pro의 영향력 있는 시의 매개체였으며, 당시 교육받은 유럽 대부분 지역에서 이해되고 칭송받았다.[27] 영국의 엘레오노르 아키텐 여왕과 리처드 1세 (트루바두르 시를 썼음), 존 왕의 모국어이기도 했다.
프랑스 왕권이 영토를 장악하면서 14세기부터 오크어의 지위는 하락했다. 빌레르코트레 칙령(1539년)은 langue d'oïl프랑스어(프랑스어 – 당시에는 프랑시앵어를 의미)을 프랑스 행정에 사용하도록 명령했다.
1903년에는 4복음서(italic= no|"Lis Evangèli"oc)가 칸과 그라스에서 사용되는 프로방스어로 번역되었고, 로마 가톨릭의 공식적인 교황 허가를 받았다. 19세기 후반 노벨 문학상 수상자 프레드릭 미스트랄 등의 문학 부흥은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약화되었다.
오크어가 사용되는 지역은 지중해, 대서양, 마시프 중앙 산맥, 알프스 산맥, 피레네 산맥 등 자연적인 경계로 둘러싸여 있다. 건조한 땅, 늪지대 등 완충 지대가 추가적인 분리를 제공했다. 안정적인 인구, 갈리아어의 영향 부족, 깊은 로마의 영향, 다양한 언어 기층, 독립적인 어휘, 게르만의 영향 부족 등이 오크어가 독자적인 언어로 발전하는 데 기여했다.
스페인 북부 및 중부 지중해 연안 지역과 발레아레스 제도의 카탈루냐어는 오크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많은 언어적 특징과 공통된 기원을 공유한다(오크-로망스어군 참조). 12세기와 13세기에는 게라우 드 카브레라 등 카탈루냐어 트루바두르들이 오크어로 작품을 썼다.
11세기 말, 프랑크인들이 산티아고 순례길을 통해 이베리아 반도로 진입하여 나바라와 아라곤 왕국 여러 지역에 정착하여 오크어를 일상어로 사용했다.[30] 이들의 언어는 13세기 초부터 14세기 말까지 나바라 국왕, 귀족 및 상류층이 공식 및 상업 목적으로 선택한 지위 언어가 되었다.[31] 1258년 산 니콜라스 자치구의 화형을 중심으로 팜플로나에서 쓰인 오크어 서면 기록이 남아 있다. 기욤 아넬리에르의 『나바라 전쟁사』(1276년)는 툴루즈의 언어 변이형을 보여준다.[32]
아라곤에서는 바스크어-로망스어 이중언어 사용 상황에서 바스크어 사용이 점차 줄어들었다(1349년 우에스카 시장에서 바스크어 사용 금지).[33][34] 오크어는 나바로-아라곤어와 경쟁해야 했다. 14세기에는 남부 피레네 지역 전체에서 오크어가 쇠퇴하여 카스티야어에 대부분 흡수되었다.[35]
12세기 초 나바라 국왕들은 산세바스티안에서 비다소아 강까지 뻗어 있는 해안가에 가스콘어를 사용하는 공동체를 이주시켰다. 그들이 사용한 언어 변이는 가스콘어의 베른 방언이었다.[36] 가스콘어는 19세기까지 이 지역에서 사용되었다.
현대에 들어 오크어는 희귀하고 심각하게 위협받는 언어가 되었다. 오크어 사용자들은 거의 전적으로 남부 프랑스에 집중되어 있으며, 모국어 화자는 아마 남아 있지 않을 것이다. 1900년대 초, 프랑스 정부는 오크어 사용과 공립학교 교육을 제한하려고 시도했다. 수년간의 제한으로 인해 오크어 화자 수는 심각하게 감소했으며, 현재 살아있는 화자 대부분은 고령층이다.[85][86][87]
오크어(occitan)의 명칭 유래는 현대 표준 프랑스어의 "예"에 해당하는 단어가 'oc'였기 때문으로 여겨지며, 단테도 저서에서 언급하고 있다. 북프랑스는 프랑크족에 지배당했고, 오일어가 활발하게 퍼져 나갔다. 반면 남프랑스는 여러 귀족령으로 나뉘어 독자성을 유지했기 때문에, 로망스어군으로서의 특징을 짙게 간직한 언어로 발전하여 '''오크어'''가 되었다. 알비조아 십자군(1209년~1229년)에서 패한 남프랑스 귀족들은 북프랑스 귀족들에게 복종했다. 프랑스 왕국은 오크어를 부정하고, 공적인 가치를 박탈했다(빌레르코트레 칙령). 프랑스 혁명이 발발하자 오크어를 공용어로 하는 자치구의 형성이 시도되었지만, 자코뱅파의 반발로 무산되었다. 1881년 법률로 학교에서의 오크어 교육이 금지되었다. 20세기 초, 프로방스어 문학가 프레데리크 미스트랄이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여 오크어 사용자들에게 큰 용기를 주었다.
프랑스는 언어의 인위적 조작을 가장 강경하게 진행해 온 국가이며, 방언 금지 정책 등은 다른 국가에 대한 모델 케이스가 되었다. 유럽 연합이 지역 언어의 보호를 회원국에 촉구하는 등 재검토가 진행되고 있지만, 프랑스 정부는 여전히 지역 언어를 방언으로 탄압하고 있으며, 1999년에는 시라크 대통령이 언어 보호 조약 서명을 거부했다. 2008년 6월 21일에는 프랑스 상원이 지역 언어 보호를 요구하는 조례를 부결시켜 남부에서 대규모 시위가 일어났다.
매스미디어의 보급으로 오크어는 궁지에 몰리고 있으며, 오크어 사용자의 고령화도 지적되고 있어, 이 언어를 젊은 세대에 어떻게 계승할 것인가가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오크어는 지역어의 분열이 고도로 진행된 경향으로 지역어의 상호 호환성이 제한되었고, 2013년에 위기 언어 6b로 인정되었다.[92]
5. 사용 지역
20세기 초까지 오크어는 프랑스 남부 오시타니아 지역 농촌에서 주로 사용되었으나, 공적인 자리에서는 프랑스어로 대체되었다.[1][2] 1999년 통계에 따르면 61만 명이 오크어를 모어로 사용하며, 백만 명 가량이 어느 정도 구사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37] 오크어는 주로 나이든 세대가 사용하며 사어화될 위기에 처했었으나,[37] 최근 오크어를 사용하는 유치원(칼랑드레타, ''Calandreta'')이 생겨나는 등 오크어 보존 움직임이 강화되고 있다.[37]
오크어 사용자들은 수 세대에 걸친 체계적인 억압과 굴욕(Vergonha 참조)으로 인해 낯선 사람 앞에서는 거의 오크어를 사용하지 않으며, 농촌 지역의 많은 노인들이 사용하지만 외부인과 대화할 때는 일반적으로 프랑스어로 바꾼다.[39]
오크어가 역사적으로 우세했던 지역에는 약 1600만 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모나코에서 약 78만 9천 명이 모어로 오시탕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2] 1860년 기준으로 프랑스 전체 인구의 39% 이상이 오시탕어 사용자였으며 (프랑코폰의 경우 52%),[54] 1920년대에는 26%~36%,[55] 1993년에는 7% 미만이었다.[55] 현대에 들어 오크어는 희귀하고 심각하게 위협받는 언어가 되었으며, 1993년 독특한 언어를 사용하는 지역에 이중 언어 교육이 복귀하면서 변경되었지만, 수년간의 제한으로 인해 이미 오크어 화자 수가 심각하게 감소했고 현재 살아있는 화자 대부분은 고령층이다.[85][86][87]
프랑스 밖에서도 오크어가 사용되는 지역은 다음과 같다.
- 스페인 카탈루냐 북서쪽 아란 계곡에서는 오크어 방언인 아란어가 카탈루냐어, 스페인어와 함께 공용어로 쓰인다.[36]
- 이탈리아 피에드몽의 아오스타 계곡 일대에서 사용되며, 14세기 이후 칼라브리아주 과르디아 피에몬테세에 오크어 공동체가 존재해왔다. 이탈리아는 1999년 오크어를 포함하는 「언어 소수민족 보호법」(법률 제482호)을 제정했지만, 이탈리아어가 주요 언어이다. 피에몬테어는 오크어와 매우 가깝다.
- 독일 뷔르템베르크에는 18세기 이후 카미사르 봉기의 결과로 오크어 공동체가 있었으며, 마지막 오크어 사용자는 1930년대에 확인되었다.
- 모나코에서는 일부 오크어 사용자들이 리구리아어 계열인 모나코 방언의 토착 화자들과 공존하며, 프랑스어가 주요 언어이다.[48][49]
- 스페인 바스크 지방에서는 20세기 초까지 산세바스티안에서 가스콩어가 사용되었다.[41]
- 아메리카 대륙에는 다음과 같은 오크어 사용자가 있다.
- *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발데세[42][43]
- * 캐나다 퀘벡에는 ''Association Occitane du Québec'' 및 ''Association des Occitans''과 같은 오크어 협회가 있다.[44]
- * 아르헨티나 피귀에 – 19세기 후반 칸탈의 로데즈-아베롱 지역 출신의 165명의 오크어 사용자들이 정착한 공동체.
- * 멕시코 과나후아토 – 19세기에 소수의 오크어 사용자들이 정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45]
아키텐, 미디피레네, 랑그독-루시용( "Lenga d'òc"에서 유래), 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모나코, 푸아투-샤랑트, 리무쟁, 오베르뉴, 센터-발 드 루아르, 론-알프, 오크어 계곡, 아란 계곡 등지에서 역사적으로 오크어가 널리 사용되었다.

6. 정서법
오크어에는 중세 시대부터 사용된 "표준안"과 프레데릭 미스트랄이 사용한 프랑스어 표기법 기반의 "미스트랄안"이 있다.[62] 표준안은 A주의, 미스트랄안은 O주의라고도 불린다.[62] 현재까지 두 정서법 모두 사용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대중 대상 교재와 오크어 위키백과는 표준안을 사용한다.[62]
표준안과 미스트랄안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 표준안은 [o]로 발음되는 끝소리 자음을 a로 표기하지만, 미스트랄안은 o로 표기한다.
- 표준안은 [u] 발음에 o를 사용하지만, 미스트랄안은 프랑스어와 같이 ou를 사용한다.[62]
표준 오크어는 '오크어 확장어'(occitan larg)라고도 불리며, 이전 지역 코이네의 수렴을 기반으로 한다.[62] 표준화 과정은 루이 알리베르의 "랑그도크 방언 문법"(1935)과 "랑그도크 방언에 따른 프랑스어-오크어 사전"(1966) 출판으로 시작되었고, 1970년대 피에르 벡, 로베르 라퐁 등의 연구로 이어졌다.[62]
현재 오크어에는 주로 두 가지 주요 언어 규범이 사용된다.[63]
- '''고전적 규범(표준안):''' 중세 오크어를 기반으로 하며, 모든 오크어 방언에서 사용된다.[63] 카탈루냐어 표기법과 매우 유사하며, 이중 자음 "lh"와 "nh"는 포르투갈어 표기법에도 영향을 주었다.[63]
- '''미스트랄식 규범:''' 현대 프랑스어 표기법을 기반으로 하며, 주로 프로방스어/니스어 방언에서 사용된다.[63]
이 외에도 에스콜라 두 포 규범(미스트랄식 규범의 간략화)과 보누디앙 규범(오베르뉴어 방언)도 존재하지만, 사용자 수는 적다.
세계인권선언의 일부를 통해 여러 오크어 규범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고전적 규범 | 미스트랄식 규범 | 보누디앙 규범 | 에스콜라 두 포 규범 |
---|---|---|---|
프로방스어 Totei lei personas naisson liuras e egalas en dignitat e en drech. Son dotadas de rason e de consciéncia e li cau (/fau/) agir entre elei amb un esperit de frairesa. | 프로방스어 Tóuti li persouno naisson liéuro e egalo en dignita e en dre. doutado de rasoun e de counsciènci e li fau agi entre éli em' un esperit de freiresso. | ||
니스어 프로방스어 Toti li personas naisson liuri e egali en dignitat e en drech. Son dotadi de rason e de consciéncia e li cau agir entre eli emb un esperit de frairesa. | 니스어 프로방스어 Touti li persouna naisson liéuri e egali en dignità e en drech. doutadi de rasoun e de counsciència e li cau agì entre eli em' un esperit de frairessa. | ||
오베르뉴어 Totas las personas naisson liuras e egalas en dignitat e en dreit. Son dotadas de rason e de consciéncia e lor chau (/fau/) agir entre elas amb un esperit de frairesa. | 오베르뉴어 Ta la proussouna neisson lieura moé parira pà dïnessà mai dret. Son charjada de razou moé de cousiensà mai lhu fau arjî entremeî lha bei n'eime de freiressà. (Touta la persouna naisson lieura e egala en dïnetàt e en dreit. doutada de razou e de cousiensà e lour chau ajî entre ela am en esprî de freiressà.) | ||
비바로알파인어 Totas las personas naisson liuras e egalas en dignitat e en drech. Son dotaas de rason e de consciéncia e lor chal agir entre elas amb un esperit de fraternitat. | 비바로알파인어 Toutes les persounes naisoun liures e egales en dignità e en drech. douta de razoun e de counsiensio e lour chal agir entre eels amb (/bou) un esperit de freireso. | ||
가스코뉴어 Totas las personas que naishen liuras e egaus en dignitat e en dreit. Que son dotadas de rason e de consciéncia e que'us cau agir enter eras dab un esperit de hrairessa. | 가스코뉴어 (Febusian writing) Toutes las persounes que nachen libres e egaus en dinnitat e en dreyt. Que doutades de rasoû e de counscienci e qu'ous cau ayi entre eres dap û esperit de hrayresse. | ||
리무쟁어 Totas las personas naisson liuras e egalas en dignitat e en drech. Son dotadas de rason e de consciéncia e lor chau (/fau/) agir entre elas emb un esperit de frairesa. | |||
랑그독어 Totas las personas naisson liuras e egalas en dignitat e en drech. Son dotadas de rason e de consciéncia e lor cal agir entre elas amb un esperit de frairesa. |
7. 기초 표현
- 안녕하세요 : Bonjorn/Bonjornoc
- 안녕 : Adieu/Adieuoc
- 잘 지냅니까? : Vas plan?/Vas plan?oc
- 잘 지냅니다. : Tot va plan./Tot va plan.oc
- 저는 옥시타니아인입니다. : Soi occitan./Soi occitan.oc
7. 1. 문법
쥘 롱자(Jules Ronjat)는 19가지 주요하고 일반화할 수 있는 기준으로 오크어를 특징짓고자 했다.[80] 그중 11가지는 음성적인 것, 5가지는 형태론적인 것, 1가지는 통사론적인 것, 2가지는 어휘적인 것이다. 예를 들어, 오크어에서는 닫힌 둥근 모음이 드물거나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특징은 종종 오크어 화자의 프랑스어에도 이어져 독특한 남부 프랑스(프랑스어: méridional) 억양을 만들어낸다.프랑스어와 달리, 오크어는 주어 생략 언어이므로 주어를 생략할 수 있다 (cantioc: 나는 노래한다; cantasoc: 너는 노래한다)—하지만, 적어도 가스콩어에서는, 동사 앞에 대명사 대신 "진술어"가 와야 한다. 질문에는 eoc, 관찰에는 beoc, 다른 경우에는 queoc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que soioc (나는이다), E qu'ei?oc (그는/그녀는인가?), ū/Be qu'èm.}} (우리는이다).[80] 이러한 19가지 구별 기준 중 7가지는 스페인어와 다르고, 8가지는 이탈리아어와 다르며, 12가지는 프랑코프로방스어와 다르고, 16가지는 프랑스어와 다르다.
오크어의 대부분 특징은 프랑스어나 카탈루냐어, 또는 두 언어 모두와 공유된다.
프랑스어와 공유하지만 카탈루냐어와는 공유하지 않는 오크어의 전반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라틴어 )가 프랑스어처럼 로 변화함 (라틴어 > 오크어 ''dur'').
- 속어 라틴어 가 카탈루냐어처럼 처음에는 무성음절에서 로 변화하고 (라틴어 > 오크어 ''roman'' [ruˈma]), 그 후 유성음절에서도 변화함 (라틴어 > 오크어 ''flor'' [fluɾ]).
카탈루냐어와 공유하지만 프랑스어와는 공유하지 않는 오크어의 전반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유성 라틴어 가 보존됨 (라틴어 > 오크어 ''mar'', 프랑스어 ''mer'').
- 자음 사이의 --가 소실되는 것이 아니라 로 약화됨 (라틴어 > 오크어 ''vida'', 프랑스어 ''vie'').
카탈루냐어 또는 프랑스어와 공유하지 않는 오크어의 전반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원래의 가 보존됨.
- 어말 가 로 변화함 (발렌시아어(카탈루냐어)에서 는 모음 조화 과정에서 어말 무성음절 위치에 나타날 수 있음에 유의).
- 저중모음 와 가 경구개음 앞에서 이중모음화됨. 는 일반적으로 가 되고; 는 원래 또는 가 되었지만, 그 이후로 일반적으로 더 앞쪽으로 이동함 (예: 등). 프랑스어와 카탈루냐어와 마찬가지로 연구개음 앞에서도 이중모음화가 발생함.
- 다양한 자음군 동화 (예: ''Occitan''의 는 보수적인 랑그도크어에서 로 발음됨).
북부 방언의 특징 (프랑스어와 공통, 카탈루냐어와는 다름):
- 의 구개음화:
- 음절 말음 의 유음화:
- 어말 자음의 소실
- 음절 말음 비음의 모음화: 비음 모음
- 일부 또는 모든 음의 연구개화
남부 방언의 특징 (일부 방언 공통, 카탈루냐어와 공통, 프랑스어와는 다름):
- 라틴어 가 로 변화
- 베타시즘: 와 의 합병 (스페인어 및 일부 카탈루냐어 방언과 공통; 발레아레스 제도, 발렌시아, 알게로 카탈루냐어는 가 보존됨)
- 모음 사이의 유성 파열음 (라틴어 에서 유래)가 유성 마찰음 로 변화
- 어말 단일 의 소실 (하지만 는 아님, 예: ''an'' "해" < )
가스콩어 특유의 특징 (프랑스어 또는 카탈루냐어와 공통되지 않음):
- 라틴어 초기 가 로 변화 (Lat. > Gasc. ''hilh''). 이 현상은 중세 스페인어에서도 발생했지만, 는 결국 소실되거나 로 환원됨 (자음 앞에서). 가스콩어 는 유기음을 유지함.
- 모음 사이 의 소실. 이 현상은 포르투갈어와 갈리시아어 (그리고 바스크어에서도)에서도 발생함.
- 의 또는 어말 로의 변화 (원래는 무성 구개 파열음 이었지만, 현재는 일반적으로 단어에 따라 또는 임). 이것은 가스콩어와 특정 아라곤어 방언의 독특한 특징임.
프랑스어 또는 카탈루냐어와 공통되지 않은 다른 방언 특유의 특징:
- 음절 말음 비음의 로의 합병. 이것은 비음화 이전의 과도기적 단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이며, 가스콩어를 제외한 남부 방언에서 특히 나타남 (가스콩어는 카탈루냐어와 마찬가지로 다른 어말 비음을 유지함).
- 이전의 모음 사이 (라틴어 에서 유래)가 /z/로 변화 (대부분의 방언, 하지만 가스콩어는 아님). 이것은 원시 카탈루냐어에서도 발생한 것으로 보이지만, 카탈루냐어는 나중에 이 음을 삭제하거나 로 변환함.
- 대부분의 방언에서 (라틴어 )의 로의 구개음화 또는 : ''lach'' vs ''lait'' (Gascon ''lèit'') '우유', ''lucha'' vs ''luta'' (Gascon ''luta'') '싸움'.
- 비바로-알프스 방언에서 의 로의 약화.
라틴어 (모든 명사는 탈격) | 오크어 (주요 방언 포함) | 카탈루냐어 | 프랑스어 | 노르망어 | 롬샤어 (룸만치 그리슐) | 라딘어 (게르데이나) | 롬바르드어 | 이탈리아어 | 스페인어 | 포르투갈어 | 사르데냐어 | 루마니아어 | 영어 |
c(h)antar | cantar | chanter | canter, chanter | chantar | cianté | cantà | cantare | cantar | cantar | cantare | cânta(re) | '(to) sing' | |
c(h)abra | cabra | chèvre | quièvre | chaura | cëura | cavra | capra | cabra | cabra | craba | capră | '염소' | |
clau | clau | clé, clef | clef | clav | tle | ciav | chiave | llave | chave | crae | cheie | '열쇠' | |
, | (e)glèisa | església | église | église | baselgia | dlieja | giesa | chiesa | iglesia | igreja | gresia/creia | biserică | '교회' |
(속라틴어), | formatge (fromatge, hormatge) | formatge | fromage | froumage, fourmage | chaschiel | ciajuel | furmai/furmagg | formaggio | queso | queijo | casu | caș | '치즈' |
leng(u)a (linga) | llengua | langue | langue | lingua | lenga, rujeneda | lengua | lingua | lengua | língua | limba | limbă | '혀, 언어' | |
nuèch (nuèit) | nit | nuit | nît | notg | nuet | nocc | notte | noche | noite | nothe | noapte | '밤' | |
plaça | plaça | place | plache | plazza | plaza | piassa | piazza | plaza | praça | pratza | piață[81] | '광장' | |
pont (pònt) | pont | pont | pont | punt | puent | punt | ponte | puente | ponte | ponte | punte (small bridge) | '다리' |
오크어의 동사는 크게 세 그룹으로 나뉜다. 제1그룹은 동사원형이 -ar로 끝나며, 제2그룹은 -ir, 제3그룹은 -re로 끝나며 프랑스어의 -er동사, -ir동사, -re동사에 거의 대응된다. 각 동사들의 현재형은 다음과 같다. 각각 1인칭단수, 2인칭단수, 3인칭단수, 1인칭복수, 2인칭복수, 3인칭복수에 해당한다.
- 제1그룹(예: parlar "말하다") : parli/parl'''i'''oc, parlas/parl'''as'''oc, parla/parl'''a'''oc, parlam/parl'''am'''oc, parlatz/parl'''atz'''oc, parlan/parl'''an'''oc
- 제2그룹(예: finir "끝내다") : finissi/fini'''ssi'''oc, finisses/fini'''sses'''oc, finís/fin'''ís'''oc, finissèm/fini'''ssèm'''oc, finissètz/fini'''ssètz'''oc, finisson/fini'''sson'''oc
- 제3그룹(예: sentir "느끼다") : senti/sent'''i'''oc, sentes/sent'''es'''oc, sent/sentoc, sentèm/sent'''èm'''oc, sentètz/sent'''ètz'''oc, senton/sent'''on'''oc.
7. 1. 1. 대명사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7. 1. 2. 관사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7. 1. 3. 동사
오크어의 동사는 크게 세 그룹으로 나뉜다. 제1그룹은 동사원형이 -ar로 끝나며, 제2그룹은 -ir, 제3그룹은 -re로 끝나며 프랑스어의 -er동사, -ir동사, -re동사에 거의 대응된다. 각 동사들의 현재형은 다음과 같다. 각각 1인칭단수, 2인칭단수, 3인칭단수, 1인칭복수, 2인칭복수, 3인칭복수에 해당한다.- 제1그룹(예: parlar "말하다") : parli/parl'''i'''oc, parlas/parl'''as'''oc, parla/parl'''a'''oc, parlam/parl'''am'''oc, parlatz/parl'''atz'''oc, parlan/parl'''an'''oc
- 제2그룹(예: finir "끝내다") : finissi/fini'''ssi'''oc, finisses/fini'''sses'''oc, finís/fin'''ís'''oc, finissèm/fini'''ssèm'''oc, finissètz/fini'''ssètz'''oc, finisson/fini'''sson'''oc
- 제3그룹(예: sentir "느끼다") : senti/sent'''i'''oc, sentes/sent'''es'''oc, sent/sentoc, sentèm/sent'''èm'''oc, sentètz/sent'''ètz'''oc, senton/sent'''on'''oc.
8. 오시타니아
'''오시타니아'''는 오크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거주하는 지역의 총칭으로, 프랑스 남부(루아르 강 이남), 이탈리아의 피에몬테주 일부, 스페인의 카탈루냐 지방 아란 계곡 등을 포함하며, 인구는 약 1400만 명이다.[46][47] 근대 이후 언어 차이는 다른 귀속 의식을 만들어낼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오크어를 사용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도 마찬가지로, 많은 사람들이 오크어를 제2공용어로 채택하거나 더 강력한 자치권을 희망하며, 소수이지만 독립을 모색하는 사람들도 있다고 여겨진다.
카탈루냐 북부의 아란 계곡에서는 오크어 방언인 아란어가 카탈루냐어와 스페인어와 함께 공용어로 쓰인다. 이탈리아에서는 피에드몽의 아오스타 계곡 일대에서 사용되며, 14세기 이후로 칼라브리아주 일대에 오크어 공동체가 존재해왔다. 독일의 뷔르템베르크에도 18세기 이후, 오크어 공동체가 있어왔다.
프랑스 남부 지역을 가리키는 명칭 랑그도크(Langue d'oc)는 과거 "오크어가 사용되었던 지역"을 의미한다. 프랑스 내 오시타니아에 속하는 지역은 다음과 같다.
- 아키텐 – 피레네-아틀란티크주의 바스크어 사용 지역과, ''랑그 드와이유''의 생통주 방언이 사용되는 지롱드주의 일부 지역을 제외한다.
- 미디피레네 – 툴루즈를 포함한다. 툴루즈에는 오크어로 된 간판이 몇 개 있으며, 2009년 후반부터 툴루즈 지하철 안내 방송은 프랑스어-오크어 이중 언어 방송을 실시하고 있지만,[46] 그 외에는 거리에서 오크어가 사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 랑그독-루시용 ("Lenga d'òc"에서 유래) – 카르카손 주변 지역을 포함하며, 페놀레다는 피레네-오리엔탈 주에서 유일하게 오크어를 사용하는 지역이다.
- 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 알프마리팀주에는 과거 리구리아어를 사용하는 고립된 마을인 피군이 있었지만,[47] 현재는 사멸되었다. 멘통에서 사용되는 리구리아어의 멘토나스크 방언은 오크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리구리아어 전이 방언이다.
- 푸아투-샤랑트 – 이 지역의 동부인 샤랑트 리무쟁만이 오크어 사용을 유지하고 있다.
- 리무쟁 – 리무쟁어가 가장 나이 많은 주민들 사이에서 여전히 사용되는 농촌 지역 (약 71만 명 거주)이다.
- 오베르뉴 – 알리에주는 남부의 오크어 사용 지역과 북부의 프랑스어 사용 지역으로 나뉜다.
- 센터-발 드 루아르 – 남쪽 끝의 일부 마을에서 오크어를 사용한다.
- 론-알프 – 이 지역의 남부는 오크어 사용 지역이지만, 중앙부와 북부의 리옹, 포레, 도피네 지역은 프랑코-프로방스어 지역에 속한다.
모나코에서는 19세기와 20세기에 이민자들에 의해 유입된 오크어가 리구리아어의 모나코 방언과 공존했다. 오크어 계곡 (피에몬테)은 이탈리아 지역으로, 오크어는 남부와 중앙 알프스 계곡에서만 사용된다. 아란 계곡은 가스콩어의 산악 방언을 사용하는 카탈루냐의 일부 지역이다.
참조
[1]
논문
Combien l'occitan compte de locuteurs en 2012?
[2]
잡지
Qui parle occitan ?
http://www.culture.g[...]
Observation des pratiques linguistiques
2018-09-14
[3]
논문
Le Lingue del Piemonte
https://www.gioventu[...]
2020-03-04
[4]
간행물
Enquesta d'usos lingüístics de la població 2008
https://llengua.genc[...]
Statistical Institute of Catalonia
2020-03-04
[5]
웹사이트
Norme in materia di tutela delle minoranze linguistiche storiche
http://www.parlament[...]
Italian parliament
2014-06-18
[6]
간행물
Lingüistica Occitana: Preconizacions del Conselh de la Lenga Occitana
http://linguistica-o[...]
2020-03-17
[7]
웹사이트
Page d'accueil
http://aquitaine.fr/[...]
2011-12-25
[8]
웹사이트
Reconeishença der Institut d'Estudis Aranesi coma academia e autoritat lingüistica der occitan, aranés en Aran
http://www.conselhar[...]
2015-05-05
[9]
문서
18
[10]
문서
18
[11]
사전
Occitan
[12]
백과사전
Occitan
[13]
서적
Stateless Nations: Western European Regional Nationalisms and the Old Nations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16-03-05
[14]
논문
[15]
웹사이트
Statute of Autonomy of Catalonia
http://www.parlament[...]
[16]
서적
Dictionary of Languages
Bloomsbury Publishing plc
2006-11-08
[17]
웹사이트
UNESCO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s://web.archive.[...]
2011-07-18
[18]
서적
Gramàtica de la llengua catalana: Descriptiva, normativa, diatòpica, diastràtica
Proa
[19]
논문
[20]
웹사이트
El nom de la llengua
http://www.lapoblade[...]
[21]
서적
http://gallica.bnf.f[...]
[22]
서적
Histoire générale de Languedoc
[23]
서적
http://gallica.bnf.f[...]
[24]
서적
Choix des poésies originales des troubadours (Volume 2)
http://gallica.bnf.f[...]
F. Didot
2013-02-22
[25]
서적
Choix des poésies originales des troubadours (Volume 1)
http://gallica.bnf.f[...]
F. Didot
2013-02-22
[26]
서적
Choix des poésies originales des troubadours (Volume 2)
http://gallica.bnf.f[...]
F. Didot
2013-02-22
[27]
서적
Penny Cyclopaedia of the Society for the Diffusion of Useful Knowledge
[28]
논문
Language birth and death
[29]
서적
The Basques
Center for Basque Studies
[30]
논문
Convivencia histórica de lenguas y culturas en Navarra
http://dialnet.uniri[...]
València (etc) : Institut Interuniversitari de Filologia Valenciana; Abadia de Montserrat
2010-04-20
[31]
논문
Notas gráfico-fonéticas sobre la documentación medieval navarra
http://dialnet.uniri[...]
2011-04-09
[32]
논문
Convivencia histórica de lenguas y culturas en Navarra
http://dialnet.uniri[...]
València (etc) : Institut Interuniversitari de Filologia Valenciana; Abadia de Montserrat
2010-04-20
[33]
서적
Navarra: Historia del Euskera
Txalaparta
[34]
웹사이트
Licenciado Andrés de Poza y Yarza
http://www.euskomedi[...]
EuskoMedia Fundazioa
2010-02-17
[35]
논문
Convivencia histórica de lenguas y culturas en Navarra
http://dialnet.uniri[...]
València (etc) : Institut Interuniversitari de Filologia Valenciana; Abadia de Montserrat
2010-04-20
[36]
논문
Convivencia histórica de lenguas y culturas en Navarra
http://dialnet.uniri[...]
València (etc) : Institut Interuniversitari de Filologia Valenciana; Abadia de Montserrat
2010-04-20
[37]
뉴스
The language the French forbade
BBC
[38]
웹사이트
Toulouse: Occitan
https://www.national[...]
2013-01-15
[39]
논문
The Sociolinguistic Situation of Modern Occitan
https://www.jstor.or[...]
1980
[40]
논문
LANGUAGE
https://www.jstor.or[...]
2001
[41]
웹사이트
Desparicion del Euskara por el norte y el este
http://www.osoa.net/[...]
[42]
서적
The Provençal speech of the Waldensian colonists of Valdese, North Carolina
Historic Valdese Foundation
[43]
논문
Waldensian speech in North Carolina
[44]
웹사이트
Expatries-france.com
http://www.expatries[...]
[45]
웹사이트
De mitos y realidades: la emigracíon barcelonette a México 1845–1891
http://www.mexicofra[...]
México–Francia
[46]
웹사이트
Toulouse. On va parler occitan dans le métro dès la rentrée
https://www.ladepech[...]
[47]
서적
Grammaire istorique des parlers provençaux modernes.... Partie 1,Tome 1 / Jules Ronjat
https://gallica.bnf.[...]
1930–1941
[48]
서적
La langue occitane, coll. Que sais-je?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49]
서적
Étude sur le parler de Monaco
Comité National des Traditions Monégasques
[50]
서적
Des langues romanes
Duculot
[51]
서적
Encyclopedia of bilingualism and bilingual education
[52]
서적
Language and nationalism in Europe
[53]
서적
La Langue d'Oc est parlée actuellement par douze ou quatorze millions de Français
[54]
서적
parlée dans le Midi de la France par quatorze millions d'habitants
http://gallica.bnf.f[...]
[55]
서적
...défendre une langue, qui est aujourd'hui la mère de la nôtre, parlée encore par plus de dix millions d'individus...
http://gallica.bnf.f[...]
[56]
서적
The Romance Languages
Oxford University Press
[57]
서적
Manual of Romance Sociolinguistics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58]
서적
The Oxford Guide to the Romance Languag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59]
논문
Notes on Contributors
http://dx.doi.org/10[...]
2018
[60]
서적
Persönlichkeit
http://dx.doi.org/10[...]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15
[61]
웹사이트
Judeo-Provençal
https://www.jewishla[...]
[62]
서적
La standardisation pluricentrique de l'occitan: nouvel enjeu sociolinguistique, développement du lexique et de la morphologie
Brepols
[63]
서적
Petit précis – Chronologie occitane – Histoire & civilisation
[64]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Article 1)
http://www.omniglot.[...]
Omniglot.com
[65]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Article 1)
http://www.omniglot.[...]
Omniglot.com
[66]
웹사이트
Language subtag registry
https://www.iana.org[...]
IANA
2021-03-05
[67]
문서
Philippe Blanchet, Louis Bayle, Pierre Bonnaud and Jean Lafitte
[68]
서적
Un regard sociolinguistique sur les changements de la situation de l'occitan depuis 1968
Viella
2002-07-07/2002-07-13
[69]
서적
Essai de syntaxe des parlers provençaux modernes
https://archive.org/[...]
Protat
[69]
서적
Grammaire historique des parlers provençaux modernes
http://gallica.bnf.f[...]
Société des langues romanes (Volume 1)
[69]
서적
[70]
문서
Philippe Blanchet, Louis Bayle
[71]
웹사이트
Frédéric Mistral, Robert Lafont, and their followers
null
null
[72]
논문
null
null
1963
[73]
웹사이트
Per Noste edicions
http://www.pernoste.[...]
2007-06-12
[74]
웹사이트
Perso.orange.fr
http://perso.orange.[...]
2007-07-12
[75]
논문
El pensament panoccitanista (1904–2004) en les revistes Occitania, Oc, L'Amic de les Ats, Taula de Lletres Valencianes, Revista Occitana i Paraula d'Oc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Valencia
2004
[76]
간행물
El lèxic hereditari caracteristic de l'occità i del gascó i la seva relació amb el del català (conclusions d'un analisi estadística)
Antoni M. Badia Margarit & Michel Camprubi
1988
[77]
저널
Note sur l'âge du (proto)gascon
2002
[78]
저널
La langue des documents en ancien gascon
1962
[79]
저널
Textes anciens gascons
1962
[80]
문서
Lo gascon lèu e plan
[81]
문서
Modern loanword from Italian or Greek
[82]
문서
The Kodaxil Semantic Manifesto
http://www.kodaxil.o[...]
2006
[83]
서적
La langue occitane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1995
[84]
웹사이트
http://www6.gencat.n[...]
[85]
웹사이트
The language the French forbade
https://www.bbc.com/[...]
2021-12-24
[86]
웹사이트
The decline of Occitan: A failure of cultural initiatives, or abandonment by the state?
https://globalvoices[...]
2021-12-24
[87]
뉴스
Occitan's fight to stay away from the cliff of extinction
https://www.economis[...]
2021-12-24
[88]
웹사이트
Registro de Representantes
http://www.cervantes[...]
[89]
웹사이트
El aranés se convierte en la tercera lengua oficial de Cataluña (アラン語、カタルーニャ州の第3公用語に制定)
http://www.abc.es/ag[...]
ABC
2010-09-22
[90]
저널
Combien l'occitan compte de locuteurs en 2012 ? (2012年のオック語話者数とは?)
2012
[91]
저널
Qui parle occitan ? (オック語話者とは?)
http://www.dglf.cult[...]
2007-12
[92]
웹사이트
Occitan(オック語)
https://www.ethnolog[...]
SIL International
2019
[93]
웹사이트
ENGLISH - Conselh de la Lenga Occitana
https://clo-occitan.[...]
オック語評議会 (Conseil de la langue occitan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