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불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불강은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을 흐르는 강이다. 힌두쿠시 산맥의 눈이 녹는 여름에 수량이 불어나며, 주요 지류인 쿤나르강은 잘랄라바드 근처에서 카불강과 합류한다. 20세기에 여러 댐이 건설되었으며, 고대에는 '코펜'으로 불렸다. 1990년대 이후 가뭄과 오염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카불강 유역은 아프가니스탄 정부의 수자원 관리 기관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불주의 지형 - 힌두쿠시산맥
힌두쿠시산맥은 "힌두교도의 살인자"라는 의미를 지닌 이름으로, 파미르 고원, 카라코람 산맥, 히말라야 산맥의 서쪽 부분을 형성하며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를 잇는 전략적 요충지이고,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을 가로지르며 높은 고봉들을 포함하고 있고, 기후 변화로 빙하가 감소하고 있어 미래 개발 및 적응을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카불주의 지형 - 헬만드강
힌두쿠시산맥에서 발원하여 아프가니스탄과 이란을 흐르는 헬만드강은 주변 지역 관개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염분 축적 문제와 수자원 분쟁의 대상이 된다. - 아프가니스탄의 강 - 아무다리야강
아무다리야강은 파미르 고원에서 발원하여 중앙아시아를 관통하는 약 2,400km의 강으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문명의 젖줄 역할을 해왔으나, 현재는 과도한 사용으로 아랄해 수량 감소와 같은 환경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 아프가니스탄의 강 - 헬만드강
힌두쿠시산맥에서 발원하여 아프가니스탄과 이란을 흐르는 헬만드강은 주변 지역 관개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염분 축적 문제와 수자원 분쟁의 대상이 된다.
카불강 | |
---|---|
개요 | |
이름 | 카불강 |
원어 이름 | دریای کابل (다리어/페르시아어) |
다른 이름 | دریائے کابل (우르두어) د کابل سیند (파슈토어) |
어원 | 카불의 강 (다리어/페르시아어) |
위치 |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
도시 | 카불, 수로비, 잘랄라바드 (아프가니스탄) 페샤와르, 차르사다, 노셰라 (파키스탄) |
길이 | 약 700km |
유역 면적 | 70,500km² |
지리 | |
발원지 | 힌두쿠시 산맥 |
발원지 위치 | 마이단샤르 근처, 마이단와르다크, 아프가니스탄 |
발원지 좌표 | 34.357° N, 68.8392° E |
발원지 고도 | 2400m |
하구 | 인더스 강 |
하구 위치 | 쿤드 공원 근처, 아톡, 펀자브, 파키스탄 |
하구 좌표 | 33°55′0″N 72°13′56″E |
왼쪽 지류 | 판지시르 강 알링가르 강 쿠나르 강 스와트 강 |
오른쪽 지류 | 로가르 강 수르카브 강 바라 강 |
지도 | |
![]() |
2. 지리
카불강은 1년 중 대부분 물이 거의 흐르지 않지만, 여름에는 힌두쿠시 산맥의 눈이 녹아 수량이 늘어난다. 가장 큰 지류는 쿠나르강으로, 파키스탄 치트랄의 브루길 계곡에 있는 치안타르 빙하에서 발원하여 마스투지 강으로 시작된다. 쿤나르강은 아프가니스탄 남쪽으로 흘러 누리스탄에서 발원하는 바슈갈 강과 합류한다. 잘랄라바드 근처에서 카불강과 만나는데, 쿤나르강이 더 많은 물을 운반하지만 정치적, 역사적 중요성 때문에 강의 이름은 카불강으로 유지된다.
2. 1. 상류
카불강은 700km 길이로, 아프가니스탄의 카불과 잘랄라바드를 지난다. 이 강은 유역이 넓어 아프가니스탄 동부의 낭가르하르, 쿠나르, 라그만, 로가르, 카불, 카피사, 파르완, 판지시르, 바미얀 주를 거쳐 토르캄에서 북쪽으로 약 25km 떨어진 듀란 선 국경 통과 지점에서 파키스탄의 카이베르 파크툰크와로 흘러 들어간다.[1] 카이베르 파크툰크와에서 이 강은 페샤와르, 차르사다, 노셰라를 통과한다. 카불강의 물은 대부분 치트랄 구의 눈과 빙하에서 기원하여 아프가니스탄으로 흘러들며, 상류에서는 '''사르차슈마'''라고 불린다. 카불강의 주요 지류로는 로가르강, 판지시르강, 알링가르강, 수르하브강, 쿠나르강, 바라강, 스와트강 등이 있다.[2]
2. 2. 주요 지류
카불강의 주요 지류로는 로가르강, 판지시르강, 알링가르강, 수르하브강, 쿠나르강, 바라강, 스와트강 등이 있다.[2]카불강은 일년 중 대부분 물이 거의 흐르지 않지만, 여름에는 힌두쿠시 산맥의 눈이 녹아 수량이 늘어난다. 가장 큰 지류는 쿠나르강으로, 파키스탄 치트랄의 브루길 계곡에 있는 치안타르 빙하에서 발원하여 마스투지 강으로 시작된다. 쿤나르강은 아프가니스탄 남쪽으로 흘러 누리스탄에서 발원하는 바슈갈 강과 합류한다. 쿤나르강은 잘랄라바드 근처에서 카불강과 만나는데, 쿤나르강이 더 많은 물을 운반하지만 정치적, 역사적 중요성 때문에 강의 이름은 카불강으로 유지된다.
2. 3. 경로
카불강은 길이가 700km이며, 아프가니스탄의 카불과 잘랄라바드를 통과한다. 이 강은 유역이 넓어 아프가니스탄 동부의 낭가르하르, 쿠나르, 라그만, 로가르, 카불, 카피사, 파르완, 판지시르, 바미얀 주를 거쳐 토르캄에서 북쪽으로 약 25km 떨어진 듀란 선 국경 통과 지점에서 파키스탄의 카이베르 파크툰크와로 흘러든다.[1] 카이베르 파크툰크와에서 이 강은 페샤와르, 차르사다, 노셰라를 통과한다.카불강의 물은 대부분 치트랄 구의 눈과 빙하에서 기원하여 아프가니스탄으로 흘러든다. 상류에서는 '''사르차슈마'''라고 불린다. 카불강의 주요 지류로는 로가르강, 판지시르강, 알링가르강, 수르하브강, 쿠나르강, 바라강, 스와트강 등이 있다.[2]
카불강은 일년 중 대부분의 기간 동안 거의 물이 흐르지 않지만, 힌두쿠시 산맥의 눈이 녹는 여름에는 수량이 불어난다. 카불강의 가장 큰 지류는 쿠나르강으로, 파키스탄 치트랄의 브루길 계곡에 있는 치안타르 빙하에서 발원하여 마스투지 강으로 시작된다. 쿠나르강은 아프가니스탄 남쪽으로 흘러가다가 누리스탄에서 발원하는 바슈갈 강과 합류한다. 쿠나르강은 잘랄라바드 근처에서 카불강과 만난다. 쿤나르강이 카불강보다 더 많은 물을 운반하지만, 이 합류점 이후에도 강의 이름은 주로 정치적, 역사적 중요성 때문에 카불강으로 계속 이어진다.
3. 수문
카불강은 일 년 중 대부분 물이 거의 흐르지 않지만, 힌두쿠시 산맥의 눈이 녹는 여름에는 수량이 불어난다. 카불강의 가장 큰 지류는 쿤나르강으로, 파키스탄 치트랄의 브루길 계곡에 있는 치안타르 빙하에서 발원하여 마스투지 강으로 시작된다. 쿤나르강은 아프가니스탄 남쪽으로 흘러가다가 누리스탄에서 발원하는 바슈갈 강과 합류하며, 잘랄라바드 근처에서 카불강과 만난다. 쿤나르강이 카불강보다 더 많은 물을 운반하지만, 이 합류점 이후에도 강의 이름은 주로 정치적, 역사적 중요성 때문에 카불강으로 계속 이어진다.[1]
3. 1. 댐
카불강은 20세기에 건설된 여러 댐에 의해 막혀 있다. 아프가니스탄의 카불주와 낭가르하르주에는 세 개의 댐이 있는데, 1957년 독일의 지원을 받아 건설된 카불의 수력 발전원인 수르비 댐, 1960년대 소련 과학자들이 건설한 나글루 댐과 다룬타 댐이 여기에 포함된다.[1] 와르사크 댐은 파키스탄의 페샤와르 계곡에 있으며, 페샤와르 시에서 북서쪽으로 약 20km 떨어져 있다.[1]4. 역사
카불강은 아리아노스의 저서 『알렉산드로스 원정기(Anabasis Alexandri)』에서 Κωφήν|코펜grc(라틴어 표기: ''Cophen'')으로 언급된다.[3][4][5][6]
1990년대 이후, 카불강은 여름에 심각한 가뭄을 겪었다.[1] 2019년 3월경부터 마크로얀 폐수 처리장에서 처리되지 않은 수만 갤런의 하수가 매달 카불강으로 쏟아져, 강 주변에 사는 3,000 가구 주민들이 위장 장애를 겪는 것으로 보고되었다.[7]
4. 1. 고대
아리아노스의 저서 『알렉산드로스 원정기(Anabasis Alexandri)』에서 카불강은 Κωφήν|코펜grc(라틴어 표기: ''Cophen'')으로 언급된다.[3][4][5][6]4. 2. 근현대
1990년대 이후, 카불강은 여름에 심각한 가뭄을 겪었다.[1] 2019년 3월경부터 마크로얀 폐수 처리장에서 처리되지 않은 수만 갤런의 하수가 매달 카불강으로 쏟아져, 강 주변에 사는 3,000 가구 주민들이 위장 장애를 겪는 것으로 보고되었다.[7]5. 명칭의 유래
카불강은 이 지역과 카불 정착지에 이름을 부여했다.[10]
5. 1. 산스크리트어와 아베스타어
쿠바(Kubhā)라는 단어는 이 강의 고대 명칭으로, 산스크리트어와 아베스타어 모두에서 사용되었다. 이 단어는 이후 카불(Kābul)로 바뀌었다.[8][9]5. 2. 알 비루니
알 비루니는 페르시아의 박식가로, 이 강을 "고르완드의 강"이라고 불렀다.[10]6. 카불강 유역 관리
카불강 유역(KRB)은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에너지 및 수자원부(MEW) 산하 정부 기관으로, 수자원법에 따라 설립되었다.
6. 1. 역할
카불강 유역(KRB)은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GoIRA) 에너지 및 수자원부(MEW) 산하 정부 기관으로, 수자원법에 따라 설립되었다. 최근 사무총장은 잘랄 나세르 파키야르였으며, 그는 투명성, 유역 개발, 적용 가능한 정책, 특히 강 유역 관리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평가받는다.6. 2. 전 사무총장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정부(GoIRA)의 에너지 및 수자원부(MEW) 산하 정부 기관인 카불강 유역은 수자원법에 따라 설립되었다. 이 주요 수자원 기관의 최근 사무총장은 잘랄 나세르 파키야르였으며, 그는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투명성, 유역 개발 및 적용 가능한 정책, 특히 긍정적인 영향과 결과를 가져온 강 유역 관리에 크게 기여했다.7.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Kabul River
https://www.iranicao[...]
2012-04-19
[2]
웹사이트
One Land, Two Rules (9): Delivering public services in insurgency-affected Jalrez district of Wardak province
https://www.afghanis[...]
Afghan Analysts Network
2020-04-30
[3]
서적
Arrian's History of the expedition of Alexander the Great: and conquest of Persia
J. Davis
1813
[4]
서적
Alexander the Great
https://books.google[...]
Haus Publishing
[5]
서적
The wars of Alexander the Great, 336-323 B.C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6]
서적
Alexander the Great: selections from Arrian, Diodorus, Plutarch, and Quintus Curtius
https://books.google[...]
Hackett Publishing
2005
[7]
뉴스
Sewage from US Embassy, NATO headquarters dumped into Kabul River due to aging infrastructure
https://www.stripes.[...]
2020-09-15
[8]
서적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Indian People]] : The Vedic age"
Bharatiya Vidya Bhavan
[9]
서적
Original Sanskrit Texts on the Origin and History of the People of India
[10]
간행물
Kabul
Koninklijke Brill NV
[11]
웹사이트
カブール川(読み)カブールがわ(英語表記)Kabul(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