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가쿠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칼가쿠스는 역사 기록에 등장하는 최초의 칼레도니아인으로, 로마 역사학자 타키투스가 그의 저서 《아그리콜라》에서 언급했다. 타키투스는 칼가쿠스를 몬스 그라우피우스 전투 전에 로마의 브리타니아 착취를 비판하고 군대를 고무하는 연설을 한 인물로 묘사했다. 그러나, 칼가쿠스는 전투 중이나 이후에 언급되지 않으며, 타키투스의 장인이었던 아그리콜라가 칼레도니아인들을 격퇴한 후 인질로 잡은 사람들 중에서도 그의 이름이 발견되지 않아, 칼가쿠스와 그의 연설의 실존 여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그의 연설은 "그들은 사막을 만들고 그것을 평화라고 부른다"는 명언으로도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 시대의 스코틀랜드 - 몬스 그라우피우스 전투
83년 또는 84년에 벌어진 몬스 그라우피우스 전투는 아그리콜라가 이끄는 로마군과 칼가쿠스가 이끄는 칼레도니아 연합군 간의 전투로, 로마군의 승리에도 불구하고 전투의 위치와 진실성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칼레도니아인의 저항은 계속되었다. - 로마 시대의 스코틀랜드 - 칼레도니아
칼레도니아는 고대 로마 시대에 현재의 스코틀랜드 북부 지역을 지칭하던 이름으로, 픽트족의 일파인 칼레두니족에서 유래했으며, 현대에는 스코틀랜드를 낭만적으로 표현하거나 여러 조직과 단체의 이름, 그리고 프랑스어에서는 누벨칼레도니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 1세기 유럽의 군주 - 부디카
부디카는 1세기 로마 제국 시대에 이케니족을 이끌고 로마에 반란을 일으킨 인물이며, 남편의 죽음 이후 로마의 부당한 처사에 분노하여 봉기했으나 와트링 가도 전투에서 패배하고 자결하거나 질병으로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1세기 유럽의 군주 - 카락타쿠스
카락타쿠스는 1세기 로마 제국 시대 브리타니아에서 저항 운동을 이끈 지도자이며, 로마의 침공에 맞서 게릴라전을 펼치다 체포되어 로마에서 사면받고 생을 마감했다. - 켈트족 전사 - 카락타쿠스
카락타쿠스는 1세기 로마 제국 시대 브리타니아에서 저항 운동을 이끈 지도자이며, 로마의 침공에 맞서 게릴라전을 펼치다 체포되어 로마에서 사면받고 생을 마감했다. - 켈트족 전사 - 베르킨게토릭스
베르킨게토릭스는 기원전 1세기 갈리아의 아르베르니족 출신으로,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쟁 당시 갈리아 부족들을 규합하여 로마에 저항한 영웅이지만 알레시아 공방전에서 패배하여 로마에 항복 후 처형되었고 프랑스 민족주의의 상징으로 기려진다.
칼가쿠스 | |
---|---|
개요 | |
이름 | 칼가쿠스 |
로마자 표기 | Kalgakeuseu |
게일어 | 칼가흐 |
의미 | 까칠한, 사나운 |
직업 | 칼레도니아의 추장 |
활동 시기 | 서기 83년 |
주요 전투 | 몬스 그라우피우스 전투 |
적대 세력 | 로마 제국 |
지휘 | 몬스 그라우피우스 전투에서 칼레도니아 연합군 지휘 |
2. 생애
칼가쿠스는 칼레도니아(오늘날의 스코틀랜드) 사람 가운데 최초로 문헌에 이름을 남긴 인물이다.[21] 타키투스는 자신의 저서 《아그리콜라》에서 칼가쿠스를 "족장들 사이에서 집안과 용맹함이 가장 뛰어난 사람"으로 묘사하고 있다.
타키투스는 브리타니아의 아그리콜라 총독이 칼레도니아 원정 당시 몬스 그라우피우스 전투에 앞서 칼가쿠스가 연설을 했다고 전한다. 그러나 칼가쿠스에 대한 역사적 기록은 타키투스의 저서가 유일하며, 아그리콜라가 타키투스의 장인이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기록의 편향성 및 칼가쿠스의 실존 여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24][25]
2. 1. 몬스 그라우피우스 전투와 연설
칼가쿠스는 칼레도니아(오늘날의 스코틀랜드) 사람 가운데 최초로 문헌에 이름을 남긴 인물이다.[21] 타키투스의 ''아그리콜라''에서 "족장들 중에서 출신과 용맹함이 가장 뛰어난 자"로 묘사되고 있다.[9]타키투스는 몬스 그라우피우스 전투에 앞서 칼가쿠스가 연설을 했다고 전하고 있다. 이 연설은 로마가 브리타니아를 착취하는 행태를 지적하고 군대로 하여금 싸울 것을 독려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23]
이 전쟁의 기원, 그리고 우리의 입장의 숙명을 고려하면 늘, 나는 오늘 이 날, 그리고 제군과의 이 연합이, 브리타니아 전토의 자유의 시작이 될 것이라는 확신을 느낀다. 우리 모두에게, 예속이란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이다. 우리의 저편에는 땅이 없고, 바다조차 안전하지 않으며, 우리처럼 로마 함대로부터 위협을 받고 있다. 따라서, 용자가 영광을 발견하는 전쟁이나 전투에, 겁쟁이조차 안전을 찾을 수 있게 된다. 여러 가지 귀추로 로마인이 저지되어 온 지금까지의 다툼은, 브리타니아의 가장 명예로운 민족으로서 나라의 중심부에 거주하며, 정복당한 자의 해안에서는 멀리, 예속의 폐습으로 자신의 눈을 더럽히지 않고 지내 온 우리에게, 아직 구원의 마지막 희망을 남겨두고 있다. 땅과 자유의 최후의 경계에 사는 우리에게, 여기 브리타니아의 영광스러운 격리된 성역이, 지금까지 지켜져 왔다. 그러나 이제 브리타니아의 가장 먼 끝이 활짝 열렸고, 그리고 미지는 훌륭한 것으로 비치는 것이 늘이다. 그래도 우리의 저편에는 부족이 없고, 완전히 파도와 바위 뿐이며, 그럼에도 더욱 무서운 로마인으로부터, 복종과 종속으로 그 압정을 피하려는 노력은 헛된 것이다. 세계의 도둑으로서 널리 약탈로 대지를 쇠약하게 만들어 두고, 그들은 바다를 휩쓴다. 적이 부유하면, 그들은 탐욕스러워진다. 가난하면, 그들은 통치를 갈망한다. 동쪽도 서쪽도 그들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사람들 중에서 그들만이, 빈곤과 부를 동일한 열정으로 원한다. 도둑질과 살육과 약탈에, 그들은 제권이라는 거짓된 이름을 제시한다. 그들은 적막한 땅을 만들고, 그것을 평화라고 부른다.la

다만 학계에서는 이 책의 주인공인 그나이우스 율리우스 아그리콜라가 칼가쿠스의 장인이라는 점에서 다소 편향된 내용이 있을 수 있음을 지적한다.[22] 연설 이후 본격적인 전투나 그 이후에 칼가쿠스의 이름은 등장하지 않으며, 아그리콜라 총독이 칼레도니아인들을 격퇴한 뒤 사로잡은 인질들 가운데서도 칼가쿠스의 이름은 소개되지 않는다. 따라서 칼가쿠스의 연설은 물론 칼가쿠스 본인에 대해서도 실존 여부가 의심된다.[24][25]
한편 칼가쿠스의 연설은 "그들은 사막을 만들고 그것을 평화라고 부른다"는 명언으로 와전되기도 하였다.[26]
2. 2. 역사적 평가와 의문점
칼가쿠스는 칼레도니아 (오늘날의 스코틀랜드) 사람 가운데 최초로 문헌에 이름을 남긴 인물이다.[21] 칼가쿠스를 언급한 유일한 사람은 로마 역사학자 타키투스인데, 그는 칼가쿠스를 "족장들 사이에서 집안과 용맹함이 가장 뛰어난 사람"으로 묘사하고 있다.타키투스는 브리타니아의 아그리콜라 총독이 칼레도니아 원정에 나서면서 치렀던 몬스 그라우피우스 전투에 앞서 칼가쿠스가 연설을 했다고 전한다. 이 연설은 로마가 브리타니아를 착취하는 행태를 지적하고 군대를 격려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러나 학계에서는 이 책의 주인공인 그나이우스 율리우스 아그리콜라가 타키투스의 장인이라는 점에서 다소 편향된 내용이 있을 수 있음을 지적한다.[22]
타키투스가 저서 《아그리콜라》에서 소개한 칼가쿠스의 연설문은 다음과 같다.
이 전쟁이 무엇으로부터 기원하였고 우리의 입장이 무엇인지를 생각할 때마다 본인은 오늘 여러분의 연합군이 브리튼 전체를 위한 자유의 시작이 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우리 모두에게 있어 노예제라 함은 이해할 수 없는 것이다. 우리 앞에는 살 땅도 없고 바다조차도 로마 함대의 위협으로 안심할 수 없다. 그리하여 전쟁과 전투에서는 용감한 자가 영광을 찾을 것이오, 겁쟁이만 안위를 찾을 것이다. 그때의 운에 따라 로마인들이 저항받았던 지나온 다툼 속에서, 우리는 브리타니아에서 가장 잘 알려진 나라에, 그 나라의 정중앙에 모여 살며, 정복할 해안지대가 더는 보이지 않는 이곳에, 노예제의 전파로 눈앞을 더럽히지 않을 수 있다는 점에서, 우리에게 여전히 마지막 숙원의 희망을 남겼다.
대지와 자유로부터 가장 먼 곳에 살고 있는 우리에게, 이 브리튼의 영광이 가득한 외딴 성역은 지금껏 방어의 수단이었다. 그러나 지금 브리튼 최후의 변방은 열려 버렸고, 알 수 없는 자들이 경탄스런 자들로 통한다. 그럼에도 우리 너머에는 부족도 없고, 파도와 바위 말고는 아무것도 없을 것이며, 더욱이 그보다도 끔찍한 로마인들 밖에 없을 것이다. 그들의 압박으로부터 복종과 항복으로 벗어나려는 것은 헛된 일이다. 세상의 강도들이 벌이는 약탈은 대지를 고갈시키고 깊은 곳까지 싹싹 뒤지기 마련이다. 적이 부유하면 탐욕스러운 법이요, 적이 가난하면 영토를 탐내는 법이다. 동에서도 서에서도 그들을 만족시킬 수는 없었다. 부족민들 사이에서 그들은 가난과 부를 동등하게 탐냈다. 강도에게, 학살자에게, 약탈자에게, 그들은 제국의 이름을 붙여 속이고, 고독을 만들고서 평화라 부른다.|타키투스la[23]
연설 이후 본격적인 전투나 그 이후에 칼가쿠스의 이름은 등장하지 않으며, 아그리콜라 총독이 칼레도니아인들을 격퇴한 뒤 사로잡은 인질들 가운데서도 칼가쿠스의 이름은 소개되지 않는다. 따라서 칼가쿠스의 연설은 물론 칼가쿠스 본인에 대해서도 실존 여부가 의심된다.[24][25]
한편 칼가쿠스의 연설은 "그들은 사막을 만들고 그것을 평화라고 부른다"는 명언으로 와전되기도 하였다.[26]
참조
[1]
웹사이트
Calgacus
http://penelope.uchi[...]
[2]
서적
Mons Graupius AD 83
Osprey Publishing
2010
[3]
서적
Agricola
http://www.perseus.t[...]
[4]
서적
Ruling Roman Britain: Kings, Queens, Governors and Emperors from Julius Caesar to Agricola
Routledge
1996-09-05
[5]
서적
Rome's First Frontier; the Flavian Occupation of Northern Scotland
Tempus
2006-06-01
[6]
웹사이트
A Don's Life
https://web.archive.[...]
2013-12-06
[7]
웹사이트
The Battle of Mons Grapius: Calgacus
https://penelope.uch[...]
2022-03-13
[8]
문서
レンウィック (1994), p. 26.
[9]
문서
『アグリコラ』第29節, 國原訳 (1996) p. 188.
[10]
문서
レンウィック (1994), p. 25.
[11]
문서
『アグリコラ』第9節, 國原訳 (1996), p. 142 (訳者注).
[12]
문서
『アグリコラ』第9節, 國原訳 (1996), p. 140.
[13]
문서
『アグリコラ』, 國原訳 (1996), pp. 228, 230 (附録一・二).
[14]
문서
Campbell (2010).
[15]
문서
『アグリコラ』, 國原訳 (1996), pp. 256-258 (訳者解説).
[16]
문서
『アグリコラ』第38節, 國原訳 (1996), p. 206.
[17]
문서
Braund (1996), pp. 8, 169.
[18]
문서
Wooliscroft & Hoffmann (2006), p. 217.
[19]
웹사이트
A Don's Life: They make a desert and call it peace
https://web.archive.[...]
2022-03-13
[20]
웹사이트
Calgacus
http://penelope.uchi[...]
[21]
웹사이트
Calgacus
http://penelope.uchi[...]
[22]
서적
Mons Graupius AD 83
Osprey Publishing
2010
[23]
서적
Agricola
http://www.perseus.t[...]
[24]
서적
Ruling Roman Britain: Kings, Queens, Governors and Emperors from Julius Caesar to Agricola
Routledge
1996-09-05
[25]
서적
Rome's First Frontier; the Flavian Occupation of Northern Scotland
Tempus
2006-06-01
[26]
웹인용
A Don's Life
https://web.archive.[...]
2013-12-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