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르킨게토릭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르킨게토릭스는 '위대한 전사들의 왕'이라는 뜻을 가진 갈리아 부족의 지도자이다.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갈리아 정복에 저항하여 갈리아 부족을 통일하고 로마에 맞섰다. 기원전 52년, 초토화 작전과 게르고비아 전투에서의 승리로 로마군을 괴롭혔으나, 알레시아 공방전에서 패배하여 로마에 항복했다. 이후 로마로 압송되어 처형되었으며, 근대에 들어 프랑스 민족주의의 상징으로 여겨져 기념비와 조각상으로 숭배되었다. 그는 만화 아스테릭스 등 대중문화에서도 널리 다루어졌다.

2. 이름

베르킨게토릭스(Vercingetorix)는 갈리아어 이름으로, 문자 그대로 '전사/영웅의 위대한/최고의 왕/지도자'를 의미한다. 이는 'ver-'(넘어, 우월한, 고대 아일랜드어 ''for'', 고대 웨일스어/고대 브르타뉴어 ''guor'', 콘월어 ''gor''에 해당), '-cingeto-' ('전사, 영웅', '걷다, 발걸음을 옮기다, 걷다'를 의미하는 인도유럽어 어간에서 유래, 고대 아일랜드어 ''cinged''에 해당), '-rix' ('왕', 켈트이베리아어 ''reikis'', 고대 아일랜드어 ''rí'', 고대 웨일스어 ''ri''에 해당)가 결합된 복합어이다.[4] 학자 메이그래드 니 C. 돕스는 아일랜드어에서 이 이름의 동족어를 'Ferchinged an rí' 형태로 찾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4] 플루타르코스는 저서 《카이사르전》에서 이 이름을 ''Vergentorix''(Ουεργεντοριξ)로 표기했다.[5] 플로루스에 따르면, 그는 "공포를 불러일으키기 위해 의도된 듯한 이름을 부여받았다"고 한다.[6]

3. 역사적 배경

기원전 58년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갈리아 지역으로 부임한 이후, 갈리아 부족들을 차례로 정복하면서 분할 통치 전략을 확립했다. 그는 갈리아 부족 유력자들을 로마화하고 부족을 분리하여 약화하는 데 주력했다.

켈트 갈리아와 기원전 58년의 로마 공화국


아르베르니족은 그동안 카이사르에 대항하지 않았으나, 젊은 베르킨게토릭스가 친로마파인 삼촌 대신 부족장이 되자 반로마 기치를 들고 나왔다. 베르킨게토릭스는 흩어진 갈리아 부족들이 연합하여 로마에 대항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강력한 지도력과 잔인한 규율로 갈리아 부족을 규합했다.

베르킨게토릭스의 아버지 켈틸은 로마와 싸우기 위해 갈리아 부족들을 규합했으나 암살당했다.[19] 베르킨게토릭스는 20세 전후로 족장이 되어[20],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쟁에서 이전까지 통솔력이 없던 갈리아 부족들을 규합하여 대 로마 통일 부대를 조직했다.

3. 1. 갈리아 전쟁 이전의 상황

기원전 58년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로마 속주 갈리아 나르보넨시스(지금의 프로방스)의 총독으로 임명된 후, 갈리아 부족들을 정복하면서 분할 통치 전략을 통해 통제력을 유지했다.[19] 그는 갈리아 엘리트들 사이의 파벌주의를 이용하여, 특정 귀족들에게 정치적 지원과 와인과 같은 로마의 사치품을 제공하며 우대했다.[19]

3. 2. 갈리아 부족의 통합

베르킨게토릭스는 흩어져 있던 갈리아 부족들을 규합하여 로마에 대항하고자 했다. 그는 강력한 지도력과 규율로 갈리아 부족들을 통합하려 했으며, 이는 이전까지 분열되어 있던 갈리아 부족들에게는 전례 없는 일이었다.[7] 그는 엄격한 징계와 인질을 잡는 등의 방법을 통해 부족들을 통제하고 결속력을 강화했다.[8]

기원전 52년, 베르킨게토릭스는 카이사르가 알프스 이북 갈리아에서 병력을 모으는 동안 반란을 시작했다.[7] 카르누테스족이 로마인들을 학살하자, 베르킨게토릭스는 부하들을 선동하여 반란에 참여했다. 그러나 그의 삼촌 고바니티오는 카이사르에 대항하는 것을 위험하게 여겨 그를 추방했다. 그럼에도 베르킨게토릭스는 가난한 자들을 모아 군대를 조직하고 게르고비아를 점령하여 왕으로 추대되었다.[7]

그는 다른 부족들과 동맹을 맺고 갈리아를 통합하여 로마의 지배에서 벗어나려 했다. 그는 각 부족에게 인질을 요구하여 복종을 강요하고 배반을 막았다. 또한, 기병대를 조직하고 훈련시켜 로마군에 대항할 준비를 했다.

4. 갈리아 전쟁

기원전 58년 갈리아 지역으로 부임한 카이사르는 갈리아 부족들을 차례로 평정하면서 분할 통치 전략을 확립했다. 그는 갈리아 부족 유력자들을 로마화했고, 부족들을 분리하여 약화시키는 데 주력했다. 아르베르니족은 그동안 카이사르에 대항하지 않았으나, 젊은 베르킨게토릭스가 친로마파인 삼촌 대신 부족장이 되자 반로마 기치를 들고 나왔다. 베르킨게토릭스는 흩어진 갈리아 부족들이 연합하여 로마에 대항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강력한 지도력과 규율로 부족들을 규합했다.[19]

기원전 52년 베르킨게토릭스는 갈리아 부족을 모아 총궐기에 들어갔고, 초토화 작전으로 로마군을 괴롭혔다. 카이사르는 아바리쿰 포위전에서 아바리쿰을 함락시켰으나, 베르킨게토릭스는 게르고비아 전투에서 반격하여 로마군에게 승리했다. 이 승리로 하이두이족 등 여러 부족이 로마에 반기를 들었다.[10]

베르킨게토릭스는 퇴각하는 로마군에 싸움을 걸었지만, 전술에서 카이사르에게 패배하여 알레시아 요새에 고립되었다. 카이사르는 알레시아를 포위하는 요새를 건설했고, 베르킨게토릭스는 항전하며 구원병을 요청했다. 그러나 결국 베르킨게토릭스는 알레시아에서 로마군에 포위되었고, 돌파 작전에 실패한 후 부하들의 안전을 조건으로 항복했다.[11][12]

''베르킨게토릭스가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발 앞에 무기를 던지다'' (1899) by 리오넬 로이에

4. 1. 초기 전투

기원전 52년 베르킨게토릭스는 갈리아 부족을 모아 총궐기에 들어갔다. 그는 초토화 작전을 통해 로마군을 괴롭혔다. 이 작전은 로마군의 보급로를 차단하고 식량을 얻지 못하게 하는 전략이었다.[19] 카이사르와 그의 부관 티투스 라비에누스는 초반에는 고전했지만, 비투리게스 큐비의 수도인 아바리쿰(현대 부르주 근처)을 공략하는 데 성공하고 약 40,000명의 갈리아인을 학살하였다.[9]

베르킨게토릭스는 원래 아바리쿰을 불태우고 파괴하려 했으나, 마을의 강력한 저항과 자연적인 방어 지형, 튼튼한 인공 방어 시설 때문에 포기했다. 대신 아바리쿰 밖에 진을 치고 로마군을 괴롭히는 데 집중했다. 그러나 로마군은 아바리쿰을 포위하여 함락시켰고, 25일 동안 굶주림과 고된 작업으로 고생한 것에 대한 보복으로 주민 대부분을 학살하고 약 800명만 살려두었다.[9]

다음 주요 전투는 게르고비아에서 벌어졌다. 이곳은 아르베르니의 수도였다. 베르킨게토릭스와 그의 전사들은 카이사르의 군대와 동맹군을 격파하여 큰 피해를 입혔다. 이 승리로 인해 로마에 우호적이었던 하이두이족을 비롯한 여러 부족이 로마에 반기를 들었다.[10] 베르킨게토릭스는 카이사르를 추격하려 했지만, 기병전에서 큰 손실을 입고 퇴각하여 알레시아 요새로 이동했다.

4. 2. 알레시아 공방전

카이사르알레시아를 포위하는 한편, 외부에서는 다른 갈리아 군에게 포위당하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양쪽으로 포위 요새망을 건설해야 했다. 베르킨게토릭스는 알레시아 요새 안에서 카이사르에게 싸움을 걸었으나 실패했고, 외부에서 카이사르 포위망의 약한 부분을 공격하게 했다.[11][12][13] 압도적인 병력 열세에도 불구하고 카이사르의 로마군은 안팎의 공격을 잘 견뎌내고 외부에서의 공격을 격퇴하는 데 성공했다.

기원전 52년 9월에 벌어진 알레시아 전투에서 카이사르는 도시를 포위하기 위해 도시 주위에 요새를 건설했다. 그러나 베르킨게토릭스는 갈리아 동맹군을 불러 로마 포위군을 공격하게 했다. 이 병력에는 베르킨게토릭스의 사촌인 베르카시벨라우노스가 이끄는 아르베르니 군대와 세둘로스가 이끄는 10,000명의 레모비세스 군대가 포함되어 있었다. 로마군이 갈리아군에 의해 포위되자, 카이사르는 구원군에 맞서 바깥을 향하는 또 다른 요새(반환호)를 건설하여 도넛 모양의 요새를 만들었다. 갈리아 구원군은 8만 명에서 25만 명 사이로 추정되는 병력이었으나, 충분하지 않은 수로 도착했다. 군사 전술 지도자였던 베르킨게토릭스는 내부에서 고립되었고, 그의 지도가 없는 공격은 처음에 성공하지 못했다. 그러나 공격으로 요새의 약점이 드러났고, 내부와 외부의 연합군은 거의 돌파할 뻔했다. 카이사르가 마지막 예비 병력을 직접 이끌고 전투에 참전했을 때 비로소 승리할 수 있었다.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베르킨게토릭스는 알레시아에서 나와 아름답게 장식된 말을 타고 카이사르의 진지를 돌며 카이사르 앞에서 내려 갑옷을 벗고 상대방의 발치에 앉아 움직이지 않고 있다가 끌려가는 극적인 방식으로 항복했다.[11][12] 카이사르는 ''갈리아 전쟁기'' 7.89에서 베르킨게토릭스의 항복을 훨씬 더 겸손하게 묘사하며 이 기록에 대한 직접적인 반론을 제시했다.[13]

결국 베르킨게토릭스는 갈리아의 도시 알레시아 (현재 디종 근처 지역)로 몰려 로마군에게 포위되었다. 돌파 작전을 감행했지만 실패했고, 부하들의 안전을 조건으로 항복하여 투항했다.

5. 최후

베르킨게토릭스는 알레시아 공방전에서 패배한 후 로마로 압송되어 6년간 감옥에 갇혔다. 기원전 46년, 내전을 끝내고 로마에서 개선식을 올린 카이사르는 베르킨게토릭스를 로마 시민에게 공개하고 처형했다.[14]

6. 유산

근대에 이르러 베르킨게토릭스는 프랑스 최초의 영웅이자 갈리아 해방의 영웅으로 여겨졌다. 프랑스 각지에는 그를 기리는 동상이 세워졌다.

1959년부터는 아스테릭스 만화 시리즈를 통해 베르킨게토릭스의 모습이 널리 알려졌다.

6. 1. 프랑스 민족주의의 상징

근대에 이르러 베르킨게토릭스는 프랑스 최초의 영웅이자 갈리아 해방의 영웅으로 재조명되었다. 나폴레옹 3세는 1865년 알레시아로 추정되는 지역에 조각가 에메 밀레가 제작한 베르킨게토릭스 기념비를 세웠다.[15] 기념비의 건축가는 외젠 비올레르르뒤크였다.[15] 이 동상은 여전히 서 있으며, 받침대에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말을 인용한 비문이 프랑스어로 적혀 있다.

19세기 프랑스에는 프레데리크 오귀스트 바르톨디클레르몽페랑의 자드 광장에 세운 동상을 포함하여 베르킨게토릭스의 다른 기념 조각상들이 많이 세워졌다.[16] 과거 알레시아 마을이 있었던 현재의 Alise-Sainte-Reine|알리즈-생트-렌영어 코뮌에도 나폴레옹 3세의 명령에 의해 동상이 세워졌다. 생제르맹앙레에는 조각가 에메 밀레가 제작한 상이 세워져 있다.

6. 2. 대중문화

소행성 52963 베르킨게토릭스(OCA–DLR 소행성 탐사)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베르킨게토릭스는 여러 ''아스테릭스'' 코믹스에서 언급되고 회상 장면으로 등장한다. ''아스테릭스, 족장의 방패''는 아스테릭스와 오벨릭스가 베르킨게토릭스의 잃어버린 방패를 찾아 카이사르를 굴욕시키려는 노력을 다루고 있다. 그는 이 시리즈의 18번째 책인 ''알릭스 모험''의 공동 주인공이자 제목으로 등장한다.

그가 카이사르와 벌인 전투와 그 후 항복에 대한 이야기는 카이사르가 저술한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쟁"을 그림으로 요약한 클래식 일러스트레이티드 "카이사르의 정복"에서도 언급된다.

2005년부터 2007년까지 방영된 HBO의 드라마 시리즈 ''로마''는 베르킨게토릭스의 항복과 처형을 묘사한다.

2001년 영화 ''드루이드''는 크리스토퍼 램버트가 베르킨게토릭스 역을 맡아 갈리아의 지도자가 카이사르에 맞서 싸우는 모습을 그린다.

1962년 이탈리아 영화 "정복자 카이사르"는 릭 바타글리아가 베르킨게토릭스 역을, 카메론 미첼이 율리우스 카이사르 역을 맡았다. 이 영화는 카이사르가 갈리아인들과 벌이는 전투와 로마에서의 정치적 다툼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영화는 알레시아 전투와 베르킨게토릭스의 항복으로 끝을 맺는다.

조제프 캉틀루브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에 의해 갈리아인들이 패배한 것에 대한 오페라, 《베르킨게토릭스》를 작곡했다. 파리 오페라에서 1933년 6월 22일에 초연되었다.[17]

근대에 이르기까지 베르킨게토릭스는 프랑스 최초의 영웅, 갈리아 해방의 영웅으로 여겨졌으며, 나폴레옹 3세의 명령에 의해 알리즈-생트-렌 코뮌에는 동상이 세워졌다. 또한, 프랑스인 조각가 프레데리크 오귀스트 바르톨디가 제작한 베르킨게토릭스 상이 클레르몽페랑 중앙 광장에 세워졌다. 그 외에도 생제르맹앙레에는 조각가 에메 밀레가 제작한 상이 세워져 있다.

최근에는 1959년에 시작된 프랑스에서 시작하여 유럽과 그 옛 식민지 전체로 퍼져나간 인기 만화아스테릭스』 시리즈에 베르킨게토릭스의 모습이 투영되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Reportret: Vercingetorix http://www.reportret[...] 2018-04-01
[2] 웹사이트 France: The Roman conquest http://global.britan[...] Encyclopædia Britannica (company) 2015-04-06
[3] 웹사이트 Julius Caesar: The first triumvirate and the conquest of Gaul http://global.britan[...] Encyclopædia Britannica (company) 2015-02-15
[4] 논문 Le nom de Vercingétorix en Irlande 1952
[5] 문서 Life of Caesar https://penelope.uch[...]
[6] 문서 Epitome of Roman History https://www.loebclas[...]
[7] 문서 Commentaries on the Gallic War
[8] 웹사이트 Vercingetorix https://penelope.uch[...] 2022-11-12
[9] 문서 Commentaries on the Gallic War
[10] 웹사이트 The Internet Classics Archive {{!}} Caesar by Plutarch http://classics.mit.[...] 2021-03-31
[11] 문서 Plutarch's Lives
[12] 웹사이트 The Life of Julius Caesar https://penelope.uch[...] Loeb Classical Library Edition 2015-07-15
[13] 문서 Commentaries on the Gallic Wars
[14] 문서 Dio
[15] Webarchive Statue of Vercingetorix http://www.artandarc[...] 2007-03-10
[16] Webarchive '"Our ancestors the Gauls": archaeology, ethnic nationalism, and the manipulation of Celtic identity in modern Europe' https://www2.southea[...] 2016-03-04
[17]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Twentieth-Century Oper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18] 문서 라틴어 표기
[19] 뉴스 英雄の父 日本経済新聞 2014-02-02
[20] 문서 tribal chief
[21] 서적 프랑스사 대한교과서(주)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