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리어 생성 및 재결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캐리어 생성 및 재결합은 반도체 내에서 전자가 원자가띠와 전도띠 사이를 이동할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밴드 구조, 즉 에너지 띠의 형태에 따라 그 특성이 달라진다. 반도체는 밴드갭 형태에 따라 직접 밴드갭 반도체와 간접 밴드갭 반도체로 나뉘며, 밴드갭의 형태에 따라 빛의 방출 효율이 다르다. 캐리어의 생성과 재결합은 전자, 정공, 광자, 포논의 상호작용에 의해 일어나며, Shockley-Read-Hall(SRH) 재결합, 방사 재결합, 오제 재결합, 표면 재결합, 랑주뱅 재결합 등 다양한 과정을 통해 발생한다. 이러한 과정은 반도체 소자의 성능과 효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전자공학 - 광검출기
광검출기는 빛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로, 작동 원리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뉘며 통신, 의료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양자 효율, 응답도 등의 성능 지표를 가진다. - 광전자공학 - 광전자 공학
광전자 공학은 빛과 전자의 상호작용을 활용하여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또는 전기 에너지를 빛 에너지로 변환하는 다양한 광학 소자 및 광전도 소자와 이를 이용한 광통신 시스템 등을 연구하며, 조명, 통신, 의료 등 폭넓은 분야에 응용되는 기술이다. - 전하 운반자 - 이온
이온은 전하를 띤 원자 또는 분자로, 전자를 얻거나 잃어 양이온 또는 음이온이 되며, 수용액 내 전극 사이를 이동하는 물질을 설명하기 위해 도입된 용어에서 유래했다. - 전하 운반자 - 전자
전자는 음전하를 띤 기본 입자로서 원자의 구성 요소이며 파동-입자 이중성을 가지고 양자역학으로 설명되며 전자기력, 약한 힘과 상호 작용하여 전자 현미경, 자유전자레이저, 반도체 기술 등에 활용된다. - 반도체 - N형 반도체
N형 반도체는 전자를 주된 전하 운반체로 사용하는 반도체이다. - 반도체 - 띠구조
띠구조는 결정 내 전자의 에너지 범위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에너지 띠와 띠틈으로 구성되며, 도체, 절연체, 반도체의 전기적 특성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캐리어 생성 및 재결합 | |
---|---|
캐리어 생성 및 재결합 | |
개요 | |
정의 | 반도체에서 자유 전하 캐리어(전자 및 정공)의 생성(생성) 및 소멸(재결합) 과정 |
생성 과정 | |
열적 생성 | 열에너지에 의해 발생, 격자 진동으로 인해 전자가 원자가대에서 전도대로 여기될 때 발생 |
광생성 | 광자 흡수로 인해 발생, 광자가 반도체에 흡수되어 에너지를 전자에게 전달하여 발생 |
전계 생성 | 강한 전기장에 의해 발생, 전자가 전기장의 힘에 의해 원자가대에서 전도대로 터널링할 때 발생 |
재결합 과정 | |
직접 재결합 | 전자와 정공이 직접 결합하여 에너지 방출 (광자 방출) |
쇼클리-리드-홀 재결합 | 불순물 또는 결함(재결합 중심)을 통해 일어나는 재결합, 재결합 중심이 전자를 포획하고, 그 후 정공을 포획하여 일어나는 다단계 과정 |
오제 재결합 | 한 캐리어가 다른 캐리어와 재결합하면서 에너지를 전달하여 다른 캐리어의 에너지를 높이는 과정 (열에너지 발생) |
응용 | |
반도체 장치 |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레이저 다이오드 태양 전지 |
광 검출기 | 캐리어 생성 과정이 광 검출기의 기본 원리 |
발광 장치 | 캐리어 재결합 과정이 발광 다이오드의 기본 원리 |
2. 밴드 구조
반도체 재료는 다른 고체와 마찬가지로, 재료의 결정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 전자띠 구조를 갖는다. 전자 간의 에너지 분포는 페르미 준위와 전자의 온도에 의해 설명된다. 절대 영도에서는 모든 전자가 페르미 준위 이하의 에너지를 갖지만, 0이 아닌 온도에서는 페르미-디랙 분포를 따라 에너지 준위가 채워진다.
도핑되지 않은 반도체에서 페르미 준위는 밴드갭 (금지대) 중간에 위치하며, 이는 원자가띠와 전도띠라고 하는 두 개의 허용대 사이에 있다. 금지대 바로 아래에 있는 원자가띠는 일반적으로 거의 완전히 채워져 있고, 페르미 준위 위에 있는 전도띠는 일반적으로 거의 완전히 비어 있다. 원자가띠가 거의 가득 차 있기 때문에, 그 전자는 이동성이 없어 전류로 흐를 수 없다.
그러나 원자가띠의 전자가 다른 전자, 정공, 광자 또는 진동하는 결정 격자 자체와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전도띠에 도달할 만큼 충분한 에너지를 얻으면, 거의 비어 있는 전도띠 에너지 상태 사이를 자유롭게 흐를 수 있다. 또한, 물리적으로 하전된 입자처럼 흐를 수 있는 정공을 남긴다.
2. 1. 직접 및 간접 밴드갭
반도체는 밴드갭의 형태에 따라 직접 밴드갭 반도체와 간접 밴드갭 반도체로 나뉜다. 직접 밴드갭 반도체에서는 전도대의 최저점과 가전자대의 최고점이 k-공간에서 같은 지점에 위치한다. 이 경우, 전자가 전도대에서 가전자대로 전이하면서 빛(광자)을 방출하는 과정이 효율적으로 일어난다. 이러한 특성은 발광 다이오드(LED)나 레이저 다이오드와 같은 광전자 소자에 응용된다. 간접 밴드갭 반도체에서는 전도대의 최저점과 가전자대의 최고점이 k-공간에서 다른 지점에 위치한다. 이 경우, 전자가 전도대에서 가전자대로 전이하기 위해서는 운동량 보존 법칙을 만족시키기 위해 포논(phonon, 격자 진동)의 도움이 필요하다. 따라서 빛의 방출 효율이 낮아 광전자 소자보다는 주로 트랜지스터와 같은 전자 소자에 사용된다.3. 생성-재결합 과정
캐리어 생성은 전자가 에너지를 얻고 원자가띠에서 전도띠로 이동하여 두 개의 이동성 캐리어를 생성하는 과정이다. 반면, 재결합은 전도띠 전자가 에너지를 잃고 원자가띠의 정공 에너지 상태를 다시 점유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과정은 양자화된 에너지와 결정 운동량을 보존해야 한다. 진동 격자는 광자가 에너지에 비해 매우 적은 운동량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운동량을 보존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다.[1]
재결합과 생성은 광학적으로나 열적으로 항상 반도체에서 일어난다. 열역학에서 예측한 바와 같이, 열적 평형 상태의 물질은 생성률과 재결합률이 균형을 이루어 순 전하 캐리어 밀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각 에너지 밴드에서 에너지 상태의 점유 확률은 페르미-디랙 통계에 의해 주어진다.
전자와 정공 밀도(과 )의 곱은 평형 상태에서 상수 이며, 동일한 비율로 발생하는 재결합과 생성에 의해 유지된다. 캐리어가 과잉일 때(즉, ), 재결합률이 생성률보다 커져서 시스템을 평형 상태로 되돌린다. 마찬가지로 캐리어가 부족할 때(즉,
참조
[1]
논문
Optically Excited MOS-Capacitor for Recombination Lifetime Measurement
[2]
서적
Luminescence of disordered semiconductors
Oxford University Press
2012-02-09
[3]
논문
Recombination Kinetics in Organic-Inorganic Perovskites: Excitons, Free Charge, and Subgap States
2014-09-11
[4]
서적
Semiconductor Physical Electronics
https://cds.cern.ch/[...]
2006
[5]
서적
SEMICONDUCTOR PHOTONICS.
SOCIETA EDITRICE ESCULAPIO
2016
[6]
서적
Principles of Lasers ...
1989
[7]
논문
Dislocation Related Photoluminescence in Silicon
https://journals.aps[...]
2001
[8]
논문
The Kinetics of the Radiative and Nonradiative Processes in Nanocrystalline ZnO Particles upon Photoexcitation
https://pubs.acs.org[...]
2000-03-01
[9]
논문
Statistics of the Recombinations of Holes and Electrons
1952-09-01
[10]
논문
Germanium rectifier characteristics
1951
[11]
서적
SEMICONDUCTOR PHOTONICS
SOCIETA EDITRICE ESCULAPIO
2016
[12]
서적
Chapter 4. Photophysics of Hybrid Perovskites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6
[13]
서적
Semiconductor Physical Electronics
https://cds.cern.ch/[...]
2006
[14]
서적
Semiconductor Physical Electronics
https://cds.cern.ch/[...]
2006
[15]
뉴스
The LED's Dark Secret: Solid-state lighting won't supplant the lightbulb until it can overcome the mysterious malady known as droop
https://spectrum.iee[...]
IEEE Spectrum
2009-08-00
[16]
웹사이트
Cause of LED Efficiency Droop Finally Revealed
https://www.scienced[...]
Science Daily
2013-04-23
[17]
서적
The Physics of Solar Cells
Imperial College Press
2003
[18]
학술지
Calculation of surface generation and recombination velocities at the Si-SiO2 interface
1985
[19]
웹사이트
Recombination in low mobility semiconductors: Langevin theory
https://blog.disorde[...]
2008-04-04
[20]
학술지
Bimolecular Recombination in Organic Photovoltaics
2014
[21]
논문
Optically Excited MOS-Capacitor for Recombination Lifetime Measurement
[22]
논문
Statistics of the Recombinations of Holes and Electrons
1952-09-01
[23]
논문
Germanium rectifier characteristics
1951
[24]
서적
Semiconductor Physical Electronics
http://cds.cern.ch/r[...]
2006
[25]
서적
Semiconductor Physical Electronics
http://cds.cern.ch/r[...]
2006
[26]
서적
Semiconductor Physical Electronics
http://cds.cern.ch/r[...]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