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실리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실리콘은 1901년 F. S. 키핑에 의해 명명된 용어로, 실리콘 화합물을 통칭한다. 제임스 프랭클린 하이드는 실리콘 산업 발전에 기여했으며, 실리콘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된다. 실리콘은 실리콘, 탄소, 수소, 산소 등을 포함하는 화합물로, 낮은 열전도율, 화학적 안정성, 전기 절연성 등 유용한 특성을 가진다. 폴리디메틸실록산과 같은 실리콘은 오일, 고무, 수지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며, 건설, 전자, 의료, 화장품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실리콘은 환경 및 안전 문제와 관련하여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관련 산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실리콘 - 실리콘고무
    실리콘 고무는 실리콘-산소 골격의 고분자 엘라스토머로, 넓은 온도 범위에서 안정적이며 극한 환경에 강해 의료, 유아용품, 식품 접촉 용도 및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된다.
  • 실리콘 - 규소 수지
    규소 수지는 고고학 유적지에서 사용되며 미생물에 의해 손상될 수 있으며, 문화재 보존 및 복원을 위해 예방 및 복원 기술 개발과 문화재 보존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 열경화성 플라스틱 - 에폭시
    에폭시는 1934년 처음 보고된 에폭시와 아민의 축합 반응을 기반으로 하며, 코팅, 접착제, 복합 재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경화제를 통해 3차원 가교결합 구조를 형성하여 우수한 특성을 나타낸다.
  • 열경화성 플라스틱 - 폴리우레탄
    폴리우레탄은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의 반응으로 만들어지는 열경화성 고분자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합성섬유, 폼, 코팅, 접착제, 엘라스토머 등으로 널리 쓰이지만, 가연성과 원료의 유해성 문제로 안전한 취급과 친환경적 대체물질 개발이 연구되고 있다.
실리콘
실리콘
다이메틸실리콘의 2D 구조
다이메틸실리콘의 2D 구조
화학식'[R₂Si–O–SiR₂]ₙ'
반복 단위'[R₂Si-O-SiR₂]'
종류중합체
무기 고분자
명명법 및 구조
명명실리콘 (silicone)
일반 구조'–[Si(R₂)–O]–' 형태의 반복 구조
각 실리콘 원자에 두 개의 유기 그룹 (R) 결합
주쇄규소-산소 (Si–O–Si) 연결로 구성
유기 그룹 (R)메틸 (CH₃) 그룹이 일반적
다양한 유기 그룹으로 특성 조절 가능
특성
내열성높은 내열성 (일반적으로 200°C 이상)
내한성뛰어난 내한성
화학적 안정성우수한 화학적 안정성
전기적 특성우수한 전기 절연성
발수성뛰어난 발수성
낮은 표면 장력낮은 표면 장력
제조 방법
출발 물질규소 (Si)
중간 단계유기 염화 규소 생성 (예: 다이메틸다이클로로실란)
중합 단계염화 규소의 가수 분해 및 축합 반응
고리형 또는 사슬형 실리콘 중합체 생성
조절중합 조건 및 첨가제로 분자량 및 구조 조절 가능
종류
실리콘 오일액체 형태
윤활제, 유압유, 화장품 등에 사용
실리콘 고무 (엘라스토머)가황 과정을 통해 탄성체로 제조
씰, 개스킷, 의료용품 등에 사용
실리콘 수지단단하고 불용성
코팅제, 접착제, 절연재 등에 사용
응용 분야
산업윤활제
실란트
접착제
코팅제
몰딩 재료
전자절연 재료
반도체 봉지재
의료임플란트
카테터
붕대
약물 전달 시스템
생활화장품
식품 포장재
주방 용품
섬유 처리제
자동차실란트
개스킷
윤활제
추가 정보
특징다양한 형태와 특성으로 광범위하게 활용
참고실리콘은 규소 원소를 가리키는 영어 단어인 "silicon"과는 다른 물질

2. 역사

실리콘은 화학 원소인 실리콘과 혼동되지만, 이들은 서로 다른 물질이다. 실리콘(silicon)은 단단하고 짙은 회색의 반도체 준금속으로, 결정 형태로는 집적 회로("전자 칩")와 태양 전지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반면 실리콘(silicone)은 규소, 탄소, 수소, 산소 및 기타 원자를 포함하는 화합물이며, 매우 다양한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실라논이라고 불리는 실리콘-산소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은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생산에서 화학 기상 증착과 같은 기상 공정에서 중간체로 오랫동안 확인되어 왔으며, 연소에 의한 세라믹 형성에서도 확인되었다.[6] 그러나 이들은 실록산으로 중합되는 경향이 강하다. 최초의 안정적인 실라논은 2014년 A. 필리푸 등에 의해 얻어졌다.[7]

2. 1. 초기 연구

F. S. 키핑은 1901년 폴리디페닐실록산(polydiphenylsiloxane, Ph = 페닐, )의 화학식을 설명하기 위해 케톤 벤조페논()의 화학식과 유추하여 "실리콘"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원래 그의 용어는 "실리코케톤"이었다).[3][4] 키핑은 벤조페논이 단량체인 반면 폴리디페닐실록산은 중합체라는 것을 잘 알고 있었으며 와 의 상반되는 특성을 주목했다.[3][4] 키핑의 분자와 케톤 사이의 구조적 차이점이 발견됨에 따라 "실리콘"은 더 이상 정확한 용어가 아니지만(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현대 화학 명명법에 따라 "실록산"이라는 용어가 선호된다.[5]

제임스 프랭클린 하이드는 "실리콘의 아버지"라고 불리며 1930년대 실리콘 산업의 시작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그의 연구는 다우 코닝의 설립으로 이어졌는데, 이는 다우 케미컬과 코닝 글래스 웍스 간의 제휴로 실리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특별히 만들어졌다.

실리콘이 처음 합성된 것은 20세기 초 영국의 프레데릭 키핑(Frederick Kipping)이 그리냐르 시약을 연구하는 과정에서였다고 여겨진다. 1934년, 코닝(Corning Inc.)의 제임스 프랭클린 하이드(James Franklin Hyde)는 투명 실리콘 수지를 발명했다. 이 발명으로 그는 "실리콘의 아버지"("Father of Silicones")라고 불린다. 이후 미국에서 응용 연구가 진행되어, 1940년 GE의 유진 G. 로쇼(Eugene G. Rochow)에 의한 직접법 개발을 계기로 내열 절연체로서 군수 산업에서 이용이 확대되었다. 코닝은 실리콘의 제품화를 위해 다우 케미컬(Dow Chemical)과 합작으로 다우코닝(Dow Corning)을 1943년에 설립했다.

일본에서는 도쿄 시바우라 전기(현재의 도시바)가 1941년에 규소 수지 연구를 시작하여 1951년부터 자사 제품에 사용했다. 실리콘 소재로서의 판매는 1953년 신에쓰화학공업에서 시작되었다. 다우코닝은 1966년도레이와의 공동 출자로 도레이·다우코닝·실리콘 주식회사(현 도레이·다우코닝 주식회사)를 설립했다.

2. 2. 상업화

F. S. 키핑은 1901년 폴리디페닐실록산(Ph = 페닐, )의 화학식을 설명하기 위해 케톤 벤조페논()의 화학식과 유추하여 "실리콘"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3][4] 그러나 키핑의 분자와 케톤 사이의 구조적 차이점이 발견됨에 따라 "실리콘"은 더 이상 정확한 용어가 아니지만, 현대 화학 명명법에 따라 "실록산"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5]

제임스 프랭클린 하이드는 미국의 화학자이자 발명가였다. 그는 "실리콘의 아버지"라고 불리며 1930년대 실리콘 산업의 시작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그의 연구는 다우 케미컬과 코닝 글래스 웍스 간의 제휴로 실리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특별히 만들어진 다우 코닝의 설립으로 이어졌다.

실리콘이 처음 합성된 것은 20세기 초 영국의 프레데릭 키핑이 그리냐르 시약을 연구하는 과정에서였다고 여겨진다. 뛰어난 성질이 알려지게 되었지만, 비용과 수율 등의 문제로 실험 단계에 머물렀다. 1934년, 코닝의 제임스 프랭클린 하이드는 투명 실리콘 수지를 발명하고, 특허(US2272342)를 취득했다. 이 발명으로 그는 "실리콘의 아버지"라고 불린다. 이후 미국에서 응용 연구가 진행되어, 1940년 GE의 유진 G. 로쇼에 의한 직접법 개발을 계기로 내열 절연체로서 군수 산업에서 이용이 확대되었다. 코닝은 실리콘의 제품화를 위해 다우 케미컬과 합작으로 다우코닝을 1943년에 설립했다.

일본에서는 도쿄 시바우라 전기(현재의 도시바)가 1941년에 규소 수지 연구를 시작하여 1951년부터 자사 제품에 사용했다. 실리콘 소재로서의 판매는 1953년 신에쓰화학공업에서 시작되었다. 다우코닝은 1966년도레이와의 공동 출자로 도레이·다우코닝·실리콘 주식회사(현 도레이·다우코닝 주식회사)를 설립했다.

2. 3. 한국의 실리콘 산업

실리콘은 다음과 같은 여러 유용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9]

  • 낮은 열전도율
  • 낮은 화학적 반응성
  • 낮은 독성
  • 열 안정성 (넓은 온도 범위(-100°C~250°C)에서 특성이 일정함)
  • 물을 밀어내고 방수 밀봉을 형성하는 능력
  • 많은 기질에는 달라붙지 않지만, 유리와 같이 다른 기질에는 매우 잘 부착됨
  • 미생물 성장을 지지하지 않음
  • 구김과 주름에 대한 저항성
  • 산소, 오존 및 자외선에 대한 저항성.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실리콘은 건설업계(예: 코팅, 화재 방지, 유리 밀봉) 및 자동차 산업(외부 개스킷, 외부 트림)에서 널리 사용됨.
  • 절연체 특성. 실리콘은 전기적으로 절연체 또는 도체가 되도록 제형화할 수 있으므로 광범위한 전기 응용 분야에 적합함.
  • 높은 투과성: 실온(25°C)에서 산소와 같은 기체에 대한 실리콘 고무의 투과성은 부틸 고무의 약 400배임.[10] 이로 인해 실리콘은 통기성이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한 의료 응용 분야에 유용함. 반대로, 실리콘 고무는 고압 가스 또는 고진공용 밀봉과 같이 기밀 밀봉이 필요한 곳에는 사용할 수 없음.


실리콘은 고무 시트로 개발될 수 있으며, FDA 규정을 준수하는 등 다른 특성도 있다. 이는 실리콘 시트의 용도를 식품 및 음료, 제약과 같이 위생이 요구되는 산업으로 확장한다.

3. 화학적 특성

화학적으로 실리콘은 디클로로디메틸실란 등 여러 종류의 실란을 가수분해하여 생성된 실라놀(R3Si-OH)이 탈수축합한 올리고머폴리머이다. 단량체가 10(또는 20) 이하로 비교적 분자량이 작은 것은 폴리실록산(polysiloxane) 또는 간단히 실록산이라고 부른다. 고분자로서 합성수지로 사용되는 것은 일반적으로 “실리콘수지” 또는 줄여서 “'''실리콘'''”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으므로, 원소인 규소(silicon)와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12]

주 골격인 실록산 결합(Si-O-Si)은 유기물의 골격을 형성하는 탄소-탄소 결합에 비해 결합 에너지, 원자간 거리, 결합각이 모두 크며, 분자 전체는 나선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일반적인 유기물에는 없는 다양한 특징을 갖는다.[9]

주 골격의 결합이 강하다는 것은 가장 기본적인 특징인 내열성을 발휘하여 200°C를 초과하는(구조와 조건에 따라 400°C까지) 고온에도 견딘다. 더욱 고온에서는 점차 변성(산소에 의한 탈수 중합으로 고분자화)이나 분해(환상 실록산 생성에 의한 저분자화)되지만, 그 속도는 느리고, 연소폭발을 수반하지 않는다. 또한, 분해 생성물은 주로 실리카와 (수증기)이며, 위험성이 낮다.

화학적으로 안정적이며 산화·분해되기 어려운 성질은 연구실부터 플랜트에 이르는 화학 분야에서 귀중하게 여겨지고 필수적인 것이 되어 있으며, 생리 활성이 낮기 때문에 인간을 포함한 생체에 대한 독성이 작은 요인이 되고 있다. (주의: 체내에 침윤되었을 경우 이물성 육아종 등 활성이 낮은 물질에서 일어나는 반응도 있다)

실록산 결합의 밴드갭이 크기 때문에 전기 절연성이 비교적 높다. 그런데 유전율이 작기 때문에 전기장을 방해하지 않고 발열하기 어렵다(마이크로파 가열을 받기 어렵다). 또한 내열성과 마찬가지 요인으로 절연 내력에 뛰어나고, 자외선이나 방사선에 의한 공격에도 어느 정도 견디기 때문에 내후성도 갖추고 있다.

나선형의 분자 구조는 내부의 주 골격(무기성)을 치환기(유기성)가 둘러싸고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폴리실록산에서 볼 수 있는 수소 결합이 방해되어 분자간 힘이 상대적으로 작다. 이러한 성질은 액체에서는 표면 장력이나 온도에 따른 점성 변화를 작게 하고, 고체에서는 발수성이나 기체 투과성을 높인다.

일반적으로 무색·무취이며 발수성을 지닌다. 비슷한 탄소 골격 폴리머에 비해 내유성, 내산화성, 내열성이 높고, 부도체이다. 중합도나 치환기 등이 다른 다양한 형태의 제품이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금속 산화물(염기)의 성질을 지니므로 강산에는 약하며, 변질(백화, 취화)될 수 있다. 또한 프레온, 프레온 대체물질, 톨루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 일부 용매에는 침식된다. 따라서 이러한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3. 1. 합성

실리콘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의 화학 구조


실리콘 코킹과 고무 부품은 자동차 분야에서 자주 사용된다.


대부분의 폴리실록산은 유기 치환기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및 이 있다. 모든 중합된 실록산 또는 폴리실록산인 실리콘은 무기규소-산소 주쇄()로 구성되며, 각 규소 중심에 두 개의 그룹이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물질은 고리형 또는 중합체일 수 있다. 사슬 길이, 측쇄 및 가교결합을 변화시킴으로써, 다양한 특성과 조성을 가진 실리콘을 합성할 수 있다. 이들은 액체에서 젤, 고무, 경질 플라스틱까지 점도가 다양하다. 가장 일반적인 실록산은 선형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으로, 실리콘 오일이다. 두 번째로 큰 실리콘 재료 그룹은 가지형 및 케이지형 올리고실록산으로 형성된 실리콘 수지를 기반으로 한다.

가장 일반적인 것은 폴리디메틸실록산을 기반으로 하는 재료이며, 이는 가수분해를 통해 디메틸디클로로실란으로부터 유도된다. 이 이염화물은 물과 다음과 같이 반응한다.

n\ \ce{Si(CH3)2Cl2} + n\ \ce{H2O -> [Si(CH3)2O]}_n + 2n\ \ce{HCl}

중합은 일반적으로 또는 (실라놀)기로 끝나는 선형 사슬을 생성한다. 다른 조건에서는 중합체가 사슬이 아닌 고리형이다.[9]

실란트와 같은 소비자용 응용 분야의 경우, 실릴 아세테이트가 실릴 클로라이드 대신 사용된다. 아세테이트의 가수분해는 훨씬 느린 경화 과정의 반응 생성물로서 덜 위험한 아세트산(식초에 있는 산)을 생성한다. 이러한 화학 반응은 실리콘 실란트와 접착제와 같은 많은 소비자 응용 분야에 사용된다.

n\ \ce{Si(CH3)2(CH3COO)2} + n\ \ce{H2O -> [Si(CH3)2O]}_n + 2n\ \ce{CH3COOH}

중합체 사슬의 분지 또는 가교는 메틸트리클로로실란 및 메틸트리메톡시실란과 같이 알킬기가 적은 유기실리콘 전구체를 사용하여 도입할 수 있다. 이상적으로, 이러한 화합물의 각 분자는 분지점이 된다. 이 과정은 경질 실리콘 수지를 생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세 개의 메틸기를 가진 전구체는 각 분자가 하나의 반응성 부위만 가지고 있고 따라서 실록산 사슬의 끝을 형성하기 때문에 분자량을 제한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자동차 분야에서 실리콘 그리스는 고온에서도 안정적이며, 물에 녹지 않고, 다른 윤활유보다 오염될 가능성이 훨씬 적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브레이크 부품의 윤활제로 사용된다. DOT 5 브레이크액은 액체 실리콘을 기반으로 한다. 자동차 점화 플러그 와이어는 인접한 와이어로 스파크가 튀어 미스파이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여러 층의 실리콘으로 절연 처리된다. 실리콘 튜브는 때때로 자동차 흡기 시스템(특히 과급 엔진의 경우)에 사용된다. 시트 실리콘은 자동차 엔진, 변속기 및 기타 용도에 사용되는 가스켓을 제조하는 데 사용된다.

실리콘 고무와 같은 실리콘 화합물은 에어백의 코팅 및 실란트로 사용된다. 실리콘 고무의 높은 강도는 고충격 에어백에 최적의 접착제 및 실란트가 되도록 한다. 열가소성 플라스틱과 결합된 실리콘은 스크래치 및 마모 저항성 향상 및 마찰 계수 감소를 제공한다.

금속 규소(비교적 저순도의 것)와 염화메틸을 구리 촉매 존재 하에 300℃ 전후로 가열하면, 디메틸디클로로실란을 주체로 하는 실란류가 생성된다. 염화메틸 이외에도, 목적하는 유기기나 골격 구조에 따라 다양한 유기염소화합물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페닐기의 도입에 필요한 페닐실란은 클로로벤젠이 이용된다. 단, 어느 경우든 부생성물이 많기 때문에 정류 공정이 필수적이다. 분리된 부생성물은 다시 반응시키거나, 실란으로 이용된다.

다음으로, 가수분해와 탈수축합 공정인데, 염소화 실란류는 가수분해에 의해 염산을 생성하고, 이것이 산 촉매로 작용하기 때문에, 생성된 실라놀은 그대로 자기축합하여 실록산이 된다. 따라서, 제조하려는 실리콘에 따라, 실란류의 배합비와 부원료, 반응 온도 등의 조정이 중요해진다. 제조 프로세스에서 정류 공정을 거치기 때문에, 실란류의 순도가 높고, 제품의 성능을 높이는 요인이 되지만, 가수분해와 탈수축합을 동시 진행시키기 때문에, 제품 중에 고리형 실록산 등의 저분자 성분이 포함되기 쉽다.

3. 2. 구조 및 성질



이 실리콘 고무 접이식 체스판은 구김이나 주름이 생기지 않는다.


실리콘은 항공 우주 장비의 유지 보수 접근구를 밀봉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


화학적으로, 디클로로디메틸실란을 비롯한 여러 종류의 실란류를 가수분해하여 생성된 실라놀(R3Si-OH)이 탈수축합한 올리고머, 폴리머이다. 단량체가 10(또는 20) 이하의 비교적 저분자량인 것은 폴리실록산(polysiloxane) 또는 간단히 실록산이라고 부른다. 고분자로서 합성수지로 사용되는 것은 일반적으로 “실리콘수지” 또는 줄여서 “'''실리콘'''”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으므로, 원소인 규소(silicon)와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대부분의 폴리실록산은 유기 치환기를 포함하고 있다. 모든 중합된 실록산 또는 폴리실록산인 실리콘은 무기규소-산소 주쇄()로 구성되며, 각 규소 중심에 두 개의 그룹이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물질은 고리형 또는 중합체일 수 있다. 사슬 길이, 측쇄 및 가교결합을 변화시킴으로써, 다양한 특성과 조성을 가진 실리콘을 합성할 수 있다. 이들은 액체에서 젤, 고무, 경질 플라스틱까지 점도가 다양하다. 가장 일반적인 실록산은 선형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으로, 실리콘 오일이다. 두 번째로 큰 실리콘 재료 그룹은 가지형 및 케이지형 올리고실록산으로 형성된 실리콘 수지를 기반으로 한다.

주 골격인 실록산 결합(Si-O-Si)은 일반적으로 유기물의 골격을 형성하는 탄소-탄소 결합에 비해 결합 에너지, 원자간 거리, 결합각이 모두 크며, 분자 전체는 나선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일반적인 유기물에는 없는 다양한 특징을 갖고 있다.

실리콘은 다음과 같은 많은 유용한 특성을 나타낸다.[9]

  • 낮은 열전도율
  • 낮은 화학적 반응성
  • 낮은 독성
  • 열 안정성 (-100°C~250°C의 넓은 온도 범위에서 특성의 일관성)
  • 물을 밀어내고 방수 밀봉을 형성하는 능력
  • 많은 기질에는 달라붙지 않지만, 유리와 같이 다른 기질에는 매우 잘 부착됨
  • 미생물 성장을 지지하지 않음
  • 구김과 주름에 대한 저항성
  • 산소, 오존 및 자외선에 대한 저항성.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실리콘은 건설업계(예: 코팅, 화재 방지, 유리 밀봉) 및 자동차 산업(외부 개스킷, 외부 트림)에서 널리 사용된다.
  • 절연체 특성. 실리콘은 전기적으로 절연체 또는 도체가 되도록 제형화할 수 있으므로 광범위한 전기 응용 분야에 적합하다.
  • 높은 투과성: 실온(25 °C)에서 산소와 같은 기체에 대한 실리콘 고무의 투과성은 부틸 고무의 약 400배이다.[10] 이로 인해 실리콘은 통기성이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한 의료 응용 분야에 유용하다. 반대로, 실리콘 고무는 고압 가스 또는 고진공용 밀봉과 같이 기밀 밀봉이 필요한 곳에는 사용할 수 없다.


주 골격의 결합이 강하다는 것은 가장 기본적인 특징인 내열성을 발휘하여 200°C를 초과하는(구조와 조건에 따라 400°C까지) 고온에도 견딘다. 더욱 고온에서는 점차 변성(산소에 의한 탈수 중합으로 고분자화)이나 분해(환상 실록산 생성에 의한 저분자화)되지만, 그 속도는 느리고, 연소폭발을 수반하지 않는다. 또한, 분해 생성물은 주로 실리카와 (수증기)이며, 위험성이 낮다.

화학적으로 안정적이며 산화·분해되기 어려운 성질은 연구실부터 플랜트에 이르는 화학 분야에서 귀중하게 여겨지고 필수적인 것이 되어 있으며, 생리 활성이 낮기 때문에 인간을 포함한 생체에 대한 독성이 작은 요인이 되고 있다. (주의: 체내에 침윤되었을 경우 이물성 육아종 등 활성이 낮은 물질에서 일어나는 반응도 있다)

실록산 결합의 밴드갭이 크기 때문에 전기 절연성이 비교적 높다. 그런데 유전율이 작기 때문에 전기장을 방해하지 않고 발열하기 어렵다(마이크로파 가열을 받기 어렵다). 또한 내열성과 마찬가지 요인으로 절연 내력에 뛰어나고, 자외선이나 방사선에 의한 공격에도 어느 정도 견디기 때문에 내후성도 갖추고 있다.

나선형의 분자 구조는 내부의 주 골격(무기성)을 치환기(유기성)가 둘러싸고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폴리실록산에서 볼 수 있는 수소 결합이 방해되어 분자간 힘이 상대적으로 작다. 이러한 성질은 액체에서는 표면 장력이나 온도에 따른 점성 변화를 작게 하고, 고체에서는 발수성이나 기체 투과성을 높인다.

일반적으로 무색·무취이며 발수성을 지닌다. 비슷한 탄소 골격 폴리머에 비해 내유성, 내산화성, 내열성이 높고, 부도체이다. 중합도나 치환기 등이 다른 다양한 형태의 제품이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금속 산화물(염기)의 성질을 지니므로 강산에는 약하며, 변질(백화, 취화)될 수 있다. 또한 프레온, 프레온 대체물질, 톨루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 일부 용매에는 침식된다. 따라서 이러한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실리콘은 우수한 밀봉 성능, 극한의 온도 범위에서의 안정성, 내구성, 소음 감쇠 및 방진 특성, 그리고 자연적인 난연성으로 인해 항공 우주 산업에서 널리 사용되는 재료이다. 항공 우주 산업에서 극한의 기능 유지는 승객 안전을 위해 매우 중요하므로 항공기의 각 부품에는 고성능 재료가 필요하다.

특수하게 개발된 항공 우주 등급의 실리콘은 -70°C~220°C의 온도 범위에서 안정적이다.[11] 이러한 등급의 실리콘은 창문과 기내 문의 개스킷 제작에 사용될 수 있다. 항공기는 운항 중에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지상의 더운 지역의 주변 온도부터 고고도 비행 시 영하의 온도까지 큰 온도 변화를 겪는다. 실리콘 고무는 엄격한 허용 오차로 성형할 수 있으므로 개스킷이 지상과 대기압이 감소하는 고공 모두에서 기밀 밀봉을 형성한다.

실리콘 고무의 내열 부식성으로 인해 항공기 엔진의 개스킷에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다른 유형의 고무보다 수명이 길어 항공기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한다. 실리콘은 조종석의 계기판 및 기타 전기 시스템을 밀봉하여 인쇄 회로 기판을 습기 및 극저온과 같은 고고도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한다. 실리콘은 전선과 전기 부품을 비행기 내부로 들어올 수 있는 먼지나 얼음으로부터 보호하는 피복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항공 여행의 특성상 많은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므로, 강력한 엔진, 착륙 및 고속 모두 승객의 안락함과 항공기의 안전한 운항을 보장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한다. 실리콘 고무는 탁월한 소음 감소 및 방진 특성을 가지므로, 작은 부품으로 성형하여 작은 틈에 장착하여 오버헤드 락커, 통풍구, 해치,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밀봉 및 LED 조명 시스템과 같이 모든 장비를 원치 않는 진동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실리콘은 고무 시트로 개발될 수 있으며, FDA 규정을 준수하는 등 다른 특성도 있다. 이는 실리콘 시트의 용도를 식품 및 음료, 제약과 같이 위생이 요구되는 산업으로 확장한다.

3. 3. 변성 실리콘

실리콘 원자에 다수의 유기성 치환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유리와 같은 무기물에는 없는 계면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도입하는 치환기를 선택하고, 더 나아가 골격을 고리형 또는 분지 구조로 함으로써, 내열성, 내화학성, 친수성, 소수성 등 다양한 기능이 강화되거나 부여된다. 사용되는 치환기로는 폴리에테르, 에폭시, 아민류, 카르복시기, 아랄킬기 등 다양하며, 도입 위치(측쇄, 말단)의 조합과 더불어 매우 다양하게 존재하며, 메틸기 또는 페닐기만을 도입한 스트레이트 실리콘에 대해 변성 실리콘이라고 한다.[12]

  • 페닐기의 양을 늘리면 저온에서 경화되기 어려워져 내한성이 증가한다.
  • 불소를 포함하는 플루오로알킬기를 도입하면 내유성 및 소수성이 향상된다.
  • 아미노기를 소량 도입하면 에멀션 특성이 크게 개선된다.
  • 폴리에테르기는 윤활성 개선에 효과적이다.

4. 제조

건설업계에서는 실리콘 고무의 강도와 신뢰성이 널리 인정받고 있다. 1액형 실리콘(실란트) 및 실리콘 코킹은 건물의 틈, 이음매 및 갈라진 틈을 막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1액형 실리콘은 대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경화되므로 설치가 간편하다. 배관에서는 실리콘 그리스를 일반적으로 황동 수도꼭지 및 밸브의 O-링에 도포하여 석회가 금속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한다.

1974년 시카고 미술원이 최초로 외장 유리를 이 소재로만 고정한 건물이 된 이후로 구조용 실리콘이 커튼월 건물 외벽에도 사용되어 왔다. 실리콘 막은 뛰어난 자외선 저항성과 수십 년 동안 방수 성능을 유지하는 능력 덕분에 산업용 지붕을 덮고 복원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

4. 1. 실란 제조

대기업에서는 원료인 실란류부터 일관 생산하는 경우가 많다.

금속 규소(비교적 저순도의 것)와 염화 메틸을 구리 촉매 존재하에 300°C 전후로 가열하면, 디메틸디클로로실란을 주체로 하는 실란류가 생성된다. 염화 메틸 이외에도, 목적하는 유기기나 골격 구조에 따라 다양한 유기염소화합물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페닐기의 도입에 필요한 페닐실란은 클로로벤젠이 이용된다. 단, 어느 경우든 부생성물이 많기 때문에 정류 공정이 필수적이다. 분리된 부생성물은 다시 반응시키거나, 실란으로 이용된다.

다음은 가수분해와 탈수축합 공정인데, 염소화 실란류는 가수분해에 의해 염산을 생성하고, 이것이 산 촉매로 작용하기 때문에, 생성된 실라놀은 그대로 자기축합하여 실록산이 된다. 따라서, 제조하려는 실리콘에 따라, 실란류의 배합비와 부원료, 반응 온도 등의 조정이 중요해진다.

제조 프로세스에서 정류 공정을 거치기 때문에, 실란류의 순도가 높고, 제품의 성능을 높이는 요인이 되지만, 가수분해와 탈수축합을 동시 진행시키기 때문에, 제품 중에 고리형 실록산 등의 저분자 성분이 포함되기 쉽다. 용도에 따라서는 장애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함량을 저감시키는 수법도 개발되고 있다.

4. 2. 폴리실록산 제조

금속 규소(비교적 저순도의 것)와 염화 메틸을 구리 촉매 존재 하에 300℃ 전후로 가열하면, 디메틸디클로로실란을 주체로 하는 실란류가 생성된다.[13] 염화 메틸 외에도, 목적하는 유기기나 골격 구조에 따라 다양한 유기 염소 화합물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페닐기 도입에 필요한 페닐실란은 클로로벤젠이 이용된다. 단, 어느 경우든 부생성물이 많기 때문에 정류 공정이 필수적이다. 분리된 부생성물은 다시 반응시키거나 실란으로 이용된다.

다음은 가수분해와 탈수축합 공정인데, 염소화 실란류는 가수분해에 의해 염산을 생성하고, 이것이 산 촉매로 작용하기 때문에 생성된 실라놀은 그대로 자기 축합하여 실록산이 된다. 따라서 제조하려는 실리콘에 따라 실란류의 배합비와 부원료, 반응 온도 등의 조정이 중요해진다.

제조 과정에서 정류 공정을 거치기 때문에 실란류의 순도가 높고, 제품의 성능을 높이는 요인이 되지만, 가수분해와 탈수 축합을 동시 진행시키기 때문에 제품 중에 고리형 실록산 등의 저분자 성분이 포함되기 쉽다. 용도에 따라서는 장애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함량을 저감시키는 수법도 개발되고 있다.

4. 3. 저분자 성분 저감

실리콘 제조 과정에서 정류 공정을 거치기 때문에, 실란류의 순도는 높지만, 가수분해와 탈수축합을 동시에 진행시키므로, 제품에 고리형 실록산 등의 저분자 성분이 포함되기 쉽다. 이러한 저분자 성분은 용도에 따라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 함량을 줄이는 방법도 개발되고 있다.[1]

5. 종류 및 용도

실리콘은 전기(절연체), 전자(코팅), 가정용(실란트, 조리 도구), 자동차(개스킷), 항공기(씰), 사무 기기(키보드 패드), 의료 및 치과(치아 인상틀), 섬유 및 종이(코팅)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된다. 1991년에는 이러한 용도로 약 40만 톤의 실리콘이 생산되었다.[9]

실리콘은 우수한 밀봉 성능, 넓은 온도 범위(-70°C ~ 220°C)에서의 안정성, 내구성, 소음 및 진동 감소, 난연성 등으로 항공우주공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11] 항공기의 창문, 기내 문 개스킷, 엔진 개스킷 등에 사용되어 항공기 안전성과 유지 보수 비용 절감에 기여한다. 또한 조종석 계기판, 전기 시스템 밀봉, 전선 피복 등에도 사용되어 습기, 극저온, 먼지, 얼음 등으로부터 보호한다.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기반 결합제와 과염소산암모늄(NH4ClO4)은 로켓의 고속 연소 고체 추진제로 사용된다.[12]

액상 실리콘은 드라이클리닝 용매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전통적인 염소 함유 (퍼클로로에틸렌(perc)) 용매의 대안을 제공한다.

실리콘 고무 키패드


전자 부품은 기계적 및 전기적 충격, 방사선, 진동에 대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실리콘으로 포팅(potting)되기도 한다. 넓은 작동 온도 범위(-65~315 °C)가 필요한 경우 폴리우레탄이나 에폭시 캡슐화보다 실리콘이 선택된다. 실리콘은 써멀 페이스트의 구성 요소로 사용되어 전자 부품에서 히트싱크로의 열 전달을 개선하기도 한다. 그러나 실리콘은 특정 용매에 의해 손상될 수 있으며, 전기 스위치 접점의 실리콘 오염은 접촉 저항을 증가시켜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14][15]

실리콘은 반지와 같은 장신구에서 전통적인 금속(예: 은, 금)을 대체하는 인기 있는 소재이다. 실리콘 반지는 전기 감전이나 반지 탈골과 같이 금속 반지가 부상을 초래할 수 있는 직업에서 흔히 착용한다.[16][17]

실리콘 그리스는 유리 기구가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


실리콘 그리스는 자전거 체인, 에어소프트 건 부품 등 다양한 기계 장치에 사용된다. 의료 절차 또는 성 활동에 사용할 수 있는 실리콘 개인 윤활제도 있다.

실리콘은 미세유체역학, 밀봉재, 개스킷, 외피 및 기타 높은 생체적합성이 필요한 응용 분야에 사용된다. 젤 형태는 붕대, 드레싱, 유방 임플란트, 고환 임플란트, 흉근 임플란트, 콘택트렌즈 등 다양한 의료 용도로 사용된다. 흉터 치료 시트는 의료용 실리콘으로 만들어진다. 양친매성 합성 블록 공중합체의 소수성 블록으로 사용되어 폴리머좀의 소낭막을 형성하는 데에도 사용되었다. 불법적인 화장품용 실리콘 주입은 만성적인 실리콘 혈액 확산을 유발하여 피부과적 합병증을 야기할 수 있다.[19]

안과에서는 유리체절제술 후 유리체 대체, 백내장 제거 후 실리콘 인공수정체, 누낭비강 절개술 후 비루관 통로 개방 유지, 누관 협착에 대한 누관 스텐트, 건성안에서 누점 폐쇄를 위한 누점 플러그, 견인성 망막 박리에서 외부 압박 등으로 사용된다.

첨가 및 축합(예: 폴리비닐실록산) 실리콘은 치과 인상재로 널리 사용된다.[20][21][22]

건축 세부 사항을 재현하는 데 사용되는 실리콘 몰드


2액형 실리콘 시스템은 고무 몰드로 사용되어 레진, 발포체, 고무 및 저온 합금을 주조한다. 실험적인 용도로는 일반적인 1액형 실리콘을 사용하여 몰드를 만들거나 형태를 만들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일반 식물성 식용유 또는 바셀린을 접합면에 몰드 이형제로 사용할 수 있다.[23]

실리콘은 스킨케어, 색조 화장품, 헤어 케어 제품에 널리 사용되는 성분이다. 특히 아모디메치콘(amodimethicone)과 같이 아민 작용기를 가진 일부 실리콘은 우수한 헤어컨디셔닝 성분이다. 또 다른 실리콘 계열인 페닐디메치콘(phenyl dimethicone)은 반사율을 높이고 색상을 보정하는 헤어 제품에 사용된다. 페닐트리메치콘(phenyltrimethicone)은 컨디셔닝 효과가 있는 아모디메치콘과 달리 굴절률이 인모와 비슷하다.[24]

실리콘 고무는 청결함, 외관, 낮은 용출량 때문에 젖병 꼭지(젖꼭지)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실리콘은 면도 제품과 개인 윤활제에도 사용된다.[25]

무독성 실리콘 고무로 만든 아기 장난감


실리퍼티(Silly Putty) 및 이와 유사한 재료는 실리콘, 디메틸실록산(디메틸 실록산), 폴리디메틸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데카메틸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및 기타 성분으로 구성된다.

실리콘 "고무줄"은 고무줄 뜨개 장난감에서 실제 고무줄을 대체하는 재료이다. 실리콘 밴드는 팔찌 크기로도 나와 이름이나 메시지를 맞춤 각인할 수 있다. 큰 실리콘 밴드는 유틸리티 고정 장치로도 판매된다.

포머롤(Formerol)은 수공예 재료로 사용되는 실리콘 고무(서그루(Sugru)로 판매됨)로, 점토처럼 손으로 성형할 수 있는 가소성이 특징이다. 우구(Oogoo)는 서그루(Sugru)의 대용품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저렴한 실리콘 점토이다.[27]

수족관 제조업체는 현재 유리판을 접합하는 데 일반적으로 100% 실리콘 실런트를 사용한다. 그러나 모든 상업용 실리콘이 수족관 제조에 안전한 것은 아니며, 실리콘은 플라스틱에 장기간 접착력이 없으므로 아크릴 수족관 제조에는 사용되지 않는다.[28]

실리콘은 특수 효과에서 실제 피부를 모사하는 재료로 사용되며, 보철 분장, 소품 신체 부위 또는 고무 마스크에 사용된다.[29] 플래티넘 실리콘은 강도, 견고성 및 반투명성으로 인해 살과 피부를 모사하는 데 이상적이다. 실리콘 마스크는 재료 특성 때문에 착용자의 얼굴에 달라붙고 착용자의 얼굴 표정에 따라 사실적으로 움직인다는 점에서 라텍스 마스크보다 유리하다.[30] 실리콘은 종종 폼 라텍스 보철의 저자극성 대체재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무색·무취이며 발수성을 지닌다. 비슷한 탄소 골격 폴리머에 비해 내유성, 내산화성, 내열성이 높고, 부도체이다. 중합도나 치환기 등이 다른 다양한 형태의 제품이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금속 산화물(염기)의 성질을 지니므로 강산에는 약하며, 변질(백화, 취화)될 수 있다. 또한 프레온, 프레온 대체물질, 톨루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 일부 용매에는 침식된다. 따라서 이러한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5. 1. 오일

실리콘 오일은 표면 장력이 작고 불연성인 오일로 사용된다. 분자량에 따라 다양한 점도로 제조된다.[1] 실리콘 그리스는 광유계 그리스가 적용될 수 없는 저온·고온, 용매 존재 하, 내유성이 떨어지는 재질의 윤활에 사용된다.[1] 오일 컴파운드는 이산화 규소와 알루미나 미분말을 배합하여 높은 열전도율을 가지며, CPU 방열, 전기, 광학 용도로 사용된다.[1] 소포제는 표면 장력이 작고 물에 섞이지 않아 에멀션 형태로 식품 산업 등 각종 용액 처리 공정에서 사용된다.[1] 화장품에서는 저분자, 특히 환상 분자의 휘발성을 이용하여, 발림성이 좋고 끈적이지 않는 분산제로 사용된다.[1] 일용품에서는 섬유 표면에 잘 흡착되고 마찰 계수를 낮추는 기능으로 티슈, 린스, 섬유 유연제에 배합된다.[1]

5. 2. 고무

실록산 결합이 5000~10000개인 직쇄 구조 분자는 고무의 성질을 나타내며, 주로 2차 가황하여 이용된다.

  • 고무 컴파운드: 성형품으로서 각종 실링제, 다이어프램, 보호 부품 등에 널리 사용된다. 정확히는 고무가 아니므로 엘라스토머라고도 한다. 우수한 내구성 외에도 열 수축성이나 방열성을 강화한 것 등 다양하다.
  • RTV 고무: 상온 경화형 고무로 일반적으로 액체 상태로 시판되며, 촉매를 첨가함으로써 실리콘의 중합 반응에 의해 경화된다. 일액형과 이액형이 있으며, 반응의 종류에 따라 첨가 반응형과 축합 반응형으로 크게 나뉜다. 접착성이 좋은 보호재나 방열재, 그리고 가라지 키트나 치과 의료 등의 틀 제작용으로 용도가 넓다.
  • 의료 소재: 탄성 재료나 섬유 재료로 이용되고 있으며, 전자는 풍선 카테터로, 후자는 기체 투과성이 좋다는 점을 이용하여 인공 심폐막으로도 이용되고 있다.
  • 실리콘 하이드로겔: 친수성 겔에 실리콘을 배합한 것으로, 산소 투과형 콘택트렌즈나 성형외과 수술의 충전제 등에도 사용되고 있다. 과거 대일본 스모의 신입 사범 검사에서 키가 부족한 사람이 합격 기준에 도달하기 위해 두부에 넣은 적도 있었다(대수구황, 무노우미 슈헤이).

5. 3. 수지 및 기타

폴리디메틸실록산의 구조


실리콘 코팅재


저독성의 비유해물질인 실리콘은 식품과 접촉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실리콘은 특히 베이킹 용품과 주방 조리기구 분야에서 중요한 제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 실리콘은 내열성 오븐 장갑 등의 절연체로 사용되지만, 비슷한 밀도가 낮은 섬유 기반 제품보다 열전도율이 더 높다. 실리콘 오븐 장갑은 최대 260°C의 온도를 견딜 수 있어 끓는 물에 손을 넣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제품으로는 초콜릿, 얼음, 쿠키, 머핀 및 기타 다양한 음식을 위한 틀, 눌어붙지 않는 베이킹 용품과 베이킹 시트에 사용되는 재사용 가능한 매트, 찜기, 계란 삶는 기구 또는 계란 삶는 도구, 조리기구 뚜껑, 냄비받침, 삼발이, 주방 매트 등이 있다.

실리콘으로 만든 유연한 얼음틀은 얼음을 쉽게 꺼낼 수 있게 해준다.


바스팅과 향미액을 바르는 데 사용되는 실리콘 브러시


화학적으로는, 디클로로디메틸실란을 비롯한 여러 종류의 실란류를 가수분해하여 생성된 실라놀(R3Si-OH)이 탈수축합한 올리고머, 폴리머이다. 단량체가 10(또는 20) 이하의 비교적 저분자량인 것은 폴리실록산(polysiloxane) 또는 간단히 실록산이라고 부른다. 참고로, 고분자로서 합성수지로 사용되는 것은 일반적으로 “실리콘수지” 또는 줄여서 “'''실리콘'''”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으므로, 원소인 규소(silicon)와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실리콘 수지(규소수지라고도 함): 실록산 골격을 가진 분지 구조로, 또한 치환기로 메틸기(메틸기), 페닐기(페닐기) 등을 도입한다.
  • 왁스(): 직쇄 올레핀을 도입한 분자량 1000 이하의 분자는 왁스상이 되어 자동차 왁스 등에 사용된다.
  • 의약품(의약품): 디메티콘(디메틸폴리실록산)이 소화기(소화기) 내 가스 제거제로 사용된다.
  • 완구(완구): 가교 처리에 의해 점탄성(점탄성)을 갖게 한 실리콘을 주성분으로 하는 실리퍼티(실리퍼티)는 독특한 감촉을 가진 완구이다.

6. 시장 현황

2000년 현재 북미, EU,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실리콘 시장 규모는 약 70억달러로 추정되며, 생산과 소비 모두 확대되는 추세이다.[41] 주요 제조업체로는 다우 케미컬과 코닝의 합작회사인 다우코닝(Dow Corning), 모멘티브 퍼포먼스 매터리얼즈(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일본 법인은 모멘티브 퍼포먼스 매터리얼즈 재팬: 구 GE 동시바 실리콘), 신에쓰화학공업, 와커 케미(Wacker Chemie)(독일), 로디아(Rhodia)(프랑스) 등이 있다. 국내에서는 도레이와 다우코닝의 합작회사인 도레이·다우코닝, 旭化成와 와커 케미의 합작회사인 旭化成ワッカー가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7. 안전성 및 환경 고려 사항

실리콘은 낮은 열전도율, 낮은 화학적 반응성, 낮은 독성 등 여러 유용한 특성을 지니고 있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된다.[9] 특히 넓은 온도 범위(-100°C~250°C)에서 안정적인 특성을 유지하며, 물을 밀어내는 성질이 있어 방수 밀봉에 사용된다.[9] 또한, 산소, 오존, 자외선에 대한 저항성이 뛰어나 건설업계와 자동차 산업에서 널리 사용된다.[9]

실리콘은 절연체 특성을 가지면서도 전기 전도성을 갖도록 제형화할 수 있어 전기 응용 분야에도 적합하다. 높은 투과성으로 인해 의료용으로도 사용되지만,[10] 기밀 밀봉이 필요한 곳에는 적합하지 않다.

실리콘은 식품 및 음료, 제약 산업에서 위생이 요구되는 분야, 드라이클리닝 용매등으로 사용되어 환경적 영향을 줄인다.

전자 부품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실리콘으로 포팅(potting)하기도 한다. 극한 환경 조건에서 내구성과 고성능이 필요한 경우, 폴리우레탄이나 에폭시 대신 실리콘이 선택된다. 또한 써멀 페이스트의 구성 요소로 사용되어 열 전달을 개선한다.

하지만 실리콘은 비교적 고가이며, 특정 용매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또한 전기 스위치 접점의 실리콘 오염은 접촉 저항을 증가시켜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14][15]

북미 건물에서는 실리콘 폼을 사용하여 방화 처리를 하기도 하지만, 가연성, 연기 발생, 수축 및 균열 등의 문제로 인해 논란이 되기도 했다.

실리콘 그리스는 자전거 체인, 에어소프트 건 부품 등 다양한 기계 장치에 사용되며, 의료 절차나 성 활동에 사용되는 개인 윤활제도 있다.

실리콘은 미세유체역학, 밀봉재, 개스킷, 외피 및 기타 높은 생체적합성이 필요한 응용 분야에 사용되며, 젤 형태는 붕대, 드레싱, 유방 임플란트 등 의료 용도로 사용된다. 흉터 치료 시트는 의료용 실리콘으로 만들어지며,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이 주로 사용된다.

불법적인 화장품용 실리콘 주입은 피부과적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19] 안과에서는 실리콘 오일, 실리콘 인공수정체 등 다양한 제품에 사용된다. 첨가 및 축합 실리콘은 치과 인상재로 널리 사용된다.[20][21][22]

실리콘 화합물은 환경에 널리 퍼져 있으며, 특히 고리형 실록산인 D₄와 D₅는 대기 및 수질 오염 물질이며, 실험 동물에게 부정적인 건강 영향을 미친다.[32] 유럽 화학물질청(European Chemicals Agency)은 D₄는 지속성, 생물축적성 및 독성(PBT) 물질이며, D₅는 매우 지속성이 높고 생물축적성이 매우 높은(vPvB) 물질이라고 밝혔다.[33][34] 다른 실리콘들은 생분해 과정을 통해 분해된다. 고리형 실리콘은 포유류의 생분해 과정에서 실라놀 생성을 유발하며, 생성된 실란디올과 실라네트리올은 테르몰리신, 아세틸콜린에스터라아제와 같은 가수분해 효소를 억제할 수 있다.[36][37]

200°C 정도의 온도에서 폴리디메틸실록산은 미량의 포름알데히드를 방출하지만, 다른 일반적인 재료보다는 양이 적다.[38][39] 250°C가 되면 모든 실리콘에서 다량의 포름알데히드가 생성된다.[39]

일반적으로 실리콘은 무색, 무취이며 발수성을 지닌다. 내유성, 내산화성, 내열성이 높고 부도체이지만, 강산에는 약하며, 프레온, 프레온 대체물질, 톨루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 일부 용매에는 침식된다.

8. 마케팅

규모가 큰 실리콘 기반 소재 제조업체는 유럽 연합벨기에 브뤼셀에 있는 유럽 실리콘 센터(CES), 미국 버지니아주 허던에 있는 실리콘 환경, 보건 및 안전 센터(SEHSC), 일본 도쿄에 있는 일본 실리콘 산업 협회(SIAJ)의 세 지역 조직에 속해 있다. 다우 코닝 실리콘, 에보닉 인더스트리, 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티리얼즈, 밀리켄 앤드 컴퍼니(SiVance Specialty Silicones), 신에츠 실리콘, 바커 케미, 블루스타 실리콘, JNC Corporation, 바커 아사히카세이 실리콘, 다우 코닝 도레이가 이들 조직의 회원사를 대표한다. 네 번째 조직인 글로벌 실리콘 위원회(GSC)는 지역 조직들을 아우르는 상위 기구 역할을 한다. 이 네 조직은 모두 비영리 단체이며 상업적 역할을 하지 않는다. 주요 임무는 보건, 안전 및 환경적 관점에서 실리콘의 안전성을 홍보하는 것이다. 유럽 화학 산업이 화학물질의 등록, 평가 및 허가(REACH) 법규를 시행할 준비를 함에 따라, CES는 실리콘, 실란, 실록산 생산업체 및 수입업체들의 컨소시엄[31] 구성을 주도하여 데이터와 비용 공유를 용이하게 하고 있다.

참조

[1] 서적 Liquid Silicone Rubber: Chemistry, Materials, and Processing John Wiley & Sons 2019-07-05
[2] 논문 Cyclic Polysiloxanes from the Hydrolysis of Dichlorosilane
[3] 서적 Greenwood&Earnshaw2nd
[4] 논문 XLVII. Organic derivatives of silicon. Triphenylsilicol and alkyloxysilicon chlorides https://zenodo.org/r[...]
[5] 서적 Inorganic Polymer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2005-03-24
[6] 논문 Matrix isolation infrared and density functional theoretical studies of organic silanones, (CH3O)2Si=O and (C6H5)2Si=O
[7] 논문 Silicon–Oxygen Double Bonds: A Stable Silanone with a Trigonal‐Planar Coordinated Silicon Center
[8] 논문 Additive manufacturing of ceramics from preceramic polymers: A versatile stereolithographic approach assisted by thiol-ene click chemistry https://arxiv.org/ft[...]
[9] 간행물 Silicones
[10] 간행물 Treeing Characteristics in HTV Silicone Rubber http://dx.doi.org/10[...] IGI Global 2021-03-16
[11] 웹사이트 Aerospace Viking Extrusions https://www.vikingex[...] 2019-04-11
[12] 논문 Fast Burning Rocket Propellants Based on Silicone Binders – New Aspects of an Old System http://dx.doi.org/10[...] 2002-06-01
[13] 논문 Silicone rheological behavior modification for 3D printing: Evaluation of yield stress impact on printed object properties 2019-08-01
[14] 서적 Electrical Contacts: Principles and Applications CRC Press
[15] 논문 A Comparison for the Effects of Various Forms of Silicon Contamination on Contact Performance
[16] 웹사이트 Is the Silicone Ring Trend Here to Stay? https://ourorganicwe[...] 2018-08-01
[17] 웹사이트 A ton of couples are skipping the fancy wedding rings and opting for these $20 rubber bands instead — here's why https://www.insider.[...]
[18] 웹사이트 The (wedding) ring's the thing: Silicone bands a growing trend in NFL https://www.espn.com[...] 2016-09-29
[19] 논문 Illicit massive silicone injections always induce chronic and definitive silicone blood diffusion with dermatologic complications 2019-01-01
[20] 웹사이트 The many uses of dental impression silicone https://magazine.zhe[...] 2022-07-19
[21] 서적 Materials in dentistry : principles and applications https://www.worldcat[...]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1
[22] 서적 Sturdevant's art and science of operative dentistry. https://www.worldcat[...] 2018
[23] 웹사이트 What are the benefits of Silicone Caulk Moulds https://www.glasstra[...] 2021-08-08
[24] 간행물 Hair Preparations Wiley-VCH 2007
[25] 서적 Silicones—Advances in Research and Application: 2013 Edition https://books.google[...] ScholarlyEditions 2013
[26] 웹사이트 Formerol/Sugru technical data sheet https://sugru.com/pd[...]
[27] 웹사이트 How to Make Your Own Sugru Substitute https://www.instruct[...]
[28] 웹사이트 Aquarium Silicone Applications http://www.aquarium-[...] Aquarium-pond-answers.com 2012-02-28
[29] 웹사이트 Unmasking the Chemistry Behind Special Effects Makeup https://www.monarchc[...] 2024-07-29
[30] 웹사이트 What are Halloween costume masks made from? https://edu.rsc.org/[...] 2024-07-29
[31] 웹사이트 REACH consortium http://reach.silicon[...] Reach.silicones.eu 2012-02-28
[32] 뉴스 Chemicals from Personal Care Products Pervasive in Chicago Air http://www.scientifi[...] 2013-04-30
[33] 웹사이트 Committee for Risk Assessment concludes on restricting D4 and D5 https://echa.europa.[...] European Chemicals Agency 2018-08-28
[34] 웹사이트 ECHA classifies cyclic siloxanes as SVHCs https://www.foodpack[...] Food Packaging Forum Foundation 2018-08-28
[35] 논문 Identification of Metabolites of Octamethylcyclotetrasiloxane (D4) in Rat Urine
[36] 논문 Silanediols: a new class of potent protease inhibitors
[37] 논문 Silanetriols as in vitro AChE Inhibitors
[38] 웹사이트 Dielectric Fluids for Transformer Cooling — History and Types http://apps.geindust[...] General Electric
[39] 웹사이트 Formaldehyde Generation from Silicone Rubber https://imageserv5.t[...] Arlon
[40] 서적 化学大辞典 共立出版
[41] 간행물 化学工業日報 2000-10-0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