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캐슬바니아 연대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캐슬바니아 연대기》는 1993년 X68000으로 출시된 횡스크롤 액션 게임으로, 사이먼 벨몬드를 조작하여 드라큘라 백작의 성을 탐험하며 몬스터와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다. 패미컴판 《악마성 드라큘라》의 게임플레이를 계승하여 채찍, 서브 웨폰 등을 사용하며, X68000의 기능을 활용하여 그래픽과 사운드를 개선했다. 게임을 클리어하면 난이도가 상승하는 2회차 플레이가 시작되며, 최대 6회차까지 난이도가 증가한다. X68000판은 FM 음원, MIDI 음원 등 다양한 음원을 지원하며, 플레이스테이션으로 리메이크되어 새로운 요소가 추가되었다. 게임은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나, 일부에서는 구식 그래픽과 재플레이 가치의 부족을 지적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캐슬바니아 - 캐슬바니아: 오더 오브 에클레시아
    《캐슬바니아: 오더 오브 에클레시아》는 코나미에서 2008년 발매한 닌텐도 DS용 액션 어드벤처 게임으로, 벨몬드 가문이 사라진 후 드라큘라의 부활에 대항하는 에클레시아의 전사 샤노아가 '글리프' 시스템을 통해 다양한 공격과 능력을 사용하며 숲, 산, 바다 등 다양한 지역을 탐험하고 사이드 퀘스트를 수행하며 스토리를 진행하며, 닌텐도 Wi-Fi 커넥션을 통한 온라인 플레이를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 캐슬바니아 - 캐슬바니아 저지먼트
    캐슬바니아 저지먼트는 코나미에서 2008년 Wii 플랫폼으로 발매한 3D 대전 액션 게임으로, 캐슬바니아 시리즈 캐릭터들이 시간의 틈새에서 전투를 벌이며, Wii 리모컨과 눈차크를 이용한 모션 센싱 컨트롤, 만화가 오바타 타케시의 캐릭터 디자인이 특징이지만 조작감과 카메라 워크에 대한 비판을 받았다.
  • 리메이크 게임 - 파이널 판타지 VII 에버 크라이시스
    《파이널 판타지 VII 에버 크라이시스》는 컴필레이션 오브 파이널 판타지 VII 시리즈의 모바일 게임으로, 원작 스토리 재해석, 다양한 시리즈 이야기, SD 캐릭터 스타일의 2D 그래픽, ATB 전투 시스템, 무료 플레이와 뽑기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 리메이크 게임 - 로맨싱 사가: 민스트럴 송
    《로맨싱 사가: 민스트럴 송》은 스퀘어 에닉스가 2005년에 발매한 플레이스테이션 2용 롤플레잉 게임으로, 8명의 주인공 중 하나를 선택해 자유롭게 모험하는 프리 시나리오 시스템을 채택한 1992년작 《로맨싱 사가》의 리메이크 작품이다.
  • 샤프 X68000 게임 - 로도스도 전기
    로도스도 전기는 1986년 TRPG 리플레이를 시작으로 소설, 애니메이션, 만화, 게임 등 다양한 미디어로 제작된 일본의 하이 판타지 작품이다.
  • 샤프 X68000 게임 - 마블 매드니스
    마블 매드니스는 1984년 아타리 게임즈에서 개발한 아이소메트릭 3D 플랫폼 아케이드 게임으로, 트랙볼로 구슬을 조작하여 제한 시간 내에 코스를 완주하는 독특한 조작 방식, 추상적인 코스 디자인, FM 음원 사운드트랙으로 호평을 받으며 여러 플랫폼에 이식되고 구슬 굴리기 게임에 영향을 주었다.
캐슬바니아 연대기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Castlevania Chronicles
Castlevania Chronicles
원제 (일본어)悪魔城年代記 (Akumajō Nendaiki)
시리즈캐슬바니아
개발 정보
개발사코나미 (X68000), KCET (플레이스테이션)
배급사코나미
디렉터우에다 히데오, 우마사키 마사유키 (플레이스테이션)
프로듀서이가라시 코지 (플레이스테이션)
아티스트코지마 아야미 (플레이스테이션)
작곡가신짱 (Shin-chan), 나카무라 게이조, 고바야시 히로시, 후지모리 소타 (플레이스테이션)
출시 정보
플랫폼샤프 X68000, 플레이스테이션
출시일 (X68000)일본: 1993년 7월 23일
출시일 (플레이스테이션)일본: 2001년 5월 24일, 북미: 2001년 10월 9일, 유럽: 2001년 11월 9일
게임 정보
장르액션 게임, 플랫포머
모드싱글 플레이

2. 게임플레이

《악마성 드라큘라》는 횡스크롤 액션 게임으로, 플레이어는 주인공 시몬 벨몬드를 조작하여 드라큘라 백작의 성을 탐험하며 몬스터들과 싸우고 최종 보스인 드라큘라를 물리쳐야 한다.

시몬의 메인 무기는 채찍이다. 그 외, 아이템을 얻으면 사용할 수 있는 단검이나 도끼와 같은 편리하고 강력한 서브 웨폰이 있다.[24]

시몬의 조작은 패미컴판과 거의 같지만, 본작에서는 점프 중 채찍의 바로 아래 공격과 대각선 아래 공격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서브 웨폰에는 회복 아이템이 추가되었다. 악마성 내는 8개의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블록은 3개의 스테이지로 분할되어 있다. 게임을 클리어하면 엔딩 후에 난이도가 올라간 2회차에 돌입하며, 이후에도 몇 번이고 반복한다. 2회차 이후에는 적의 출현 수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보스의 공격 빈도가 많아지거나 트랩이 어려워진다. 난이도는 6회차까지 올라가고, 그 이후에는 변하지 않는다. 6회차에서는 여신상의 피눈물이 콧피가 되거나, 깨지는 거울에 낙서가 있는 등 배경에 유머도 보인다. 적의 공격 1회로 감소하는 라이프량은 1회차의 블록 1에서는 2, 블록 2에서는 3, 블록 3 이후와 2회차 이후는 4가 된다.

X68000의 기능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여러 가지 특수 처리도 들어가 있다. CPU의 처리 속도를 감지하여 속도에 따라 소프트웨어 회전 처리의 정밀도를 변경하는 등의 처리가 이루어지며, 상위 기종의 X68030이나 오버클럭을 한 본체에서는, 안뜰의 분수, 시계탑의 톱니바퀴, 드라큘라 백작의 탑의 불꽃 등의 움직임이 부드럽게 묘사된다. 또한, 시계탑의 대시계의 시각은 X68000의 내부 시계와 연동되어 있으며, 사신 직전의 뜯겨지는 벽의 그림도 마찬가지로 현실의 봄, 여름, 가을, 겨울에 따라 변화한다[25]

BGM은 X68000 내장 음원(FM 음원 8음 + ADPCM 1음) 또는 MIDI 음원(MIDI 기기 연결 필요)을 선택할 수 있다. MIDI는 롤랜드 MT-32 등의 LA 음원[26]과 SC-55 등의 GS 포맷[27]에 대응(비법으로 GM 음원에도 대응)하고 있다. 이러한 음원마다 각각 곡의 어레인지도 다르다. 본작과 같은 해인 1993년에 발매된 사운드트랙 CD 『MIDI POWER X68000 COLLECTION Ver.3.0』에는 GS 음원판 BGM만 수록되었다. 내장 음원판과 LA 음원판은 오랫동안 CD화되지 않았지만, 2001년 발매된 『악마성 연대기 악마성 드라큘라 오리지널 사운드트랙』에 연대기 어레인지 모드판, GS 음원판과 함께 수록되었다.

D-pad를 사용하여 플레이어는 시몬의 채찍으로 아래에 있는 적을 대각선으로 공격할 수 있습니다.


'''조작'''

기본적인 조작은 패미컴판과 유사하지만, 점프 중 채찍 공격의 방향이 다양해지는 등 일부 개선되었다.[24] 아래 방향키와 공격 버튼을 함께 누르면 채찍을 대각선 아래로 휘두를 수 있어, 아래쪽에 있는 적을 공격하기가 더 쉬워졌다.[7][6]

''악마성 드라큘라''(Akumajō Dracula)는 X68000 하드웨어의 모든 기능을 활용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오리지널 악마성 드라큘라보다 업데이트되고 더 복잡한 게임 엔진을 특징으로 한다.[7][6] 시몬의 메인 무기는 채찍이며, 아이템을 얻으면 단검이나 도끼와 같은 서브 웨폰도 사용 가능하다.[24] 허브라는 새로운 희귀 아이템은 하트와 교환하여 플레이어의 체력을 채울 수 있다.[6][7]

'''서브 웨폰'''

D-pad를 사용하여 플레이어는 시몬의 채찍으로 아래에 있는 적을 대각선으로 공격할 수 있다.[7][6] 이 게임은 오리지널의 모든 특수 아이템과 서브 무기를 유지하면서 하트와 교환하여 플레이어의 체력을 채울 수 있는 허브라는 새로운 희귀 아이템을 도입했다.[6][7]

아이템과 서브 웨폰은 기본적으로 《악마성 드라큘라》(FC판)를 답습하고 있다. ↑ + 공격 버튼으로 다음과 같은 서브 웨폰을 사용할 수 있다.

  • 단검: 전방으로 일직선으로 단검을 던진다. 속도는 빠르지만 공격력은 낮고 관통하지 않는다.
  • 도끼: 상방으로 포물선을 그리며 도끼를 던진다. 속도는 단검보다 느리지만 관통력이 있다.
  • 성수: 전방 대각선 아래로 성수의 병을 던진다. 바닥이나 벽 등에 부딪혀 깨진 병은 불타오른다.
  • 크로스: 전방으로 십자가를 던진다. 화면 끝이나 벽에 닿으면 반대 방향으로 되돌아온다. 속도는 약간 느리지만 관통력이 있다.
  • 회중 시계: 수 초 동안 적의 움직임을 멈춘다. 블록 3 이후의 보스에게는 효과가 없다. 하트 5개 소비.
  • 약초: 라이프를 8 회복한다. 하트 10개 소비.
  • 사슬: 채찍의 길이와 공격력을 2단계로 올리는 파워업용 아이템.


'''난이도'''

《'''캐슬바니아 연대기'''》의 난이도는 상당히 높은 편이다. 특히 1주차 3블록 이후부터는 적에게 한 번만 맞아도 체력이 크게 감소하기 때문에 신중한 플레이가 요구된다.[24] 게임을 클리어하면 난이도가 더 높아진 2회차 플레이가 시작되며, 최대 6회차까지 난이도가 상승한다.[6][7]

2회차 이후에는 적의 출현 수가 증가하고 보스의 공격 빈도가 높아지며, 트랩이 더욱 어려워진다.[24] 6회차에서는 여신상의 피눈물이 콧물로 변하거나 깨지는 거울에 낙서가 있는 등 배경에 유머러스한 요소도 추가된다.

X68000 버전은 최대 난이도 제한에 도달하기 전에 난이도가 증가하는 6번의 연속 플레이를 허용한다.[6][7]

블록블록명BGM[28]보스
1수도원Vampire Killer대박쥐
2지하 수로Thrashard in The Cave스컬 드래곤
3안뜰Wiched Child마법사
4붉은 벽돌 예배당Bloody Tears메두사
5시계탑The Tower of Gears늑대 인간
6공중 복도
인형의 탑
Moon Fight도플갱어
The Tower of Dolls
7고문실
실험실
Etude for The Killer사신
8드라큘라 백작의 탑시몬의 테마드라큘라 백작


2. 1. 조작

기본적인 조작은 패미컴판과 유사하지만, 점프 중 채찍 공격의 방향이 다양해지는 등 일부 개선되었다.[24] 아래 방향키와 공격 버튼을 함께 누르면 채찍을 대각선 아래로 휘두를 수 있어, 아래쪽에 있는 적을 공격하기가 더 쉬워졌다.[7][6]

''악마성 드라큘라''(Akumajō Dracula)는 X68000 하드웨어의 모든 기능을 활용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오리지널 악마성 드라큘라보다 업데이트되고 더 복잡한 게임 엔진을 특징으로 한다.[7][6] 시몬의 메인 무기는 채찍이며, 아이템을 얻으면 단검이나 도끼와 같은 서브 웨폰도 사용 가능하다.[24] 허브라는 새로운 희귀 아이템은 하트와 교환하여 플레이어의 체력을 채울 수 있다.[6][7]

X68000의 기능을 활용하여, CPU 처리 속도에 따라 소프트웨어 회전 처리 정밀도를 변경하는 등의 특수 처리가 이루어졌다. 상위 기종에서는 안뜰의 분수, 시계탑의 톱니바퀴, 드라큘라 백작 탑의 불꽃 등의 움직임이 부드럽게 묘사된다. 시계탑의 대시계 시각은 X68000 내부 시계와 연동되며, 사신 직전 뜯겨지는 벽의 그림은 현실의 계절에 따라 변화한다.[25]

BGM은 X68000 내장 음원(FM 음원 8음 + ADPCM 1음) 또는 MIDI 음원(MIDI 기기 연결 필요)을 선택할 수 있다. MIDI는 롤랜드 MT-32 등의 LA 음원[26]과 SC-55 등의 GS 포맷[27]에 대응한다.

2. 2. 서브 웨폰

D-pad를 사용하여 플레이어는 시몬의 채찍으로 아래에 있는 적을 대각선으로 공격할 수 있다.[7][6] 이 게임은 오리지널의 모든 특수 아이템과 서브 무기를 유지하면서 하트와 교환하여 플레이어의 체력을 채울 수 있는 허브라는 새로운 희귀 아이템을 도입했다.[6][7]

아이템과 서브 웨폰은 기본적으로 《악마성 드라큘라》(FC판)를 답습하고 있다. ↑ + 공격 버튼으로 다음과 같은 서브 웨폰을 사용할 수 있다.

  • 단검: 전방으로 일직선으로 단검을 던진다. 속도는 빠르지만 공격력은 낮고 관통하지 않는다.
  • 도끼: 상방으로 포물선을 그리며 도끼를 던진다. 속도는 단검보다 느리지만 관통력이 있다.
  • 성수: 전방 대각선 아래로 성수의 병을 던진다. 바닥이나 벽 등에 부딪혀 깨진 병은 불타오른다.
  • 크로스: 전방으로 십자가를 던진다. 화면 끝이나 벽에 닿으면 반대 방향으로 되돌아온다. 속도는 약간 느리지만 관통력이 있다.
  • 회중 시계: 수 초 동안 적의 움직임을 멈춘다. 블록 3 이후의 보스에게는 효과가 없다. 하트 5개 소비.
  • 약초: 라이프를 8 회복한다. 하트 10개 소비.
  • 사슬: 채찍의 길이와 공격력[21]을 2단계로 올리는 파워업용 아이템.


2. 3. 난이도

《'''캐슬바니아 연대기'''》의 난이도는 상당히 높은 편이다. 특히 1주차 3블록 이후부터는 적에게 한 번만 맞아도 체력이 크게 감소하기 때문에 신중한 플레이가 요구된다.[24] 게임을 클리어하면 난이도가 더 높아진 2회차 플레이가 시작되며, 최대 6회차까지 난이도가 상승한다.[6][7]

2회차 이후에는 적의 출현 수가 증가하고 보스의 공격 빈도가 높아지며, 트랩이 더욱 어려워진다.[24] 6회차에서는 여신상의 피눈물이 콧물로 변하거나 깨지는 거울에 낙서가 있는 등 배경에 유머러스한 요소도 추가된다. 적의 공격 1회로 감소하는 라이프량은 1회차의 블록 1에서는 2, 블록 2에서는 3, 블록 3 이후와 2회차 이후는 4가 된다.[24]

X68000 버전은 최대 난이도 제한에 도달하기 전에 난이도가 증가하는 6번의 연속 플레이를 허용한다.[6][7]

3. 개발

X68000판 《악마성 드라큘라》는 패미컴판 《캐슬바니아》의 게임성을 계승하면서 X68000의 향상된 하드웨어 성능을 최대한 활용하여 그래픽과 사운드를 대폭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코나미의 소규모 개발팀에 의해 제작되었다.[8][7] 개발팀은 분수에서 흐르는 물, 시계탑의 복잡한 톱니바퀴 등 더 부드러운 애니메이션과 더 상세한 환경을 도입했다.[8] 개발 도중 X68030 프로세서가 출시되면서, 개발팀은 새로운 하드웨어에 맞춰 게임을 미세 조정하여 더욱 부드러운 애니메이션과 향상된 시각 효과를 구현했다.[8]

개발은 팀원 개개인이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피드백을 받는 협업적이고 반복적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8] 개발팀은 다양한 하드웨어 사양을 수용하고 X68000의 기능을 최대한 활용하는 복잡한 디자인 요소를 포함해야 하는 어려움에 직면했다.[8]

플레이스테이션으로 재출시된 《캐슬바니아 연대기》는 X68000판을 확장하여 새로운 렌더링 인트로 및 엔딩, 코지마 아야미의 새로운 캐릭터 디자인, 향상된 그래픽 및 사운드 효과, 조정 가능한 난이도 레벨을 포함한다.[9][7]

본작은 프로그래머 2명(우에다・후루야), 디자이너 2명(이토・야다)의 4명만의 프로젝트로 개발되었으며, 디자이너도 기획이나 스케줄 관리 등 여러 가지를 했다고 한다[29]

본작의 디스크 내 문서에는 개발팀 전원이 X68000에서의 개발은 처음이었다는 점, 개발자들의 "어렵다", "익숙해지면 노 컨티뉴로 1주 할 수 있다"는 등의 감상, 개발자가 같은 슈퍼 패미콤의 『아쿠스레이』의 선전, 작곡가인 나카무라・코바야시에게 있어서 코나미 입사 후의 데뷔작이라는 등의 개발 스탭들의 코멘트가 기재되어 있다.

Oh!X에서의 개발자 인터뷰에서는, 첫 번째 패미컴의 악마성 드라큘라가 가장 좋았다고 생각했기에 그것을 답습하여 만들었다는 점과, 6회차 플레이 배경 등의 부분에 대해, 개발자 각자가 마음대로 넣은 기믹으로 구현에 대해서는 정보를 공유하지 않았고, 마스터 업 전에 각자 자백한 다음, 문제가 있는 것은 제거했다는 등의 이야기가 있다.

4. 음악

X68000판 《악마성 드라큘라》의 음악은 시스템의 진보된 오디오 기능을 최대한 활용하여 작곡되었으며, 선택한 사운드 모듈에 따라 플레이어에게 풍부한 청각적 경험을 제공했다.[8] 이 게임은 X68000의 기본 FM 신시사이저(Yamaha YM2151)뿐만 아니라 Roland LA(MT-32, CM-32L, CM-64) 및 Roland GS(SC-55, SC-33, SC-155, CM-300, CM-500)와 같은 여러 MIDI 모듈을 지원했다.[8]

사운드트랙 자체는 이러한 사운드 모듈의 잠재력을 최대한 보여주기 위해 시리즈의 새로운 작곡과 재편곡된 클래식의 조합을 특징으로 했다.[8] 작곡가 중 한 명인 코바야시 히로시/코바야시 히로시일본어는 X68000 플랫폼에서 작업하는 것의 어려움과 흥미를 언급했다.[8] 개발팀은 또한 다양한 장치에서 사운드 품질이 가변적이기 때문에 공식적으로 광고되지 않은 General MIDI를 활성화하는 비밀 옵션을 통합했다.[8]

플레이스테이션판에서는 "어레인지 모드"를 위한 새로운 음악이 추가되었으며, 일본 코나미 주식회사의 스태프 작곡가인 후지모리 소타/후지모리 소타일본어가 "캐슬바니아 연대기"의 사운드트랙을 "어레인지 모드"로 새롭게 편곡했다.[10]

X68000판의 오리지널 음악도 선택하여 들을 수 있도록, 플레이 시작 시 X68000 내장 음원・CM-64(LA 음원)・SC-55/CM-300(GS 음원)의 3종류 중에서 고를 수 있다.

5. 평가

《악마성 드라큘라》와 플레이스테이션 리메이크작 《캐슬바니아 연대기》는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우에다 히데오 감독은 엽서를 통해 수집된 플레이어들의 피드백이 게임을 칭찬하는 내용이 많았지만, 높은 난이도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있었다고 언급했다.[8] 이러한 도전적인 측면은 리뷰에서도 강조되었으며, 《일렉트로닉 게이밍 먼슬리》는 게임의 근본에 충실한 "짜증나게 좋은 난이도"와 오리지널 《캐슬바니아》의 매력을 유지하는 "멋진 엑스트라"에 대해 호평했다.[14] 또한, IGN과 같은 주요 게임 매체는 게임이 재미있고 시리즈의 사랑받는 전통적인 공식을 잘 따르고 있으며, 신선하게 느껴질 만큼 충분한 새로운 요소를 도입하면서 오리지널 게임의 본질을 성공적으로 포착했다고 칭찬했다.[15]

모든 피드백이 일관되게 긍정적이었던 것은 아니다. GameSpot은 플레이스테이션 버전에 대해 재플레이 가치의 부족과 구식 그래픽을 비판하며 6.1점의 적당한 점수를 부여했다.[17] 이러한 평가는 GamePro의 호의적인 리뷰에서도 어느 정도 반영되었으며, 프랜차이즈에 익숙하지 않은 게이머는 플랫폼을 넘나드는 메커니즘이 더 현대적인 게임에 비해 구식이라고 느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Cinescape의 제임스 스티븐슨과 같은 다른 평론가들은 복고풍 디자인을 해로운 것이 아닌 매력적인 것으로 여기고, B+ 등급을 부여하며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가치를 높이 평가했다.[18] PSX Nation의 J.M 바르가스는 게임에 80%의 점수를 부여하고 "처음부터 끝까지 힘든 작품이다. 1997년의 《악마성 드라큘라 X: 월하의 야상곡》보다 더 단순하고, 촘촘하며, 더 나은 페이스와 중독성을 가진 구식 횡스크롤 어드벤처다."라고 결론지었다.[19]넥스트 제너레이션 (잡지)》의 스콧 스타인버그 또한 긍정적인 논평을 하여, 《캐슬바니아》 수집가에게 훌륭한 콘텐츠이며 더 넓은 청중을 위한 고전 게임의 칭찬할 만한 실험이라고 묘사하며, 최종적으로 별 다섯 개 중 세 개를 부여했다.[20]

5. 1. 비판적인 시각

GameSpot은 플레이스테이션 버전에 대해 재플레이 가치가 부족하고 그래픽이 구식이라고 비판하며 10점 만점에 6.1점이라는 낮은 점수를 부여했다.[17] 일부 평론가들은 플랫폼을 넘나드는 메커니즘이 현대 게임에 비해 구식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18]

참조

[1] 웹사이트 Castlevania Chronicles heads stateside https://www.gamespot[...] 2023-11-23
[2] 웹사이트 悪魔城年代記 悪魔城ドラキュラ https://www.konami.c[...] Konami 2020-08-16
[3] 웹사이트 The History of Castlevania http://www.gamespot.[...] GameSpot 2008-10-09
[4] 웹사이트 Castlevania Chronicles Preview http://www.gamespot.[...] GameSpot 2008-10-09
[5] 웹사이트 Castlevania Chronicles MobyGames https://www.mobygame[...] MobyGames 2016-08-31
[6] 서적 Castlevania Chronicles North American instruction manual Konami
[7] 웹사이트 Castlevania Chronicles Preview http://www.gamespot.[...] GameSpot 2008-10-09
[8] 웹사이트 Akumajou Dracula x68000 developer interview https://shmuplations[...] shmupulations 2024-05-13
[9] 웹사이트 Castlevania Chronicles Codes http://www.gamespot.[...] GameSpot 2008-10-09
[10] 웹사이트 Akumajo Dracula Castlevania Chronicles Original Soundtrack https://www.squareen[...] 2013-02-05
[11] 웹사이트 Castlevania Chronicles – Review http://allgame.com/g[...] Allgame 2013-08-19
[12] 웹사이트 Castlevania Review http://uk.gamespot.c[...] GameSpot 2013-08-19
[13] 웹사이트 Castlevania Chronicles Review https://web.archive.[...]
[14] 간행물 Electronic Gaming Monthly 2001-11
[15] 웹사이트 Castlevania Chronicles http://psx.ign.com/a[...] IGN 2008-02-07
[16] 웹사이트 Castlevania Chronicles Review Score http://www.gameranki[...]
[17] 웹사이트 Castlevania Chronicles http://www.gamespot.[...] GameSpot 2008-02-07
[18] 웹사이트 Castlevania Chronicles: The reborn classic for the PlayStation https://web.archive.[...] Cinescape 2008-02-07
[19] 웹사이트 Castlevania Chronicles https://web.archive.[...] PSX Nation 2008-02-07
[20] 잡지 Finals Imagine Media 2001-11
[21] 서적 電撃王 通巻7号 メディアワークス 1993-08-01
[22] 웹사이트 悪魔城ドラキュラシリーズ総合サイトの作品紹介 http://www.konami.jp[...]
[23] 문서 本作のパッケージ箱の説明より
[24] 서적 週刊ファミ通 No.651 株式会社エンターブレイン 2001-06-08
[25] 문서 本作のディスク内のドキュメントより
[26] 문서 MT-32、CM-32L、CM-64に対応
[27] 문서 SC-55、CM-300、CM-500、SC-33、SC-155に対応
[28] 기타 X68000版悪魔城ドラキュラのサントラCD「MIDI POWER Ver.3.0 X68000コレクション」より
[29] 웹사이트 Gpara.com:データベース/クリエイターベース:矢田凡成さん/メトロ http://www.gpara.com[...] Gpara.com 2002-08-23
[30] 서적 電撃PlayStation Vol.165 メディアワークス 2001-01-12
[31] 비디오 게임 Castlevania Chronicles Konami of America, Inc. 2001-10-08
[32] 웹인용 The History of Castlevania http://www.gamespot.[...] GameSpot 2008-10-09
[33] 웹인용 Castlevania Chronicles Preview http://www.gamespot.[...] GameSpot 2001-10-01
[34] 웹인용 Castlevania Chronicles – Review http://allgame.com/g[...] Allgame 2013-08-19
[35] 웹인용 Castlevania Review http://uk.gamespot.c[...] GameSpot 2013-08-19
[36] 웹인용 Castlevania Chronicles http://psx.ign.com/a[...] IGN 2001-10-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