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캐피틀 리미티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캐피톨 리미티드는 워싱턴 D.C.와 시카고를 연결하는 암트랙의 장거리 열차이다. 1923년부터 1971년까지 B&O 트레인이 운행했던 캐피톨 리미티드를 1981년 암트랙이 부활시켜 현재의 노선으로 운행을 시작했다. 현재는 CSX, 노포크 서던 철도, 암트랙의 선로를 사용하며 워싱턴 D.C.에서 시카고까지 16개 역에 정차한다. 2층 슈퍼라이너 객차를 사용하며, GE P40DC/P42DC 또는 지멘스 ALC-42 기관차를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웨스트버지니아주의 여객 철도 - MARC 트레인
    MARC 트레인은 워싱턴 D.C.의 유니언 역을 기점으로 메릴랜드 주를 중심으로 운행하는 통근 열차 시스템으로, 브런즈윅 선, 캠든 선, 펜 선의 세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 웨스트버지니아주의 여객 철도 - 카디널 (암트랙)
    카디널은 암트랙이 뉴욕과 시카고를 연결하는 장거리 열차로, 과거 철도 노선의 통합 후신이며 아름다운 경치를 자랑하는 노선으로, 현재 주 3회 운행되지만 암트랙은 매일 운행을 목표로 개선 중이다.
  • 오하이오주의 여객 철도 - 레이크 쇼어 리미티드
    레이크 쇼어 리미티드는 1971년 암트랙 설립과 함께 시카고, 뉴욕, 보스턴을 잇는 장거리 여객 열차로 운행을 시작하여, 역사적 변화와 노선 변경 등을 거치며 현재는 뉴욕 펜실베이니아 역과 보스턴 사우스역을 종착역으로 운행하고 있고, 식당 서비스 개선 및 역 추가 계획 등이 진행 중이다.
  • 오하이오주의 여객 철도 - 카디널 (암트랙)
    카디널은 암트랙이 뉴욕과 시카고를 연결하는 장거리 열차로, 과거 철도 노선의 통합 후신이며 아름다운 경치를 자랑하는 노선으로, 현재 주 3회 운행되지만 암트랙은 매일 운행을 목표로 개선 중이다.
  • 인디애나주의 여객 철도 - 레이크 쇼어 리미티드
    레이크 쇼어 리미티드는 1971년 암트랙 설립과 함께 시카고, 뉴욕, 보스턴을 잇는 장거리 여객 열차로 운행을 시작하여, 역사적 변화와 노선 변경 등을 거치며 현재는 뉴욕 펜실베이니아 역과 보스턴 사우스역을 종착역으로 운행하고 있고, 식당 서비스 개선 및 역 추가 계획 등이 진행 중이다.
  • 인디애나주의 여객 철도 - 미시간 서비스
    미시간 서비스는 앰트랙 설립 이전 민간 철도 회사들이 운영하던 미시간주 내 시외 여객 서비스를 계승하여 현재는 울버린, 블루 워터, 페어 마케트 등의 노선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고속철도 지정을 통해 노선 개선 및 확장이 추진 중이다.
캐피틀 리미티드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노선 종류장거리 철도
운행 지역미국 동부
이전 노선쉐넌도어
임시 통합플로리디안
첫 운행1981년 10월 1일
마지막 운행2024년 11월 9일
운행 회사암트랙
노선 번호29, 30
기점워싱턴 D.C.
경유역 수14
종점시카고, 일리노이 주
노선 거리1,260 km
소요 시간17시간 30분
운행 빈도매일
평균 속도72 km/h (정차 시간 포함)
최고 속도127 km/h
소유주CSX, NS
2019년 7월, 포인트 오브 락스 근처를 지나는 캐피틀 리미티드
2019년 7월, 포인트 오브 락스 근처를 지나는 캐피틀 리미티드
서비스 정보
등급코치 클래스
침대차 서비스
접근성열차 하층, 모든 역
침대차룸메트 (2인용 침대)
침실 (2인용 침대)
침실 스위트 (4인용 침대)
접근 가능한 침실 (2인용 침대)
가족 침실 (4인용 침대)
식사식당차
카페
편의 시설관광 라운지 차량
수하물머리 위 선반, 일부 역에서 수하물 탁송 가능
차량 정보
기관차GE 제네시스
지멘스 ALC-42
객차슈퍼라이너
통계
연간 승객 수226,597명

2. 역사 및 현황

이 열차는 1923년부터 1971년까지 B&O 트레인이 캐피톨 리미티드를 운행했으나, 암트랙 설립과 함께 폐지되었다.[31] 1981년 10월 1일, 암트랙은 워싱턴 D.C.신시내티를 연결하던 ''Shenandoah''의 운행을 중단하고, ''캐피톨 리미티드''의 운행을 재개했다.[3] 초기에는 피츠버그 동쪽 구간은 B&O 시절 노선을, 서쪽 구간은 펜실베이니아 철도의 피츠버그, 포트웨인 앤드 시카고 철도를 통해 시카고-뉴욕 간 ''Broadway Limited영어''와 연결 운행했으며, 헤리티지 플릿 객차를 사용했다.[3][4] 열차 번호는 440번(동행)과 441번(서행)이었다.[3]

1984년 말, 새로운 암플릿 II 객차로 교체되었으나, 피츠버그 동쪽 구간의 식당차 운영은 중단되었다.[32] 1986년 10월 26일부터는 ''Broadway Limited영어''와 분리되어 독립 노선으로 운행하기 시작했다. 이때 피츠버그 동쪽 구간 식당차가 다시 운영되었고, 열차 번호는 29번과 30번으로 변경되었다.

1990년 11월 12일, 컨레일의 노선 일부 폐기 계획에 따라 오하이오주 앨라이언스 서쪽 구간의 경로가 변경되어, 앨라이언스에서 북쪽으로 허드슨을 거쳐 클리블랜드로 운행하게 되었다. 1994년 10월에는 2층 슈퍼라이너 II 객차가 도입되었고, 노선이 다시 변경되어 이전 뉴욕 센트럴 철도의 워터 레벨 노선을 통해 클리블랜드, 톨레도, 엘크하트를 경유하게 되었으며, 이 노선이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5][6][33][34]

1978년의 ''Shenandoah'', ''캐피톨 리미티드''의 전신


1996년 2월 16일, 메릴랜드주 실버스프링 서쪽에서 눈 덮인 선로를 서행하던 ''캐피톨 리미티드''가 MARC 트레인 통근 열차와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MARC 열차에 타고 있던 11명이 사망했다.[7]

1996년 메릴랜드 실버스프링에서 ''캐피톨 리미티드''와 MARC 통근 열차의 충돌


2014년 11월, 암트랙은 CSX노퍽 서던의 화물 열차 운행 간섭으로 인해 ''캐피톨 리미티드''의 지연이 빈번하게 발생하자 표면 운송 위원회에 공식적으로 문제를 제기했다.[8]

2018년 6월 1일부터 열차 내 식당칸에서 조리하여 제공하는 식사 서비스가 중단되고, 대신 침대칸 승객에게는 주로 차갑게 포장된 도시락 형태의 식사가 제공되었다.[9][10] 2019년 1월부터는 이 서비스가 개선되어, 아침에는 오트밀이나 샌드위치 같은 따뜻한 메뉴를 포함한 컨티넨탈 뷔페가 제공되고, 점심과 저녁에는 여러 가지 따뜻한 메인 요리가 제공되기 시작했다.[11]

2020년 10월, 코로나19 범유행의 영향으로 다른 장거리 노선들과 마찬가지로 운행 횟수가 일주일에 3회로 축소되었다.[12] 하지만 미국 구조 계획법에 따른 자금 지원으로 2021년 5월 31일부터 다시 매일 운행하게 되었다.[13]

2024년 11월 10일부터는 장비 부족 문제와 이스트 리버 터널 보수 공사 계획에 따라 임시적으로 실버 스타와 통합되어 시카고-워싱턴-마이애미를 운행하는 플로리디언 노선으로 운행된다.[14]

2. 1. Through Cars (연결 객차)

1984년부터 1986년까지, 그리고 다시 1991년부터 1993년까지 기간 동안 ''캐피틀 리미티드''는 시카고마이애미를 연결하는 객차를 운행했다. 이 객차는 워싱턴 D.C.에서 뉴욕-마이애미 간을 운행하는 ''실버 스타'' 열차와 서로 교환되었다.

또한 1997년과 1998년 사이의 일부 기간에는 로스앤젤레스시카고를 매일 운행하는 ''사우스웨스트 치프'' 열차와 연결 운행되기도 했다. 두 열차는 동일한 슈퍼라이너 객차를 사용했기 때문에, 승객들은 시카고에서 열차를 갈아탈 필요 없이 그대로 탑승해 여정을 이어갈 수 있었다. 암트랙은 당초 이 연결 운행에 "''내셔널 치프''"라는 이름과 별도의 열차 번호(15/16)를 부여할 계획이었으나, 실제로는 사용되지 않았다. 이 연결 운행 방식은 1998년 5월 시간표 개정을 통해 중단되었다.[15][16][17]

2. 2. 과거 정차역

1985년 펜실베이니아주 맥키스포트의 PATrain. 캐피톨 리미티드도 1982년부터 1991년까지 이 역을 이용했다.


''캐피톨 리미티드''의 원래 피츠버그 서쪽 노선에는 오하이오주의 캔턴, 크레스트라인, 리마와 인디애나주의 포트웨인, 발파라이소, 게리 등의 정차역이 포함되어 있었다. 암트랙은 1985년 4월 28일에 게리에서의 정차를 중단했으며, 1986년 4월 27일에는 발파라이소와 포트웨인 사이에 위치한 와르소를 정차역으로 추가했다.

그러나 1990년 11월 11일, 암트랙이 ''캐피톨 리미티드''의 노선을 톨레도를 경유하는 북쪽으로 변경하면서 캔턴, 크레스트라인, 리마, 포트웨인, 발파라이소, 와르소는 모두 운행 서비스를 잃게 되었다.[21] 노선 변경 후 1년 동안, 포트웨인과 워털루 사이에는 전용 버스 연결편이 제공되었다.

한편, 1982년 3월 2일부터 1991년 4월 7일 사이에는 피츠버그 남동쪽 모농가헬라 계곡에 위치한 맥키스포트에도 정차했다. 당시 앨러게니 카운티 항만청은 맥키스포트와 피츠버그 시내 간 "PATrain" 통근 열차를 운행했으나, 1989년에 낮은 이용객 수를 이유로 해당 서비스를 종료했다. 암트랙 역시 맥키스포트 역의 이용객 수가 적다는 이유로(마지막 운행 몇 달 동안 열차당 평균 한 명의 승객만 이용) 1991년에 정차를 중단했다.[22][23] 이후 역의 플랫폼 선로는 철거되었고, 해당 시설은 버스 터미널로 전환되었다.

3. 운행 노선

암트랙의 주요 장거리 열차 노선 중 하나로, 워싱턴 D.C.의 유니언역과 시카고의 유니언역을 연결한다. 총 16개 역에 정차하며, 워싱턴 D.C.에서 피츠버그 구간은 역사적인 B&O 노선을, 이후 시카고까지는 비교적 평탄한 지형을 따라 운행한다.[24]

1994년 슈퍼라이너 차량 도입과 함께 노선이 일부 변경되어 클리블랜드, 톨레도, 엘크하트 등을 경유하게 되었다.[5][6]

2024년 11월 10일부터는 장비 부족 및 이스트 리버 터널 재건 계획 등의 이유로 실버 스타 노선과 통합되어, 시카고-워싱턴 D.C.-마이애미를 운행하는 플로리디언 열차의 일부로 임시 운행되고 있다.[14] 자세한 노선 정보와 정차역 목록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노선 정보

''캐피틀 리미티드'' 노선도


워싱턴 D.C.피츠버그 사이에서, ''캐피틀 리미티드''는 주로 가파른 경사면으로 둘러싸인 좁은 강 계곡을 따라 역사적인 B&O 노선을 따라 운행한다. 주로 워싱턴에서 포토맥강을 따라 컴벌랜드까지, 그리고 윌스 크릭을 따라 마이어스데일 바로 전까지, 그리고 요기오게니 강을 따라 피츠버그로 가는 대부분의 경로를 따라간다. 철도 트레일이 이 노선의 대부분과 나란히, 종종 반대편 강둑에 있다. 오하이오부터 노선은 직선화되고 평탄해진다.[24]

서행 열차는 오후 러시아워 전에 워싱턴을 출발하여 아침에 시카고에 도착했으며, 동행 열차는 저녁 일찍 시카고를 출발하여 오후 초에 워싱턴에 도착했다.

''캐피틀 리미티드''는 다음의 암트랙, CSX, 및 노포크 서던(NS) 선로를 운행한다.

운영사구간노선/서브디비전
암트랙워싱턴 D.C.워싱턴 유니언 역 (노스이스트 회랑 일부)
CSX워싱턴 D.C. – 피츠버그메트로폴리탄 서브디비전, 컴벌랜드 서브디비전, 컴벌랜드 터미널 서브디비전, 키스톤 서브디비전, 피츠버그 서브디비전, P&W 서브디비전
노포크 서던 (NS)피츠버그 – 앨라이언스피츠버그선, 포트웨인선
노포크 서던 (NS)앨라이언스 – 클리블랜드클리블랜드선
노포크 서던 (NS)클리블랜드 – 시카고시카고선 (구 워터 레벨 루트)
암트랙시카고시카고 유니언 역


3. 2. 정차역 목록

Pennsylvania Station오하이오주얼라이언스얼라이언스역Alliance클리블랜드클리블랜드역Cleveland Lakefront Station일리리아일리리아역Elyria샌더스키샌더스키역Sandusky톨레도톨레도역Martin Luther King, Jr. Plaza (Toledo)인디애나주워털루워털루역Waterloo엘크하트엘크하트역Elkhart사우스벤드사우스벤드역South Bend일리노이주시카고시카고 유니언역Union Station (Chicago)

[28][29]

4. 차량

슈퍼라이너 객차를 갖춘 전형적인 ''캐피틀 리미티드''


캐피틀 리미티드는 1984년 말 새로운 암플릿 II 객차로 재장비되었으나, 1994년 10월에 2층 슈퍼라이너 II 차량으로 다시 교체되었다.[5][6] 현재도 2층 슈퍼라이너 장비를 사용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의 일반적인 ''캐피틀 리미티드'' 열차 구성은 다음과 같다.

팬데믹으로 인한 운행 축소 기간에는 트랜지션 침대칸, 관광 라운지, 코치 1량이 운행에서 제외되었다. 또한 2023년 초, 윈터 파크 익스프레스의 운행 시작과 캐나다 내셔널 철도가 일리니 및 살루키 노선에 슈퍼라이너 차량 운행을 요구하면서 슈퍼라이너 차량 부족 현상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침대칸 1량과 코치 1량이 추가로 제외되기도 했다.[25]

암트랙은 2023년부터 노후화된 P40DC 및 P42DC 기관차를 지멘스 ALC-42 기관차로 교체하기 시작했다.[26]

5. 사진

매그놀리아 컷오프를 지나는 암트랙 30호


포토맥 강을 건너는 암트랙 30호


캐피톨 리미티드


메릴랜드주 포인트 오브 록스를 지나는 캐피톨 리미티드 29호

참조

[1] 웹사이트 Amtrak Timetable Results https://www.amtrak.c[...] 2021-12-20
[2] 웹사이트 Amtrak FY23 Ridership https://media.amtrak[...]
[3] 웹사이트 National Train Timetables http://www.timetable[...] 2010-05-22
[4] 서적 Canton Area Railroads https://books.google[...] Arcadia
[5] 웹사이트 National Timetable http://www.timetable[...] 2010-05-23
[6] 뉴스 Superliner introduces travel to Chicago-Toledo-Washington https://news.google.[...] 2010-05-23
[7] 웹사이트 Collision in Silver Spring MARC-Amtrak tragedy https://www.baltimor[...] 2012-04-24
[8] 뉴스 Amtrak files complaint with STB over Capitol Limited performance http://www.railwayag[...] 2015-03-04
[9] 간행물 New and Contemporary Dining Soon on Two Amtrak Routes https://web.archive.[...] 2018-04-24
[10] 뉴스 New and Contemporary Dining Soon on Two Amtrak Routes - Amtrak Media https://web.archive.[...] 2018-07-13
[11] 웹사이트 "'Lake Shore', 'Capitol' get hot entrees; coach passengers left in the cold" https://web.archive.[...] 2019-01-18
[12] 웹사이트 Amtrak to end daily service on most long-distance routes starting in October https://www.chicagot[...] 2020-06-18
[13] 웹사이트 With Increased Demand and Congressional Funding, Amtrak Restores 12 Long Distance Routes to Daily Service https://media.amtrak[...] 2021-03-27
[14] 간행물 Amtrak Launching the Floridian, with Daily Service Between Chicago and Miami https://media.amtrak[...] Amtrak 2024-09-23
[15] 웹사이트 Amtrak National Timetable http://www.timetable[...] 2010-03-14
[16] 웹사이트 Amtrak National Timetable http://www.timetable[...] 2010-03-14
[17] 웹사이트 Amtrak National Timetable http://www.timetable[...] 2010-03-14
[18] 간행물 Amtrak Trains Under the Microscope in 2010 2010-07-01
[19] 웹사이트 PRIIA Section 210 FY10 Performance Improvement Plan Capitol Limited http://trn.trains.co[...] Amtrak 2010-11-13
[20] 간행물 Amtrak's Improvement Wish List 2011-01-01
[21] 뉴스 "'Train Town USA' loses rail service after 146 years" https://news.google.[...] 2010-05-23
[22] 뉴스 Amtrak D.C. Train Stops In McKeesport https://news.google.[...] 2010-05-23
[23] 뉴스 Amtrak to end McKeesport stop on Capitol Limited https://news.google.[...] 2010-05-23
[24] 웹사이트 Capitol Limited Route Guide https://www.amtrak.c[...] 2018-02-06
[25] 뉴스 Short consists constrain Capitol Limited while empty Superliners run on Midwest route: Analysis https://www.trains.c[...] 2024-11-30
[26] 웹사이트 Amtrak New Fleet Acquisition Updates https://ngec.org/wp-[...] Next Generation Corridor Equipment Pool Committee 2024-02-01
[27] 문서 英語版を参照
[28] 문서 英語版を参照
[29] 웹사이트 Capitol Limited http://www.amtrak.co[...] 2012-02-02
[30] 웹인용 Amtrak Ridership Rolls Up Best-Ever Records http://www.amtrak.co[...] 암트랙 2012-02-07
[31] 웹인용 National Train Timetables https://web.archive.[...] 2010-05-22
[32] 서적 Canton Area Railroads https://books.google[...] Arcadia
[33] 웹인용 National Timetable https://web.archive.[...] 2010-05-23
[34] 뉴스 Superliner introduces travel to Chicago-Toledo-Washington https://news.google.[...] Toledo Blade 2010-05-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