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뉴욕 센트럴 철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뉴욕 센트럴 철도는 1853년 여러 철도 회사의 합병으로 설립되어, 1968년 펜실베이니아 철도에 합병될 때까지 미국 북동부 지역을 중심으로 운행되었다. 이 회사는 에라스투스 코닝, 코넬리우스 밴더빌트, 알프레드 E. 펄먼 등 시대를 대표하는 인물들의 경영 하에 노선을 확장하고 기술 혁신을 이루었으나, 과도한 규제, 자동차와의 경쟁 심화, 1959년 세인트로렌스 수로 개통 등의 요인으로 쇠퇴를 겪었다. 결국 펜실베이니아 철도와의 합병 이후 펜 센트럴 철도로 운영되었으나, 1970년 파산하면서 암트랙과 콘레일에 여객 및 화물 운송 사업이 각각 인수되었고, 현재는 CSX 교통과 노퍽 서던 철도에 의해 일부 노선이 운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8년 해체된 철도 기업 - 펜실베이니아 철도
    펜실베이니아 철도는 1846년 설립되어 미국 동부 철도망을 확장하고 주요 열차를 운행했으며, 전철화를 통해 효율성을 높였으나 경영난을 겪다가 1968년 뉴욕 센트럴 철도와 합병하여 펜 센트럴 철도가 되었다.
뉴욕 센트럴 철도 - [회사]에 관한 문서
개요
뉴욕 센트럴 헤럴드
뉴욕 센트럴 헤럴드
보고 마크NYC
회사 정보
철도 회사 명칭뉴욕 센트럴 철도
로고 파일명New York Central Herald.png
설립자에라스터스 코닝
존 V. L. 프루인
천시 비바드
주요 인물코넬리우스 밴더빌트 (소유주 (1867–1877) & 사장 (1869–1877))
천시 드퓨 (사장 (1885–1898) & 이사회 의장 (1898–1928))
관할 지역일리노이주
인디애나주
켄터키주
매사추세츠주
미시간주
미주리주
뉴저지주
뉴욕주
오하이오주
온타리오주
펜실베이니아주
퀘벡주
버몬트주
웨스트버지니아주
시작 연도1853년 5월 17일
종료 연도1968년 1월 31일
계승 철도 회사펜 센트럴 교통 회사
궤간1,435 mm (표준궤)
본사 위치뉴욕 센트럴 빌딩, 뉴욕, 뉴욕주
웹사이트NYCSHS – 뉴욕 센트럴 시스템 역사 협회
노선 정보
노선 길이 (1926년)18,643 km
1918년 뉴욕 센트럴 철도 시스템 지도
1918년 뉴욕 센트럴 철도 시스템 지도
추가 정보

2. 역사적 배경

2. 1. 뉴욕 센트럴 철도 이전 (1826년 ~ 1853년)

뉴욕 센트럴 철도의 기원은 19세기 초 뉴욕주 올버니와 스케넥터디를 잇는 모호크 앤 허드슨 철도(Mohawk and Hudson Railroad)로 거슬러 올라간다.[3][4] 이 철도는 뉴욕주 최초의 영구적인 철도 노선이자, 미국에서도 초기 철도 중 하나였다. 1826년에 설립된 이 철도는 화물과 승객들이 이리 운하의 복잡한 수문을 피해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했다. 1831년 8월 9일, 첫 증기 기관차인 ''드위트 클린턴''이 운행을 시작했다. 1847년, 이 철도는 올버니 앤 스케넥터디(Albany and Schenectady)로 이름을 변경했다.[5]

유티카 앤 스케넥터디 철도는 1833년 설립되어 1836년 영업을 시작, 올버니 앤 스케넥터디 철도의 노선을 유티카까지 연장했다. 이리 운하와 나란히 건설되었기 때문에 초기에는 화물 운송이 금지되었으나, 1844년 일부 제한적인 화물 운송이 허가되었고 1847년에는 완전히 허용되었다.[7]

시러큐스 & 유티카 철도는 1836년 설립되어 1839년 시러큐스까지 노선을 개통했다. 이 노선은 이리 운하 근처를 지나 로마를 경유하는 우회 노선이었기 때문에, 1853년 시러큐스 & 유티카 직통 철도가 설립되었으나 실제로 건설되지는 않았다.

오번 앤드 시러큐스 철도는 1834년 설립되어 1838년 대부분 개통되었고, 1839년 시러큐스 앤드 유티카 철도 개통으로 올버니에서 오번까지 연결되었다. 오번 앤드 로체스터 철도는 1836년 설립되어 1841년 로체스터까지 노선을 연장했다. 두 회사는 1850년 합병하여 로체스터 앤드 시러큐스 철도가 되었지만, 우회 노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로체스터 앤드 시러큐스 직통 철도가 설립되어 1853년 개통되었다.

토나완다 철도는 1832년 설립되어 로체스터에서 아티카까지 연결되었다. 1837년 로체스터-배이티비아 구간, 1843년 아티카까지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아티카 앤 버팔로 철도는 1836년 설립되어 1842년 개통, 버팔로와 아티카를 연결했다. 1844년, 토나완다 철도가 로체스터 연결 노선을 건설하여 올버니-버팔로 간 철도망이 완성되었다. 1850년, 토나완다 철도와 아티카 앤 버팔로 철도는 합병하여 버팔로 앤 로체스터 철도가 되었다.

스케넥터디 앤 트로이 철도는 1836년 설립, 1842년 개통되어 트로이와 스케넥터디를 연결했다.

로크포트 앤드 나이아가라 폴스 철도는 1834년 설립, 1838년 이리 운하의 로크포트에서 나이아가라 폭포 구간을 개통했다. 1850년 로체스터, 로크포트 앤드 나이아가라 폴스 철도로 재편, 1852년 로체스터까지 연장되었다.[8] 버펄로 앤드 록포트 철도는 1852년 설립, 1854년 록포트에서 토나완다를 거쳐 버팔로까지 연결되었다.

1853년, 올버니의 실업가이자 모호크 밸리 철도 소유주였던 에라스투스 코닝의 주도로, 위에 언급된 10개의 철도 회사들이 합병하여 뉴욕 센트럴 철도가 탄생했다.

2. 2. 뉴욕 센트럴 철도 설립 (1853년)

1853년, 올버니의 사업가이자 모호크 밸리 철도 소유주인 에라스투스 코닝은 여러 철도들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하는 계획을 추진했다. 3월 17일, 각 회사의 임원과 주주들이 합병에 동의했고, 4월 2일에 주의회에서 승인되면서, 5월 17일 뉴욕 센트럴 철도가 설립되었다.

1853년 8월 1일에 발행된 뉴욕 센트럴 철도 회사 채권, 에라스투스 코닝이 서명함


얼마후, 버팔로 앤 스테이트 라인 철도와 이리 앤 노스 이스트 철도는 광궤에서 표준궤로 변경하여 버팔로의 철도와 직접 연결되어 펜실베이니아주 이리까지의 직통 노선을 제공했다.

는 1852년에 설립되어 1853년 가을에 개통했다. 이 노선은 후에 뉴욕 센트럴 철도의 일부가 된 로체스터 록포트 앤드 나이아가라폴스 철도에 임대되었고, 1855년에 뉴욕 센트럴 철도에 합병되어 로체스터에서 북쪽으로 온타리오 호에 면한 까지의 지선이 되었다.

버팔로 앤드 나이아가라폴스 철도 역시 1855년에 뉴욕 센트럴 철도에 합병되었다. 이 철도는 1834년에 노선 특허를 받아 1837년에 개통하여 버팔로와 나이아가라 폭포를 잇는 노선을 영업했으며, 1853년에 뉴욕 센트럴 철도에 임대되었다.

1855년에는 나이아가라 폭포에서 북쪽으로 까지 운행했던 루이슨 철도(Lewiston Railroad)도 합병되었다. 1836년에 노선 특허를 받아 1837년에 개통되었으며, 1854년에 남쪽으로 연장되어 버팔로 앤드 나이아가라폴스 철도와 연결된후, 노선은 뉴욕 센트럴 철도에 임대되었다.

캐낸디구아 앤드 나이아가라폴스 철도(Canandaigua and Niagara Falls Railroad)는 1851년에 노선 특허를 받았다. 1853년에 오번 철도와 연결되는 캐낸디구아에서 서쪽으로 배터비아까지의 첫 구간이 개통되었다. 또한 서쪽으로 노스 토와난다까지 그해 안에 개통되었고, 1854년에는 나이아가라 폭포까지 개통되어 로 연결되었다. 뉴욕 센트럴 철도는 이 회사가 1858년에 도산했을 때 매수하여 나이아가라 브리지 앤드 캐낸디구아 철도(Niagara Bridge and Canandaigua Railroad)로 재편성했고, 1890년에 흡수 합병했다.

사라토가 앤드 허드슨 리버 철도(Saratoga and Hudson River Railroad)는 1864년에 노선 특허를 받아, 스케넥터디의 남동쪽, 허드슨 강 서안의 아테네의 남남동에 있는 뉴욕 센트럴 철도의 아테네 정션에서 분기하는 지선을 1866년에 개통했다. 1967년 9월 9일에 이 회사는 뉴욕 센트럴 철도에 합병되었지만, 1867년에 아테네의 터미널이 소실되어 노선은 폐지되었다. 1880년대에는 뉴욕 웨스트 쇼어 앤드 버팔로 철도(New York, West Shore and Buffalo Railway)가 이 노선을 임대하여 자사의 본선으로 삼았고, 1885년에 뉴욕 센트럴 철도가 매수하여 웨스트 쇼어 철도로 했다.

2. 3. 에라스투스 코닝 시대 (1853년 ~ 1867년)

에라스투스 코닝은 뉴욕 센트럴 철도의 초대 사장으로서, 회사의 초기 성장을 이끌었다. 이 시기에 뉴욕 센트럴 철도는 노선을 확장하고 서비스를 개선하며 경쟁력을 강화했다.

1855년, 뉴욕 센트럴 철도는 로체스터 앤 레이크 온타리오 철도를 합병하여 로체스터에서 온타리오 호의 샬롯까지 이어지는 지선을 확보했다. 같은 해, 버팔로 앤 나이아가라 폴스 철도를 합병하여 버팔로와 나이아가라 폭포 사이를 연결하는 노선을 확보했다. 또한, 루이스턴 철도를 합병하여 나이아가라 폭포에서 북쪽의 루이스턴까지 운행하는 노선을 추가했다.

1858년, 뉴욕 센트럴 철도는 파산한 캐난다이구아 앤 나이아가라 폴스 철도를 인수하여 나이아가라 브리지 앤 캐난다이구아 철도로 재편성했다. 이 노선은 1853년 캐난다이구아에서 바타비아까지 개통되었고, 이후 노스 토나완다를 거쳐 나이아가라 폭포 현수교까지 연결되었다.

1866년에는 사라토가 앤 허드슨 강 철도가 개통되어 스케넥터디 남동쪽의 아테네 정션에서 허드슨 강 서쪽의 아테네까지 이어지는 지선이 추가되었다. 이 회사는 1867년에 뉴욕 센트럴 철도에 합병되었으나, 아테네의 터미널 화재로 인해 노선이 폐선되었다.

올버니에는 주요 수리 공장이 설립되었으며, 300에이커 규모의 부지에 분류 야드와 가축 우리도 함께 건설되었다. 이 시설에는 기관차 공장, 화물 및 여객 차량 공장, 회전식 차고 터미널이 포함되었으며, 1957년까지 뉴욕 센트럴 철도의 주요 작업장이었다.

2. 4. 허드슨 강 철도 합병 (1869년)

코넬리우스 밴더빌트는 1864년에 뉴욕 앤 할렘 철도를 인수한 직후 허드슨 강 철도(Hudson River Railroad)의 지배권을 획득했다. 1869년, 그는 뉴욕 센트럴 철도와 자신의 허드슨 강 철도를 합병하여 뉴욕 센트럴 앤드 허드슨 강 철도를 설립했다. 이 합병으로 뉴욕 센트럴 철도는 뉴욕시와 올버니를 잇는 허드슨 강 동쪽 노선을 확보하게 되었다.

트로이와 그린부시 철도는 1845년에 설립되어 그해 말에 개통되었으며, 트로이에서 허드슨 강 동쪽의 그린부시(현재의 렌셀러)까지 연결되었다. 허드슨 강 철도는 1846년 5월 12일에 이 노선을 남쪽으로 뉴욕 시까지 연장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전체 노선은 1851년 10월 3일에 개통되었다. 개통 전인 6월 1일에 트로이와 그린부시 철도를 임대했다.

3. 전성기 (1867년 ~ 1954년)

코넬리우스 밴더빌트는 1867년 올버니에서 버펄로를 운행하는 뉴욕 센트럴 철도를 인수하면서 밴더빌트 시대가 시작되었다. 이는 올버니의 허드슨강 교량과 관련된 책략 덕분이었다. 1869년 11월 1일, 밴더빌트는 뉴욕 센트럴 철도와 자신이 소유한 허드슨강 철도를 합병하여 뉴욕 센트럴 앤드 허드슨 리버 철도를 설립했다. 이 합병으로 철도 시스템은 허드슨강 동쪽 강둑을 따라 올버니에서 뉴욕시까지 남쪽으로 확장되었고, 임대된 트로이 앤드 그린부시 철도가 올버니에서 북쪽 트로이까지 운행되었다.

밴더빌트는 뉴욕 앤드 할렘 철도, 레이크 쇼어 앤드 미시간 서던 철도, 캐나다 서던 철도, 미시간 센트럴 철도 등도 소유했으며, 이들 노선은 뉴욕 센트럴 철도의 일부로 운영되었다.

1871년에는 스파이텐 듀빌 앤드 포트 모리스 철도가 개통되어, 허드슨강을 따라 운행하는 열차가 할렘강 북쪽에서 뉴욕 앤드 할렘 철도로 동남쪽으로 향하여 그랜드 센트럴 디포나 포트 모리스의 화물 시설로 갈 수 있게 되었다. 이 철도는 개통 이후 NYC에 의해 임대되었다.

1878년에는 제네바 앤드 라이온스 철도가 개통되어 시러큐스와 로체스터를 연결하는 노선으로, 라이온스의 본선에서 제네바의 오번 로드까지 운행되었다. 이 철도는 1890년에 NYC에 합병되었다.

1900년 7월 1일, 보스턴 앤드 올버니 철도는 뉴욕 센트럴 철도에 임대되었지만, 독립적인 기업으로서의 존재는 유지했다.

클리블랜드, 콜럼버스, 신시내티 앤드 인디애나폴리스 철도, 신시내티, 인디애나폴리스, 세인트루이스 앤드 시카고 철도, 그리고 인디애나폴리스 앤드 세인트루이스 철도의 합병으로 1889년 6월 30일에 빅 포(Big Four)로 알려진, 클리블랜드, 신시내티, 시카고 앤드 세인트루이스 철도가 발족했다. 그 후, 인디애나, 블루밍턴 앤드 웨스턴 철도의 지배권도 장악했다. 1906년에 빅 포 자체도 뉴욕 센트럴 철도에 인수되었다.

1914년, 회사명을 다시 변경하여 뉴욕 센트럴 철도가 되었다.

뉴욕 센트럴 철도는 주요 라이벌이었던 펜실베이니아 철도의 산악 노선과 비교하여 뚜렷하게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뉴욕 센트럴 철도는 워터 레벨 루트(Water Level Route)로 알려졌으며, 뉴욕에서 시카고까지의 주요 간선 대부분은 강을 따라 건설되었고, 웨스트 올버니 언덕을 제외하고는 특히 심한 경사가 없었다. 이 점은 광고 전략이나 유명한 기관차 설계 등 많은 것에 영향을 미쳤다.

뉴욕 센트럴 철도의 증기 기관차는 경사 구간에서의 견인력이 아닌 평탄한 간선에서의 속도에 최적화되어 있었다. 유명한 허드슨형 J형(특히 1937년부터 1938년까지의 J-3a)과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모호크형 L-3/L-4, 그리고 대전 후의 나이아가라형 S형 등은 증기 기관차 애호가들로부터 그 속도 특성에 특화된 성격을 이어받았다고 평가받고 있다.

증기 기관차 중 가장 현대적인 설계를 보유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뉴욕 센트럴 철도는 재정적인 문제에 직면해 있었고, 디젤 기관차가 경제적인 이점을 가진다고 판단하여 급속하게 디젤화를 진행했다. 당시 경영 간부였던 알프레드 펄만(Alfred Perlman)이 뉴욕 센트럴 철도의 우수한 증기 기관차 보존에 전혀 찬성하지 않았기 때문에, 뉴욕 센트럴 철도 증기 기관차 중 남아있는 것은 극소수이다. 허드슨형과 나이아가라형 모두 1956년까지 해체되었다. 2010년 시점에서 뉴욕 센트럴 철도의 대형 증기 기관차 중 보존되어 있는 것은 모호크형 2량뿐으로, 세인트루이스의 교통 박물관에 있는 L-2d형 2933호와 인디애나 주 엘크하트의 국립 뉴욕 센트럴 철도 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는 L-3a형 3001호이다.

3. 1. 밴더빌트 시대 (1867년 ~ 1954년)

코넬리우스 밴더빌트(Cornelius Vanderbilt)가 1867년 올버니에서 버펄로를 운행하는 뉴욕 센트럴 철도를 인수하면서 밴더빌트 시대가 시작되었다. 이는 올버니의 허드슨강 교량과 관련된 책략 덕분이었다. 1869년 11월 1일, 밴더빌트는 뉴욕 센트럴 철도와 자신이 소유한 허드슨강 철도를 합병하여 뉴욕 센트럴 및 허드슨강 철도를 설립했다. 이 합병으로 철도 시스템은 허드슨강 동쪽 강둑을 따라 올버니에서 뉴욕시까지 남쪽으로 확장되었고, 임대된 트로이 및 그린부시 철도가 올버니에서 북쪽 트로이까지 운행되었다.

밴더빌트는 뉴욕 및 할렘 철도, 레이크 쇼어 및 미시간 서던 철도, 캐나다 서던 철도, 미시간 센트럴 철도 등도 소유했으며, 이들 노선은 뉴욕 센트럴 철도의 일부로 운영되었다.

1871년에는 스파이텐 듀빌 및 포트 모리스 철도가 개통되어, 허드슨강을 따라 운행하는 열차가 할렘강 북쪽에서 뉴욕 및 할렘 철도로 동남쪽으로 향하여 그랜드 센트럴 디포나 포트 모리스의 화물 시설로 갈 수 있게 되었다. 이 철도는 개통 이후 NYC에 의해 임대되었다.

1878년에는 제네바 및 라이온스 철도가 개통되어 시러큐스와 로체스터를 연결하는 노선으로, 라이온스의 본선에서 제네바의 오번 로드까지 운행되었다. 이 철도는 1890년에 NYC에 합병되었다.

1885년, NYC는 허드슨강 서쪽 강변을 따라 버펄로까지 거의 평행하게 노선을 가진 경쟁사였던 뉴욕, 웨스트 쇼어 및 버펄로 철도를 웨스트 쇼어 철도로 인수하여 위호켄 터미널에서 여객, 화물, 화차 운영을 시작했다.

1900년 7월 1일, 보스턴 앤드 올버니 철도(Boston and Albany Railroad)는 뉴욕 센트럴 철도에 임대되었지만, 독립적인 기업으로서의 존재는 유지했다.

NYC는 1887년과 1900년에 각각 피츠버그 및 레이크 이리 철도(Pittsburgh and Lake Erie Railroad)와 보스턴 및 올버니 철도를 인수했으며, 두 노선 모두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자회사로 남았다.

클리블랜드, 콜럼버스, 신시내티 및 인디애나폴리스 철도(Cleveland, Columbus, Cincinnati and Indianapolis Railway), 신시내티, 인디애나폴리스, 세인트루이스 앤드 시카고 철도(Cincinnati, Indianapolis, St. Louis and Chicago Railway), 그리고 인디애나폴리스 앤드 세인트루이스 철도(Indianapolis and St. Louis Railway)의 합병으로 1889년 6월 30일에 빅 포(Big Four)로 알려진, 클리블랜드, 신시내티, 시카고 앤드 세인트루이스 철도(Cleveland, Cincinnati, Chicago and St. Louis Railway)가 발족했다. 그 후, 인디애나, 블루밍턴 앤드 웨스턴 철도(Indiana, Bloomington and Western Railway)의 지배권도 장악했다. 1906년에 빅 포 자체도 뉴욕 센트럴 철도에 인수되었다.

1914년, 11개 자회사의 운영이 뉴욕 센트럴 & 허드슨강 철도와 합병되어 뉴욕 센트럴 철도가 재편성되었다. 합병 초부터 이 철도는 공식적으로 뉴욕 센트럴 노선이라고 불렸다. 1935년 여름, 이 명칭은 뉴욕 센트럴 시스템으로 변경되었고, 1968년 펜실베이니아 철도와의 합병까지 유지되었다.

뉴욕 센트럴 철도는 주요 라이벌이었던 펜실베이니아 철도의 산악 노선과 비교하여 뚜렷하게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뉴욕 센트럴 철도는 워터 레벨 루트(Water Level Route)로 알려졌으며, 뉴욕에서 시카고까지의 주요 간선 대부분은 강을 따라 건설되었고, 웨스트 올버니 언덕을 제외하고는 특히 심한 경사가 없었다. 이 점은 광고 전략이나 유명한 기관차 설계 등 많은 것에 영향을 미쳤다.

뉴욕 센트럴 철도의 증기 기관차는 경사 구간에서의 견인력이 아닌 평탄한 간선에서의 속도에 최적화되어 있었다. 유명한 허드슨형 J형(특히 1937년부터 1938년까지의 J-3a)과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모호크형 L-3/L-4, 그리고 대전 후의 나이아가라형 S형 등은 증기 기관차 애호가들로부터 그 속도 특성에 특화된 성격을 이어받았다고 평가받고 있다.

증기 기관차 중 가장 현대적인 설계를 보유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뉴욕 센트럴 철도는 재정적인 문제에 직면해 있었고, 디젤 기관차가 경제적인 이점을 가진다고 판단하여 급속하게 디젤화를 진행했다. 당시 경영 간부였던 알프레드 펄만(Alfred Perlman)이 뉴욕 센트럴 철도의 우수한 증기 기관차 보존에 전혀 찬성하지 않았기 때문에, 뉴욕 센트럴 철도 증기 기관차 중 남아있는 것은 극소수이다. 허드슨형과 나이아가라형 모두 1956년까지 해체되었다. 2010년 시점에서 뉴욕 센트럴 철도의 대형 증기 기관차 중 보존되어 있는 것은 모호크형 2량뿐으로, 세인트루이스의 교통 박물관(세인트루이스)(Museum of Transportation)에 있는 L-2d형 2933호와 인디애나 주 엘크하트(인디애나 주)의 국립 뉴욕 센트럴 철도 박물관(National New York Central Railroad Museum)에 보존되어 있는 L-3a형 3001호이다.

3. 2. 기술 혁신과 서비스

뉴욕 센트럴 철도(NYC)는 경쟁사인 펜실베이니아 철도의 산악 지형과는 달리 전반적으로 평탄한 지형을 가지고 있었다. 주요 노선 대부분은 강을 따라 건설되었으며, 웨스트 올버니 힐과 보스턴 앤 올버니 철도의 버크셔 산맥을 제외하면 큰 경사가 없었다. 이러한 지형적 특성은 '워터 레벨 루트'를 중심으로 광고에서부터 기관차 설계에 이르기까지 노선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유선형 증기 기관차 ''20th Century Limited''가 1938년 시카고의 라살 스트리트 역에서 뉴욕 센트럴 허드슨 기관차에 의해 출발하고 있다.


뉴욕 센트럴 철도의 증기 기관차는 느린 산악 운송보다는 평평한 주 간선로에서의 속도에 최적화되었다. 이 시스템의 유명한 기관차로는 4-6-4 허드슨, 특히 1937–38 J-3a's, 4-8-2 제2차 세계 대전 시대 1940 L-3 및 1942 L-4 모호크, 그리고 1945–46 S급 나이아가라와 같은 빠른 4-8-4 기관차가 있다.

1936년 완전 증기 동력의 뉴욕 센트럴 철도 ''머큐리'' 열차


1930년대 중반, 많은 철도 회사들이 유선형 기관차를 도입하고 있었고, 뉴욕 센트럴이 ''코모도어 밴더빌트''를 도입할 때까지 모두 디젤 전기 방식이었다.[15] ''밴더빌트''는 NYC의 최초 유선형 증기 기관차였다.[15] 1938년 6월 15일 유선형 개조를 거친 ''20th Century Limited''는 960.7마일의 여행을 16시간 만에 완료할 수 있었고(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짧은 기간 동안은 15시간 30분 만에 완료).[15]

렉솔 열차를 특징으로 하는 1936년 엽서


뉴욕 센트럴 철도는 1936년에 47개 주를 순회하며 렉솔 체인 약국을 홍보하고 회사 컨벤션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유선형 증기 동력 렉솔 열차를 운영했다.[16]

NYC는 전 세계에서 가장 현대적인 증기 기관차를 보유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어려운 재정 상황으로 인해 더 경제적인 디젤 전기 동력으로 빠르게 전환하게 되었다. 1957년 5월 3일, H7e급 2-8-2 미카도형 증기 기관차 1977호가 이 철도에서 마지막으로 운행을 중단한 증기 기관차로 보고되었다.[20]

뉴욕 센트럴 철도는 뉴욕과 매사추세츠에 통근 노선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었다. 뉴욕주 웨스트체스터 카운티는 맨해튼의 그랜드 센트럴 터미널로 가는 철도의 허드슨, 할렘, 퍼트넘 노선을 운영했으며(퍼트넘 부 열차는 뉴욕 하이 브리지에서 환승해야 함), 뉴저지와 뉴욕주 록랜드 카운티는 허드슨강 서쪽의 위호켄과 뉴욕 킹스턴 사이의 웨스트 쇼어 라인(West Shore Line)의 서비스를 받았다.

3. 3. 우회 노선 건설

뉴욕 센트럴 철도는 혼잡한 지역을 우회하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여러 우회 노선을 건설했다.

1871년 개통된 정션 철도의 버팔로 벨트 라인은 버팔로 북동쪽 우회로를 제공했으며, 시내를 경유하는 여객 열차를 위한 순환 노선도 제공했다. 1885년에 인수된 웨스트 쇼어 철도는 로체스터 주변을 우회하는 노선을 제공했다. 1898년에는 터미널 철도의 가든빌 단축선이 개통되어 통과 교통이 버팔로 남동쪽을 우회할 수 있게 되었다.

1902년에는 스케넥터디 우회로가 개통되어 통과 열차가 스케넥터디 시내를 우회할 수 있게 되었다. 클리블랜드 쇼트 라인 철도는 1912년에 완공된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 우회로를 건설했다. 1924년에는 알프레드 H. 스미스 기념교가 건설되었는데, 이는 허드슨강 연결 철도의 캐슬턴 단축선의 일부로, 혼잡한 웨스트 올버니 터미널 지역과 웨스트 올버니 언덕을 우회하는 27.5마일 길이의 화물 우회로였다.

1910년대에는 에리 운하가 재정렬되고 로마 시내 남쪽으로 새로운 노선으로 확장되면서 로마에서 노선 변경이 이루어졌다. NYC 본선은 시내에서 남쪽으로 이동하여 새로운 운하의 남쪽 제방으로 옮겨졌다. 시내 동남쪽에 다리가 건설되었으며, 시내 서쪽에서는 기존 본선이 폐지되었지만, NYC 본선에서 NYC의 이전 로마, 워터타운 앤 오그덴스버그 철도까지 북쪽으로 뻗어 있는 새로운 철도 노선이 건설되어, 모든 NYC 통과 교통이 로마를 우회할 수 있게 되었다.

4. 쇠퇴와 합병 (1954년 ~ 1968년)

제2차 세계 대전 종결 후, 뉴욕 센트럴 철도는 다른 미국 철도 회사들과 마찬가지로 급격히 쇠퇴하기 시작했다.[29] 대전 이전부터 주간 통상 위원회의 과도한 운임 규제와 자동차와의 경쟁 문제가 다시 부상했고, 1950년대 신뢰성 높은 항공기의 급속한 발전은 장거리 여객 수송에 큰 위협을 가했다. 1956년 연방 보조 고속도로법 제정으로 자동차에 편리하고 효율적인 도로망이 정비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자동차로 여행하고 트럭으로 화물을 수송하게 되었다.[29]

1959년 세인트로렌스 수로 개통은 오대호 연안 항구로의 직접적인 컨테이너 수송을 가능하게 하여, 뉴욕 센트럴 철도의 화물 수송에 악영향을 미쳤다.[29]

동시에 연방, 주, 지방 정부는 철도 인프라를 재산세 대상으로 간주하여 무거운 세금을 부과했지만, 주간 고속도로에는 이러한 세금이 부과되지 않았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부과된 15% 초과세는 전쟁이 끝나고 17년이나 지난 1962년까지 여객 수송에 부과되었다.[29] 이러한 문제는 미국 철도 전체를 약화시켰고, 뉴욕 센트럴 철도의 쇠퇴로 이어졌다.

1954년 6월, 뉴욕 센트럴 시스템의 경영진은 프록시 싸움에서 로버트 랠프 영과 그가 이끄는 앨러게니 코퍼레이션에 패배했다.[22][30] 앨러게니 코퍼레이션(Alleghany Corp.)은 1920년대 클리블랜드의 반 스워링겐 형제가 건설한 부동산 및 철도 제국으로, 체서피크 & 오하이오 철도(C&O)와 니켈 플레이트 로드를 통제했다. 이 회사는 대공황 기간 동안 영과 금융가 앨런 프라이스 커비의 통제를 받게 되었다. 영은 철도 분야의 선구자로 여겨졌지만, 뉴욕 센트럴 철도의 상황이 예상보다 더 심각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약속을 지키지 못한 영은 1958년 1월에 배당금 지급을 중단해야 했다. 그는 그 달 말 플로리다주 팜 비치에 있는 자택에서 자살했다.[23][30]

알프레드 E. 펄먼(Alfred E. Perlman)은 로버트 영의 자살 이후 뉴욕 센트럴 철도(NYC)의 경영을 맡게 되었다. 펄먼은 1954년부터 영과 함께 일해왔으며, 철도의 어려운 재정 상황에도 불구하고 운영을 간소화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데 성공했다. 1959년, 펄먼은 운영 적자를 770만 달러 줄여 NYC 주가를 주당 1.29달러로 올리고, 종전 이후 처음으로 배당금을 지급했다. 1964년까지 그는 NYC의 장기 부채를 거의 1억 달러 줄이는 동시에 여객 적자를 4,200만 달러에서 2,460만 달러로 줄였다.

펄먼은 철도 전반에 걸쳐 여러 현대화 프로젝트를 시행했다. 많은 NYC 노선에 열차 집중 제어 장치(CTC) 시스템을 사용하여 4개의 선로가 있는 간선 철도를 2개의 선로로 줄였다. 그는 많은 험프 또는 선로 분류소 건설 및/또는 현대화를 감독했으며, 특히 1924년 올버니 남쪽에 개장하여 1966년에 현대화된 2,000만 달러 규모의 셀커크 분류소가 대표적이다. 펄먼은 또한 터보제트 열차(jet train)를 실험하여 버드 RDC 차량(M-497 Black Beetle)을 제작했는데, 이는 B-36 Peacemaker 폭격기에서 제거한 두 개의 J47 제트 엔진으로 구동되어 자동차 및 항공기 경쟁 증가에 대한 해결책으로 제시되었다. 하지만 이 프로젝트는 프로토타입 단계를 벗어나지 못했다.

펄먼의 구조 조정은 철도의 많은 서비스를 중단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뉴욕 주변의 통근 노선이 특히 큰 영향을 받았는데, 1958-1959년에는 웨스트체스터 및 퍼트넘 카운티의 NYC 퍼트넘 디비전 서비스가 중단되었고, NYC는 허드슨 강을 건너 위호켄 터미널로 가는 페리 서비스도 포기했다. 이는 저지 시티에서 올버니까지 허드슨 강 서쪽 제방을 따라 운행하는 철도의 웨스트 쇼어 라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1958년에는 올버니로 가는 장거리 서비스가 중단되었고 1959년에는 저지 시티와 뉴욕주 웨스트 하버스트로 간의 통근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뉴욕 대도시 주변에서 이 노선이 광범위하게 사용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통근 서비스의 대부분을 없애는 것은 불가능했으며, 정부는 철도 회사에 계속 운영을 명령했다.

많은 장거리 및 지역 여객 열차가 중단되거나 서비스가 축소되었으며, 미시간, 일리노이, 인디애나, 오하이오 노선에서는 풀먼, 객실 및 침대차가 코치로 대체되었다. 올버니와 버펄로 사이의 엠파이어 회랑의 서비스가 대폭 축소되었으며, 1961년에는 버펄로를 넘어 나이아가라 폭포까지 가는 서비스가 중단되었다. 1967년 12월 3일, 유명한 ''20세기 특급''을 포함한 대부분의 장거리 열차가 종료되었다. 뉴욕주 북부의 엠파이어 회랑에서 벗어난 철도 지선 서비스도 점차 중단되었으며, 마지막은 1965년 4월 24일에 유티카와 레이크 플래시드 사이의 애디론댁 디비전 노선이었다. 로체스터 뉴욕 센트럴 역, 스케넥터디 유니언 역, 올버니 유니언 역 등 철도의 많은 주요 기차역이 철거되거나 폐쇄되었다. 이러한 구조 조정으로 절감 효과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철도가 다시 흑자로 전환하려면 보다 영구적인 해결책이 필요하다는 것이 분명했다.

1950년대 중반부터 뉴욕 센트럴 철도(NYC)는 합병할 철도를 찾기 시작했다. 이는 당시 많은 북동부 철도 회사들이 철도 교통량 감소와 과잉된 운송 능력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기 때문이다. NYC는 펜실베이니아 철도(PRR), 볼티모어 & 오하이오 철도(B&O) 등과 경쟁해야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철도 회사들의 합병은 운영을 간소화하고 경쟁을 줄이는 방법으로 여겨졌다.

다른 합병의 성공 사례로, 이리 래커와나 철도 설립, 노포크 앤 웨스턴 철도(N&W) 시스템, 체시 시스템 형성 등이 있었다. NYC는 B&O, 밀워키 로드, 니켈 플레이트 로드와의 합병을 모색했으나, 주간 통상 위원회(ICC)의 유지 명령을 받는 지역 및 통근 여객 서비스 운영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결국 NYC와 합병할 충분한 자본을 가진 유일한 철도는 주요 경쟁사인 PRR이었다. 1955년부터 합병 논의가 시작되었지만, ICC의 간섭, 노조 반대, 경쟁 철도의 우려, 합병 계획 수립 불능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10년 이상 지연되었다. 합병 시 어느 철도가 과반수 지분을 가질 것인지, 그리고 파산한 뉴욕 뉴헤이븐 & 하트포드 철도 포함 여부가 주요 논쟁 지점이었다.

1967년 12월, NYC는 PRR과의 합병을 예상하여 대폭 축소된 여객 시간표를 발표했다. ''20세기 특급''을 포함한 대부분의 장거리 여객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1968년 2월 1일, NYC는 PRR에 흡수되어 펜실베이니아-뉴욕 센트럴 트랜스포테이션 컴퍼니(이후 펜 센트럴 트랜스포테이션 컴퍼니, 펜 센트럴 철도)가 설립되었고, NYC의 알프레드 펄먼이 사장으로 취임했다.

그러나 펜 센트럴 철도는 기업 문화 차이, 노조 문제, 비효율적인 운영 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1969년, ICC의 요구로 뉴욕 뉴헤이븐 & 하트포드 철도를 합병하면서 부채 부담이 증가했다. 결국 1970년 6월 21일, 펜 센트럴 철도는 파산했으며, 이는 당시 미국 최대 규모의 기업 도산이었다.

펜 센트럴 철도의 파산에 대응하여, 리처드 닉슨 미국 대통령은 1970년 철도 여객 수송법에 서명하여 암트랙(전미 철도 여객 공사)을 발족시켰다. 1971년 5월 1일, 암트랙은 대부분의 지역 및 장거리 도시 간 여객 열차 운행을 인수했다. 펜 센트럴 철도 등은 5년간 통근 수송 운영을 의무적으로 수행했으며, 1976년에 새로 설립된 컨레일에 인계되었다.

4. 1. 쇠퇴의 시작

제2차 세계 대전 종결 후, 뉴욕 센트럴 철도는 다른 미국 철도 회사들과 마찬가지로 급격히 쇠퇴하기 시작했다.[29] 대전 이전부터 주간 통상 위원회의 과도한 운임 규제와 자동차와의 경쟁 문제가 다시 부상했고, 1950년대 신뢰성 높은 항공기의 급속한 발전은 장거리 여객 수송에 큰 위협을 가했다. 1956년 연방 보조 고속도로법 제정으로 자동차에 편리하고 효율적인 도로망이 정비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자동차로 여행하고 트럭으로 화물을 수송하게 되었다.[29]

1959년 세인트로렌스 수로 개통은 오대호 연안 항구로의 직접적인 컨테이너 수송을 가능하게 하여, 뉴욕 센트럴 철도의 화물 수송에 악영향을 미쳤다.[29]

동시에 연방, 주, 지방 정부는 철도 인프라를 재산세 대상으로 간주하여 무거운 세금을 부과했지만, 주간 고속도로에는 이러한 세금이 부과되지 않았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부과된 15% 초과세는 전쟁이 끝나고 17년이나 지난 1962년까지 여객 수송에 부과되었다.[29] 이러한 문제는 미국 철도 전체를 약화시켰고, 뉴욕 센트럴 철도의 쇠퇴로 이어졌다.

4. 2. 로버트 R. 영 시대 (1954년 ~ 1958년)

1954년 6월, 뉴욕 센트럴 시스템의 경영진은 프록시 싸움에서 로버트 랠프 영과 그가 이끄는 앨러게니 코퍼레이션에 패배했다.[22][30] 앨러게니 코퍼레이션(Alleghany Corp.)은 1920년대 클리블랜드의 반 스워링겐 형제가 건설한 부동산 및 철도 제국으로, 체서피크 & 오하이오 철도(C&O)와 니켈 플레이트 로드를 통제했다. 이 회사는 대공황 기간 동안 영과 금융가 앨런 프라이스 커비의 통제를 받게 되었다. 영은 철도 분야의 선구자로 여겨졌지만, 뉴욕 센트럴 철도의 상황이 예상보다 더 심각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약속을 지키지 못한 영은 1958년 1월에 배당금 지급을 중단해야 했다. 그는 그 달 말 플로리다주 팜 비치에 있는 자택에서 자살했다.[23][30]

4. 3. 알프레드 E. 펄먼 시대 (1958년 ~ 1968년)

알프레드 E. 펄먼(Alfred E. Perlman)은 로버트 영의 자살 이후 뉴욕 센트럴 철도(NYC)의 경영을 맡게 되었다. 펄먼은 1954년부터 영과 함께 일해왔으며, 철도의 어려운 재정 상황에도 불구하고 운영을 간소화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데 성공했다. 1959년, 펄먼은 운영 적자를 770만 달러 줄여 NYC 주가를 주당 1.29달러로 올리고, 종전 이후 처음으로 배당금을 지급했다. 1964년까지 그는 NYC의 장기 부채를 거의 1억 달러 줄이는 동시에 여객 적자를 4,200만 달러에서 2,460만 달러로 줄였다.

펄먼은 철도 전반에 걸쳐 여러 현대화 프로젝트를 시행했다. 많은 NYC 노선에 열차 집중 제어 장치(CTC) 시스템을 사용하여 4개의 선로가 있는 간선 철도를 2개의 선로로 줄였다. 그는 많은 험프 또는 선로 분류소 건설 및/또는 현대화를 감독했으며, 특히 1924년 올버니 남쪽에 개장하여 1966년에 현대화된 2,000만 달러 규모의 셀커크 분류소가 대표적이다. 펄먼은 또한 터보제트 열차(jet train)를 실험하여 버드 RDC 차량(M-497 Black Beetle)을 제작했는데, 이는 B-36 Peacemaker 폭격기에서 제거한 두 개의 J47 제트 엔진으로 구동되어 자동차 및 항공기 경쟁 증가에 대한 해결책으로 제시되었다. 하지만 이 프로젝트는 프로토타입 단계를 벗어나지 못했다.

펄먼의 구조 조정은 철도의 많은 서비스를 중단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뉴욕 주변의 통근 노선이 특히 큰 영향을 받았는데, 1958-1959년에는 웨스트체스터 및 퍼트넘 카운티의 NYC 퍼트넘 디비전 서비스가 중단되었고, NYC는 허드슨 강을 건너 위호켄 터미널로 가는 페리 서비스도 포기했다. 이는 저지 시티에서 올버니까지 허드슨 강 서쪽 제방을 따라 운행하는 철도의 웨스트 쇼어 라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1958년에는 올버니로 가는 장거리 서비스가 중단되었고 1959년에는 저지 시티와 뉴욕주 웨스트 하버스트로 간의 통근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뉴욕 대도시 주변에서 이 노선이 광범위하게 사용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통근 서비스의 대부분을 없애는 것은 불가능했으며, 정부는 철도 회사에 계속 운영을 명령했다.

많은 장거리 및 지역 여객 열차가 중단되거나 서비스가 축소되었으며, 미시간, 일리노이, 인디애나, 오하이오 노선에서는 풀먼, 객실 및 침대차가 코치로 대체되었다. 올버니와 버펄로 사이의 엠파이어 회랑의 서비스가 대폭 축소되었으며, 1961년에는 버펄로를 넘어 나이아가라 폭포까지 가는 서비스가 중단되었다. 1967년 12월 3일, 유명한 ''20세기 특급''을 포함한 대부분의 장거리 열차가 종료되었다. 뉴욕주 북부의 엠파이어 회랑에서 벗어난 철도 지선 서비스도 점차 중단되었으며, 마지막은 1965년 4월 24일에 유티카와 레이크 플래시드 사이의 애디론댁 디비전 노선이었다. 로체스터 뉴욕 센트럴 역, 스케넥터디 유니언 역, 올버니 유니언 역 등 철도의 많은 주요 기차역이 철거되거나 폐쇄되었다. 이러한 구조 조정으로 절감 효과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철도가 다시 흑자로 전환하려면 보다 영구적인 해결책이 필요하다는 것이 분명했다.

4. 4. 펜실베이니아 철도와의 합병 (1968년)

1950년대 중반부터 뉴욕 센트럴 철도(NYC)는 합병할 철도를 찾기 시작했다. 이는 당시 많은 북동부 철도 회사들이 철도 교통량 감소와 과잉된 운송 능력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기 때문이다. NYC는 펜실베이니아 철도(PRR), 볼티모어 & 오하이오 철도(B&O) 등과 경쟁해야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철도 회사들의 합병은 운영을 간소화하고 경쟁을 줄이는 방법으로 여겨졌다.

다른 합병의 성공 사례로, 이리 래커와나 철도 설립, 노포크 앤 웨스턴 철도(N&W) 시스템, 체시 시스템 형성 등이 있었다. NYC는 B&O, 밀워키 로드, 니켈 플레이트 로드와의 합병을 모색했으나, 주간 통상 위원회(ICC)의 유지 명령을 받는 지역 및 통근 여객 서비스 운영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결국 NYC와 합병할 충분한 자본을 가진 유일한 철도는 주요 경쟁사인 PRR이었다. 1955년부터 합병 논의가 시작되었지만, ICC의 간섭, 노조 반대, 경쟁 철도의 우려, 합병 계획 수립 불능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10년 이상 지연되었다. 합병 시 어느 철도가 과반수 지분을 가질 것인지, 그리고 파산한 뉴욕 뉴헤이븐 & 하트포드 철도 포함 여부가 주요 논쟁 지점이었다.

1967년 12월, NYC는 PRR과의 합병을 예상하여 대폭 축소된 여객 시간표를 발표했다. ''20세기 특급''을 포함한 대부분의 장거리 여객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1968년 2월 1일, NYC는 PRR에 흡수되어 펜실베이니아-뉴욕 센트럴 트랜스포테이션 컴퍼니(이후 펜 센트럴 트랜스포테이션 컴퍼니, 펜 센트럴 철도)가 설립되었고, NYC의 알프레드 펄먼이 사장으로 취임했다.

그러나 펜 센트럴 철도는 기업 문화 차이, 노조 문제, 비효율적인 운영 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1969년, ICC의 요구로 뉴욕 뉴헤이븐 & 하트포드 철도를 합병하면서 부채 부담이 증가했다. 결국 1970년 6월 21일, 펜 센트럴 철도는 파산했으며, 이는 당시 미국 최대 규모의 기업 도산이었다.

펜 센트럴 철도의 파산에 대응하여, 리처드 닉슨 미국 대통령은 1970년 철도 여객 수송법에 서명하여 암트랙(전미 철도 여객 공사)을 발족시켰다. 1971년 5월 1일, 암트랙은 대부분의 지역 및 장거리 도시 간 여객 열차 운행을 인수했다. 펜 센트럴 철도 등은 5년간 통근 수송 운영을 의무적으로 수행했으며, 1976년에 새로 설립된 컨레일에 인계되었다.

5. 펜 센트럴 이후 (1970년 ~ 현재)

1968년 2월 1일, 뉴욕 센트럴 철도펜실베이니아 철도에 흡수되었고, 펜실베이니아 철도는 펜실베이니아 뉴욕 센트럴 운송 회사로 개명되었다가, 결국에는 펜 센트럴 운송 회사(PC)로 개명되었으며, 뉴욕 센트럴의 펄먼이 PC의 사장으로 선출되었다.[25] PC는 1969년, 손실을 보고 있던 뉴헤이븐 철도를 강제로 병합하라는 ICC의 명령으로 인해 즉시 부채에 시달리게 되었다.[23] 또한, 펄먼과 PC의 최고 경영자 스튜어트 T. 손더스 사이에 갈등이 있었는데, 펄먼은 PC의 화물차 로스터를 개조하는 데 2,500만 달러를 요청했지만 손더스가 거절하여 펄먼이 사임하게 되었다.[26][27]

두 회사의 상반된 기업 문화, 노조의 이해관계, 그리고 호환되지 않는 운영 및 컴퓨터 시스템은 성공에 대한 모든 희망을 무산시켰다. 게다가, 수익성이 있는 것처럼 보이기 위해 이사회는 철도의 준비금을 사용하여 회사 주주들에게 배당금을 지급하도록 승인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70년 6월 1일, 펜 센트럴은 파산을 선언했는데, 이는 당시까지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개인 파산이었다.[27] 파산 보호 하에서, 펜 센트럴이 다른 철도 회사에 진 채무의 상당수는 동결되었지만, 다른 철도 회사들이 펜 센트럴에 진 채무는 동결되지 않았다. 이는 이미 취약했던 철도 산업 전반에 파급 효과를 가져와, 이리 라카와나, 보스턴 앤드 메인, 뉴저지 센트럴 철도, 리딩 컴퍼니, 리하이 밸리 등 많은 북동부 철도 회사들이 지급 불능 상태에 빠지게 되었다.[27]

펜 센트럴은 미국에서 민간 자금으로 운영되는 여객 철도 서비스의 마지막 희망이었다. 파산에 대응하여, 리처드 닉슨 대통령은 1970년 철도 여객 서비스법에 서명하여 암트랙으로 더 잘 알려진, 정부 보조 철도 시스템인 전국 철도 여객 공사를 설립했다. 1971년 5월 1일, 암트랙은 미국의 대부분의 지역 간 및 장거리 도시 간 여객 열차 운행을 인수했다.[28] 암트랙은 결국 PRR과 뉴헤이븐 시스템으로부터 물려받은 보스턴과 워싱턴 D.C. 사이의 대부분 전철화된 노선인 노스이스트 회랑의 소유권을 인수하게 되었다. 펜 센트럴과 다른 철도 회사들은 파산 상태에서도 향후 5년 동안 통근 서비스를 운영해야 했고, 결국 1976년에 새로 설립된 콘레일에 넘겨주었다. 펜 센트럴과 다른 북동부 철도 회사들이 부담스러운 여객 적자를 덜어내고 수익성을 향해 재편될 수 있다는 희망이 있었다. 그러나, 이는 이루어지지 않았고, 철도 회사들은 각자의 파산에서 결코 회복되지 못했다.

5. 1. 암트랙 설립과 콘레일 인수

1970년, 미국 정부는 철도 여객 수송을 유지하기 위해 전국 철도 여객 공사(National Railroad Passenger Corporation), 즉 암트랙(Amtrak)을 설립했다.[27] 암트랙은 펜 센트럴 철도를 비롯한 여러 철도 회사의 여객 운송 사업을 인수했다. 1976년 4월 1일에는 펜 센트럴 철도를 비롯한 파산한 철도 회사들의 화물 운송 사업을 인수하기 위해 콘레일(Conrail)이 설립되어 운영을 시작했다.[27] 콘레일은 뉴욕, 코네티컷의 로어 허드슨 밸리와 보스턴 인근의 펜실베이니아 중앙 철도의 통근 노선도 인수했다. 1983년에는 이러한 통근 서비스가 뉴욕과 코네티컷에서는 주에서 자금을 지원하는 메트로 노스 철도로, 매사추세츠에서는 매사추세츠 베이 교통국으로 이관되었다.

Conrail은 운영을 간소화하기 위해 NYC(뉴욕 중앙 철도)와 PRR(펜실베이니아 철도)의 수 마일에 달하는 철도를 폐기해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NYC 시스템의 대부분은 여전히 유지되어 CSX와 암트랙에서 사용하고 있다. 여전히 사용되는 노선으로는 뉴욕과 시카고 사이의 유명한 워터 레벨 루트(Water Level Route)와 그 사이의 보스턴 & 올버니/Boston & Albany Railroad영어 노선, 인디애나, 일리노이, 아이오와를 통과하는 캔커키 벨트 루트(Kankakee Belt Route), 그리고 저지 시티와 올버니 교외의 셀커크(Selkirk) 사이의 웨스트 쇼어 라인(West Shore Line)이 있으며, 이곳에는 구 NYC(현재 CSX) 셀커크 야드가 미국에서 가장 분주한 화물 야드 중 하나이다.

1998년 6월 6일, Conrail의 대부분은 노퍽 서던과 CSX로 분할되었다. 뉴욕 센트럴 라인스 LLC는 CSX가 운영할 노선을 포함하는 Conrail의 자회사로 설립되었다. 여기에는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까지의 구 워터 레벨 루트, 클리블랜드와 세인트루이스 사이의 빅 포 루트(Big Four route), 뉴욕 중앙 철도의 여러 다른 노선, 그리고 다른 회사들의 다양한 노선이 포함되었으며, NYC의 보고 기호도 인수했다. CSX는 궁극적으로 Conrail 운영의 간소화의 일환으로 자회사를 완전히 흡수했다.

5. 2. CSX와 노퍽 서던의 분할 인수

1990년대까지 콘레일은 수익성 개선을 계속 실행했으며, 철도 회사 합병 추세에 따라 다른 철도 회사에 의한 인수가 모색되었다. 최종적으로 콘레일의 자산은 CSX 교통노퍽 서던 철도에 흡수되었다.

1998년 6월 6일, 콘레일의 대부분은 노퍽 서던 철도와 CSX 교통 사이에서 분할되었다. 뉴욕 센트럴 라인즈 LLC는 콘레일의 자회사로 설립되어 CSX 교통에 의해 운행될 노선망을 이어받았다. 여기에는 뉴욕과 시카고를 잇는 워터 레벨 루트, 과거의 보스턴 앤드 올바니 철도/Boston and Albany Railroad영어 선, 인디애나 주·일리노이 주·아이오와 주를 통과하는 켄카키 벨트 루트, 저지 시티와 올버니 교외에 있는 셀커크 조차장을 잇는 웨스트 쇼어 선 등이 포함되었다. 또한 NYC라는 보고 기호도 이어받았다. CSX 교통은 최종적으로 뉴욕 센트럴 라인즈를 완전히 흡수 합병했다.

6. 한국 철도와의 비교

7. 임원

7. 1. 역대 사장


  • 에라스투스 코닝 (1853–1865)
  • 코넬리우스 벤더빌트 (1867 – ?)
  • 제임스 H. 러터 (1883–1885)
  • 챈시 M. 디퓨 (1885–1898)
  • 새뮤얼 R. 캘러웨이 (1898–1901)
  • 윌리엄 C. 브라운 (? – 1914)
  • 앨프리드 H. 스미스 (1914–1918, 1919–1924)
  • 패트릭 E. 크롤리 (1924–1931)
  • 프레데릭 E. 윌리엄슨 (1931–1944)
  • 구스타브 메츠먼 (1944–1952)
  • 윌리엄 화이트 (1952–1954)
  • 로버트 R. 영 (1954–1958)
  • 앨프리드 E. 펄먼 (1958–1968)

참조

[1] 웹사이트 Michigan's Railroad History 1825 - 2014 https://www.michigan[...] 2014-10-13
[2] 웹사이트 About N.Y.C. https://nycshs.org/a[...] 2013-06-18
[3] Harvp
[4] Harvp
[5] Harvp
[6] 문서 Mohawk and Hudson Rail Road
[7] Harvp
[8] 웹사이트 A History of Rochester New York Railroads http://gold.mylarges[...] 2018-05-06
[9] 서적 The Back Shop Illustrated, Volume 1
[10] 뉴스 Why President Newman Quit – The Railroad Age Gazette Blames the "Incompetent" Board of Directors https://www.nytimes.[...] 2021-11-29
[11] 뉴스 Central Road's New Head – William H. Newman of the Lake Shore Elected President – Mr. Van Etten Becomes Second Vice President -- P.S. Blodgett Succeeds Him as General Superintendent https://www.nytimes.[...] 2021-11-29
[12] 웹사이트 Michigan's Railroad History 1825–2014 https://www.michigan[...] 2024-07-30
[13] 서적 The Back Shop Illustrated, Volume 1
[14] 웹사이트 The New York Central System http://www.american-[...] 2018-05-06
[15] 간행물 Streamline Steam Engine Attains High Speed https://books.google[...] Hearst Magazines 1935-02
[16] 웹사이트 https://www.american[...] themetrains.com 2021-04-23
[17] 웹사이트 The Super Chief – "The Train of the Stars" https://www.newyorks[...] 2024-06-01
[18] 웹사이트 M-10004 City of San Francisco http://www.thecoachy[...] 2024-06-01
[19] Harvp
[20] Harvp
[21] 웹사이트 Brief History of the U.S. Passenger Rail Industry http://scriptorium.l[...]
[22] 간행물 Railroads: Young Takes Over http://www.time.com/[...] 2018-05-06
[23] Harvp
[24] 웹사이트 New York Central System: Passenger Timetable http://www.canadasou[...] New York Central Railroad 2021-04-22
[25] 서적 Establishing Trails on Rights-of-Way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he Interior
[26] Harvp
[27] Harvp
[28] Harvp
[29] 웹사이트 Brief History of the U.S. Passenger Rail Industry http://scriptorium.l[...]
[30] 뉴스 TIME magazine, June 21, 1954 http://www.time.com/[...]
[31] 간행물 Streamline Steam Engine Attains High Speed https://books.google[...] 1935-02
[32] 문서 Totals include B&A, MC, CCC&StL, Cinc Northern and EI&TH, but not P&LE, Fulton Chain, Raquette Lake, Federal Valley, Kankakee & Seneca or Chicago Kalamazoo & Saginaw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