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라드 베스마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콘라드 베스마르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신학자로, 조직신학, 교회론, 기독교 윤리학 분야에 기여했다. 그는 스텔렌보쉬 대학교에서 학위를 취득하고, 암스테르담 자유 대학교에서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더반-웨스트빌 대학교와 프리토리아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노스웨스트 대학교에서 초빙교수를 역임했다. 베스마르는 기독론, 교회론, 에큐메니컬 신학 등 다양한 신학적 주제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으며, 여러 국제 학술 활동과 저술을 통해 신학 사상을 펼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콘라드 베스마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콘라트 요하네스 베트마르 |
로마자 표기 | Konratu Yohanese Beteumareu |
출생 | 1946년 3월 1일 |
국적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직업 | 교수, 신학자 |
종교 | 개신교 |
교육 | |
학력 | 암스테르담 자유 대학교 신학 박사 (1977년) |
모교 | 암스테르담 자유 대학교 |
경력 | |
소속 | 프레토리아 대학교 |
2. 생애
그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요하네스버그 서쪽에 있는 플로리다 (가우텡 주)에서 태어났다.[2] 1964년 스텔렌보쉬 대학교에서 문학사(그리스어, 히브리어, 철학)를 졸업했으며, 1966년 그리스어 문학사, 1968년 철학 문학사, 1968년 신학 학사, 1969년 문학 석사(그리스어), 1969년 신학 학위를 받았다.[2] 스텔렌보쉬 대학교에서 공부하면서 요한 헤인스의 영향을 받았다.[2] 1970년 네덜란드로 가서 조직신학을 공부하였고, 1972년 Doctoraal Examen Theologie를, 1977년 암스테르담 자유 대학교에서 게릿 코르넬리스 베르코우어 박사 지도하에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2]
1977년부터 1980년까지 더반-웨스트빌 대학교의 교수를 역임했다. 1977년부터 1980년까지 아프리카 개혁교회의 목사로 봉사했다.
1981년부터 2008년까지 프레토리아 대학교에서 조직신학을 가르쳤다. 그는 신학부 학장을 역임했다. 그는 프레토리아 대학교에서 교의학 및 기독교 윤리학 명예 교수가 되었다. 그는 2013년부터 노스웨스트 대학교에서 개혁신학 초빙교수로 재직하고 있다.[2] 그는 기독론과 교회론, 조직신학(교리)에 기여했다. 그는 신학이 교회를 위해 존재하며[3] 설교를 통해 교회를 도와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25명의 박사 과정을 지도했다.
1984년 시카고 및 그랜드 래피즈를 시작으로 국제적인 학술 활동을 이어갔다. 1987년에는 프랑크푸르트와 하이델베르크, 1988년에는 하라레를 방문했다. 1995년에는 부다페스트, 암스테르담, 레이던, 위트레흐트에서 활동했고, 1998년에는 싱가포르, 타이베이, 홍콩을 방문했다. 1999년과 2000년에는 위트레흐트와 암스테르담, 후번 등지에서 활동을 이어갔다.
2001년에는 대한민국의 서울과 평택을 방문했으며, 루벤, 암스테르담, 위트레흐트에서도 활동했다. 2005년 다시 서울과 암스테르담을 찾았고, 2007년에는 암스테르담, 위트레흐트, 도른(하이드파크)에서, 2009년에는 암스테르담, 위트레흐트, 엑상프로방스에서 학술 활동을 펼쳤다.
2. 1. 유년 시절과 교육
콘라드 베스마르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요하네스버그 서쪽에 있는 플로리다 (가우텡 주)에서 태어났다.[2] 1964년 스텔렌보쉬 대학교에서 문학사(그리스어, 히브리어, 철학)를 졸업했으며, 1966년 그리스어 문학사, 1968년 철학 문학사, 1968년 신학 학사, 1969년 문학 석사(그리스어), 1969년 신학 학위를 받았다.[2] 스텔렌보쉬 대학교에서 공부하면서 요한 헤인스의 영향을 받았다.[2] 1970년 네덜란드로 가서 조직신학을 공부하였고, 1972년 Doctoraal Examen Theologie를, 1977년 암스테르담 자유 대학교에서 게릿 코르넬리스 베르코우어 박사 지도하에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2]2. 2. 학문 및 목회 활동
콘라드 베스마르는 1977년부터 1980년까지 더반-웨스트빌 대학교에서 조직신학 교수로 재직했으며, 1979년부터 1980년까지는 신학부 학장을 역임했다. 같은 기간 동안 아프리카 개혁교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았다. 1981년부터 2008년까지는 프리토리아 대학교에서 교의학 및 기독교 윤리학 교수로 재직했고, 1997년부터 1999년까지는 네덜란드 개혁교회 신학부 학장을 역임했다. 또한 1981년부터 2008년까지 네덜란드 개혁교회 목사로 활동했으며, 2008년 이후 명예 목사가 되었다. 2008년에는 프리토리아 대학교 교의학 및 기독교 윤리학 명예교수로 추대되었고, 2013년에는 노스웨스트 대학교 (포체프스트룸)에서 개혁신학 초빙교수로 활동했다.2. 3. 국제 교류 및 학술 활동
콘라드 베스마르는 1984년 시카고 및 그랜드 래피즈를 시작으로 국제적인 학술 활동을 이어갔다. 1987년에는 프랑크푸르트와 하이델베르크, 1988년에는 하라레를 방문했다. 1995년에는 부다페스트, 암스테르담, 레이던, 위트레흐트에서 활동했고, 1998년에는 싱가포르, 타이베이, 홍콩을 방문했다. 1999년과 2000년에는 위트레흐트와 암스테르담, 후번 등지에서 활동을 이어갔다.2001년에는 대한민국의 서울과 평택을 방문했으며, 루벤, 암스테르담, 위트레흐트에서도 활동했다. 2005년 다시 서울과 암스테르담을 찾았고, 2007년에는 암스테르담, 위트레흐트, 도른(하이드파크)에서, 2009년에는 암스테르담, 위트레흐트, 엑상프로방스에서 학술 활동을 펼쳤다.
3. 신학 사상
3. 1. 조직신학(교의학) 연구
3. 2. 교회와 사회의 관계
3. 3. 에큐메니컬 신학
4. 남아프리카공화국 사회와 베트마르
5. 저서 및 출판물
콘라드 베스마르(Conrad Wethmar)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신학자로, 다양한 저서와 출판물을 통해 신학, 교회, 사회 간의 관계를 탐구했다. 그의 주요 저작들은 다음과 같다.
- 1969년, 플라톤 대화편에 나타난 상징으로서의 진드기에 대한 연구로 석사 학위 논문을 발표했다.
- 1977년, "Dogma en Verstaanshorison"을 암스테르담의 Rodopi에서 출판했다.
- 1978년, R H Venter가 편집한 "South African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Subject Matter"에 "신학적 주제의 분류"를 기고했다.
- 1980년, G C Oosthuizen, H A Shapiro, S A Strauss가 편집한 "Genetics and society"에 "유전학이 제기하는 윤리적 문제에 대한 몇 가지 신학적 노트"를 기고했다.
- 1981년, "Dogma, Kerugma en Geskiedenis"에서 그들의 상호 관계에 대한 잠정적인 관점을 제시했다.
- 1984년, "Die kerk as draer van die Goddelike Woord"를 통해 교회가 신성한 말씀의 전달자임을 강조했다.
- 1985년, P G Schrotenboer가 편집한 "The Interpretation of Scripture Today"에서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하신다는 성경적 진리가 관계적인가?"라는 질문을 던졌다.
- 1988년, "Homologie en Hermeneutiek"에서 동일론과 해석학을 다루었다.
- 1990년, "Teologie en Samelewing"에서 신학과 사회의 관계를 탐구했다.
- 1992년, "Dogmatiek as konfessionele en akademiese dissipline: terugblik en vooruitskouing"에서 교리신학을 고백적이고 학문적인 학문으로 다루었다.
- 1993년, "Die ekumeniese roeping van die kerk in die lig van die Gereformeerde belydenisskrifte"와 "Ekumenisiteit in dogmatologiese perspektief"에서 교회의 에큐메니컬 소명을 강조했다.
- 1994년, "Die vraagstuk van die ope en geslote nagmaal in die Nederduitse Gereformeerde Kerk"에서 열린 성찬의 문제를 다루었다.
- 1995년, "Die Vryheid van die teologie in die nuwere Rooms-Katolieke denke"에서 로마 가톨릭 사상에서의 신학의 자유를 논했다.
- 1996년, "Donum Veritatis and the freedom of theology"에서 개혁주의적 관점에서 신학의 자유를 다루었다.
- 1997년, "Ecclesiology and theological education"에서 남아프리카 개혁주의적 관점에서 교회론과 신학 교육을 논했다.
- 2000년, "Theological education in an ecumenical context: principles and procedures of the Pretoria model"에서 에큐메니컬 맥락에서의 신학 교육 원칙과 절차를 제시했다.
- 2002년, "Does dogma have a future?"에서 교리의 미래에 대한 질문을 던졌다.
- 2003년, "Theology between church, university and society"에서 교회, 대학교, 사회 사이의 신학을 다루었다.
- 2007년, "Conceptualisation of evil in African Christian theology"에서 아프리카 기독교 신학에서 악의 개념화를 다루었다.
- 2008년, "Confessionality and identity of the church : A Reformed perspective"에서 교회의 신앙고백성과 정체성을 개혁주의적 관점에서 논했다.
- 2009년, "Seventy years dogmatics and Christian ethics at the University of Pretoria : A Dutch Reformed perspective"에서 프리토리아 대학교의 교리신학과 기독교 윤리 70년을 회고했다.
- 2010년, "Recent ecclesiological developments in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continuity or discontinuity ?"에서 세계교회협의회의 최근 교회론적 발전을 다루었다.
- 2012년, "Ekklesiologie en Etiek : Die werk van Etienne de Villiers in die lig van die ekumeniese diskussie oor ekklesiologie en etiek"에서 교회론과 윤리에 대한 에큐메니컬 논의를 다루었다.
- 2017년, "The origin and calling of the church: The dialogue between the Reformed and Roman Catholic Churches five hundred years after the Reformation"에서 종교개혁 500년 후 개혁 교회와 로마 가톨릭 교회의 대화를 통해 교회의 기원과 소명을 탐구했다.
베스마르는 세계교회협의회(World Council of Churches)의 최근 교회론적 발전, 에티엔 드 빌리에르스(Etienne de Villiers)의 윤리적 책임, 신학 교육(Theological education)의 에큐메니컬 맥락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글을 발표했다.
6. 평가 및 영향
7. 추가 자료
참조
[1]
간행물
Verbum et Ecclesia, vol 33 (2012)
https://verbumeteccl[...]
[2]
서적
Nico Vorster, Herculaas F. (Herrie) van Rooy, Hendrik (Hennie) de Goede, Francois P. Viljoen, H.J.M. (Hans) van Deventer, C.F.C. (Callie) Coetzee, Benno Zuiddam, Petrus Paulus Kruger, Conrad Wethmar, Reformed theology today: Biblical and systematic-theological perspectives, xix
https://books.google[...]
[3]
서적
M. E. Brinkman, Nico F. M. Schruers, Theology Between Church, University, and Society (Koninklijke van Gorcum, 2003), 73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