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신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직신학은 기독교 신학의 한 분야로, 성경에 나타난 기독교의 진리를 체계적으로 진술하는 학문이다. 교의학이라고도 불리며, 주로 영국과 미국의 신학자들이 이 용어를 사용한다. 조직신학은 신학의 중요한 주제들을 성경적, 논리적 체계를 세워 다루며, 계시, 삼위일체 하나님, 인간, 그리스도, 구원, 교회, 종말 등을 다룬다. 조직신학은 성경에 근거하여 철학, 윤리학, 사회과학 등을 통해 발전해 온 기독교 교리를 연구하며, 다양한 방법론을 통해 기독교 진리를 탐구한다. 한국에서는 개화기 이후 서구 신학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다양한 신학자들이 한국적 신학을 발전시켜왔다.
도그마(Δογμα)는 "생각하다"라는 뜻의 헬라어 동사 "도케인"(δοκειν)에서 유래했다.[21] '도그마'(δογμα)는 '도케인'(δοκειν:생각하다)과 '모이'(μοι:나)의 합성어로, "나에게 그럴듯하게 생각된다"라는 의미이다.[21] 고대 헬라어에서는 공인된 결의나 법령을 의미했으나, 현대에는 성경적 근거 없이 지나치게 권위적인 교리나 전통을 비판하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2. 교의(도그마)의 어원
2. 1. 교의학
교의학이라는 명칭은 라인하르트(L. Reinhart)가 그의 책 《교의신학개요》(Synopsis theologiae dogmaticae, 1659)에서 처음으로 사용하였다.[1] 주로 교리에 관련된 학문의 의미로 사용한다.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학자들이 교의학이라는 이름을 사용한다.
국가 | 학자 |
---|---|
독일 | 오토 베버 |
스위스 | 카를 바르트, 에밀 브루너 |
네덜란드 | 아브라함 카이퍼, 헤르만 바빙크, 베르까우어 |
남아프리카공화국 | 요한 하인즈, 콘라드 베스마르 |
기타 | 찰스 호지 |
루이스 버코프 | |
카를 바르트 | |
폴 틸리히 | |
헨리 시센 | |
밀라드 J. 에릭슨 |
2. 2. 조직신학
조직신학은 단순한 교리뿐만 아니라 교회의 진리를 조직적으로 진술한다는 포괄적 의미로 사용되는 신학 분야이다. 대체로 영국과 미국의 거의 대부분의 신학자들이 이 용어를 사용한다. 미국의 핫지와 폴 틸리히는 "조직신학(Systematic Theology)"을 저술했으며, 예외적으로 독일 학자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도 "조직신학(Systematische Theologie, 1988)"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조직신학의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저자 | 저서 | 출판 연도 | 출판사 |
---|---|---|---|
바르트, 칼 | 교회 교의학 (전 13권) | 1956–1975 | 에든버러: T&T 클락 |
베르크호프, 헨드리쿠스 | 기독교 신앙: 신앙 연구의 소개 | 1979 | 그랜드래피즈: 에어드만스 |
베르크호프, 루이스 | 조직신학 | 1996 | 그랜드래피즈: Wm. B. 에어드만스 출판사 |
블레슈, 도널드 G. | 기독교의 기초 (전 7권) | 2002–2004 | 인터바시티 프레스 |
칼뱅, 장 | 기독교 강요 | 1559 | |
체이퍼, 루이스 스페리 | 조직신학 | 1948 | 그랜드래피즈: 크레겔 |
케메니츠, 마르틴 | 신학 논고 | 1591 | 세인트루이스: 콘코디아 출판사, 1989 |
에릭슨, 밀라드 | 기독교 신학 (제2판) | 1998 | 그랜드래피즈: 베이커 |
프레임, 존 | 주권의 신학 | ||
프룩텐바움, 아놀드 | 이스라엘학: 조직신학의 빠진 고리 | 1989 | 투스틴, 캘리포니아: 아리엘 미니스트리 |
프룩텐바움, 아놀드 | 메시아적 그리스도론 | 1998 | 투스틴, 캘리포니아: 아리엘 미니스트리 |
가이슬러, 노먼 L. | 조직신학 (전 4권) | 2002–2004 | 미니애폴리스: 베다니 하우스 |
그렌츠, 스탠리 J. | 하나님의 공동체를 위한 신학 | 1994 | 그랜드래피즈: 에어드만스 |
그라이더, J. 케네스 | 웨슬리-성결 신학 | 1994 | |
그루덤, 웨인 | 조직신학 | 1995 | 젠더반 |
호지, 찰스 | 조직신학 | 1960 | 그랜드래피즈: Wm. B. 에어드만스 출판사 |
젠슨, 로버트 W. | 조직신학 | 1997–1999 | 옥스포드: 옥스포드 대학교 출판사 |
멜랑히톤, 필립 | 공통 장소 | 1543 | 세인트루이스: 콘코디아 출판사, 1992 |
마일리, 존 | 조직신학 | 1892 | |
뉴랜드, 조지 | 기독교적 관점에서 본 하나님 | 1994 | 에든버러: T&T 클락 |
오든, 토마스 C. | 조직신학 (전 3권) | 1987–1992 | 피바디, 매사추세츠: 프린스 프레스 |
파넨베르크, 볼프하르트 | 조직신학 | 1988–1993 | 그랜드래피즈: Wm. B. 에어드만스 출판사 |
파이퍼, 프랜시스 | 기독교 교의학 | 1917–1924 | 세인트루이스: 콘코디아 출판사 |
레이몬드, 로버트 L. | 기독교 신앙의 새로운 조직신학 (제2판) | 1998 | 워드 출판사 |
슐라이어마허, 프리드리히 | 기독교 신앙 | 1928 | 에든버러: T&T 클락 |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 | 신국론 | 354–430 | |
티엘리케, 헬무트 | 복음적 신앙 | 1974–1982 | 에든버러: T&T 클락 |
티센, 헨리 C. | 조직신학 | 1949 | 그랜드래피즈: 윌리엄 B. 에어드만스 출판사 |
틸리히, 폴 | 조직신학 (전 3권) | ||
투레틴, 프랜시스 | 논박 신학 강요 (전 3부) | 1679–1685 | |
반틸, 코르넬리우스 | 조직신학 서론 | 1974 | P&R 프레스 |
왓슨, 리처드 | 신학 강요 | 1823 | |
베버, 오토 | 교의학의 기초 | 1981–1983 | 그랜드래피즈: 에어드만스 |
조직신학은 넓은 의미에서 신학 전체를 의미하기도 하지만, 엄밀하게는 신학의 한 분야이다. 근대에 들어와 신학의 분과 학문이 발전하면서 조직신학은 성경신학, 역사신학(교회사), 실천신학 등과 구분되기 시작했다. 조직신학은 성경에 나타난 진리를 논리적이고 체계적으로 구성하여 계시, 삼위일체, 인간, 그리스도, 구원, 교회, 종말 등 주요 주제를 다룬다.
3. 정의
여러 신학자들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3. 1. 최근의 개혁주의적 입장
존 프레임은 조직신학을 특정 주제에 대한 성경적 가르침을 요약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웨인 그루뎀은 여러 주제에 관련된 성경 본문들을 수집, 이해하고, 그 가르침을 분명하게 요약하여 각 주제에 대해 우리가 무엇을 믿어야 하는지 알려주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4. 조직신학의 방법론
성서 신학과는 다른 방법론적 전통을 가진 조직신학은 성경에 근거하면서도 철학, 윤리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등을 통해 발전해 온 기독교 교리를 연구한다. 성경 본문을 비교하고 관련지어 특정 문제에 대해 성경 전체가 무엇을 말하는지 체계적으로 진술한다.[4]
존 웹스터는 조직신학이 삼위일체(존재론적 원리), 성경(외적/객관적 인식 원리), 성도들의 구원받은 지성(내적/주관적 인식 원리)을 따른다고 설명한다.[5] 또한 모든 조직신학의 과제를 창조주와 피조물의 구분을 명확하게 하는 것으로 보았는데, 이는 캐서린 태너가 "기독교 신학에서의 하나님과 피조물"(1988)에서 탐구한 호환론적 형이상학의 관점과 연결된다.[6][7]
기독교 내의 다양한 전통은 조직신학에 접근하는 방식, 신학적 과제에 대한 이해, 시스템에 포함된 교리, 교리가 나타나는 순서에 영향을 미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직신학 저술들은 일반적으로 계시로 시작하여 종말론으로 끝맺는다.
진리에 초점을 맞춘 조직신학은 현대 세계와 상호 작용하고 대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찰스 고어, 존 월보드 등 많은 저술가들이 이 분야를 탐구했으며, 이들은 성경 자료를 다루는 방식을 따르면서 교리의 성경 이후 역사를 검토하고, 현대적 문제에 대한 적용으로 마무리한다.[8]
4. 1. 기독교 유신론적 방법
코르넬리우스 반틸은 하나님이 모든 유한한 존재와 지식의 근원이시며, 절대적 자의식적 존재임을 전제해야 한다고 보았다.[1] 이는 비기독교적인 방법과 구별되는 명령이며, 유신론적 방법은 하나님을 지식의 존재 원리(Principium Essendi of knowledge)로 본다.[1]4. 2. 종합적인 방법
헤르만 바빙크는 교의학의 방법(Methode der Dogmatiek)에 관하여 성경(de Heilige Schrift), 신조(de belijdenis der kerk), 기독교적인 의식(het Christelkk bewustzijn)의 3가지 요소를 제시하였다.[2] 헤르만 바빙크에 따르면 계시인 성경이 신학 방법의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되어야 하며, 이 세 요소가 종합적인 방법으로 상호 밀접하게 관련되어야 한다.[2] 종합적인 방법은 신학적 방법 혹은 권위의 방법으로 말해지는데, 이 방법은 성경에 있는 신적 자기 계시로부터 신학을 인출하는 것이다.[2]4. 3. 현대 신학자들의 신학 방법론
현대 신학자들은 공통적으로 감정 또는 이성과 같은 인간적 철학에 기초하여 신학을 세우는 경향이 있다.[1]- 칼 바르트: 초기에는 변증신학을 사용하고, 후기에는 말씀의 신학을 주장했다. 변증신학은 쇠렌 키르케고르의 역설의 원리에서 영향을 받았다. 이 역설은 모순(역설)을 말하면서 사상을 표현하는 방식으로, 쇠렌 키르케고르는 소크라테스의 반어법을 사용한다. 반어법은 무지를 드러내는 참된 진리를 깨닫게 한다. 이 방법은 역설적으로 전개된다.[1]
- 루돌프 불트만: 비신화화 방법 - 성경은 고대인의 신화적인 사관에서 기록되었기에 신화적 요소를 제거하는 것이 비신화화 작업이다. 양식사학파에서 배웠다. - 구전. 전설이 어떻게 전승되어 성경의 형태를 갖게 되었는지를 연구하며 역사성을 찾으려고 한다.[1] 실존주의 철학에 의한 해석방법을 도입한다.[1]
- 폴 틸리히: 상관의 방법 - 현 상황에서 이성이 질문하고 계시가 답변하는 방식으로 신학을 설명한다.[1]
- 존 멕퀘리(John Macquarrie):[1]
- * 서술 - 현상학적인 접근 방법으로 할 것.
- * 해석 - 오늘날 우리를 위한 해석이 필요하다.
- * 적용 - 믿음의 공동체의 삶에 적용.
- 고든 카프만(Kaufman):[1]
- * 상상적인 건설(imaginative construction).
## 현상적인 서술 - 현대 체험의 다양성을 세계의 개념 안에서 모아야 한다. 오늘날의 사람들에게 상관이 되고 의미가 있는 인류학적, 우주적인 인식을 포함한다.
## 상상과 건설적인 생각을 통한 하나님의 이미지/개념을 소개.
## 현대 체험은 하나님의 관점에 의해서 이해되어야 한다. 즉 신학적으로 이해해야 한다.
5. 조직신학의 주제들
조직신학은 기독교 진리를 체계적으로 다루기 위해 여러 주제로 나누어 연구한다. 조직신학은 성경적 논리적 체계를 세워 계시, 삼위일체 하나님, 인간, 그리스도, 구원, 교회, 종말과 같은 주제를 다룬다.[22]
조직신학의 주요 주제는 다음과 같다.[1][9]
주제 | 설명 |
---|---|
신론 | 기독교의 하나님에 대한 연구 |
인간론 | 하나님과 관련된 인간에 대한 연구 |
기독론 |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에 대한 연구 |
구원론 | 성령의 인격과 사역, 구원과 관련된 주제들을 연구 |
교회론 | 기독교의 기원, 그리스도와 교회의 관계등을 연구 |
종말론 | 세계와 인류의 종말과 관련된 문제들을 연구 |
천사론 | 천사에 대한 연구 |
성경론 | 성경에 대한 연구 |
우주론 | 창조에 대한 연구 |
죄론 | 죄에 대한 연구 |
5. 1. 신론
기독교 신학의 중요한 연구 분야로 성경에 계시된 기독교의 하나님에 대한 성경적-신학적 연구 분야이다. 삼위일체 하나님의 본질과 하나님의 사역을 다룬다.5. 2. 인간론
인간론은 기독교 신학에서 하나님과 관련된 인간을 연구하는 학문이다.5. 3. 기독론
기독론은 조직 신학의 한 분야로서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 특히 '신성(神性)'과 '인성(人性)'의 관계에 대한 기독교 신학 이론을 말한다.5. 4. 구원론
성령론과 연관된 구원론은 성령의 인격과 사역을 다룬다. 특히 소명, 회개, 회심, 믿음, 칭의, 중생, 성화, 견인, 영화 등의 주제를 취급한다.[4]5. 5. 교회론
교회론은 기독교 신학 분야에서 기독교의 기원, 그리스도와 교회의 관계, 구원의 역할, 교회의 정책, 치리, 그리고 리더십과 관련된 기독교 교회를 연구하는 것이다.[4]5. 6. 종말론
기독교 종말론은 기독교에서 세계와 인류의 종말을 전제로 하여 그와 관련된 모든 문제를 다루는 이론이다. 그리스도의 재림, 인류의 부활, 최후의 심판, 새 하늘과 새 땅 등으로 이어지는 종말의 진행 과정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23]5. 7. 천사론
천사론은 천사에 대한 연구이다.[1][9]5. 8. 성경론
성서 신학과 다소 다른 방법론적 전통을 가진 조직신학은 기독교의 핵심 성경에 근거하면서 동시에 철학, 윤리학, 사회과학 및 자연과학을 통해 역사의 흐름 속에서 발전해 온 기독교 교리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 성경 본문을 사용하여 모든 성경을 비교하고 관련짓는 시도를 통해 특정 문제에 대해 성경 전체가 무엇을 말하는지에 대한 체계적인 진술을 만들어냈다.[4] 다시 말해, "기독교 가르침을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조직신학은 개념적 추상화와 체계화 과정을 거친다."[4]존 웹스터는 획기적인 논문 "조직신학의 원리"에서 토마스 아퀴나스를 비롯한 여러 신학자들의 견해를 바탕으로 조직신학이 성경을 외적/객관적 인식 원리(''principium cognoscendi externum'')로 삼아 진행된다고 설명한다.[5]
5. 9. 창조론
성경에 근거하면서 철학, 윤리학, 사회과학 및 자연과학을 통해 발전해 온 기독교 교리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 조직신학은 창조에 대한 연구를 포함한다. 이를 우주론이라고도 부른다.[1]5. 10. 죄론
조직신학에서 죄론은 죄에 대한 연구를 다룬다.[1]6. 역사
기독교 사상과 성경의 다양한 주제들을 하나의 일관된 형태로 제시하는 것은 비교적 늦게 발전했다.[10] 3세기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는 "믿음은 본질적으로 포괄적인 지식이다"라고 말하며 기독교 원리를 포괄적으로 이해하려는 개념을 처음으로 언급했다.[11] 클레멘트와 그의 제자 오리게네스는 체계적인 신학을 구축하려 시도했다. 락탄티우스(Lactantius)의 『신의 제도』(Divine Institutes)는 라틴어로 쓰인 최초의 체계적인 신학 저술이며, "제도"(Intitutio)라는 용어는 서구 전통에서 체계적인 신학 저술의 선례를 세웠다.[12] 동방 정교회에서는 8세기 다마스쿠스의 요한의 『정교회 신앙 해설』(Exposition of the Orthodox Faith)이 초기 사례로, 동방 신학 전통의 고전 텍스트의 신학적 일관성을 보여주고 정리하려 했다.
서구에서는 12세기 피에르 롬바르의 『문장집』(Sentences)이 교부들의 인용문을 주제별로 수집하여 중세 스콜라 철학의 주제별 주석 및 설명 전통의 기초가 되었다.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Summa Theologiae)은 이 스콜라 전통을 가장 잘 보여주는 예시이다. 루터파 스콜라 철학 전통은 16세기 필립 멜랑히톤의 『공통 장소』(Loci Communes)에서 등장했으며, 장 칼뱅의 『기독교 강요』(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가 보여주는 칼뱅파 스콜라 철학에 의해 반박되었다.
17세기에는 스콜라 철학 방법의 르네상스 속에서 체계 신학이 급증했다. 프란시스 투레틴(Francis Turretin)의 『논박 신학 제도』(Institutes of Elenctic Theology, 1696)와 페트루스 반 마스트리히트의 『이론-실천 신학』(Theoretical-Practical Theology, 1680)은 이 분야의 중요한 저서가 되었고, 윌리엄 커닝햄, 조나단 에드워즈, 찰스 호지, 허먼 바빙크 등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윌리엄 에임스의 『신학의 골자』(The Marrow of Theology, 1629)는 초기 하버드와 예일 대학의 표준 교재였다.[13]
19세기에는 프로테스탄트 그룹에서 기독교 교리가 하나 이상의 근본적인 공리를 전제로 더 일관된 체계를 형성한다는 것을 보여주려는 다양한 체계 신학이 등장했다. 이러한 신학은 종종 교의 신학의 형태로 추론되었으며, 전통적인 신앙을 과감하게 다듬고 재해석하는 것을 포함했다. 대륙 신학은 다양한 교의 신학 학파로 나뉘었다. 예를 들어 신루터교의 에를랑겐 신학(예: 요한 크리스티안 콘라트 폰 호프만, 고트프리트 토마시우스, 기슬레 요한손), 중재 신학(예: 이삭 아우구스트 도르너), 고전적 고백 신학(예: 한스 라센 마르텐센, 허먼 바빙크), 자유주의 신학(예: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 알브레히트 리치) 등이 있다. 미국에서는 찰스 호지의 『체계 신학』(Systematic Theology)이 프린스턴 신학교에서 인기 있는 교재가 되었다. 프리드리히 다니엘 에른스트 슐라이어마허의 『복음주의 교회의 원리에 따른 그리스도 신앙』(Der christliche Glaube nach den Grundsätzen der evangelischen Kirche, 1821-1822)은 '절대적 의존'에 대한 느낌이나 인식을 근본적인 개념으로 주장했고, 이는 신학자들 사이에서 수용, 통합 또는 거부의 초점이 되었다.[14] 19세기의 체계 신학은 헤겔, 칸트, 슐라이어마허로부터 물려받은 철학적 담론을 바탕으로 특정한 전제된 첫 원리에서 신학을 발전시키는 정교한 노력이었다.[15]
20세기에도 체계 신학은 다양하게 발전하여, 신정통주의와 칼 바르트의 『교회교의학』(Church Dogmatics)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헬무트 티엘리케는 실존주의적 강조를 가진 고백적인 루터 신학으로 『복음 신앙』(The Evangelical Faith)을 저술했고,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의 『체계 신학』(Systematic Theology)은 신앙과 과학을 통합하려는 시도를 보여준다. 로버트 젠슨의 『체계 신학』(Systematic Theology)은 바르트적 관점에서 후기 근대성의 문제를 살펴보는 20세기 체계 신학의 마지막 작품으로 여겨진다. 복음주의 신학 내에서 루이스 스페리 체이퍼의 『체계 신학』(Systematic Theology)에서 웨인 그루뎀의 『체계 신학』(Systematic Theology)에 이르기까지 여러 인기 있는 교재 스타일의 저서가 등장했으며, 칼 에프. 에이치. 헨리의 『하나님, 계시, 권위』(God, Revelation and Authority)는 인식론적 세계관 신학을 담고 있다. 개혁주의 신학 또한 루이스 버크호프의 『체계 신학』(Systematic Theology)과 G. C. 버크하우어의 『교의학 연구』(Studies in Dogmatics)를 포함하여 상당한 공헌을 했다. 20세기 후반에는 해방 신학의 제임스 H. 콘과 구스타보 구티에레스, 탈자유주의 신학과 관련된 예일 신학교, 여성 신학(예: 사라 코클리)을 포함하여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관점에서 중요한 주제를 다룬 체계 신학이 등장했다. 20세기의 체계 신학의 다양성과 관점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윤리적 관심의 확대, 광범위한 다원주의, 그리고 후기 근대성의 출현과 잘 맞아떨어진다.[16][15]
7. 관련 신학회
한국에서는 1967년 한국조직신학회가 설립되어 개신교 공교회주의와 개혁주의 전통 조직신학을 포괄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1997년에는 개신교 보수주의를 배경으로 한국복음주의 조직신학회가, 1996년에는 개혁주의 사상에 기초하여 한국개혁신학회가, 2002년에는 개혁신학회가 각각 설립되었다. 이들 학회는 조직신학, 현대신학, 윤리학, 해석학 등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고 발표하며, 그 결과를 책으로 출판하여 한국 신학계에 공헌하고 있다.
8. 주요 조직신학자
칼 바르트, 루이스 베르크호프, 장 칼뱅, 찰스 호지, 폴 틸리히를 비롯한 여러 신학자들이 조직신학 발전에 기여했다. 이들은 각자의 신학적 관점과 방법론을 통해 조직신학의 다양한 주제들을 탐구하고 체계화했다.[1]
8. 1. 세계
- 칼 바르트 (1956–1975). ''교회 교의학'' (전 13권). 에든버러: T&T 클락.
- 헨드리쿠스 베르크호프 (1979). ''기독교 신앙: 신앙 연구의 소개''. 그랜드래피즈: 에어드만스.
- 루이스 베르크호프 (1996). ''조직신학''. 그랜드래피즈: Wm. B. 에어드만스 출판사.
- 도널드 블레슈 (2002–2004). ''기독교의 기초'' (전 7권). 인터바시티 프레스.
- 장 칼뱅 (1559). ''기독교 강요''.
- 루이스 스페리 체이퍼 (1948). ''조직신학''. 그랜드래피즈: 크레겔.
- 마르틴 케메니츠 (1591). ''신학 논고''. 세인트루이스: 콘코디아 출판사, 1989.
- 밀라드 에릭슨 (1998). ''기독교 신학'' (제2판). 그랜드래피즈: 베이커.
- 존 프레임 ''주권의 신학''.
- 아놀드 프룩텐바움 (1989). ''이스라엘학: 조직신학의 빠진 고리''. 투스틴, 캘리포니아: 아리엘 미니스트리.
- 아놀드 프룩텐바움 (1998). ''메시아적 그리스도론''. 투스틴, 캘리포니아: 아리엘 미니스트리.
- 노먼 가이슬러 (2002–2004). ''조직신학'' (전 4권). 미니애폴리스: 베다니 하우스.
- 스탠리 그렌츠 (1994). ''하나님의 공동체를 위한 신학''. 그랜드래피즈: 에어드만스.
- J. 케네스 그라이더 (1994). ''웨슬리-성결 신학''.
- 웨인 그루덤 (1995). ''조직신학''. 젠더반.
- 찰스 호지 (1960). ''조직신학''. 그랜드래피즈: Wm. B. 에어드만스 출판사.
- 로버트 젠슨 (1997–1999). ''조직신학''. 옥스포드: 옥스포드 대학교 출판사.
- 필립 멜랑히톤 (1543). ''공통 장소''. 세인트루이스: 콘코디아 출판사, 1992.
- 존 마일리 (1892). ''조직신학''.
- 조지 뉴랜드 (1994). ''기독교적 관점에서 본 하나님''. 에든버러: T&T 클락.
- 토마스 오든 (1987–1992). ''조직신학'' (전 3권). 피바디, 매사추세츠: 프린스 프레스.
- 볼프하르트 파넨베르크 (1988–1993). ''조직신학''. 그랜드래피즈: Wm. B. 에어드만스 출판사.
- 프랜시스 파이퍼 (1917–1924). ''기독교 교의학''. 세인트루이스: 콘코디아 출판사.
- 로버트 레이몬드 (1998). ''기독교 신앙의 새로운 조직신학'' (제2판). 워드 출판사.
-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 (1928). ''기독교 신앙''. 에든버러: T&T 클락.
-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 (354–430). ''신국론''.
- 헬무트 티엘리케 (1974–1982). ''복음적 신앙''. 에든버러: T&T 클락.
- 헨리 C. 티센 (1949). ''조직신학''. 그랜드래피즈: 윌리엄 B. 에어드만스 출판사.
- 폴 틸리히 (1951-1963). ''조직신학''. (전 3권). 시카고 대학교 출판사
- 프랜시스 투레틴 (1679–1685). ''논박 신학 강요'' (전 3부).
- 코르넬리우스 반틸 (1974). ''조직신학 서론''. P&R 프레스.
- 리처드 왓슨 (1823). ''신학 강요''.
- 오토 베버 (1981–1983). ''교의학의 기초''. 그랜드래피즈: 에어드만스.
참조
[1]
서적
NIV, Biblical Theology Study Bible, eBook: Follow God's Redemptive Plan as It Unfolds throughout Scripture
Zondervan
[2]
서적
Systematic Theology, Volume 1, Fourth Edition
Wipf and Stock Publishers
[3]
서적
Systematic Theology
https://books.google[...]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1996-09-24
[4]
서적
Oxford Handbook of Systematic The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5]
학술지
Principles of Systematic Theology
https://doi.org/10.1[...]
2009
[6]
서적
God and Creation in Christian Theology
Fortress Press
[7]
doctoral dissertation
Distinguishing Between God and Man: Aspects of the Theology of Eberhard Jüngel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서적
Systematic Theology, Volume 2
Wipf and Stock Publishers
[9]
웹사이트
Categories of Theology
https://web.archive.[...]
2014-09-18
[10]
서적
Christian Spirituality and Social Transformation
Oxford Research Encyclopedias
[11]
서적
Stromata
[12]
서적
The Divine Institutes
The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13]
서적
The Soul of the American University: From Protestant Establishment to Established Nonbelief
Oxford University Press
[14]
서적
Orthodox yet Modern: Herman Bavinck's Use of Friedrich Schleiermacher
Lexham Press
[15]
서적
The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Eerdmans
[16]
서적
20th Century Theology: God & the World in a Transitional Age
InterVarsity Press
[17]
서적
NIV, Biblical Theology Study Bible, eBook: Follow God's Redemptive Plan as It Unfolds throughout Scripture
Zondervan
[18]
서적
한눈에 보는 성경조직신학
기쁜날
[19]
논문
Toward a theology of cooperation: A historical, biblical, and systematic examination of the compatibility of cooperation and autonomy among local Baptist churches
http://gradworks.umi[...]
2012-07-19
[20]
백과사전
조직신학 항목
[21]
문서
헬라어 '에모이'(εμοι)에서 변형
[22]
서적
An introduction to systematic theology : prolegomena and the doctrines of revelation, scripture, and God
https://www.worldcat[...]
P & R Pub
2007
[23]
웹사이트
교회용어사전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