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택시는 경기도 남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동쪽은 안성시, 남쪽은 충청남도 천안시, 아산시, 서쪽은 아산만, 서북쪽은 화성시, 동북쪽은 오산시, 용인시에 접한다. 조선 시대에는 충청도, 경기도, 평택군으로 나뉘어 있었으나, 1914년 진위군으로 통합되었고, 1938년 평택군으로 개칭되었다. 1981년 송탄읍이 송탄시로 승격 분리되었으며, 1986년 평택읍이 평택시로 승격되었다. 1995년 송탄시, 평택시, 평택군이 통합하여 도농복합시인 평택시가 되었다. 주요 시설로는 평택항, 해군 제2함대, 주한 미군 험프리스 기지, 오산 공군기지 등이 있으며, LG전자 평택캠퍼스, 삼성반도체 평택캠퍼스 등 다양한 기업들의 생산 시설도 자리 잡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택시의 행정 구역 - 팽성읍
팽성읍은 경기도 평택시 북부에 위치한 읍으로,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1979년 읍으로 승격되었고, 현재 주한미군 기지인 캠프 험프리스가 위치하며 25개의 법정리와 71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 평택시의 행정 구역 - 송탄동
송탄동은 경기도 평택시에 위치한 행정동으로, 삼남대로의 요충지였던 옛 송탄시의 일부 지역을 포함하며, 편리한 교통망과 다양한 교육기관, 그리고 브레인시티 개발 사업으로 인한 대규모 아파트 단지 건설이 진행 중이어서 향후 발전과 교통 체계 개선이 중요해지고 있다. - 대한민국의 항구 도시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MICE 산업, 금융, 서비스업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하며, 세계적인 무역항인 부산항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 유적과 관광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항구 도시 - 서귀포시
서귀포시는 제주도 남부에 위치하며, 천혜의 자연경관과 다양한 관광 명소를 자랑하고, 제주 유나이티드 FC의 연고지이며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 경기도의 도시 - 파주시
파주시는 경기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고조선 시대부터 역사를 이어왔고, 임진강과 한강이 흐르는 대륙성 기후를 띠며, 장단콩 등 특산물과 다양한 문화·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2024년 1월 특례시로 지정되었다. - 경기도의 도시 - 과천시
과천시는 경기도 중서부에 위치한 행정 도시로, 정부과천청사 이전 후 도시 기능 변화가 있었지만 일부 부처와 지방청이 남아있고, 다양한 문화·관광 시설을 갖춘 수도권 시민들의 나들이 장소이다.
평택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 | |
한국어 표기 | 평택시 |
한자 표기 | 平澤市 |
로마자 표기 | Pyeongtaek-si |
맥큔-라이샤워 표기 | P'yŏngt'aek-si |
행정 구역 | 대한민국 도 직할 시 |
관할 지역 | 경기도 (수도권) |
방언 | 경기 |
면적 | 452.31 km² |
인구 | 500,787 명 (2019년 4월 기준) |
인구 밀도 | 1,107 명/km² |
하위 행정 구역 | 4읍, 5면, 13동 |
상징 | 시목: 소나무 시화: 배꽃 시조: 백로 |
공식 명칭 | 평택시 |
시민 | 평택시민 (Pyeongtaek-simin), 평택 사람 |
![]() | |
행정 | |
시장 | 정장선 (더불어민주당) |
국회의원 | 평택시 갑: 홍기원 (더불어민주당) 평택시 을: 이병진 (더불어민주당) 평택시 병: 김현정 (더불어민주당) |
시청 소재지 | 평택시 경기대로 245 |
행정 구역 코드 | 31070 |
기타 | |
웹사이트 | 평택시 공식 웹사이트 |
추가 정보 | |
승격일 | 1986년 1월 1일 |
2. 역사
평택 지역은 고대에 고구려의 부산현(釜山縣), 통일신라의 진위현(振威縣)으로 불렸으며, 고려 시대에 처음으로 평택(平澤)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현재의 평택시 영역이 충청도의 진위현, 평택현과 경기도의 수원유수부에 나뉘어 속해 있었다. 1895년 23부제와 1896년 13도제를 거치며 소속 도(道)와 부(府)에 변화가 있었다.[13][14]
1914년 일제강점기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경기도 진위군을 중심으로 수원군 남부 일부와 충청남도 평택군이 통합되어 경기도 '''진위군'''으로 재편되었다.[15] 1938년에는 진위군이 '''평택군'''으로 이름을 바꾸었고, 평택면이 평택읍으로 승격하였다.[16][17]
1950년 한국전쟁 중에는 평택 전투가 벌어진 곳이기도 하다. 해방 이후, 평택 지역은 산업화와 도시화를 겪으며 행정 구역에 큰 변화를 맞이했다. 1981년에는 송탄읍이 송탄시로 승격하여 평택군에서 분리되었고,[20] 1986년에는 평택읍이 '''평택시'''로 승격하여 역시 평택군에서 분리되었다.[22][23] 이 과정에서 1983년과 1987년에는 인접한 안성군, 용인군, 화성군의 일부 지역이 주민 동의 과정을 충분히 거치지 않고 평택으로 편입되기도 하였다.[21] 마침내 1995년 5월 10일, 송탄시, 평택시, 평택군이 하나의 도농복합시인 '''평택시'''로 통합되어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25]
한편, 평택은 주한미군의 주요 기지인 험프리스 기지와 오산 공군기지가 위치한 전략적 요충지이기도 하다. 특히 2000년대 이후 진행된 주한미군 재배치 계획에 따라 험프리스 기지가 대규모로 확장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2017년 안정리 주민들이 삶의 터전을 옮겨야 하는 등[1] 현대사의 중요한 변화를 겪고 있다.
2. 1. 고대 ~ 조선 시대
고대에는 고구려의 부산현(釜山縣)이었으며, 통일신라 시대에는 진위현(振威縣)이 되었다. 고려 시대에 처음으로 평택(平澤)이라는 이름이 사용되었다.조선 시대 초기에는 경기도에 속하기도 하고, 직산현(稷山縣)에 편입되기도 하였으나, 17세기 이후에는 주로 충청도 평택현(平澤縣)이 되었다. 조선 후기, 현재 평택시의 동부(평택·송탄 시내 동지역과 진위·서탄·고덕면)는 충청도 진위현(진위군)에, 서부(포승·안중읍과 청북·오성·현덕면)는 경기도 수원유수부(수원군)에 속했으며, 현재의 팽성읍과 고덕면 남쪽 일부는 충청도 평택현(평택군)에 속하였다.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23부제가 실시되면서 충청도 진위군과 평택군은 공주부에, 경기도 수원군은 인천부에 속하게 되었다.[13] 1896년 8월 4일 13도제가 실시되자 공주부 소속이었던 진위군은 경기도로 이관되었고, 인천부 소속 수원군도 경기도에 속하게 되었다. 반면 공주부 평택군은 충청남도에 속하게 되었다.[14]
2. 2. 일제강점기 ~ 해방 이후
1914년 4월 1일, 일제강점기 하의 행정구역 개편(군면병합)에 따라 경기도 진위군을 중심으로 경기도 수원군 남부 지역과 충청남도 평택군을 통합하여 경기도 '''진위군'''으로 개편되었다.[15] 당시 진위군은 11개 면으로 구성되었으며, 군청은 진위면(당시 북면)에 두었다.[9]1914년 개편 당시 진위군 면 목록 |
---|
북면 |
서탄면 |
송탄면 |
고덕면 |
병남면 |
청북면 |
포승면 |
현덕면 |
오성면 |
부용면 |
서면 |
1926년에는 진위군청을 북면에서 병남면으로 이전하였다. 1931년 4월 1일에는 병남면이 평택면으로 이름을 바꾸었고,[16] 1934년 4월 1일에는 부용면과 서면이 통합되어 팽성면이 되었다. 1938년 10월 1일에는 진위군이 '''평택군'''으로 개칭되었고, 동시에 평택면이 평택읍으로 승격하여 1읍 9면 체제가 되었다.[16][17]
해방 이후인 1948년 8월 1일, 북면이 진위면으로 개칭되었다. 1950년 7월에는 한국전쟁 중 평택 전투가 벌어지기도 했다.
1963년 1월 1일에는 송탄면이 송탄읍으로 승격하였고[18](2읍 8면), 1979년 5월 1일에는 팽성면이 팽성읍으로 승격하였다.[19](3읍 7면)
1981년 7월 1일에는 송탄읍이 '''송탄시'''로 승격되어 평택군에서 분리되었다.[20] 이로써 평택군은 2읍 7면 체제가 되었다. 1983년 2월 15일, 당시 공화국 정부는 주민들의 의견 수렴이나 동의 절차 없이 안성군 원곡면의 용이리·죽백리·청용리·월곡리와 공도면 소사리를 평택군 평택읍에 편입시켰다.[21] 같은 날, 용인군 남사면의 진목리와 봉명리 역시 주민 동의 없이 평택군으로 편입되었다.
1986년 1월 1일, 이렇게 편입된 안성 및 용인 지역의 토지와 세수를 기반으로 평택읍이 '''평택시'''로 승격하여 평택군에서 다시 분리되었다.[22][23] 이로써 행정구역은 평택군(1읍 7면), 송탄시(8동), 평택시(6동)로 나뉘게 되었다. 같은 해 평택항이 개항하였다. 1987년 1월 1일에는 화성군 양감면 고렴리가 또다시 화성 주민들의 의견 수렴 및 동의 없이 평택군 청북면에 편입되었다. 1987년 7월 1일에는 안중출장소가 설치되었고, 1989년 4월 1일에는 안중출장소 관할 일부가 안중면으로 승격하여 평택군은 1읍 8면 체제가 되었다.
1995년 4월 20일에는 진위면의 갈곶리, 고현리, 청호리 각 일부가 오산시에 편입되었다.[24] 이후 1995년 5월 10일, 송탄시, 평택시, 평택군이 하나의 도농복합시인 '''평택시'''로 통합되어 오늘에 이른다.[25] 통합 당시 평택시는 1읍 8면 14개 동으로 구성되었다.
2. 3.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 1948년 8월 1일: 북면이 진위면으로 개칭되었다.
- 1950년 7월: 한국전쟁 중 평택 전투가 벌어졌다.
- 1963년 1월 1일: 송탄면이 송탄읍으로 승격하였다.[18](2읍 8면)
- 1975년 9월 29일: 한국 전쟁 당시 참전했던 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장병 37명을 기리기 위한 '''대한민국 공군 한국전쟁 기념비'''가 국방부에 의해 건립되었다.[3][4]
- 1979년 5월 1일: 팽성면이 팽성읍으로 승격하였다.[19](3읍 7면)
- 1981년 7월 1일: 송탄읍이 '''송탄시'''로 승격하여 평택군에서 분리되었다.[20](평택군 2읍 7면, 송탄시 8동)
- 1983년 2월 15일: 안성군 원곡면 용이리·죽백리·청용리·월곡리와 공도면 소사리가 주민 의견 수렴 및 동의 없이 평택군 평택읍으로 편입되었다.[21] 같은 날 용인군 남사면 진목리와 봉명리 역시 주민 동의 없이 평택군으로 편입되었다.
- 1986년 1월 1일: 안성군과 용인군의 일부 지역을 편입한 평택읍이 '''평택시'''로 승격하여 평택군에서 분리되었다.[22][23](평택군 1읍 7면, 송탄시 8동, 평택시 6동) 같은 해 평택항이 개항하였다.
- 1987년 1월 1일: 화성군 양감면 고렴리가 화성군 주민의 의견 수렴 및 동의 없이 평택시로 편입되었다.
- 1987년 7월 1일: 안중출장소가 설치되었다. (당시 평택군청은 평택시 관할 구역 내에 있었다.)
- 1989년 4월 1일: 안중출장소 관할 일부가 안중면으로 승격하였다.(평택군 1읍 8면, 송탄시 8동, 평택시 6동)
- 1995년 4월 20일: 진위면 갈곶리, 고현리, 청호리 각 일부가 오산시에 편입되었다.[24]
- 1995년 5월 10일: 송탄시, 평택시, 평택군이 도농복합시인 '''평택시'''로 통합되었다.[25](1읍 8면 14동)
- 1996년 4월 19일: 동부동이 송탄동으로 개칭되었다.[26]
- 1998년 10월 1일: 도원동이 송탄동에 합동되었다.[27](1읍 8면 13동)
- 2002년 11월 5일: 안중면이 안중읍으로 승격하였다.[28] (2읍 7면 13동)
- 2006년 12월 29일: 포승면이 포승읍으로 승격하였다.[29](3읍 6면 13동)
- 2016년 7월 28일: 청북면이 청북읍으로 승격되었다.(4읍 5면 13동)
- 2019년 4월 11일: 평택시의 주민등록 인구가 50만 명을 넘었다.
- 2019년 9월 30일: 비전2동에서 용이동을 분동하였다.(4읍 5면 14동)
- 2021년 10월 25일: 비전1동에서 동삭동을 분동하였다.(4읍 5면 15동)
- 2021년 11월 15일: 고덕면 여염리·율포리·좌교리·해창리 일부가 고덕동으로 변경되었다.(4읍 5면 16동)
오산 공군기지는 평택시 송탄 지역에 위치해 있다.
2007년 3월, 김장수 당시 국방부 장관과 미국 국방장관 로버트 게이츠는 2012년 4월 17일부로 한미연합군사령부를 해체하기로 합의했다.[2] 이 합의는 한국군이 북한과의 군사적 충돌 시 전시 작전통제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또한 이 합의에 따라 서울 및 수도권 북부에 주둔하던 주한미군을 평택으로 이전하여 하나의 중앙 집중식 위치로 통합하는 계획이 진행되었다. 이 계획은 미군이 사용하던 토지의 상당 부분을 한국 정부에 반환하는 결과를 가져왔으며, 2008년까지 주한미군은 이전 합의에 따라 41개의 시설을 10개로 통합할 예정이었다.
2017년 10월, 한국 정부와 미국 정부는 평택시 안정리 인근의 미군 기지인 험프리스 기지를 확장하고 서울 및 북부 지역 주둔 미군 대부분을 이곳으로 이전하기로 최종 합의했다. 이에 정부는 기지 확장을 위해 수용권을 행사하여 주변 토지를 확보했으며, 이 과정에서 안정리 주민들은 일제강점기 이후 세 번째로 삶의 터전에서 강제로 이주하게 되는 아픔을 겪었다.[1] 주한미군의 유일한 교도소 시설은 험프리스 기지 내에 있다.
3. 지리
평택시는 경기도의 남단에 위치하며, 동쪽은 안성시에 남쪽은 충청남도 천안시, 아산시에 접하며, 서쪽은 아산만, 서북은 화성시, 동북은 오산시, 용인시에 접하고 있다. 동서간 거리는 33.4km이며, 남북간 거리는 32.9km이다.[30]
지질은 주로 화강편마암으로 되어 있으며, 기반암은 주로 화강암이다. 하천 주변에는 충적층이 형성되어 있다. 대부분 지역이 침식평야와 충적평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 지역의 고도가 64m 이하이다. 시의 동북부는 대체로 구릉이 많고 무봉산, 천덕산, 부산 등 비교적 높은 산이 솟아 있으나, 서남쪽으로 갈수록 지대가 낮아진다. 남부에는 동쪽 안성시와 북쪽 화성시 지역에서 각각 흘러 내려오는 안성천과 황구지천이 아산만으로 유입된다. 아산만 연안은 넓은 평야 지대로 경기도의 주요 곡창지대를 이루고 있으며, 서부 지역은 다소 구릉의 기복이 있으나 높은 산은 없다.[31]
언어적으로는 경기도 지역에 속하지만, 역사적으로 일제 강점기 이전까지 충청남도 진위군[32]과 평택군에 속했던 영향으로 충청 방언이 사용되기도 한다.
3. 1. 기후
평균 해발고도가 낮기 때문에 1월 평균 기온은 -4.5°C로, 경기도에서 가장 따뜻하며 8월 평균 기온은 26.4°C로 경기도에서 가장 덥다. 연평균 강수량은 1100mm, 7월 평균 강수량은 283.4mm, 8월 평균 강수량은 207.3mm로 평균 강수량이 경기도에서 가장 적은데 이는 지형성 강우가 다른 지역에 비해서 적기 때문이다.[31]평택은 온대 습윤 기후(쾨펜: ''Dwa'')에 속하지만, -3°C 등온선을 사용하면 경계적인 온난 습윤 기후(쾨펜: ''Cwa'')로 간주될 수 있다.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C) | 2.7°C | 5.8°C | 11.8°C | 18.7°C | 24.5°C | 28.3°C | 30.2°C | 31.1°C | 27°C | 21°C | 12.7°C | 4.8°C | 18.2°C |
일평균 기온 (°C) | -2°C | 0.7°C | 5.9°C | 12.5°C | 18.4°C | 22.8°C | 25.7°C | 26.2°C | 21.6°C | 14.9°C | 7.6°C | 0.3°C | 12.9°C |
평균 최저 기온 (°C) | -6.7°C | -4.3°C | 0.3°C | 6.3°C | 12.8°C | 18.3°C | 22.2°C | 22.6°C | 17.1°C | 9.3°C | 2.2°C | -4.5°C | 8°C |
평균 강수량 (mm) | 17.5mm | 25mm | 33.1mm | 65.8mm | 77.6mm | 109.5mm | 300.6mm | 257.1mm | 139.4mm | 53.6mm | 44.3mm | 20.8mm | 1144.3mm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3.9 | 4.0 | 5.3 | 6.6 | 6.8 | 7.0 | 12.6 | 11.5 | 7.7 | 5.4 | 7.5 | 5.6 | 77.9 |
출처: 기상청[6] |
4. 행정 구역
평택시의 행정 구역은 4읍 5면 16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북부에는 송탄출장소를, 서부에는 안중출장소를 각각 두고 있다. 용이동, 죽백동, 청룡동, 소사동, 월곡동 등 일부 지역은 과거 안성군에 속했다가 평택시에 편입된 곳이다. 평택시의 면적은 458.12km2이고,[33] 인구는 575,032명(남 310,038, 여 273,994), 269,403가구이다. (2022년 9월 30일 주민등록 기준)
읍·면·행정동 | 한자 | 면적 (km2) | 세대 | 인구 (명) |
---|---|---|---|---|
팽성읍 | 彭城邑 | 56.53km2 | 16,147 | 29,018 |
안중읍 | 安仲邑 | 28.47km2 | 19,374 | 43,678 |
포승읍 | 浦升邑 | 60.46km2 | 14,149 | 24,601 |
청북읍 | 靑北邑 | 52.56km2 | 11,302 | 27,249 |
진위면 | 振威面 | 34.01km2 | 6,151 | 11,415 |
서탄면 | 西炭面 | 28.63km2 | 1,990 | 3,618 |
고덕면 | 古德面 | 21.49km2 | 6,386 | 13,293 |
오성면 | 梧城面 | 32.5km2 | 3,314 | 6,640 |
현덕면 | 玄德面 | 45.89km2 | 2,697 | 4,968 |
고덕동 | 古德洞 | 16.65km2 | 12,383 | 27,257 |
중앙동 | 中央洞 | 8.14km2 | 21,320 | 44,291 |
서정동 | 西井洞 | 2.55km2 | 12,737 | 24,809 |
송탄동 | 松炭洞 | 20.33km2 | 9,639 | 22,297 |
지산동 | 芝山洞 | 0.66km2 | 7,686 | 12,934 |
송북동 | 松北洞 | 7.16km2 | 9,590 | 21,972 |
신장1동 | 新場1洞 | 1.58km2 | 3,916 | 7,142 |
신장2동 | 新場2洞 | 0.69km2 | 3,262 | 5,305 |
신평동 | 新平洞 | 6.45km2 | 12,396 | 22,061 |
원평동 | 原平洞 | 5.02km2 | 7,075 | 13,409 |
통복동 | 通伏洞 | 0.36km2 | 2,417 | 3,989 |
비전1동 | 碑前1洞 | - | 21,696 | 51,683 |
비전2동 | 碑前2洞 | 6.97km2 | 22,746 | 57,006 |
용이동 | 龍耳洞 | 2.64km2 | 11,045 | 25,920 |
동삭동 | 東朔洞 | - | 15,982 | 37,613 |
세교동 | 細橋洞 | 7.96km2 | 14,003 | 32,864 |
평택시 | 平澤市 | 458.13km2 | 269,403 | 575,032 |
행정동·읍·면 | 법정동·법정리 |
---|---|
중앙동 | 서정동, 장당동, 이충동 |
서정동 | 서정동 |
송탄동 | 모곡동, 칠괴동, 칠원동, 도일동, 가재동, 장안동 |
지산동 | 지산동, 신장동 |
송북동 | 지산동, 독곡동, 신장동 |
신장1동 | 신장동 |
신장2동 | |
신평동 | 평택동, 유천동, 합정동 |
원평동 | 평택동, 통복동, 군문동, 신대동 |
통복동 | 통복동 |
비전1동 | 비전동, 월곡동, 청룡동, 죽백동 |
비전2동 | 비전동, 소사동 |
동삭동 | 칠원동, 동삭동 |
용이동 | 용이동 |
세교동 | 동삭동, 세교동, 지제동, 신대동 |
고덕동 | 고덕동 |
팽성읍 | 객사리, 남산리, 추팔리, 노와리, 평궁리, 신궁리, 두리, 신호리, 근내리, 석봉리, 원정리, 조두리, 함정리, 신대리, 본정리, 노양리, 노성리, 두정리, 석근리, 대사리, 안정리, 동창리, 내리, 대추리, 송화리 |
안중읍 | 안중리, 학현리, 금곡리, 대반리, 삼정리, 용성리, 덕우리, 성해리, 송담리, 현화리 |
포승읍 | 내기리, 도곡리, 원정리, 만호리, 희곡리, 신영리, 방림리, 석정리, 홍원리 |
청북읍 | 현곡리, 삼계리, 고잔리, 옥길리, 후터리, 토진리, 백봉리, 어연리, 율북리, 한산리, 어섬리, 고념리 |
진위면 | 봉남리, 마산리, 은산리, 동천리, 고현리, 청호리, 갈곶리, 야막리, 가곡리, 견산리, 하북리, 신리 |
서탄면 | 금암리, 사리, 수월암리, 내가리, 마두리, 회화리, 적봉리, 장등리, 금각리, 황구지리 |
고덕면 | 당현리, 문곡리, 동청리, 해창리, 궁리, 동고리, 방축리, 여염리, 조교리, 두릉리 |
현덕면 | 도대리, 운정리, 화양리, 황산리, 인광리, 덕목리, 신왕리, 대안리, 기산리, 권관리, 장수리, 방축리 |
오성면 | 숙성리, 교포리, 신리, 안화리, 양교리, 죽리, 길음리, 당거리, 창내리 |
5. 인구
2010년 12월 말을 기준으로 평택시는 0~14세 인구가 19.3%, 65세 이상 인구가 9.6%를 차지한다. 생산가능인구인 15~64세 인구는 71.1%로 전국 평균(72.8%)보다 비율이 낮고, 유소년인구부양비는 27.1%로 전국 평균(22.8%)보다 높으며, 노년인구부양비는 13.6%로 전국 평균(14.5%)보다 낮다. 여자 인구 100명당 남자 인구를 나타내는 성비는 104로 남자가 다소 많다.[34]
2007년 6월에 인구가 40만 명을 돌파했으며, 이후 꾸준히 인구가 늘어 2015년 12월에 46만 명을 넘어섰고 2019년 5월에는 50만 명을 돌파했다. 2021년 12월 564,288명을 기록했고, 2024년 8월 기준 인구는 59만 명이다.
2022년 1월 기준 전국에서 외국인이 7번째로 많은 지역이다.
(참고로, 과거 송탄시 인구와 안성시의 5개 법정리(소사동, 용이동, 죽백동, 월곡동, 청룡동) 인구를 제외하면, 통합 이전 평택시 자체 인구는 약 20만 명 수준이었다.)
연도 | 총인구 | 비고 |
---|---|---|
1949년 | 101,307명 | 평택군 |
1955년 | 120,021명 | |
1960년 | 155,879명 | |
1966년 | 188,863명 | |
1970년 | 199,700명 | |
1975년 | 225,077명 | |
1980년 | 234,356명 | |
1985년 | 246,870명 | 평택군 (180,513), 송탄시 (66,357) |
1990년 | 271,826명 | 평택군 (115,229), 평택시 (79,152), 송탄시 (77,445) |
1995년 | 312,927명 | 평택시 |
2000년 | 345,306명 | |
2005년 | 378,438명 | |
2010년 | 388,508명 | |
2015년 | 457,873명 | |
2019년 | 521,172명 | |
2020년 | 537,307명 | |
2021년 | 564,288명 |
6. 산업
평택시는 경기도 내에서 제조업 비중이 매우 높은 산업 구조를 가지고 있다. 지역 내 총생산 기준으로 제조업을 포함한 2차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으며[36], 산업 종사자 구성에서도 제조업 종사자 비율이 경기도 평균보다 상당히 높게 나타난다.[37] 이는 삼성전자 평택캠퍼스를 비롯한 대규모 산업단지의 영향이 크다. 3차 산업의 경우, 종사자 비중이 경기도 평균에 비해 낮은 편이지만[37], 산업단지 개발과 연계된 건설업, 도소매업, 사업 서비스업 등이 성장하고 있다.[36]
6. 1. 산업별 종사자 현황
평택시의 2012년 지역 내 총생산은 59.3조원으로 경기도 지역내 총생산의 8.2%를 차지한다. 이 중 농림어업(1차 산업)은 5339억원으로 비중은 낮으며,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46.2조원으로 78%의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12.5조원으로 21.1%의 비중을 차지한다. 3차 산업 부문에서는 최근 대규모 산업단지 건설의 영향으로 건설업(3.1%), 도소매업(2.5%), 사업 서비스업(2.1%),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2%)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36]2014년 기준 평택시 산업의 총 종사자 수는 195,771명으로, 경기도 전체 종사자 수의 4.4%에 해당한다. 이 중 농림어업(1차 산업) 종사자는 406명으로 비중이 매우 낮다.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 종사자는 78,129명으로 전체의 39.9%를 차지하며, 이는 경기도 전체의 2차 산업 비중(27.1%)보다 높은 수치이다.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 종사자는 117,236명으로 59.9%를 차지하는데, 이는 경기도 전체의 3차 산업 비중(72.9%)보다는 낮은 편이다. 3차 산업 부문 내에서는 도소매업(11.3%), 숙박 및 음식점업(9.2%), 사업 서비스업(6.4%), 운수업(5.8%), 교육 서비스업(5.8%) 순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37]
7. 교통
평택시는 수도권 남부의 주요 교통 요충지로, 철도, 도로, 항만 등 다양한 교통망이 발달하여 전국 및 해외와의 접근성이 뛰어나다.
7. 1. 철도
경부선 철도가 남북으로 관통하고 있으며, 각 역에는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운행한다. 서정리역, 평택지제역, 평택역에서는 간선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 '''한국철도공사'''
- * 경부선 (수도권 전철 1호선)
- *: (오산시) ← 진위역 - 송탄역 - 서정리역 - 평택지제역 - 평택역 → (충청남도 천안시)
- * 서해선
- *: (화성시) ← 안중역 → (충청남도 아산시)
7. 2. 버스
- 시내버스: 평택시의 시내버스 노선과 평택시의 마을버스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 시외버스: 주요 터미널 및 정류장으로는 평택고속버스터미널, 평택시외버스터미널, 송탄시외버스터미널, 안중시외버스터미널, 평택대시외버스정류장이 있다.
7. 3. 도로
'''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서평택 나들목, 서평택 분기점
- 익산평택고속도로: 평택호 나들목, 현덕 분기점, 안중 나들목
- 익산평택고속도로지선: 현덕 분기점, 포승 나들목, 포승 분기점
- 평택제천고속도로: 서평택 분기점, 청북 나들목, 평택 분기점, 평택고덕 나들목
- 평택파주고속도로: 오성 나들목, 평택 분기점, 어연 나들목
- 평택시흥고속도로: 서평택 분기점
'''국도'''
'''지방도'''
- 국가지원지방도: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
- 지방도: 지방도 제302호선, 지방도 제306호선, 지방도 제309호선, 지방도 제310호선, 지방도 제313호선, 지방도 제314호선, 지방도 제315호선, 지방도 제317호선, 지방도 제321호선
7. 4. 여객선
평택당진항 국제여객터미널에서 중화인민공화국으로 가는 국제여객선이 운항 중이다. 주요 항로는 웨이하이시, 롄윈강시, 룽청시, 르자오시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 노선 대부분은 코로나19 범유행의 영향으로 현재 화물선만 운항하고 있다. 이는 인천항의 상황과 유사하다.8. 주요 시설
평택시에는 다양한 주요 시설들이 위치하고 있다.
'''군사 시설'''
- 해군 제2함대 사령부의 모항이 있다.
- 주한 미군 험프리 기지가 안정리 인근에 위치하고 있다. 2017년 10월, 한국 정부와 미국 정부는 서울 및 북쪽에 주둔하던 미군 대부분을 이곳으로 이전하고 기지를 확장하기로 합의했다. 이 과정에서 정부는 수용권을 행사하여 주변 토지를 확보했으며, 이로 인해 안정리 주민들은 일제강점기 이후 세 번째로 삶의 터전을 잃게 되는 아픔을 겪었다.[1] 이전 계획에는 원래 한미연합군사령부 본부 이전도 포함되어 있었으나, 2007년 3월 김장수 당시 국방부 장관과 미국 국방장관 로버트 게이츠는 2012년 4월 17일부로 한미연합군사령부를 해체하기로 합의했다.[2] 이를 통해 한국군은 북한과의 군사적 충돌 시 전시 작전통제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되었다. 이 합의에 따라 주한미군은 서울 및 수도권의 여러 기지를 정리하고 하나의 중앙 집중된 위치로 이전하게 되며, 기존 미군 사용 토지의 3분의 2가 한국 정부에 반환될 예정이었다. 2008년까지 주한미군은 41개 시설을 10개로 통합할 계획이었으며, 주한미군의 유일한 교도소 시설도 험프리스 기지에 있다.
- 오산 공군기지는 송탄에 위치하며, 대한민국 공군과 미국 공군이 함께 사용하고 있다.
'''행정 및 공공기관'''
'''주요 기업 시설'''
'''주요 상업 시설'''
'''기념 시설'''
9. 교육 기관
경기도평택교육지원청에서 평택시의 교육 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고등학교 | |||
---|---|---|---|
경기물류고등학교 | 동일공업고등학교 | 라온고등학교 | 비전고등학교 |
송탄고등학교 | 신한고등학교 | 안중고등학교 | 은혜고등학교 |
이충고등학교 | 진위고등학교 | 청담고등학교 | 청북고등학교 |
태광고등학교 | 평택고등학교 | 평택기계공업고등학교 | 평택여자고등학교 |
한광고등학교 | 한광여자고등학교 | 한국관광고등학교 | 현화고등학교 |
효명고등학교 |
중학교 | |||
---|---|---|---|
도곡중학교 | 라온중학교 | 비전중학교 | 세교중학교 |
송탄중학교 | 신한중학교 | 안일중학교 | 안중중학교 |
오성중학교 | 은혜중학교 | 이충중학교 | 장당중학교 |
진위중학교 | 청담중학교 | 청북중학교 | 청옥중학교 |
태광중학교 | 평택여자중학교 | 평택중학교 | 포승중학교 |
한광여자중학교 | 한광중학교 | 현화중학교 | 효명중학교 |
9. 1. 대학교
10. 상권
평택시의 주요 상권으로는 소사벌, 고덕, 용죽, 평택역 앞 먹자골목 등이 있다.
고덕 상권은 송탄 지역에 속하며, 삼성전자 평택캠퍼스를 염두에 두고 개발되었으나 기대와 달리 공실이 넘쳐나고 상권 거품이 심각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용죽과 소사벌 지역은 본래 안성시에 속했던 죽백동과 용이동 일대로, 이곳 역시 공실이 많고 폐업하는 가게가 늘어나고 있다.
평택역 앞 먹자골목은 과거의 활기를 잃은 지 오래되었으며, 주말에만 일부 오래된 식당 중심으로 사람이 모이는 정도이다.
소비 패턴에도 변화가 나타나, 2018년까지는 안성시민들이 주로 평택에서 쇼핑, 문화생활, 유흥을 즐겼으나, 2020년부터는 오히려 평택 시민들이 안성시에서 문화생활과 쇼핑을 즐기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용죽이나 소사벌에 거주하는 평택 시민들도 안성시 공도읍의 진사리, 만정리 등에서 소비하는 경우가 늘었다. 평택 시민뿐 아니라 인근 충청남도 천안시나 경기도 용인시 등지의 주민들도 안성시에서 쇼핑과 문화생활을 즐기는 추세이다.
11. 문화·관광
- 평택호 관광단지
- 송탄관광특구
- 진위천 시민유원지
- 웃다리문화촌: 2000년에 폐교된 옛 서탄초등학교 금각분교를 리모델링하여 평택시민과 수도권 주민들을 위한 문화예술 체험학습장으로 운영하고 있다. 8개의 교실과 창고를 개조하여 회화, 도예, 목공예, 석화공예 체험 공간과 웃다리박물관 등의 시설을 갖추었다. 전문 문화예술인들이 창작 활동을 하면서 일반 시민들을 위한 강좌와 체험학습을 진행한다.
- 지영희국악관
- 농업박물관: 1층 농경유물 역사관에는 계절별 농기구와 생활 소품 등 약 160여 점의 농경 생활 유물이 전시되어 있으며, 국가무형문화재 제11-나호로 지정된 평택농악 디오라마와 농가월령가 그림 등을 볼 수 있다. 2층 세계농업과 평택농업의 미래 전시관에서는 평택 쌀과 배의 역사 및 품종, 다양한 가공품을 전시하고, 세계 농업을 소개하는 멀티큐브, 천연 염색으로 만든 오방색 전통 직물과 염료, 나비의 생활사 등을 전시한다. 야외 전시장도 마련되어 있다.
- 자연테마 식물원: 171종 5,200본에 이르는 다양한 식물을 보유하고 있으며 연중 운영된다. 매년 봄에는 대규모 꽃 축제가 열린다.
11. 1. 축제
- 시민건강걷기대회: 매년 4월경 개최된다.
- 평택꽃나들이축제: 매년 4월 말부터 5월 5일까지 열린다.
- 한·미친선 축제: 매년 9월에서 10월경에 개최된다.
- 소사벌예술제: 매년 10월에 열린다.
- 평택항마라톤대회: 매년 10월경 개최된다.
12. 특이사항
- 쌍용자동차 사태로 인해 2009년 8월 13일부터 2010년 8월 12일까지 대한민국 최초의 고용개발촉진지역으로 지정되었다.
- 2050년 해수면 상승 시 수도권에서 가장 넓은 면적이 침수될 것으로 예측되는 지역이다.
- 전국에서 대구 다음으로 두 번째, 수도권에서는 첫 번째로 아파트 미분양 물량이 많은 지역이다.
- 치안이 좋지 않은 지역 중 하나로 꼽힌다.
- 서해대교는 평택시와 충청남도 당진이 공유하는 교량임에도, 평택시가 단독 랜드마크처럼 홍보하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
- 안성평야를 평택평야로, 안성천을 평택강으로 바꾸어 홍보하고 있다.
- 아산호를 평택호라는 이름으로 홍보하고 있다.
13. 자매 도시
wikitext
국가 | 지역/주 | 도시 |
---|---|---|
미국 | 모빌 | |
워싱턴 D.C. | ||
일본 | ||
중화인민공화국 | 광둥성 | 산터우시 汕头市중국어 |
랴오닝성 | 다롄시 大连市중국어 | |
잉커우시 营口중국어 | ||
산둥성 | 룽청시 荣成市중국어 | |
르자오시 日照市중국어 | ||
옌타이시 烟台市중국어 | ||
칭다오시 青岛市중국어 | ||
장쑤성 | 롄윈강시 连云港市중국어 | |
저장성 | 닝보시 宁波市중국어 | |
이우시 义乌市중국어 | ||
지린성 | 옌볜 조선족 자치주 延边朝鲜族自治州중국어 룽징시 龙井市중국어 | |
푸젠성 | 샤먼시 厦门市중국어 | |
푸저우시 福州市중국어 | ||
허베이성 | 친황다오시 秦皇岛중국어 | |
톈진시 | 톈진시 天津市중국어 탕구구 塘沽区중국어 | |
상하이시 | 상하이시 上海市중국어 | |
튀르키예 | 테키르다주 | 테키르다 |
14. 출신 인물
참조
[1]
뉴스
Eviction village: A farmer's tale
http://news.bbc.co.u[...]
2007-02-27
[2]
웹사이트
Changes to Wartime OPCON: Challenges for the ROK
http://english.chosu[...]
Chosun
[3]
웹사이트
SOUTH AFRICAN KOREAN WAR VETERANS ASSOCIATION
http://www.bucksvoic[...]
[4]
웹사이트
South African Embassy, Seoul
http://www.southafri[...]
[5]
웹사이트
Pyeongtaek International Christian School
http://www.isi.go.kr[...]
2016-03-30
[6]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6-07
[7]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8]
뉴스
평택시 동삭동·고덕동 신설된다
http://www.pttimes.c[...]
2021-05-06
[9]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0]
뉴스
「慰安婦像設置」の韓国に中学生派遣中止…「市民の理解が得られないと判断」 松山市
http://www.sankei.co[...]
2017-04-20
[11]
웹인용
2024년 2월 행정안전부 기준
https://jumin.mois.g[...]
[12]
웹인용
2024년 2월 행정안전부 인구
https://jumin.mois.g[...]
[13]
법률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s:고종순천융운조극돈륜정성광의명공대[...]
1895-05-26
[14]
법률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s:고종순천융운조극돈륜정성광의명공대[...]
1896-08-04
[15]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6]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96호
1938-09-27
[17]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97호
1938-09-27
[18]
법률
법률 제1177호 읍설치에관한법률
1962-11-21
[19]
법률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20]
법률
법률 제3425호 광명시등시설치와군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81-04-13
[21]
법률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01-10
[22]
설명
[23]
법률
법률 제3798호 구리시등11개시설치와군관할구역의조정및금성시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5-12-28
[24]
법률
대통령령 제14629호 시·군·자치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95-04-20
[25]
법률
법률 제4948호 경기도평택시등5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5-05-10
[26]
조례
시조례 제197호
1996-04-19
[27]
조례
시조례 제353호
1998-10-01
[28]
조례
시조례 제585호
2002-11-05
[29]
조례
시조례 제814호
2006-12-29
[30]
웹사이트
평택시의 위치
http://www.pyeongtae[...]
2012-04-11
[31]
백과사전
평택의 자연
http://donation.enc.[...]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32]
기타
[33]
웹사이트
기본현황 - 행정구역
http://www.pyeongtae[...]
2016-05-15
[34]
웹사이트
평택시 통계연보
http://www.pyeongtae[...]
[35]
기타
[36]
웹사이트
경기도 시군단위 지역내총생산(GRDP)
http://kosis.kr/stat[...]
[37]
웹사이트
경기도 사업체 조사
http://kosis.kr/sta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