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콜로딕티온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콜로딕티온은 디필레이다에 속하는 속으로, 디필레이과의 하위 분류이다. 술코모나스과와 디필레이과로 나뉘며, 콜로딕티온 속에는 여러 종이 포함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핵생물 - 아모르페아
    아모르페아는 아메바류와 오바조아로 나뉘는 진핵생물의 계통 분류 그룹으로, 대부분 하나의 편모를 가지거나 편모가 없으며, 후편모생물을 포함한다.
  • 진핵생물 - 안키로모나스속
    안키로모나스속은 다양한 종을 포함하며, 각 종은 학명, 명명 연도, 명명자에 따라 분류되고, 안키로모나스 아틀란티카, 콘토르타, 임플루비움, 인디카, 켄티, 라타, 마그나 등이 주요 종이며, Skvortzov에 의해 다수 종이 명명되었다.
콜로딕티온과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정보
진핵생물
미분류포디아타
미분류CRuMs
콜로딕티온과 (Collodictyonidae)
과 명명Brugerolle et al. 2002
하위 고리
하위콜로딕티온
디필레이아
술코모나스
이명디필레이아과 (Diphylleidae) Cavalier-Smith 1993
학문적 분류
상위 분류군 권위Cavalier-Smith 2003
과 권위Cavalier-Smith 1993
콜로딕티온과
명명자Brugerolle et al. 2002
콜로딕티온
디필레이아
술코모나스
동의어디필레이아과 Cavalier-Smith 1993
아니소모나데아 Cavalier-Smith 1993 emend. 2000
이미지
콜로딕티온 트리실리아툼
추가 정보
조상 권위Cavalier-Smith 2003
부모 권위Cavalier-Smith 1993

2. 계통 분류

다음은 포디아타의 계통 분류이다.[6][7][8][9]

{| class="wikitable"

|-

| 스코토카리오타

|-

|

{| class="wikitable"

|-

| 메타모나다

|-

! 오피모다

|-

|

{| class="wikitable"

|-

| 안키로모나스류

|-

|

{| class="wikitable"

|-

| 말라이모나스류

|-

! 포디아타

|-

|

{| class="wikitable"

|-

! 아모르페아

|-

|

{| class="wikitable"

|-

| 아메바류

|-

! 오바조아

|-

|

{| class="wikitable"

|-

| 브레비아타류

|-

|



|}

|}

|}

|-

! CRuMs

|-

|

{| class="wikitable"

|-

| 만타모나스과

|-

|

리기필라목
콜로딕티온과



|}

|}

|}

|}

|}

|}

다음은 CRuMs의 계통 분류이다.[2]

{| class="wikitable"

|-

| 만타모나디다

|-

|

리기필리다
디필레이다



|}

|}

2. 1. 하위 분류


  • '''콜로딕티온속(Collodictyon)''' Carter, 1865
  • '''디필레이아속(Diphylleia)''' Massart, 1920 non Michaux, 1803[5]
  • '''강 디필라테아''' Cavalier-Smith, 2003
  • * '''목 디필레이다''' Cavalier-Smith, 1993
  • ** 과 술코모나스과 Cavalier-Smith, 2012

속 '''술코모나스''' Brugerolle, 2006
* 종 ''S. lacustris'' Brugerolle, 2006

  • ** 과 디필레이과 Cavalier-Smith, 1993

속 '''디필레이''' Massart, 1920 non Michaux, 1803
* 종 ''D. rotans'' Massart, 1920
속 '''콜로딕티온''' Carter, 1865
* 종 ''C. hongkongense'' Skvortzov, 1968
* 종 ''C. indicum'' Iyengar, 1981
* 종 ''C. oxycareni'' Franchini, 1922
* 종 ''C. sparsevacuolatum'' Skuja, 1956
* 종 ''C. triciliatum'' Carter, 1865

참조

[1] 논문 Hemimastigophora is a novel supra-kingdom-level lineage of eukaryotes 2018-11-14
[2] 논문 Phylogenomics Places Orphan Protistan Lineages in a Novel Eukaryotic Super-Group 2018-01-19
[3] 논문 "Collodictyon – An Ancient Lineage in the Tree of Eukaryotes"
[4] 논문 Hemimastigophora is a novel supra-kingdom-level lineage of eukaryotes 2018-11-14
[5] 문서 주걱박쥐과 털다리흡혈박쥐속(''Diphylla'') 또는 매자나무과 디필레이아속(''Diphylleia'')과는 별개의 속이다.
[6] 논문 Phylogenomics Places Orphan Protistan Lineages in a Novel Eukaryotic Super-Group 2018-01-19
[7] 논문 Hemimastigophora is a novel supra-kingdom-level lineage of eukaryotes 2018-11-14
[8] 논문 Correction: A Higher Level Classification of All Living Organisms 2015-06-11
[9] 서적 The Flagellates: Unity, diversity and evolution Taylor & Francis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